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58B1 -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 Google Patents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058B1
KR101006058B1 KR1020100045747A KR20100045747A KR101006058B1 KR 101006058 B1 KR101006058 B1 KR 101006058B1 KR 1020100045747 A KR1020100045747 A KR 1020100045747A KR 20100045747 A KR20100045747 A KR 20100045747A KR 101006058 B1 KR101006058 B1 KR 10100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powered
water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태형산전 주식회사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형산전 주식회사, 김태형 filed Critical 태형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25/3125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characteristics of the Venturi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95Wires or coils
    • B01F25/431951Spirally-shaped baff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3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관통홀(311)은 물이 유입되는 제3 유입홀(311a)과 상기 제3 유입홀(311a)에서 연장되어서 연통되고 물이 유출되는 제3 유출홀(311b)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3 유출홀(311b)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3 유출홀(311b)의 내경은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경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피연결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3 연결관(310); 상기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주면에 내설되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로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관 내부에 캐비테이션을 무동력으로 자연 발생시켜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Power free Micro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 내부의 소정 부분을 매우 낮은 압력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나선류(spiral flow)가 형성되도록 하여 관 내부에 캐비테이션(cavitation, 공동(空洞)현상)을 무동력으로 자연 발생시킴으로써, 다량의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 미세기포)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1 ~ 50um 이하의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마이크로 버블(미세기포)을 강제 발생시켜서, 오염된 물을 정화하거나 샤워기나 비데 또는 욕조 등에 구비되어서 마사지, 건강 증진, 피로 회복 등의 용도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32971 호(발명의 명칭: 가정용 마이크로 버블기), 등록특허공보 제 10-0824714 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92750 호(발명의 명칭: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45422 호(발명의 명칭: 다단펌프를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계 및 생산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는 펌프와 같은 동력원을 필요로 하였으므로 제품 단가가 높아서 일반소비자가 이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커서 제품을 대중화하는데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목적은, 연결관의 내경이 점차 좁아지다가 이후 넓어지도록 구성하여 연결관의 내부에서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져서 진공에 가까운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나선류 생성 부재를 연결관에 내설하여 나선류(spiral flow)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연결관의 내부에서 공동현상(cavitation)을 무동력으로 자연 유도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다량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다른 목적은, 연결관 내부에 나선류 생성 부재를 취부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마이크로 버블을 다량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펌프를 비롯한 동력장치나 별도의 챔버를 채용하지 않고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와 대비시 제품의 원가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음 발생이 없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관의 유입부와 유출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물이 통과되는 관과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나사 체결로써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물이 사용되는 모든 제품(샤워기, 욕조, 수도, 세탁기, 식기 세척기, 비데, 수전, 밸브 등)에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하나의 모듈로써 단품화하는 경우 타 제품에의 장착 애플리케이션이 뛰어나서 상업적 성공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파이프에 약간의 절삭 가공만으로 제2 연결관을 형성하고 이 제2 연결관에 나선류 발생 박편이 내설된 인서트관을 끼우기만 하면 제품이 완성되므로 기존의 파이프를 활용할 수 있어서 제품의 제작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또 다른 목적은, 제3 유출홀이 뚫려 있는 제3 연결관에 제3 유출홀보다 내경이 큰 제3 유입홀만을 가공한 후에 제3 유출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피연결관과 연결하기만 하면 캐비테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제조 공정과 공수를 간소화하고 부품수를 최소로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코스트를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은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유입홀과 연통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과 연통되어 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홀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 유입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 유출홀로 통과시키고, 상기 중앙홀의 내경은 상기 제1 유입홀 쪽에서 제1 유출홀 쪽의 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다가 이후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관; 상기 제1 유입홀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spiral flow)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twisting)되어서 상기 제1 유입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나선류 생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홀은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홀과 상기 제2 유입홀과 연통하여 물이 유출되는 제2 유출홀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2 유입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유출홀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2 유출홀의 내경은 물의 흐름 방향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관; 인서트관 유입홀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과 연통하는 인서트관 유출홀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관 유출홀의 내경이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된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 유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제2 유입홀에 내설되는 인서트관;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의 내주면에 내설되는 나선류 생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관통홀은 물이 유입되는 제3 유입홀과 상기 제3 유입홀에서 연장되어서 연통되고 물이 유출되는 제3 