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851B1 -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851B1
KR101005851B1 KR1020090037486A KR20090037486A KR101005851B1 KR 101005851 B1 KR101005851 B1 KR 101005851B1 KR 1020090037486 A KR1020090037486 A KR 1020090037486A KR 20090037486 A KR20090037486 A KR 20090037486A KR 101005851 B1 KR101005851 B1 KR 10100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otection circuit
cell protection
overcurr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677A (ko
Inventor
김권중
임성순
장성민
임상섭
Original Assignee
김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중 filed Critical 김권중
Priority to KR102009003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85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8Normal resis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셀 보호회로의 릴레이 접점을 활용하여 직렬 루프를 형성하고 이 직렬 루프에 과전류를 한꺼번에 흘려주어 멀티 셀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연결된 충전기측 단자(P-)와 상기 충전기측 단자(P-) 측면에 배열된 다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단자(B-)를 각각 직렬 연결하고,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단자(B-)와 충전기측 단자(P-)에 직렬 루프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공급하는 과전류공급부(130)와;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서 과전류에 의한 차단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소자(FET)가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측 단자(B+)와 충전기측 단자(P+)에 각각 차단 확인 전류를 공급한 후 전류 검출을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유무를 판단하는 단락검출부(140)와; 상기 과전류공급부(130) 및 단락검출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0)와; 상기 과전류 검사장치(1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고 표시하는 설정표시부(160)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 보호회로, 멀티 셀, 과전류, 직렬 루프

Description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Overcurrent Testing Apparatus of Battery Multi Cell Protection Circuit with Serial Loop }
본 발명은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셀 보호회로의 릴레이 접점을 활용하여 직렬 루프를 형성하고 이 직렬 루프에 과전류를 한꺼번에 흘려주어 멀티 셀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데,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받을 수 없는 이동형 전기장치는 2차 전지인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기장치는 노트북, PDP,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 배터리가 과열로 인해 폭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배터리 폭 발 방지를 위한 보호회로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이 내장된 배터리 팩 내측에는 배터리 셀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단락 등으로부터 배터리 셀을 보호하여 배터리 셀이 과열되거나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셀 보호회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배터리 셀 보호회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 검사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기능 검사 중에서 과전류에 대한 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는 과전류 공급시 배터리 셀의 전원을 차단하지 못하면 배터리 셀이 과열되어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통상, 배터리 셀 보호회로는 제작 시 하나의 기판 위에 다수 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생산되며, 생산된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검사 또한 다수 개가 배열된 상태에서 한꺼번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다수 개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를 한꺼번에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상기 전원공급부(10)의 전원을 통하여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과전류를 공급하는 과전류공급부(20)와, 상기 과전류공급부(20)를 통하여 과전류가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공급되는 경우 배터리 셀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판별하는 다수의 단락검출모듈이 구비된 단락검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과전류공급부(20)를 통하여 과전류가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공급되면 배터리 셀 보호회로는 배터리의 공급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데, 상기 단락검출부(30)에 구비된 단락검출모듈은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지를 각각 검출하여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차단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별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 시 각 배터리 셀에 공급되는 전류가 20A이고 한꺼번에 검사되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수가 10개라고 가정하면, 상기 전원공급부(10)에는 과전류 검사를 위하여 총 200A(20A×10)의 전류가 필요한데, 전원공급부(10)의 전압이 5V라면 총 1KW(200A×5V)의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한꺼번에 검사하고자 하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 과전류공급부(20)의 과전류 공급모듈이 추가되어야 하며, 전원공급부(10)의 용량 또한 증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 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에 따라 전원공급부(10) 및 과전류공급부(20)의 설계를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전원공급부(10) 용량 증대로 인하여 장비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여 설치 운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는 종래 다수 개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전원공급부(10)와 과전류공급부(20) 사이에 릴레이(4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릴레이(40)가 순 차적으로 구동되어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과전류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 시 각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순차적으로 과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전류만이 소모된다. 