KR101007583B1 -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583B1
KR101007583B1 KR1020090053700A KR20090053700A KR101007583B1 KR 101007583 B1 KR101007583 B1 KR 101007583B1 KR 1020090053700 A KR1020090053700 A KR 1020090053700A KR 20090053700 A KR20090053700 A KR 20090053700A KR 101007583 B1 KR101007583 B1 KR 10100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 circulation
midsole
insole
circul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373A (ko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filed Critical 윤근수
Priority to KR102009005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583B1/ko
Priority to US13/704,862 priority patent/US20130118028A1/en
Priority to PCT/KR2010/003824 priority patent/WO2010147353A2/ko
Publication of KR2010013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기능, 공기순환기능 등을 일체로 수행하여 착지감이 좋고,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은 갑피(102)가 상부면에 접합되는 인솔(110); 인솔(110)의 하부면과 접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측면(122a) 및 하측면(122a)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상측면(122b)을 갖는 터널부(122)가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미드솔(120); 미드솔(120)의 하부면에 접합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132)가 형성된 아웃솔(130); 터널부(122)의 하측면(122a)을 지지하는 지지부(142) 및 터널부(122)의 상측면(122b)을 지지하는 회동부(144)로 이루어지고,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동부(144)가 탄성적으로 접철되는 접철식 탄성부재(140); 터널부(122)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밀폐부재(150); 및 일단이 밀폐된 터널부(122)와 연통되고, 타단이 인솔(1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운동화, 쿠션, 탄성, 접철, 스프링, 통풍, 원적외선, 음이온, 구름운동

Description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Shoes having cushion and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기능, 공기순환기능 등을 일체로 수행하여 착지감이 좋고,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생활 필수품 중 하나인 신발은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넘어서 인체공학적 설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신발의 주요기능으로는 쿠션기능, 공기순환기능을 들 수 있다.
쿠션기능은 보행시 지면과 가장 먼저 닿게 되는 신발의 뒷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착지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쿠션기능을 통하여 발뒤꿈치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보행자가 느끼게 되는 피로감을 경감시키게 된다. 쿠션기능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미드솔(mid-sole)과 아웃솔(out- sole)과 같은 신발의 밑창을 폴리우레탄, 합성고무와 같은 신축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신발의 뒷굽에 다수의 코일스프링을 수직으로 내설시키는 등 탄성을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신축성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축성 소재의 탄성이 점차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뒷굽에 코일스프링을 내설하는 방식은 스프링의 신축거리가 제한되기 때문에 충분한 쿠션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어 신발의 제조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순환기능은 신발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공기순환기능은 보행자의 발에서 생성되는 땀으로 인한 습기를 건조시킴으로써 각종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고, 발냄새 또는 무좀과 같은 피부질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순환기능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주로 통기성 소재를 이용하여 신발의 갑피를 제조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소극적인 방식이어서 공기순환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신발 내부를 공기순환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흡수 효율과 공기순환 효율이 대폭 개선됨과 동시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신발의 내구성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의 구름운동 및 살균작용 등을 구현하여 신발의 착지감 및 착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은 갑피(102)가 상부면에 접합되는 인솔(110); 인솔(110)의 하부면과 접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측면(122a) 및 하측면(122a)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상측면(122b)을 갖는 터널부(122)가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미드솔(120); 미드솔(120)의 하부면에 접합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132)가 형성된 아웃솔(130); 터널부(122)의 하측면(122a)을 지지하는 지지부(142) 및 터널부(122)의 상측면(122b)을 지지하는 회동부(144)로 이루어지고,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동부(144)가 탄성적으로 접철되는 접철식 탄성부재(140); 터널부(122)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밀폐부재(150); 및 일단이 밀폐된 터널부(122)와 연통되고, 타단이 인솔(1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회동축(145); 회동축(145)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지지부(142)와 회동부(144); 및 회동축(145)에 끼워지는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과,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에서 연장형성되어 지지부(142)를 지지하는 제1 연장부(146b)와,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에서 연장형성되어 회동부(144)를 지지하는 제2 연장부(146c)를 갖는 탄성부(1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지지부(142)와 회동부(144)가 일체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는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되고, 밀폐부재(150)의 일측에는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된다. 