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927B1 -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927B1
KR101003927B1 KR1020080065793A KR20080065793A KR101003927B1 KR 101003927 B1 KR101003927 B1 KR 101003927B1 KR 1020080065793 A KR1020080065793 A KR 1020080065793A KR 20080065793 A KR20080065793 A KR 20080065793A KR 101003927 B1 KR101003927 B1 KR 10100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palm
seam
glove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759A (ko
Inventor
박찬문
Original Assignee
박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문 filed Critical 박찬문
Priority to KR102008006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927B1/ko
Priority to US12/292,417 priority patent/US20100005565A1/en
Priority to EP09164715A priority patent/EP2143348A2/en
Publication of KR2010000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2Arrangements for cutting-out, or shapes of, glove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58Three-dimensional gloves
    • A41D19/0065Three-dimensional gloves with a textile layer undernea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68Two-dimensional gloves, i.e. obtained by superposition of two sheet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제장갑의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로부터 봉제선을 제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장갑의 착용감 및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물체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부터 장갑의 착용감 및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Figure R1020080065793
봉제장갑, 봉제선

Description

봉제장갑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EWING GLOVES}
본 발명은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제장갑에서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로부터 봉제선을 제거하도록 제조하여 봉제장갑의 착용감 및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그 제조방법에 따라 봉제장갑과 편직장갑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봉제장갑은 손바닥판과 손등판을 절개선을 따라 봉제하여 제조하게 되지만 편직장갑은 별도의 봉제선이 없이 일체형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때, 편직장갑은 그 용도, 재질 및 디자인에 한계가 있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대부분 착용감, 보호성, 활동성 등을 강조하는 장갑에 있어 편직보다는 여러가지 재질을 재단하여 봉제로 연결한 봉제방법으로 제조된다.
여기서, 봉제장갑은 여러 조각의 패턴으로 절개한 후, 이를 봉제하게 되는데, 통상 손바닥면부위를 가로지르는 봉제선과 손바닥면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봉제선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처럼, 봉제장갑에 있어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에 형성되는 봉제선 은 장갑의 내측편으로 봉제시접을 돌출시키게 되고, 이 봉제시접이 장갑의 착용시 여러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먼저, 봉제장갑에 있어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에 형성되는 봉제선은 예컨대, 골프장갑, 자전거장갑, 작업용장갑, 모터사이클장갑, 야구배팅장갑, 체력단련용 장갑, 운전장갑, 미식축구장갑, 스키 및 스노보드 장갑, 자동차수리용 장갑, 기계수리용 장갑, 사냥용장갑, 페인트볼 장갑 등과 같은 운동용 장갑이나 일반 및 작업용 장갑 등을 착용하고 물건을 잡거나 들게 되면 봉제선을 따라 장갑의 내측에 형성되는 봉제시접이 물건과 손 사이에 이격감을 주면서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에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결국 착용감이 떨어지면서 손 전체에 피로감을 지속적으로 주게 되어 그 기능성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봉제장갑중 손바닥면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봉제선중 손가락선단부위의 봉제선은 그 봉제시접이 손톱 끝이나 손가락 끝에 걸리면서 불편함을 주고, 어떤 물체를 집을 때 손가락의 끝과 물체 사이의 감각을 저하시켜 쉽게 물체를 집을 수 없게 되면서 작업의 생산성을 반감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봉제장갑에 있어 손바닥면부위를 가로지르는 봉제선과, 손바닥면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봉제선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봉제장갑의 재단패턴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종래 봉제장갑의 패턴유형을 살펴보면, 패턴유형(1) 내지 (6)은 모두 평면적으로 재단되며, 평면의 재단부재들은 그 절단선을 따라 봉제가 이루 어지면 봉제선(10,11)을 형성하기 때문에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에 필연적으로 봉제선(10,11)이 존재하게 된다.