즉, 각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공급되는 과전류가 20A이고 검사되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수가 10개라고 가정하면, 상기 전원공급부(10)에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에 관계없이 20A의 전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10)의 전압이 5V라면 총 100W(20A×5V)의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하고자 하는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수가 늘어나도 전원공급부(10)의 용량은 변동이 없기 때문에 장비의 설치 운영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릴레이(40)를 구동하여 순차적으로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과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하나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200ms 라며, 총 10개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검사를 위하여는 총 2s(200ms×10)가 소요되며, 검사대상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검사 시간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점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단일 셀을 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멀티 셀이 적용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 시 배터리 셀 보호회로에 직렬 루프를 형성하여 동시에 과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대상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전력을 필요로 하여 검사대상 배터리 셀 보호회로가 늘어나더라도 전원공급부를 재설계할 필요가 없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에 형성되는 직렬 루프에 과전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대상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검사 시간이 소요되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과전류 검사장치에 있어서, 일측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연결된 충전기측 단자(P-)와 상기 충전기측 단자(P-) 측면에 배열된 다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단자(B-)를 각각 직렬 연결하고,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단자(B-)와 충전기 측 단자(P-)에 직렬 루프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공급하는 과전류공급부와;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서 과전류에 의한 차단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소자(FET)가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측 단자(B+)와 충전기측 단자(P+)에 각각 차단 확인 전류를 공급한 후 전류 검출을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유무를 판단하는 단락검출부와; 상기 과전류공급부 및 단락검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과전류 검사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고 표시하는 설정표시부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직렬 연결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충전기측 단자(P-)와 배터리측 단자(B-)는 릴레이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는 마이컴에 의해 구동되는 릴레이제어부를 통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에는 단락검출부를 통하여 검출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검사 결과를 외부의 컴퓨터에 전송하는 PC 통신부와,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데이터 단자(DATA)로부터 충전 및 방전 전류량을 전송받아 설정표시부에 표시하는 SMbus 통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은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전기측 - 단자(B-)와 배터리측 - 단자(B-)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연결된 Posi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은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 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연결되거나, 전류 측정용 저항(Shunt) 및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연결된 Nega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는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에 직렬 루프를 형성하여 한꺼번에 과전류를 공급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차단 동작을 한꺼번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대상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동일한 전원공급부를 적용할 수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에는 다수의 배터리 셀과 각각 연결되는 배터리측 단자(B+, B3, B2, B1, B-)와, 충전기와 연결되는 충전기측 단자(P+, P-)와, 신호 동기화를 위한 클럭 단자(CLK)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단자(DATA)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내측에는 보호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IC)와, 과전류 측정을 위한 저항(Shunt)과, 과전류 공급시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 Field-Effect Transistor)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위칭소자(FET)가 설치된다. 통상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은 배터리측 - 단자(B-) 및 충전기측 - 단자(P-)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는 Positive 방식인 경우 배터리측 + 단자(B+) 및 충전기측 + 단자(P+) 사이에 설치된다. 반면, Negative 방식인 경우 배터리측 - 단자(B-) 및 충전기측 - 단자(P-)에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설치되고,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은 배터리측 + 단자(B+) 및 충전기측 + 단자(P+) 사이에 설치되거나 배터리측 - 단자(B-) 및 충전기측 - 단자(P-)에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와 함께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Positive 방식으로 배터리측 + 단자(B+) 및 충전기측 + 단자(P+)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는 충전기측 단자(P-)를 통하여 배터리측 단자(B-)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즉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제어부(Control IC)는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를 구동시켜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의 연결을 차단시켜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와 과전류 검사장치의 연결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과전류 검사장치는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이하,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를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이라 명칭한다)(200)과 직렬 루프를 형성하여 동시에 과전류를 공급하고,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스위칭소자(FET) 각각의 동작을 검사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는 릴레이(151)를 통하여 직렬 연결되고, 이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 과전류공급부(130)에서 과전류가 공급된 후, 단락검출부(140)를 통하여 각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 유무를 검사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동작을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과전류 검사장치에서 과전류를 공급하는 과전류공급부(130)와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은 릴레이(151)를 경유하여 직렬 루프가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릴레이(151)는 과전류 검사장치에 구비된 릴레이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릴레이제어부(150)는 마이컴(110)의 제 어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도 4의 연결 개념도에서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만 도시하였는데, 이 과전류 검사장치에는 검사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상태를 컴퓨터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격에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검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검사장치(100)에는 SMbus 통신부(120), 과전류공급부(130), 단락검출부(140), 릴레이제어부(150), 설정표시부(160), PC 통신부(170), 전원공급부(180) 및 마이컴(11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SMbus 통신부(120)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 구비되는 클럭 신호 단자(LCK) 및 데이터 단자(DATA)와 연결되어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충전 전류, 과방전 전류 등의 상태를 전송받는 통신모듈이다.