이때,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는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되고, 밀폐부재(150)의 일측에는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미드솔(120)은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미드솔(120)은 미드솔(120)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접철식 탄성부재(140)와 미드솔(120)의 전방측과의 분절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탄력 또는 경질의 보강부재(170)가 적어도 하나 내장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인솔(11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무기물질이 함유되거나 음이온처리된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은 접철식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충격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착지감이 우수하다. 동시에 신발 내부를 적극적으로 공기순환시킬 수 있어 공기순환 효율이 대폭 개선되고, 이로 인해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철식 탄성부재는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어 신발의 내구성 및 생산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자연스러운 구름운동을 통하여 효율적인 보행이 가능하고, 인솔의 원적외선 또는음이온의 방출을 통하여 착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의 주요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인솔, 미드솔 및 아웃솔을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철식 탄성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인솔(110), 미드솔(120), 아웃솔(130), 접철식 탄성부재(140), 밀폐부재(150) 및 공기 유로(160)로 이루어져 있다.
인솔(insole, 110)은 보행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부분으로, 일명 안창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인솔(110)의 상부면에는 둘레를 따라 갑피(102)가 접합된다. 그리고, 인솔(110)은 미드솔(120)의 상부면에 접합되거나, 교체가능하도록 미드솔(120)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인솔(11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무기물질이 함유된다. 원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인체에 침투하여 열작용을 통한 혈액순환의 개선, 살균작용, 당뇨병성 질환의 예방과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탈취,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무기물질로는 MgO, SiO2, ZrO2 등의 천연맥반석, 세라믹, 숯, 옥, 게르마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섬유로 제조될 수 있고, 이를 인솔(110)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솔(110)은 음이온처리됨으로써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음이온은 혈액에 함유된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미네랄 성분을 이온화 및 알칼리화시킴으로써 혈액의 정화, 혈액순환의 개선, 세포의 활성화, 피로회복, 통증완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드솔(120)은 인솔(110)과 아웃솔(130) 사이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 합성고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그 자체로 쿠션기능을 갖는다. 미드솔(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단부에 개구된 형태의 터널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터널부(122)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측면(122a)과, 하측면(122a)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상측면(122b)을 갖는다. 이때, 터널부(122)의 소정 각도(α)는 10°~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드솔(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신발(100)의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미드솔(120)은 내부에 미드솔(12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부재(170)가 형성된다. 미드솔(120)은 반복된 변형으로 인해 자체의 탄성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원상회복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강부재(170)는 합성고무와 같은 고탄력 소재를 사용하거나, 경질 합성수지와 같은 경질 소재를 미드솔(120)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원상회복 능력을 개선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부재(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120) 내부에 길게 형성된 제1 보강부재(170a)와, 터널부(122) 하측에 형성된 제2 보강부재(170b)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보강부재(170a)는 미드솔(120)의 전방측을 보강하고, 제2 보강부 재(170b)는 접철식 탄성부재(140)를 지지하여 보강한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70a, 170b)가 2중으로 미드솔(120)을 보강함으로써 미드솔(120)의 중앙부, 즉 터널부(122)의 전방측이 꺽이게 되는 분절현상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신발(100)의 구름운동시 미드솔(120)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원활한 구름운동이 가능하다.