이처럼, 봉제장갑의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에 형성되는 봉제선(10,11)은 봉제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물체를 반복적으로 잡거나 들 때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물체와 손 사이에 격리감을 조성하여 착용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기능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한편, 미국특허등록 7,287,285에 기재된 장갑구조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바닥면부위의 재단부재가 손가락부위의 중앙부를 따라 손등부위의 재단부재까지 넘어가도록 봉제되면서 각 손가락의 선단부위에 봉제선의 형성을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여전히 장갑의 손바닥면부위를 가로지르는 봉제선(10)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손바닥면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봉제선(11)은 손가락의 선단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손바닥면모서리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어떤 물체를 집을 때 손바닥면부위 또는 손바닥면모서리와 물체 사이의 감각을 저하시켜 쉽게 물체를 집을 수 없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장갑의 착용감과 기능성 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장갑의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에 형성되는 봉제선을 제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봉제장갑의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가 물체에 보다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착용감 및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제장갑 및 그 제 조방법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봉제장갑의 손바닥면부위를 가로지르는 봉제선과 손바닥면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봉제선을 제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장갑의 착용감 및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턴에 따라 재단된 재단부위를 입체적으로 성형한 후, 봉제하여 봉제선의 위치를 손등부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조되는 통상적인 봉제장갑과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면상의 재단부재에 손바닥면부위와 손두께부위로 구성된 손바닥성형부위를 입체적인 음각형태로 성형한 후, 재단선을 따라 손바닥재단부위를 재단한 다음, 상기 손바닥재단부위와 통상의 손등재단부위를 봉제선을 따라 봉제하여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에 봉제선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봉제장갑의 손바닥면부위와 손바닥면모서리의 봉제선을 제거함으로써 장갑과 물체를 보다 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부터 장갑의 착용감 및 기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손가락재단부위의 패턴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봉제장갑의 경우 손바닥면의 보호를 위해 손바닥부위는 강도가 비교적 높으면서 탄성이나 탄력이 떨어지는 가죽, 인조가죽(인조수웨이드),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소재를 이용하여 손바닥부위를 재단하게 되면 앞서 종래기술에서 언급하였듯이 평면적으로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탄성이나 탄력이 다소 떨어지는 고강도의 소재를 이용하여 장갑의 손바닥부위를 재단할 때 손바닥부위 전체를 일정압력과 온도에서 3차원의 입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봉제선이 장갑의 손바닥면부위 및 손바닥면모서리를 벗어나 손등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그 일시예에 따르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단부재(1)에서 손바닥재단부위(30)를 재단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손바닥성형부위(20)를 3차원 입체적으로 성형한 후, 손바닥재단부재(30)를 재단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평면상의 재단부재(1)에 손바닥성형금형(미도시)을 적당한 압력과 온도하에서 프레싱하게 되면 입체적인 음각형태로 손바닥성형부위(20)가 성형된다.
이때, 손바닥성형부위(20)에는 손바닥면부위(20-1)와 손두께면부위(20-2)를 형성하게 되고, 손두께면부위는 손바닥면부위와 대략 직각을 이루는 수직곡면을 형성하면서 실제 손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바닥성형부위(20)의 손두께면부위(20-2)와 손바닥면부위(20-1)가 접하는 부위를 따라 손바닥면모서리(22)가 형성되고, 손바닥성형부위(20)의 손두께면부위(20-2)와 평면의 재단부재(1)가 접하는 부위를 따라 봉제선(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봉제선(21)의 외측을 따라 재단선(23)이 형성되고, 이 재단선을 따라 재단하여 손바닥재단부위(30)를 3차원의 입체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은 3차원의 입체형상인 손바닥재단부위(30)와 평면의 손등재단부위(미도시)를 봉제선(21)을 따라 봉제하게 되면 재단선(23)과 봉제선 사이의 부위가 봉제시접으로 장갑의 내측에 존재하게 된다.
이때, 봉제선(21)은 봉제시접과 함께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갑의 손등측으로 이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장갑의 손바닥재단부위(30)에는 봉제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은 종래의 봉제장갑과 달리 손바닥면부위(20-1)를 가로지르는 봉제선(10)이나, 손바닥면모서리(22)를 따라 형성되는 봉제선(11)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평면상의 재단부재(1)에 입체적인 음각형태로 손바닥성형부위(20)를 성형하되, 손바닥면부위(20-1)와 대략 직각을 이루는 수직곡면의 손두께부위(20-2)가 실제 손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손바닥재단부위(30)와 평면의 손등재단부위(미도시)를 봉제선(21)을 따라 봉제하면 봉제선(21)이 자연히 손등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봉제선(21)이 손바닥면부위(20-1)와 손바닥면모서리(22) 에 존재하지 않는 봉제장갑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도1 및 도2은 종래 봉제장갑의 재단패턴구조와 이에 따른 봉제장갑을 예시하는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손가락재단부위의 패턴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Claims (2)