유출홀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3 유출홀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3 유출홀의 내경은 상기 제3 유입홀의 내경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피연결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3 연결관; 상기 제3 유입홀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의 내주면에 내설되는 나선류 생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결관의 내경이 점차 좁아지다가 이후 넓어지도록 구성하여 연결관의 내부에서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져서 진공에 가까운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나선류 생성 부재를 연결관에 내설하여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연결관의 내부에서 공동현상을 무동력으로 자연 유도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다량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결관 내부에 나선류 생성 부재를 취부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마이크로 버블을 다량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펌프를 비롯한 동력장치나 별도의 챔버를 채용하지 않고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종래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와 대비시 제품의 원가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이 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연결관의 유입부와 유출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물이 통과되는 관과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나사 체결로써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물이 사용되는 모든 제품(샤워기, 욕조, 수도, 세탁기, 식기 세척기, 비데, 수전, 밸브 등)에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하나의 모듈로써 단품화하는 경우 타 제품에의 장착 애플리케이션이 뛰어나서 상업적 성공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기존의 파이프에 약간의 절삭 가공만으로 제2 연결관을 형성하고 이 제2 연결관에 나선류 발생 박편이 내설된 인서트관을 끼우기만 하면 제품이 완성되므로 기존의 파이프를 활용할 수 있어서 제품의 제작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3 유출홀이 뚫려 있는 제3 연결관에 제3 유출홀보다 내경이 큰 제3 유입홀을 가공한 후에 제3 유출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피연결관과 연결하기만 하면 캐비테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제조 공정과 공수를 간소할 수 있고 부품수를 최소로 할 수 있어서 제품의 제조 코스트를 현격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단면도 및 피연결관과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있어서 나선류 생성 부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측면도 및 변형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샤워기에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샤워기에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 상태 분해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의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a)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b)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c)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샤워기에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는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 11')에 연결되어서 출수되는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피연결관(11, 11')이라 함은 예컨대, 수도관, 수도호스, 샤워기(10)의 호스[샤워기 호스가 주름관(12)과 합성수지관(11')의 이중구조인 경우에는 합성수지관(11')], 밸브 연결관, 수도관, 밸브 또는 수전에 연결되어서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예컨대 싱크대의 밸브와 같이 출수관이 주름관과 주름관 내부의 합성수지관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합성수지관], 욕조의 바닥에 매설된 매입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직경이나 길이에 무관하게 물이 통과하는 모든 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는 제1 연결관(110)과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관(110)은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111)은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홀(111a)과 상기 제1 유입홀(111a)과 연통되는 중앙홀(111b)과 상기 중앙홀(111b)과 연통되어 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홀(111c)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 유입홀(111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 유출홀(111c)로 통과시키고, 상기 중앙홀(111b)의 내경은 상기 제1 유입홀(111a) 쪽에서 제1 유출홀(111c) 쪽의 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다가 이후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상기 제1 유입홀(111a)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spiral flow)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twisting)되어서 상기 제1 유입홀(111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길이방향으로 내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관(110)과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합성수지, 금속성 등 다양한 재질로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상기 제1 연결관(110)의 제1 유입홀(111a)에 억지끼움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와 제1 연결관(110)이 예컨대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성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나선류 생성부재(Sg)는 스폿 용접에 의해서 제1 유입홀(111a)에 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판상의 박편을 나선상이 되도록 비틀림(twisting) 형성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나선류를 생성할 수 있어서 제조 공수를 줄이고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상 박편을 나선상으로 트위스팅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도 6의 (c)에 도시된 나선류 생성 부재(Sg')와 같이 두 개의 판상 박편을 나선상으로 트위스팅한 후 이를 접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본원 발명에 의한 나선류 생성 부재(Sg, Sg')는 판상 박편의 개수나 그 교차하는 각도 또는 비틀림 각도는 사용 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의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며, 이는 이하에서 기술하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11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연결관(11)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관(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1 관통홀(111)의 내주면[구체적으로는 제1 유입홀(111a)과 제1 유출홀(111c)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112a, 1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를 단품으로 제작하여 이를 간단하게 피연결관(11)의 관나사부(11a)와 나사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이 있는 구조를 채용한 모든 제품, 예컨대 세탁기, 식기 세척기, 비데, 욕조, 샤워기, 수전, 밸브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의 구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는 제2 연결관(210)과 인서트관(220)과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연결관(210)은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2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홀(211)은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홀(211a)과 