상기 과전류공급부(130)는 릴레이(151)를 통하여 직렬 연결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충전기측 - 단자(P-) 및 배터리측 - 단자(B-)에 과전류를 공급하는 과전류 공급장치로서, 이 과전류공급부(130)는 릴레이(151)를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충전기측 - 단자(P-) 및 배터리측 - 단자(B-)와 직렬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일측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충전기측 - 단자(P-)와 상기 충전기측 - 단자(P-) 측면에 배열된 다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 단자(B-)가 릴레이(151)를 통하여 각각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최선단에 위치한 배터리측 - 단자(B-)와 최후단에 위치한 충전기측 - 단자(P-)는 과전류공급부(130)와 연결되어 직렬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전류공급부(130)는 직렬 루프를 통하여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 동시에 과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개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전류만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 단락검출부(140)는 각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서 과전류에 의한 차단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소자(FET)가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측 + 단자(B+)와 충전기측 + 단자(P+)와 연결되어, 차단 확인 전류를 공급한 후 전류 검출을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검사하는 과전류 차단 검사장치이다. 상기 단락검출부(140)는 과전류공급부(130)를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동안 모든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단락 검출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단락검출부(140)에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다수의 단락검출모듈, 즉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개수만큼의 단락검출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릴레이제어부(150)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충전기측 - 단자(P-) 및 배터리측 - 단자(B-)를 연결하는 릴레이(151)의 구동을 제어하는 릴레 이 제어장치로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 동시에 과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과전류 검사 시 릴레이(151)를 턴온시켜 과전류공급부(130)와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간에 직렬 루프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설정표시부(160)는 과전류 검사장치(1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고 표시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로서, 이 설정표시부(160)는 통하여 과전류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SMbus 통신부(1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충전 전류, 과방전 전류 등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PC 통신부(170)는 과전류 검사장치(100)를 통하여 파악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상태를 컴퓨터(300)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PC 통신부(170)는 RS-232C 통신 포트 또는 USB 통신 포트를 통하여 구현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80)는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각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10)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로서, 이 마이컴(110)에는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과전류 검사장치를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동작이 검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동작이 검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110 : 먼저, 과전류 검사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턴온되면, 과전류 검사장치(100)의 SMbus 통신부(120)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로부터 충전 또는 방전 상태 등의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표시부(160)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단계 S120, S130, S140 : 사용자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를 검사하기 위하여 설정표시부(160)를 통하여 과전류 값을 설정하게 되고(S120), 이에 따라 릴레이제어부(150)가 릴레이(151)를 턴온시키게 되면(S130), 과전류공급부(130)와 직렬 루프가 형성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에는 과전류가 공급된다(S140).
단계 S150 :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에 과전류가 공급되면, 단락검출부(140)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스위칭소자(FET)가 설치된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에 각각 차단 확인 전류를 공급한 후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단계 S160, S161 : 만약, 단락검출부(140)에서 전류가 검출되면(S160),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과전류에 따른 차단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설정표시부(160)에는 전류 검출에 따른 과전류 차단 동작의 오류 신호가 표시되게 된다(S161).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해당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을 교체하거나 폐기함으로써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단계 S170 : 만약, 상기 단계에서 단락검출부(140)에서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과전류에 따른 차단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것으로 설정표시부(160)에는 전류 검출에 따른 과전류 차단 동작의 정상 신호가 표시되게 된다(S170).
단계 S180, S190 : 상기 과전류 검사장치(100)를 통한 과전류 측정 검사 결과는 PC 통신부(170)를 통하여 컴퓨터(300)에 전송되어(S180), 컴퓨터(300) 화면에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상태가 표시됨으로써 관리자가 다른 장소에서도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PC 통신부(170)는 SMbus 통신부(120)를 통하여 파악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충전 전류나 과방전 전류 등의 상태 정보를 컴퓨터(300)에 전송하여 원격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200 :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차단 검사가 완료되면, 새로운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을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계 S110으로 돌아가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200)의 과전류 검사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과전류 검사장치(100)가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고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는 Posi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Posi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다른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고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거나, 전류 측정용 저항(Shunt)과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 모두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는 Nega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고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경우 릴레이(151)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어 과전류공급부(130)와 직렬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고, 단락검출부(140)를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하여 과전류 차단 유무를 검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측정용 저항(Shunt)과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 모두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설치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경우 릴레이(151)와 단락검출부(140)를 모두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 자(B-) 사이에 설치하여 과전류 차단 유무를 검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다수 개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를 한꺼번에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다수 개의 배터리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와 과전류 검사장치의 연결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검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동작이 검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과전류 검사장치 110 : 마이컴
