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173B1 -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173B1
KR101003173B1 KR1020080126673A KR20080126673A KR101003173B1 KR 101003173 B1 KR101003173 B1 KR 101003173B1 KR 1020080126673 A KR1020080126673 A KR 1020080126673A KR 20080126673 A KR20080126673 A KR 20080126673A KR 101003173 B1 KR101003173 B1 KR 10100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versity
signals
receiver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025A (ko
Inventor
김동규
이형수
김재영
김언곤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1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Abstract

신호 수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수신기를 통해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수신기를 분류하여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며,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수신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가장 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한다. 이를 통해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인체 내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대한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WBAN, 다이버시티, 그룹

Description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본 발명은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를 위한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42-01, 과제명: WBAN In-body 시스템 및 On-body 시스템 개발].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는 수 미터 내외 및 인체 내에서 용도에 따라 수 kbps 에서 수 십 Mbps에 이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방식이다.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는 인체 내에 이식된 의료장치나 사람이 착용하는 옷 또는 인체에 부착된 여러 장치들, 몸을 중심으로 약 3미터 이내에 장착된 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을 하는 네트워킹 기술로써 체내 혹은 인체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근거리 통신, 바이오센서, 인체 내부에 이식하기 위한 극소형의 나노 기술, 인체 부착형 RF 인터페이스, 구동체 등의 다양한 기술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는, 인체 내의 채널 감쇄 특성 및 페이딩 특성의 영향으로 인해. 인체 내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수신 성능의 차이가 크다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인체 내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대한 수신 성능의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은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써, 복수 개의 수신기를 통해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수신기를 분류하여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수신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가장 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의 각각의 신호 세기에 따라 복수 개의 수신기를 분류한다.
또한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수신기가 수신한 제1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제1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구간에 속하는 경우, 수신기를 제1 구간에 대응하는 제1 수신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 다.
또한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신호 세기 값이 제1 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신호 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n-1) 구간에 속하는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세기 값이 제(n-1) 구간에 속하는 경우, 수신기를 제(n-1) 구간에 대응하는 제(n-1) 수신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신호 세기 값이 제(n-1) 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수신기를 미리 정해진 제n 구간에 대응하는 제n 수신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수신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수신 그룹은 복수 개의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기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하여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위상 무성 변조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은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으로써, 신호 수신부, 다이버시티 합성부 및 선택부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는 복수 개의 수신기를 통해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다이버시티 합성부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부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한다.
이때 다이버시티 합성부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합성부를 포함하고, 신호 수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수신 신호의 각각의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수신기 중 하나 이상의 수신기 및 복수 개의 합성부 중 어느 하나의 합성부를 포함하는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선택부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가장 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생성된 수신 그룹별로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인체 내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대한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수신기를 이용해 인체 내에 위치하는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를 다이버시티 수신 방식에 따라 수신하며, 이를 위해 그룹 제어부(110), 신호 수신부(130), 다이버시티 합성부(150) 및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를 포함한다. 이때 신호 수신부(130)는 복수 개의 수신기(131)를 포함하고, 다이버시티 합성부(150)는 복수 개의 합성부(151)를 포함한다.
그룹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신호 수신부(130) 및 다이버시티 합성부(150)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한다. 이때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의 각각은 복수 개의 수신기(131) 중 일부 및 복수 개의 합성 부(15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30)는 복수 개의 수신기(131)를 통해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기(13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다이버시티 합성부(150)로 전달한다. 이때 복수 개의 수신기(131)의 각각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수신기(131)의 각각은 그룹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합성부(151) 중 동일한 수신 그룹에 포함된 합성부로 수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합성부(150)는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된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다이버시티 합성부(15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합성부(150)의 각각은 그룹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수신부(13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수신기(131) 중 동일한 수신 그룹에 포함된 일부의 수신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다이버시티 합성하여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는 다이버시티 합성부(150)로부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된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100)은 그룹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제1 수신 그룹(101), 제2 수신 그룹(103) 및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를 포함한다.
제1 수신 그룹(101)은 제1 수신기(131a), 제2 수신기(131b), 제3 수신기(131c) 및 제1 합성부(151a)를 포함한다.
제1 수신기(131a)는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수신 신호를 제1 합성부(151a)로 전달한다.
제2 수신기(131b)는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수신 신호를 제1 합성부(151a)로 전달한다.
제3 수신기(131c)는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제3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3 수신 신호를 제1 합성부(151a)로 전달한다.
제1 합성부(151a)는 전달된 제1 수신 신호, 제2 수신 신호 및 제3 수신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하여 제1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로 전달한다. 이때 제1 합성부(151a)는 선택 합성 다이버시티, 동이득 합성 다이버시티 또는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따를 수 있다.
제2 수신 그룹(103)은 제4 수신기(131d), 제5 수신기(131e) 및 제2 합성부(151b)를 포함한다.
제4 수신기(131d)는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제4 수신 신호를 수신 하고, 수신된 제4 수신 신호를 제2 합성부(151b)로 전달한다.
제5 수신기(131e)는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제5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5 수신 신호를 제2 합성부(151b)로 전달한다.
제2 합성부(151b)는 전달된 제4 수신 신호 및 제5 수신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하여 제2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로 전달한다. 이때 제2 합성부(151b)는 선택 합성 다이버시티, 동이득 합성 다이버시티 또는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는 전달된 제1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와 제2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성능이 더 좋은 신호를 선택한다. 이때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더 높은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신호 수신 시스템(100)이 2개의 수신 그룹을 포함하고, 각 수신 그룹이 2개 또는 3개의 수신기를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신호 수신부(130)는 복수 개의 수신기(131)를 통해 송신기(10)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기(13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S100).
다음, 그룹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 개의 수신기(131)를 분류하여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한다(S200). 이때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의 각각은 복수 개의 수신기(131) 중 하나 이상의 수신기 및 복수 개의 합성부(151) 중 어느 하나의 합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각 수신 그룹에 포함되는 합성부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 분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룹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수신기(131)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i 수신기가 수신한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을 생성한다(S201).
다음, 그룹 제어부(110)는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최소값 및 미리 정해진 제1 최대값에 따라 결정된 제1 구간에 속하는지 비교한다(S203).
만약,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이 제1 구간에 속하는 경우, 그룹 제어부(110)는 제i 수신기를 제1 수신 그룹에 할당한다(S205).
한편,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이 제1 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그룹 제어부(110)는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n-1) 최소값 및 미리 정해진 제(n-1) 최대값에 따라 결정된 제(n-1) 구간에 속하는지 비교한 다(S207).
만약,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이 제(n-1) 구간에 속하는 경우, 그룹 제어부(110)는 제i 수신기를 제(n-1) 수신 그룹에 할당한다(S209).
한편, 제i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이 제(n-1) 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그룹 제어부(110)는 제i 수신기를 제n 수신 그룹에 할당한다(S211).
이와 같이 그룹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수신기(131)의 각각에 대해 단계(S201) 내지 단계(S211)를 수행하여 복수 개의 수신기(131)를 복수 개의 수신 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그룹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복수 개의 수신기(131)를 복수 개의 수신 그룹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복수 개의 수신 그룹에 각각 포함된 복수 개의 합성부(151) 중 일부의 합성부는 복수 개의 수신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S300). 이때 복수 개의 수신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합성부는 해당 수신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하나 이상의 수신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하여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신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합성부는 수신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위상 무성 변조 방식(Phase Silence Shift Keying, PSSK)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위상 무선 변조 방식을 따르는 경 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s(t))는 수학식 1을 따를 수 있다.
Figure 112008085757611-pat00001
수학식 1에서, M은 전체 심볼의 개수, Es는 심볼의 에너지, T는 하나의 심볼구간의 시간, u(t)는 Unit function을 나타낸다.
다음, 다이버시티 선택부(170)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가장 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한다(S4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신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 분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0)