상기 제2 유입홀(211a)과 연통하여 물이 유출되는 제2 유출홀(211b)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2 유입홀(211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유출홀(211b)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2 유출홀(211b)의 내경은 물의 흐름 방향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관(220)은 제2 유입홀(211a)과 연통하는 인서트관 유입홀(221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221)와,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221a)과 연통하는 인서트관 유출홀(222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관 유출홀(222a)의 내경이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상기 바디부(221)에서 연장된 테이퍼부(222)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221)의 외주면이 상기 제2 유입홀(211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제2 유입홀(211a)에 동축으로 내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221a)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221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내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상기 제2 연결관(210), 인서트관(220) 및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합성수지, 금속성 등 다양한 재질로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상기 인서트관(220)의 바디부(221)에 억지끼움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와 인서트관(220)이 예컨대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성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스폿 용접에 의해서 인서트관(220)의 바디부(221)에 접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환경 예컨대 취부되는 피연결관(11)의 직경 및 길이,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양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홀(211a)의 내주면은 직선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유출홀(211b)의 입구의 내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유입홀(211a)의 끝에는 단차면(2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관(220)이 상기 제2 유입홀(211a)에 내설되는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유입홀(211a)의 내주면 일측에는 멈춤턱(2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멈춤턱(211a')에서 스토핑(stopping)되도록 상기 인서트관(220)의 외주면에는 경사턱(223)이 상기 멈춤턱(211a')과 형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서트관(220)을 압입하여 제2 연결관(210)에 내설하는 경우에 원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인서트관(220)을 끼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21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피연결관(11)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결관(2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관통홀(211)의 내주면[구체적으로는 제2 유입홀(211a)의 내주면]에는 제2 나사부(212a, 2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를 단품으로 제작하여 이를 간단하게 피연결관(11)의 관나사부(11a)에 나사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이 있는 구조를 채용한 모든 제품 예컨대, 세탁기, 식기 세척기, 비데, 욕조, 샤워기 등에 간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단면도 및 피연결관(11')과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샤워기에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 상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는 제3 연결관(310)과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연결관(310)은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3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관통홀(311)은 물이 유입되는 제3 유입홀(311a)과 상기 제3 유입홀(311a)에서 연장되어서 연통되고 물이 유출되는 제3 유출홀(311b)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3 유출홀(311b)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3 유출홀(311b)의 내경은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경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피연결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내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상기 제3 연결관(310)과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합성수지, 금속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상기 제3 연결관(310)의 제3 유입홀(311a)에 억지끼움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와 제3 연결관(310)이 예컨대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성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스폿 용접에 의해서 제3 유입홀(311a)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체결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환경 예컨대 취부되는 피연결관(11')의 직경 및 길이,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양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 있어서,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통과한 나선류의 물이 상기 제3 유출홀(311b)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제3 유출홀(311b)과의 경계지점에서의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주면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성된 유로 안내면(3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유로 안내면(311a')의 구성에 의하면, 제3 유입홀(311a)에서 제3 유출홀(311b)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 저항을 최소로 하고 유속을 빠르게 하여 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 있어서, 피연결관(11')이 외삽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외삽되는 피연결관(11')의 외삽 깊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연결관(310)의 외주면에는 끼움홈(3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 측의 상기 제3 연결관(310)의 외주면 단부에는 플랜지부(313)가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플랜지부(313)의 구성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연결관(11')이 예컨대 샤워기 호스(10)에 내부에 구비되는 합성수지(예컨대 PVC) 관(11')인 경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가 샤워기 호스(10)의 주름관(12)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문제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의 경우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제1 연결관(110)의 제1 유입홀(111a)에 억지끼움하면 간단하게 제품이 완성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의 경우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인서트관(220)에 1차로 억지끼움하고, 나선류 생성 부재(Sg)가 내설된 인서트관(220)을 제2 연결관(210)의 제2 유입홀(211a)에 억지끼움하면 간단하게 제품이 완성된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의 경우에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제3 연결관(310)의 제3 유입홀(311a)에 억지끼움한다.
