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206B1 -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206B1
KR101005206B1 KR1020080074890A KR20080074890A KR101005206B1 KR 101005206 B1 KR101005206 B1 KR 101005206B1 KR 1020080074890 A KR1020080074890 A KR 1020080074890A KR 20080074890 A KR20080074890 A KR 20080074890A KR 101005206 B1 KR101005206 B1 KR 10100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bracket
exercise device
shaft memb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390A (ko
Inventor
양민양
강봉철
박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7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2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1Replaceable resistance units of different strengths, e.g. for sw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가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가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바닥 프레임, 그 하단이 브래킷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바, 축 부재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지고, 브래킷의 측면에 맞닿아 있는 롤러, 그 일단이 회동바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브래킷의 하측이고 가로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며, 롤러의, 가로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먼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바닥 프레임, 브래킷, 회동바, 축 부재

Description

운동장치 {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에 앉아 사무나 기타 용무를 보는 것과 동시에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대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게 되고, 이로 인해 하체 운동량이 줄어들어 상체에 비하여 하체의 근육발달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식생활의 발달로 섭취하는 영양에 비해서 소비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체의 상대적 비대화가 가속되고, 이를 지탱하는 하체에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의 눈부신 발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움직이지 않고 지구상의 대부분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해주지만, 이는 사람들의 육체적 활동이 그 만큼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이 자신의 활동과 동시에 부족한 운동을 할 수 있게끔 만들어주는 운동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099669호에 개시된 종 합운동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구조적으로 의자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부피가 크고, 이동이 불편하여 다른 일반적인 활동 등과 동시에 운동을 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헬스장과 같은 대형 공간에서만 장착할 수 있게 끔, 큰 부피를 가지고 있고, 소정의 무게의 블록을 들어올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와 이동에 있어서 제한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책상이나 일반 사무용 책상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부피 및 크기가 작아 다른 활동과 동시에 운동할 수 있는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동바와 브래킷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교환할 수 있게 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강도 및 운동방향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가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가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바닥 프레임, 그 하단이 브래킷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바, 축 부재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지고, 브래킷의 측면에 맞닿아 있는 롤러, 그 일단이 회동바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브래킷의 하측이고 가로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며, 롤러의, 가로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먼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컴퓨터 책상이나 일반 사무용 책상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부피 및 크기가 작은 바닥 프레임, 회동바, 롤러 및 스프링을 장착하여줌으로써, 이동이 간편하고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 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회동바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회동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허벅지의 바깥쪽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가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직각으로 설치된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가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바닥 프레임, 그 하단이 브래킷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바, 축 부재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지고, 브래킷의 측면에 맞닿아 있는 롤러, 그 일단이 회동바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브래킷의 하측이고 가로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며, 롤러의, 가로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컴퓨터 책상이나 일반 사무용 책상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부피 및 크기가 작은 바닥 프레임, 회동바, 롤러 및 스프링을 장착하여줌으로써, 이동이 간편하고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회동바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동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허벅지의 안쪽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에 있어서, 회동바는 하단 직선부와 중단 굴곡부와 직선부의 3부분이 차례대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고, 중단 굴곡부는, 회동바가 축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볼 때, 상단 직선부가 하단 직선부보다 더 앞쪽에 위치되도록 앞쪽 방향으로 굽 어져 있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회동바는 하단 직선부와 중단 굴곡부와 상단 직선부의 3부분이 차례대로 연결되고, 중단 굴곡부는, 회동바가 축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볼 때, 상단 직선부가 하단 직선부보다 더 앞쪽에 위치되도록 앞쪽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세로 프레임에 양 발을 걸치게 되면, 이 부위와 허벅지 부위가 수직선상에 함께 위치하도록 하여 운동장치를 이용시 발을 편하게 전 방향으로 뻗을 수 있게 끔 오프셋을 줄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단 직선부는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상단 직선부에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운동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에 있어서, 스프링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강도가 다른 스프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스프링을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강도에 따라 강도가 다른 스프링으로 교체하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롤러의 원주면 상에는 스프링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롤러의 원주면 상에 스프링을 지지해주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줌으로써, 스프링을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브래킷은 가로 프레임 상에서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브래킷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따라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브래킷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그 간격을 조절하여 회동바의 간격을 넓혀줌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강도 및 운동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회동바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고리에는 소정 길이의 줄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회동바의 양 측에 고리를 형성하여 줄을 연결시킴으로써, 운동시 힘을 뺄 경우에 회동바의 바깥쪽으로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에 있어서, 회동바에는 고리의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후크에는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줄을 걸어둘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운동장치는, 양쪽 회동바 중 하나의 회동바에 형성된 고리의 상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후크를 형성하여줌으로써, 보관시 고리 에 연결된 줄을 후크에 걸어 보관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에 의하면, 컴퓨터 책상이나 일반 사무용 책상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부피 및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이 간편하고 다른 활동과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동바와 브래킷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교환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강도 및 운동방향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바닥프레임(100a~b), 회동바(200), 롤러(300) 및 스프링(400)으로 구성된다.