  1.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를 분류하여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가장 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신호의 각각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를 분류하는 신호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수신기가 수신한 제1 수신 신호의 신 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를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는 제1 수신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 값이 상기 제1 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 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n-1) 구간에 속하는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세기 값이 상기 제(n-1)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를 상기 제(n-1) 구간에 대응하는 제(n-1) 수신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 값이 상기 제(n-1) 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기를 미리 정해진 제n 구간에 대응하는 제n 수신 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수신 그룹은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하여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위상 무성 변조 방식에 따라 다이버시티 합성하는 신호 수신 방법.
  8.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다이버시티 합성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합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합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수신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신호의 각각의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 중 하나 이상의 수신기 및 상기 복수 개의 합성부 중 어느 하나의 합성부를 포함하는 수신 그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 중 수신 전력이 가장 큰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수신 시스템.
KR1020080126673A 2008-12-12 2008-12-12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0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673A KR101003173B1 (ko) 2008-12-12 2008-12-12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673A KR101003173B1 (ko) 2008-12-12 2008-12-12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025A KR20100068025A (ko) 2010-06-22
KR101003173B1 true KR101003173B1 (ko) 2010-12-22

Family

ID=4236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673A KR101003173B1 (ko) 2008-12-12 2008-12-12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61B1 (ko) 2010-12-23 201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3987044A (zh) * 2014-06-03 2014-08-13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接收信号强度差的体域网节点身份认证机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70B1 (ko) 1999-11-24 2004-12-04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수신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JP2009207193A (ja) 2005-10-28 2009-09-10 Sharp Corp 送信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70B1 (ko) 1999-11-24 2004-12-04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수신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JP2009207193A (ja) 2005-10-28 2009-09-10 Sharp Corp 送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025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827B1 (ko) 멀티-안테나 기지국에서의 무선 링크 자원들의 활용
JP4946922B2 (ja) 無線通信装置
US7392019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17594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in a multi-antenna system
US8665806B2 (en) Passive coordination in a closed loop multiple input multiple out 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55661B2 (ja) 多アンテナシステムのための低複雑性ビーム形成
CN101361291A (zh) 一种中继
US89896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and dynamic frequency selection during movement of base station
CN114172773B (zh) 调制方法及装置、通信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4398473B2 (ja) 拡散コード割当方法、逆拡散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KR102113553B1 (ko) 무선 에너지 하베스팅에서 무선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 알고리즘을 사용한 에너지 효율 극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1729A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WO2006098111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002151B1 (ko) 이웃하는 기지국들에 상응하는 부하 정보를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003173B1 (ko)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Budhiraja et al. Energy-efficient optimization scheme for RIS-assisted communication underlaying UAV with NOMA
EP2587687B1 (en)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signal
US20200119784A1 (en) Control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allocating resources
US9521631B2 (en)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in
CN104836605B (zh) 一种基于空间复用的新型收发天线联合选择方法
Trived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MC-CDMA over hybrid satellite/underwater acoustic channel
KR1015818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훈련 시퀀스 코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Bereketli Interference-free source deployment for coverage in underwater acoustic backscatter networks
JP4930348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951822B1 (ko) 다중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