이때, 제3 연결관(310)과 나선류 생성 부재(Sg)가 예컨대 황동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이 금속성 재질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억지끼움한 후에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제3 연결관(310)에 스폿 용접하여 접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컨대 샤워기 호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합성수지관(11')과 같은 피연결관(11')을 끼움홈(312)에 끼워서 피연결관(11')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연결관(11')과 제3 연결관(310)의 사이의 누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방수 접착제(미도시)를 피연결관(11')과 제3 연결관(310)의 사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의 경우에는 제1 유입홀(111a)로 유입된 물은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통과하면서 나선류가 되고, 이렇게 생성된 나선류는 중앙홀(111b)에서 벤투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서 압력이 주변 압력에 비해서 매우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2 가지 조건, 즉 주변보다 상당히 낮은 압력과 나선흐름이 형성되면 중앙홀(111b)에서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발생되고, 물에 녹아 있던 공기와 제1 연결관(110)의 내부 공기가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마이크로 버블은 제1 유출홀(111c)을 통해서 유출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의 경우에도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와 마찬가지로 캐비테이션 현상을 무동력으로 자연 유도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다.
즉,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200)의 경우에는 제2 유입홀(211a)을 통해서 유입된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통과하면서 나선류가 되고, 이렇게 생성된 나선류는 테이퍼부(222)와 제2 유출홀(211b)의 경계에서 벤투리 효과에 의해서 압력이 주변 압력에 비해서 매우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2 가지 조건, 즉 주변보다 상당히 낮은 압력과 나선흐름이 형성되면 테이퍼부(222)에서부터 제2 유출홀(211b)의 경계에 이르는 영역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고, 물에 녹아 있던 공기와 제2 연결관(210)의 내부 공기가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마이크로 버블은 제2 유출홀(211b)을 통해서 유출된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의 경우에도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와 마찬가지로 캐비테이션 현상을 무동력으로 자연 유도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다.
다만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연결관(110) 및 제2 연결관(210) 내부에 내경이 작아졌다가 다시 커지는 구조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제3 실시예에 의한 제3 연결관(310)의 경우에는 내경이 작아지는 구성만을 채용하고 있고, 이러한 제3 연결관(310)에 제3 유출홀(311b)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피연결관(11')을 연결함으로써 캐비테이션 현상을 유도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게 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 상술한다.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의 경우에는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은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통과하면서 나선류가 되고, 이렇게 생성된 나선류는 유로 안내면(311a')의 가이드에 의해서 제3 유출홀(311b)로 유입되고 피연결관(11')[예컨대, 샤워기 호스(10) 내부의 합성수지관(11')]은 제3 유출홀(311b)보다 내경이 크기 때문에 제3 유출홀(311b)에서는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매우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2 가지 조건, 즉 주변보다 상당히 낮은 압력과 나선흐름이 형성되면 제3 유출홀(311b)을 통과하면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고, 물에 녹아 있던 공기와 제3 연결관(310)의 내부 공기가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마이크로 버블은 피연결관(11')[예컨대, 샤워기 호스(10) 내부의 합성수지관(11')]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3 유출홀(311b)이 뚫려 있는 제3 연결관(310)에 제3 유출홀(311b)보다 내경이 큰 하나의 제3 유입홀(311a)만을 가공한 후에 제3 유출홀(311b)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공지의 피연결관(11')[예컨대, 샤워기 호스(10) 내부의 합성수지관(11')]과 연결하기만 하면 캐비테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조 공정과 공수를 간소화하고 부품수를 최소로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코스트를 현격하게 낮출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한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의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샤워기(10)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1)의 피연결관(11)에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의 나사부(112a, 112b, 212a, 212b)를 나사체결하면 간단하게 장착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호스(10)의 내부에 구비된 합성수지관(11')에 연결되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샤워기(1)의 호스(10)는 외부의 주름관(12)과 주름관(12) 내부에 구비된 합성수지관(11')(예컨대 PVC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합성수지관(11')에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을 끼우고, 예컨대 방수접착제를 도포하여 방수 및 체결을 견실하게 한 후에,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가 결합된 합성수지관(11')을 주름관(12) 내부로 밀어 넣어서 장입한다.