바닥 프레임(100a~b)은 가로 프레임(100a)과, 가로 프레임(100a)의 양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세로 프레임(100b)과,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가로 프레임(100a) 상에 설치된 브래킷(120)을 포함한다. 바닥 프레임(100a~b)은 운동장치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세로프레임은 사용자의 발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브래킷(120)은 가로 프레임(100a) 상에서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12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다리 구조 및 형태와, 운동의 강도 및 세기 등을 고려하여 운동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20)은 두 개의 회동바(200)와 축 부재(201)를 통하여 끼워지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각 브래킷(120)의 동일한 지점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브래킷(120)의 일 지점에 연결되고, 세로 프레임(100b)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또 하나의 세로 프레임(도 6의 100c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바(200)는 그 하단이 가로 프레임(100a) 상에 설치된 브래킷(120)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20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끼워진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회동바(200)는 하단 직선부(210)와 중단 굴곡부(220)와 상단 직선부(230)의 3부분이 차례대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중단 굴곡부(220)는, 회동바(200)가 축 부재(201)에 연결된 상태에서 볼 때, 상단 직선부(230)가 하단 직선부(210)보다 더 앞쪽에 위치되도록 앞쪽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가 세로 프레임(100b)에 양 발을 걸치게 되면, 이 부위와 허벅지 부위가 수직선상에 함께 위치하게 됨으로써, 운동장치를 이용시 발을 편하게 전 방향으로 뻗을 수 있게 끔 오프셋을 주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120)과 연결되어 세로 프레임(100b)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다른 세로 프레임(미도시)에 양 발을 걸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직선부(230)는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 길이를 포함한 체형 특성에 따라 운동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직선부(230)는 사용자의 허벅지가 닿는 부위로서, 상단 직선부(23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높이 조절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높이 조절 구멍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걸림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단 직선부(230)는 위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단 직선부(230)에 길이가 조절되는 허벅지 보호쿠션(미도시) 등을 사용하거나, 길이가 조절되는 일반적인 봉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회동바(200)에는 고리(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 고리(250)에는 평상시에 소정 길이의 줄(L)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회동바(200)에 소정길이의 줄(L)을 연결하여 두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회동바(200)에 가하는 힘을 풀 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바 깥쪽으로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줄(L)은 운동을 종료한 때, 그 줄(L)을 이용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회동바(200)에는 양쪽 회동바에 형성된 고리(250)의 상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후크(251)가 형성되어 있고, 후크(251)에는 고리(250)에 연결되어 있는 줄(L)을 걸어둘 수 있다. 여기서, 후크(251)는 양쪽 회동바 중 하나의 회동바(200)에만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롤러(300)는 축 부재(201)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진다. 그리고, 브래킷(120)의 측면에 맞닿아 있다. 롤러(300)는 브래킷(120)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201)에 끼워져서 회동바(200)의 운동시, 회동바(200)에 끼워지는 스프링(400)의 유연한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이때, 롤러(300)의 원주면 상에는 스프링(400)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홈(310)이 형성된다.