120 : SMbus 통신부 130 : 과전류공급부
140 : 단락검출부 150 : 릴레이제어부
151 : 릴레이 160 : 설정표시부
170 : PC 통신부 180 : 전원공급부
200 :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 300 : 컴퓨터(PC)

Claims (7)

  1.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과전류 검사장치에 있어서,
    일측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연결된 충전기측 단자(P-)와 상기 충전기측 단자(P-) 측면에 배열된 다른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단자(B-)를 각각 직렬 연결하고,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배터리측 단자(B-)와 충전기측 단자(P-)와 직렬 루프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공급하는 과전류공급부(130)와;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에서 과전류에 의한 차단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소자(FET)가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측 단자(B+)와 충전기측 단자(P+)에 각각 차단 확인 전류를 공급한 후 전류 검출을 통하여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유무를 판단하는 단락검출부(140)와;
    상기 과전류공급부(130) 및 단락검출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0)와;
    상기 과전류 검사장치(1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고 표시하는 설정표시부(160)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연결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충전기측 단자(P-)와 배터리측 단자(B-)는 릴레이(151)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151)는 마이컴(110)에 의해 구동되는 릴레이제어부(150)를 통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100)에는
    상기 단락검출부(140)를 통하여 검출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과전류 차단 검사 결과를 외부의 컴퓨터(300)에 전송하는 PC 통신부(1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100)에는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의 데이터 단자(DATA)로부터 충전 및 방전 전류량을 전송받아 설정표시부(160)에 표시하는 SMbus 통신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은
    상기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전기 - 단자(P-)와 배터리 - 단자(B-)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 + 단자(P+)와 배터리 + 단자(B+) 사이에 연결된 Posi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은
    상기 전류 측정용 저항(Shunt)이 충전기 + 단자(P+)와 배터리 + 단자(B+)에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 - 단자(P-)와 배터리 - 단자(B-) 사이에 연결된 Nega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은
    상기 전류 측정용 저항(Shunt) 및 상기 과전류 차단용 스위칭소자(FET)가 충전기측 - 단자(P-)와 배터리측 - 단자(B-) 사이에 연결된 Negative 방식의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KR1020090037486A 2009-04-29 2009-04-29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KR10100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486A KR101005851B1 (ko) 2009-04-29 2009-04-29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486A KR101005851B1 (ko) 2009-04-29 2009-04-29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677A KR20100118677A (ko) 2010-11-08
KR101005851B1 true KR101005851B1 (ko) 2011-01-05

Family

ID=4340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486A KR101005851B1 (ko) 2009-04-29 2009-04-29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9045B (zh) * 2015-12-10 2019-03-2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并联电池组过温断路检测方法
JP6855344B2 (ja) * 2017-07-19 2021-04-07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池監視装置、cid遮断検知回路、電池監視システム、および電池監視方法
KR101943612B1 (ko) * 2017-09-06 2019-04-17 주식회사 티피엠에스 2차 전지 보호회로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617B1 (ko) * 2017-09-06 2019-04-17 주식회사 티피엠에스 릴레이 방식을 이용한 2차 전지 보호회로 검사방법
KR102114205B1 (ko) * 2018-07-13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엘파워 배터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506A (ja) 1998-07-28 2000-02-18 Rohm Co Ltd 電池保護回路の省電力測定方法
KR20020066392A (ko) * 2002-07-08 2002-08-16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 보호 회로 모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030030129A (ko) * 2001-10-08 2003-04-18 강태영 배터리 계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506A (ja) 1998-07-28 2000-02-18 Rohm Co Ltd 電池保護回路の省電力測定方法
KR20030030129A (ko) * 2001-10-08 2003-04-18 강태영 배터리 계측장치 및 방법
KR20020066392A (ko) * 2002-07-08 2002-08-16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 보호 회로 모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677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888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단선 검출 방법
US8179099B2 (en)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EP2523248B1 (en) Battery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02110976B (zh) 用于电池组的保护电路
JP5048963B2 (ja) 電池システム
US20020190693A1 (en) Battery pack and its tester
KR100809453B1 (ko) 다병렬 및 다직렬 리튬 2차전지 팩의 충방전 모니터링시스템
CN101465557B (zh) 便携式设备、用于便携式设备的电池盒
KR102125462B1 (ko) 셀 충전 전류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332444B1 (ko) 열 폭주 검출 장치,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열 폭주 검출 방법
KR101005851B1 (ko) 직렬 루프에 의한 배터리 멀티 셀 보호회로의 과전류 검사장치
US7560900B2 (en)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protection device
TW201342773A (zh) 充放電控制電路及電池裝置
CN101604773B (zh) 电池包和电池包工作状态的检测方法
KR20150104669A (ko) 배터리 검사 장치 및 배터리 검사 장치 제어방법
KR20150107032A (ko) 배터리 팩
KR20110021396A (ko) 이차 전지
EP3675319A1 (en)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70064399A (ko) 리튬 전지의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2160646B1 (ko) 리튬이온전지의 보호회로모듈용 커패시터의 크랙 검출 방법
KR20100019819A (ko) 휴대용 장치 및 휴대용 장치의 제어 방법
JP6478293B2 (ja) 電池管理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298435A (zh) 电池模块及其管理方法
JP2018129896A (ja) 電池管理ユニット
KR20100000347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