이후 육각너트(N1)를 주름관(12)을 따라서 밸브바디(V)의 샤워기 밸브(V1)가 있는 쪽으로 잡아당겨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의 플랜지부(313)가 육각너트(N1)의 내부로 인서트되도록 한 상태에서, 육각너트(N1)를 샤워기 밸브(V1)에 나사체결하면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가 완벽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 8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합성수지관(11')이 주름관(12)에서 빠져나와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에 있어서 더욱더 많은 기포량 발생을 원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를 직렬 연결하면 될 것이고, 기포를 함유한 물의 양을 증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를 병렬 연결하면 될 것이고, 기포량과 물의 양을 동시에 증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를 직병렬 연결하면 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100, 200, 300)가 샤워기의 호스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예컨대 수전 및 물탱크의 출수관, 세탁기의 물공급관, 식기 세척기의 물공급관, 욕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관, 싱크대에 설치된 출수관 등 물이 공급되는 관이라면 어디라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200, 300 ;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110 ; 제1 연결관 111 ; 제1 관통홀
111a; 제1 유입홀 111b; 중앙홀
111c; 제1 유출홀 112a, 112b ; 제1 나사부
210 ; 제2 연결관 211 ; 제2 관통홀
211a; 제2 유입홀 211a'; 멈춤턱
211a"; 단차면 211b; 제2 유출홀
212a, 212b; 제2 나사부 220 ; 인서트관
221 ; 바디부 221a; 인서트관 유입홀
222 ; 테이퍼부 222a; 인서트관 유출홀
223 ; 경사턱 Sg, Sg' ; 나선류 생성 부재
310 ; 제3 연결관 311 ; 제3 관통홀
311a; 제3 유입홀 311a'; 유로 안내면
311b; 제3 유출홀 312 ; 끼움홈
313 ; 플랜지부 1 ; 샤워기
10 ; 샤워기 호스 11, 11'; 피연결관
11a ; 관나사부 12 ; 주름관
V ; 밸브바디 V1 ; 샤워기 밸브
N1 ; 육각너트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2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홀(211)은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홀(211a)과 상기 제2 유입홀(211a)과 연통하여 물이 유출되는 제2 유출홀(211b)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2 유입홀(211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유출홀(211b)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2 유출홀(211b)의 내경은 물의 흐름 방향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관(210);
    인서트관 유입홀(221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221)와,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221a)과 연통하는 인서트관 유출홀(222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관 유출홀(222a)의 내경이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상기 바디부(221)에서 연장된 테이퍼부(222)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221)의 외주면이 상기 제2 유입홀(211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제2 유입홀(211a)에 내설되는 인서트관(220);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221a)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인서트관 유입홀(221a)의 내주면에 내설되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관(220)이 상기 제2 유입홀(211a)에 내설되는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유입홀(211a)의 내주면 일측에는 멈춤턱(2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멈춤턱(211a')에서 스토핑(stopping)되도록 상기 인서트관(220)의 외주면에는 경사턱(223)이 상기 멈춤턱(211a')과 형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21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피연결관(11)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결관(2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관통홀(211)의 내주면에는 제2 나사부(212a, 2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6. 물이 흐르는 피연결관(11')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3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관통홀(311)은 물이 유입되는 제3 유입홀(311a)과 상기 제3 유입홀(311a)에서 연장되어서 연통되고 물이 유출되는 제3 유출홀(311b)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3 유출홀(311b)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3 유출홀(311b)의 내경은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경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피연결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3 연결관(310);