스프링(400)은 그 일단이 회동바(200)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브래킷(120)의 하측이고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에 연결된다. 또한, 스프링(400)은, 롤러(300)의,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으로부터 먼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된다. 이는 롤러(300)의 원주면 상에 걸쳐져서 가이드 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롤러(300)의 원주면 상에 형성된 가이드 홈(310)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400)은, 가로 프레임(100a)이나 회동바(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 부재(201)가 스프링(400)의 중앙부위의 구멍을 관통하고, 그 축 부재(201)의 양단에 너트(202)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강도나 세기 등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강도가 다른 스 프링(400)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바닥 프레임(100a~b)은 가로 프레임(100a), 세로 프레임(100b), 가로 프레임(100a)에 설치된 브래킷(120)을 포함한다.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과 회동바(200)의 하단 측은 스프링(400)을 통해 연결되는데, 이 스프링(400)의 하단 측을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정확하게는, 브래킷(120)의 중심아랫부분)에 구멍(101)이 형성된다. 이 구멍과 반대측면, 즉 가로 프레임(100a)의 후면에 대응되는 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스프링(400) 고정축(102)을 통하여 스프링(400)의 하단 측이 고정된다. 또한, 가로 프레임(100a) 상에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형성된 브래킷(120)의 중심 아래부분의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 상에 동일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 스프링(400)의 상단 측을 회동바(200)의 하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동바(200)의 하단 직선부(210)에 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구멍과 반대측면, 회동바(200)의 후면에 대응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축(211)을 통하여 스프링(400)의 상단 측이 고정된다. 세로 프레임(100b)은 가로 프레임(100a)의 양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운동장치의 균형을 잡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장치를 이용하여 다리 운동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20)은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가로 프레임(100a) 상에 설치된다. 이때, 브래킷(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브래킷(120)이 슬라이드되어 다리 운동의 방향 및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회동바(200)는 하단 직선부(210)와 중단 굴곡부(220)와 상단 직선부(230)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 직선부(210)의 하단에는 브래킷(120)의 구멍과 롤러(300)의 중심부분을 관통하는 축 부재(201)를 통해 회동바(200), 브래킷(120), 롤러(300)를 연결시키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축 부재(201)의 양단은 너트(202)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중단 굴곡부(220)는 회동바(200)가 축 부재(201)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면, 상단 직선부(230)가 하단 직선부(210)보다 앞 쪽에 위치되도록 전면으로 굽어 형성된다. 또한, 양쪽 회동바의 중단 굴곡부(220)의 하단에는 고리(250)가 형성되는데, 중단 굴곡부(220)의 동일 높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리(250)에 줄(L)을 연결시켜, 회동바(200)의 바깥쪽으로의 회동을 제한해준다. 또한, 양쪽 회동바 중 하나의 회동바(200)의 중단 굴곡부(220)의 상단 부에 후크(251)를 형성하여 두는 것에 의하여, 운동장치를 보관할 때 고리(250)에 연결된 줄(L)을 당겨 후크(251)에 걸어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운동장치의 보관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단 직선부(230)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닿아 직접 운동장치에 힘을 부여하는 부위로서,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른 이유로 인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회동바(200)의 실험 예로서, 회동바(200)의 전체 직선길이를 60cm로 하였을 경우, 브래킷(120)과 연결되는 회동바(200)의 하단 직선부(210)는 150cm, 중단 굴곡부(220)는 200cm, 상 단 직선부(230)는 250cm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하여 하단 직선부(210)와 브래킷(120) 및 롤러(300)와의 결합, 중단 굴곡부(220)의 사용자의 허벅지의 위치관계, 상단 굴곡부의 길이조절 등에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중단 굴곡부(220)에 형성된 고리(250)나 후크(251) 등을 대신하여, 운동장치를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형 튜브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롤러(300)는 축 부재(201)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지고, 롤러(300)의 한 측면이 브래킷(120)의 측면과 맞닿아 있다. 이는 양쪽 회동바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축 부재(201)를 통하여 하단 직선부(210)의 하단부 및 브래킷(120)의 구멍(미도시)이 연결된다. 또한, 롤러(300)의 원주면상에는 U자형의 가이드 홈(310)이 형성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바(200)의 하단 직선부(210)의 하단과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에 고정되는 스프링(400)을 가이드하는 홈으로서, U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홈을 사용하여 스프링(400)을 가이드한다. 이는 양쪽 회동바의 양 측면에 각각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스프링(400)은 일단이 회동바(200)의 하단 직선부(210)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에 고정되며, 이와 동일한 구조로 가로 프레임(100a)의 후면에도 고정된다. 또한, 반대측 회동바(200)에도 일단이 그 회동바(200)의 하단 직선부(210)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에 고정되며, 이와 동일한 구조로 가로 프레임(100a)의 후면에도 고정된다. 스프링(400)은 양 끝단이 각각 고정축(102, 211)을 통하여 고정되고, 너트(103, 212)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회동바(200)의 하단 직선부(210)와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 또는 후면부에 고정 된다. 또한, 이 구조는 스프링(400)의 강성을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스프링(400)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400)의 위치를 달리하여 일단이 회동바(200)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브래킷(120)의 하측이고 가로 프레임(100a)의 전면에 연결된다. 또한,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롤러(300)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바깥쪽에서 안쪽인 회동방향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바꿔줌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운동부위를 간편하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바꿀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우선, 사용자가 세로 프레임(100b)을 발판삼아 발을 세로 프레임(100b)상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사용자의 허벅지와 회동바(200)의 상단 직선부(230)가 닿는 부분을 사용자의 체형 구조에 적합하게 그 높이를 조절한 후, 상단 직선부(230)에 허벅지를 이용하여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힘을 가하여준다. 