아웃솔(130)은 지면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미드솔(120)의 하부면에 접합된다. 이때, 아웃솔(130)은 다수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트레드(tread)(132)가 형성되고,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상술된 터널부(122)에 삽입설치되어 보행자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부(122)의 하측면(122a)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지지부(142)와, 터널부(122)의 상측면(122b)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회동부(144)를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부(142)와 회동부(144)는 회동축(145)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때, 회동축(145)은 회동축 고정부재(145a)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부(146)가 지지부(142)와 회동부(144)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동축(145)에 설치된다. 탄성부(1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과,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된 "ㄷ"자 형상의 제1 연장부(146b) 및 제2 연장부(146c)로 이루어진다. 제1 연장부(146a)와 제2 연장부(146c)는 상술된 바 있는 소정 각도(α)를 이루고 있고, 각각 지지부(142)와 회동부(144)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42)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터널 부(122)의 하측면(122a)을 지지하므로 상대적으로 고정된 지지부(142)에 회동부(144)가 접철된다. 따라서,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회동부(144)의 상부면에 하중이 가해지면 회동부(144)가 탄성부(146)의 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철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42")와 회동부(144")가 일체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140")일 수 있다. 즉, 지지부(142")와 회동부(144")를 연결하는 부분의 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철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신발(100)의 착용감, 충격흡수 효율 등을 고려하여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 및 판 스프링(140")의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간단한 구조로 제조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철식 탄성부재(140)가 소정 각도(α) 만큼 크게 변형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충격흡수 효율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밀폐부재(150)는 신축가능한 소재를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제조되고, 터널부(122)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밀폐부재(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탄성부재(140)의 바깥 둘레를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터널부(122)에 삽입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접철식 탄성부재(140)가 삽입설치된 터널부(122)에 밀폐부재(150)를 접합시켜 터널부(122)를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유로(160)는 신발(100) 내부의 공기와 터널부(122)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유로(160)는 호스를 이용한다. 그리고, 공기 유로(160)의 일단은 인솔(11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신발(100)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접철식 탄성부재(140)의 지지부(142)에 형성된 관통홀(143)을 통하여 터널부(122)와 연통된다.
배출 및 흡입용 체크밸브(162, 164)는 박막을 이용한 소형 밸브로서, 공기를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솔(1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되고, 밀폐부재(150)의 일측에는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된다. 이는, 터널부(122)의 펌핑작용으로 신발(100) 내부로 공기를 계속적으로 공급시킴으로써 신발(100) 내부를 통풍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는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되고, 밀폐부재(150)의 일측에는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신발(100)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신발(100) 내부를 통풍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쿠션기능 및 구름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을 착용하고 보행하는 경우 신발(100)의 후방측이 먼저 지면에 닿게 된다. 이때, 보행자의 하중이 발뒤꿈치에 가해지고, 터널부(122)에 삽입설치된 접철식 탄성부재(140)가 탄성적으로 접철됨으로써 발뒤꿈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착지감이 크게 개선된다. 이때, 신발(100)은 미드솔(120) 및 아웃솔(130)의 형상이 전·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되어 있어 부드러운 착지가 가능하고, 넓은 착지면적을 갖게 되어 발뒤꿈치의 충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착지 이후에 보행자의 하중은 발앞꿈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신발(100)의 아웃솔(130)은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면서 접철식 탄성부재(140)에서 미쳐 흡수되지 못한 충격은 연속적으로 분산됨으로써 흡수된다. 또한, 보행자의 하중이 아웃솔(130)의 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발앞꿈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접철되었던 절첩식 탄성부재(14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펼쳐지면서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보행자의 발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효율적인 보행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공기순환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을 착용하고 보행하는 경우 착지시에 접철식 탄성부재(140)가 접철됨과 동시에 미드솔(120)의 터널부(122)는 수축된다. 이때, 터널부(122) 내부의 공기는 펌핑되어 공기 유로(160)를 거쳐 배출용 체크밸브(162)를 통하여 신발(100)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접철식 탄성부재(14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터널부(122)는 원상태로 팽창한다. 이때, 밀폐부재(150)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용 체크밸브(164)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신발(100) 내부에 신선한 외부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공기순환이 이루어져 쾌적한 착용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되며 밀폐부 재(150)의 일측에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된 반대의 경우에는 신발(100) 내부의 습한 공기를 계속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신발(100) 내부를 공기순환시키게 된다.