    상기 제3 유입홀(311a)로 유입된 물을 나선상으로 선회 통과시켜서 나선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상으로 트위스팅되어서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주면에 내설되는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나선류 생성 부재(Sg)를 통과한 나선류의 물이 상기 제3 유출홀(311b)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제3 유출홀(311b)과의 경계지점에서의 상기 제3 유입홀(311a)의 내주면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성된 유로 안내면(3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피연결관(11')이 외삽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외삽되는 피연결관(11')의 외삽 깊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연결관(310)의 외주면에는 끼움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유입홀(311a) 측의 상기 제3 연결관(310)의 외주면 단부에는 플랜지부(313)가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KR1020100045747A 2010-05-17 2010-05-17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KR10100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747A KR101006058B1 (ko) 2010-05-17 2010-05-17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747A KR101006058B1 (ko) 2010-05-17 2010-05-17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058B1 true KR101006058B1 (ko) 2011-01-06

Family

ID=4361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747A KR101006058B1 (ko) 2010-05-17 2010-05-17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0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053B1 (ko) 2010-10-04 2012-09-03 김태형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CN109046050A (zh) * 2018-08-17 2018-12-21 无锡伟思博润科技有限公司 一种气液混合器
JP2019162605A (ja) * 2018-03-19 2019-09-26 株式会社ナノテック ウルトラファインバブル発生装置
WO2020262523A1 (ja) * 2019-06-26 2020-12-30 株式会社ナノテック 液体改質装置
CN112439337A (zh) * 2019-08-30 2021-03-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产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658A (ja) * 2000-11-13 2002-05-21 Teruji Sasaki 気泡水製造装置
KR100412307B1 (ko) 2001-05-23 2003-12-31 주식회사두합크린텍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JP2007050341A (ja) 2005-08-18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微細気泡発生装置とそれを用いたシャワー装置
JP2007144394A (ja) 2005-10-26 2007-06-14 Sharp Corp 気泡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658A (ja) * 2000-11-13 2002-05-21 Teruji Sasaki 気泡水製造装置
KR100412307B1 (ko) 2001-05-23 2003-12-31 주식회사두합크린텍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JP2007050341A (ja) 2005-08-18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微細気泡発生装置とそれを用いたシャワー装置
JP2007144394A (ja) 2005-10-26 2007-06-14 Sharp Corp 気泡発生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053B1 (ko) 2010-10-04 2012-09-03 김태형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JP2019162605A (ja) * 2018-03-19 2019-09-26 株式会社ナノテック ウルトラファインバブル発生装置
CN109046050A (zh) * 2018-08-17 2018-12-21 无锡伟思博润科技有限公司 一种气液混合器
WO2020262523A1 (ja) * 2019-06-26 2020-12-30 株式会社ナノテック 液体改質装置
CN114401784A (zh) * 2019-06-26 2022-04-26 株式会社纳米科技 液体改质装置
CN112439337A (zh) * 2019-08-30 2021-03-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产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CN112439337B (zh) * 2019-08-30 2022-07-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产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058B1 (ko)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CN109382013B (zh) 微细气泡水生成器
US8646486B2 (en) Elliptical chambered flow restrictor
KR101179053B1 (ko)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WO2019049650A1 (ja) 微細気泡液生成器
CN202442038U (zh) 高密封及高强度连接软管接头
WO2016013801A3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
CN202252104U (zh) 射流混水器
US20120248221A1 (en) Water saving valve
CA2671720C (en) Fluid jet for tubs
JP3208970U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アスピレータ装置
JP2011115745A (ja) 気泡発生管
CN204459565U (zh) 快速接头
KR20090004952U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KR101441605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
US20110192483A1 (en) Water consumption saving device to faucets in general
CN207921407U (zh) 一种用于管中管管路的尾阀
CN207921430U (zh) 一种用于管中管管路的简易型尾阀
CN215446862U (zh) 一种带螺旋扰流管的加热装置
KR20150014583A (ko) 절수샤워기
US20120211108A1 (en) Faucet assembly
CN205447073U (zh) 曲脚
CN216293867U (zh) 带有微细气泡水生成器的淋浴软管及淋浴软管安装件
CN212057840U (zh) 一种空调用多路连接管结构
US20150231029A1 (en) Nozz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