그리고, 사용자의 허벅지에 힘을 빼면, 양쪽 회동바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허벅지의 안쪽 근육을 강화시켜주고,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운동장치의 사용을 종료한 후, 회동바(200)의 중단 굴곡부(220)에 형성된 고리(250)에 걸쳐진 줄(L)을 양쪽 회동바중 하나의 회동바(200)의 중단 굴곡부(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후크(251)에 걸어 보관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우선, 가로 프레임(100a)상에 형성된 브래킷(120)을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슬라이드시켜 보다 넓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스프링(400)을 가로 프레임(100a)의 중심으로부터 롤러(300)의 가까운 외주면에 걸치게 설치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의 발은 세로 프레임(100b)과 평행하게 형성된 다른 세로 프레임(100c)에 올려놓고, 다리를 회동바(200)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허벅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힘을 주면서 회동바(200)를 회동시킨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허벅지의 바깥쪽의 근육을 강화시켜주고,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9)

  1.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세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상기 가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바닥 프레임;
    그 하단이 상기 브래킷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바;
    상기 축 부재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지고,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 맞닿아 있는 롤러; 및
    그 일단이 상기 회동바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브래킷의 하측이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의,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먼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있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한,
    운동 장치.
  2.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직각으로 설치된 세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상기 가로 프레임 상에 설치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바닥 프레임;
    그 하단이 상기 브래킷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축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 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바;
    상기 축 부재의 앞 뒤 각각에 끼워지고,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 맞닿아 있는 롤러; 및
    그 일단이 상기 회동바의 하단 측 영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브래킷의 하측이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의,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있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의자에 앉아 다른 용무를 보면서도 다리 운동이 가능한,
    운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는 하단 직선부와 중단 굴곡부와 상단 직선부의 3부분이 차례대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단 굴곡부는, 상기 회동 바가 상기 축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볼 때, 상기 상단 직선부가 상기 하단 직선부보다 더 앞쪽에 위치되도록 앞쪽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운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직선부는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인,
    운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강도가 다른 스프링으로 교체가 가능한,
    운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원주면 상에는 상기 스프링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운동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로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브래킷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운동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에는 소정 길이의 줄이 연결되어 있는,
    운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에는 상기 고리의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줄을 걸어둘 수 있는,
    운동 장치.
KR1020080074890A 2008-07-31 2008-07-31 운동장치 KR10100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890A KR101005206B1 (ko) 2008-07-31 2008-07-31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890A KR101005206B1 (ko) 2008-07-31 2008-07-31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390A KR20100013390A (ko) 2010-02-10
KR101005206B1 true KR101005206B1 (ko) 2010-12-31

Family

ID=4208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890A KR101005206B1 (ko) 2008-07-31 2008-07-31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2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138A (en) 1993-02-16 1995-03-21 Jones; Deanna L. Portable exercise device
US7182718B2 (en) 2005-07-14 2007-02-27 Strength Master Health Corp. Muscle exerci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138A (en) 1993-02-16 1995-03-21 Jones; Deanna L. Portable exercise device
US7182718B2 (en) 2005-07-14 2007-02-27 Strength Master Health Corp. Muscle exerci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390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018B2 (en) Exercise device
US7951056B2 (en) Rockable exercise apparatus
US8777817B2 (en) Convertible push and pull exercise machine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JP2007524487A5 (ko)
US20090312164A1 (en) Abdominal exerciser and method
US20100323861A1 (en) Total abs office chair
CN106955461A (zh) 一种多功能办公室健身座椅
US9278252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20140000216U (ko) 복부 운동 기계
WO2020050936A1 (en) Exercise device handl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US20190247713A1 (en) Machine for Performance of Front Squat Exercises
KR20180089337A (ko) 노 젓기와 승마 운동 효과를 겸비한 헬스기구
US10035039B1 (en) Convertible conversion table exerciser
JP3148588U (ja) 腰臀部用運動機具
KR101390876B1 (ko) 운동 장치
US20140038796A1 (en) Machine for Exercising the Core Muscles
WO2008126084A1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US9895574B2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101005206B1 (ko) 운동장치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CN105664423A (zh) 腿挂杠铃负重器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KR200424860Y1 (ko) 보관이 용이한 헬스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