한편, 인솔(110)은 신발(10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공기순환과 함께 원적외선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게 되어 탈취, 제습, 항균작용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착용감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인솔(11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통해 혈액순환의 개선, 당뇨병성 질환의 예방과 개선, 통증완화 등 착용자의 발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의 주요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인솔, 미드솔 및 아웃솔을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접철식 탄성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접철식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102 : 갑피
110 : 인솔 120 : 미드솔
122 : 터널부 130 : 아웃솔
132 : 트레드 140, 140" : 접철식 탄성부재
142, 142" : 지지부 144, 144" : 회동부
145 : 회동축 145a : 회동축 고정부재
146 : 탄성부 146a : 비틀림 코일스프링
146b : 제1 연장부 146c : 제2 연장부
150 : 밀폐부재 160 : 공기 유로
162 : 배출용 체크밸브 164 : 흡입용 체크밸브
170 : 탄력 보강부재

Claims (8)

  1. 갑피(102)가 상부면에 접합되는 인솔(110);
    인솔(110)의 하부면과 접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측면(122a) 및 상기 하측면(122a)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상측면(122b)을 갖는 터널부(122)가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미드솔(120);
    상기 미드솔(120)의 하부면에 접합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132)가 형성된 아웃솔(130);
    상기 터널부(122)의 하측면(122a)을 지지하는 지지부(142) 및 상기 터널부(122)의 상측면(122b)을 지지하는 회동부(144)로 이루어지고,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회동부(144)가 탄성적으로 접철되도록;
    회동축(145)과 상기 회동축(145)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상기 지지부(142)와 상기 회동부(144) 및 상기 회동축(145)에 끼워지는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과,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42)를 지지하는 제1 연장부(146b)와,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146a)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회동부(144)를 지지하는 제2 연장부(146c)를 갖는 탄성부(146)로 이루어진는 접철식 탄성부재(140);
    상기 터널부(122)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밀폐부재(150); 및
    일단이 상기 밀폐된 터널부(122)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인솔(1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탄성부재(140)는 상기 지지부(142)와 상기 회동부(144)가 일체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는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150)의 일측에는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160)의 일단에는 흡입용 체크밸브(164)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150)의 일측에는 배출용 체크밸브(16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20)은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20)은 상기 미드솔(120)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상기 접철식 탄성부재(140)와 상기 미드솔(120)의 전방측과의 분절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탄력 또는 경질의 보강부재(170)가 적어도 하나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11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무기물질이 함유되거나, 음이온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KR1020090053700A 2009-06-17 2009-06-17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KR10100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700A KR101007583B1 (ko) 2009-06-17 2009-06-17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US13/704,862 US20130118028A1 (en) 2009-06-17 2010-06-15 Functional shoe having a cushioning function and an air circulation function
PCT/KR2010/003824 WO2010147353A2 (ko) 2009-06-17 2010-06-15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700A KR101007583B1 (ko) 2009-06-17 2009-06-17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373A KR20100135373A (ko) 2010-12-27
KR101007583B1 true KR101007583B1 (ko) 2011-01-12

Family

ID=4335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700A KR101007583B1 (ko) 2009-06-17 2009-06-17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18028A1 (ko)
KR (1) KR101007583B1 (ko)
WO (1) WO20101473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306B2 (en) 2009-04-10 2014-06-17 Athletic Propulsion Labs LLC Shoes, devices for shoes, and methods of using shoes