  1. 패턴에 따라 재단된 재단부위를 입체적으로 성형한 후, 봉제하여 봉제선의 위치를 손등부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조되는 통상적인 봉제장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면상의 재단부재(1)에 손바닥면부위(20-1)와 손두께부위(20-2)로 구성된 손바닥성형부위(20)를 입체적인 음각형태로 성형한 후, 재단선(23)을 따라 손바닥재단부위(30)를 재단한 다음, 상기 손바닥재단부위(30)와 통상의 손등재단부위를 봉제선(21)을 따라 봉제하여 손바닥면부위(20-1)와 손바닥면모서리(22)에 봉제선(21)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80065793A 2008-07-08 2008-07-08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KR10100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793A KR101003927B1 (ko) 2008-07-08 2008-07-08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US12/292,417 US20100005565A1 (en) 2008-07-08 2008-11-19 Sewn glov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9164715A EP2143348A2 (en) 2008-07-08 2009-07-07 Sewn gl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793A KR101003927B1 (ko) 2008-07-08 2008-07-08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59A KR20100005759A (ko) 2010-01-18
KR101003927B1 true KR101003927B1 (ko) 2010-12-30

Family

ID=4110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793A KR101003927B1 (ko) 2008-07-08 2008-07-08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05565A1 (ko)
EP (1) EP2143348A2 (ko)
KR (1) KR101003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32911A1 (en) * 2014-11-19 2018-11-22 Hyun Jin Corporation Special purpose glove and method for making special purpose glove
KR20210000443A (ko) 2019-06-25 2021-01-05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장갑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1044A1 (en) 1996-07-04 1998-01-15 Johan Ullman Finger glove
EP1685767A1 (en) 2005-01-31 2006-08-02 Showa Co.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87285B2 (en) 2003-06-13 2007-10-30 Jaeger Eric M Glove construction wherein palm material rolls over fingertip
KR100786959B1 (ko) * 2007-02-20 2007-12-17 박찬문 봉제장갑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809A (en) * 1954-09-23 1956-11-20 Frank W Howard Glove with seamless palm and back
US3128473A (en) * 1961-04-26 1964-04-14 Mark Clark Inc Method for forming gloves from vinyl film or sheeting
US3273165A (en) * 1963-12-09 1966-09-20 Sperandeo Frank Gloves for playing sports
US3760425A (en) * 1971-09-14 1973-09-25 N Komatsu Method of making leather glov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1044A1 (en) 1996-07-04 1998-01-15 Johan Ullman Finger glove
US7287285B2 (en) 2003-06-13 2007-10-30 Jaeger Eric M Glove construction wherein palm material rolls over fingertip
EP1685767A1 (en) 2005-01-31 2006-08-02 Showa Co.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86959B1 (ko) * 2007-02-20 2007-12-17 박찬문 봉제장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5565A1 (en) 2010-01-14
KR20100005759A (ko) 2010-01-18
EP2143348A2 (en)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818B2 (en) Utility glove
US7836839B2 (en) Sewn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064971B1 (en) Sports gloves
US20070226873A1 (en) Stretchable, multi-layered gloves
US20060006573A1 (en) Protective hand cove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10168699A5 (ko)
KR101003927B1 (ko) 봉제장갑의 제조방법
US20040068777A1 (en) Sport glove with web attachment
US20130125288A1 (en) Athletic Glove With Inner Grip
US20160174641A1 (en) Protective wear for reducing trauma to the human body
JP7470958B2 (ja) ゴルフ用手袋
KR200259773Y1 (ko) 장갑
CA2534160A1 (en) Glove node
CA1277803C (en) Protective sport glove with pocket
JPH08188908A (ja) スポーツ手袋
JPH0718765U (ja) ゴルフ用の手袋
CN101927086B (zh) 混式运动手套及其制造方法
JPH09279408A (ja) 皮革製手袋
KR20090008328U (ko) 골프용 장갑
TWM497041U (zh) 具伸縮性之高爾夫手套
ITTO20070104A1 (it) Guanto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