CN202286563U (zh) * 2010-08-05 2012-07-04 思达科技国际 用于通风透气式鞋类的鞋底
US9241533B2 (en) * 2013-02-21 2016-01-26 Nike, Inc. Footwear including heel spring support members
US9451805B2 (en) * 2013-07-26 2016-09-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members
US9480303B2 (en) * 2013-08-09 2016-11-0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O2016032894A1 (en) * 2014-08-29 2016-03-03 Nike Innovate C.V.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bowed spring plate
US9668540B2 (en) * 2014-12-31 2017-06-06 Chinook Asia Llc Footwear having a flex-spring sole
US20170127750A1 (en) * 2015-11-10 2017-05-11 Hattar Tanin LLC Footwear with adjustable shock absorbing system
KR101673968B1 (ko) 2016-01-18 2016-11-08 도재은 내부구조가 개선된 신발
EP3345499B1 (de) * 2017-01-09 2020-03-11 ATMOS airwalk ag Schuh mit einer luftpumpeinrichtung mit einem einen balg umgreifenden federelement
US10441021B1 (en) * 2017-06-22 2019-10-15 Leisure, Inc. Footwear with heel contact member
US11484092B2 (en) 2020-07-15 2022-11-01 Athletic Propulsion Labs LLC Shoes, devices for shoes, and methods of using shoes
US11576465B2 (en) 2021-05-18 2023-02-14 Athletic Propulsion Labs LLC Shoes, devices for shoes, and methods of using sho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30Y1 (ko) 2000-01-13 2000-06-15 한수용 신발
KR20010086230A (ko) * 1998-02-09 2001-09-10 추후보정 화학적 표면 개질된 겔 (csmg) 및 그의 제조 방법 및액체계로부터 금속 제거시 사용 방법
KR20030006151A (ko) * 2001-07-11 2003-01-23 아세아열연(주) 통풍 및 건강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040015981A (ko)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트럿서스펜션
KR200415981Y1 (ko) 2005-06-01 2006-05-09 이승우 신발 깔창
KR100849601B1 (ko) 2008-01-08 2008-07-31 (주)알와이엔코리아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관통터널미드솔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553A (en) * 1983-09-12 1985-08-20 Nike, Inc. Shock absorbing sole layer
KR20040028899A (ko) * 2004-03-11 2004-04-03 서기만 충격완충시스템 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230A (ko) * 1998-02-09 2001-09-10 추후보정 화학적 표면 개질된 겔 (csmg) 및 그의 제조 방법 및액체계로부터 금속 제거시 사용 방법
KR200186230Y1 (ko) 2000-01-13 2000-06-15 한수용 신발
KR20030006151A (ko) * 2001-07-11 2003-01-23 아세아열연(주) 통풍 및 건강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040015981A (ko)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트럿서스펜션
KR200415981Y1 (ko) 2005-06-01 2006-05-09 이승우 신발 깔창
KR100849601B1 (ko) 2008-01-08 2008-07-31 (주)알와이엔코리아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관통터널미드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53A2 (ko) 2010-12-23
WO2010147353A3 (ko) 2011-03-31
KR20100135373A (ko) 2010-12-27
US20130118028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583B1 (ko) 쿠션 및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KR100741628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US20080189986A1 (en) Ventilated and resilient shoe apparatus and system
US6044577A (en) Self-ventilating footwear
KR100731793B1 (ko) 신발 하부 구조체
KR200405434Y1 (ko) 기능성 구두
JP2009011822A (ja) 多層靴敷き
KR200448648Y1 (ko) 충격완충용 신발깔창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1253943B1 (ko) 지압과 마사지 기능이 우수한 신발
KR20090019655A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27686Y1 (ko) 신발 깔창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140001294U (ko) 쿠션 및 통풍 구조가 구비된 신발용 깔창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US20200383423A1 (en) Shoes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20060001956A (ko) 판스프링쿠션에어백을 장착한 걷기전용 당뇨화
KR100775730B1 (ko) 통풍성이 좋은 슬리퍼 겸용 건강 신발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362056Y1 (ko) 쿠션 기능을 가지는 에어 펌프 신발
KR200325472Y1 (ko) 신발 깔창
CN212368458U (zh) 一种具有透气功能的薰衣草香味eva发泡鞋垫
CN213045586U (zh) 一种减震排汗保健皮鞋
CN109938446A (zh) 一种功能鞋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