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88B1 -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2688B1 KR101002688B1 KR1020080037864A KR20080037864A KR101002688B1 KR 101002688 B1 KR101002688 B1 KR 101002688B1 KR 1020080037864 A KR1020080037864 A KR 1020080037864A KR 20080037864 A KR20080037864 A KR 20080037864A KR 101002688 B1 KR101002688 B1 KR 1010026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support plate
- shoe
- hook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2—Electrically powered or heat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스케이트의 좌우 폭을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무게증가를 최소화시키면서 완충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롤러스케이트 착용 후 사용자의 발과 몸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하며, 앞꿈치받침대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을 별도의 분해조립과정 없이 힌지스토퍼를 간단히 조작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후방지지판의 뒤꿈치받침대의 잠금장치를 훅크 및 쐐기 타입의 이중잠금 구조로 구성하여 뒤꿈치 윗부분을 한층 더 확고하게 지지하여 롤러스케이팅 도중에 신발 뒤꿈치부분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신발 탈착식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롤러스케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전용 신발을 착용하지 않고 통상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롤러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발과 몸을 움직여 지면을 활주하면서 신체를 단련할 수 있는 레저 기구로서, 이와 같은 롤러스케이트는 신발 밑창 부분에 휠을 포함하는 롤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13671호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를 통해 신발의 앞꿈치와 뒤꿈치를 외측에서 밀착되게 둘러싸며 신발을 고정시킴으로써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신고다니는 신발을 간편하게 장착시켜 롤러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는 앞꿈치고정수단 및 뒤꿈치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앞꿈치고정수단과 뒤꿈치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일반 신발을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가 제안한 기술에 따른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는 종래기술과 달리 통상의 신발을 착용하여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그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더욱 개선된 기술을 제안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즉, 롤러스케이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완충기능을 부여하거나 모터의 적용을 통한 자동구동을 부여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술들은 롤러스케이트의 폭이 과도하게 증가하거나 무거워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기술의 장점을 더욱 증가시키면서 롤러스케이트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본원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롤러스케이트의 좌우 폭을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무게증가를 최소화시키면서 완충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롤러스케이트 착용 후 사용자의 발과 몸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하는 신발 탈착식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꿈치받침대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을 별도의 분해조립과정 없이 스토퍼를 간단히 조작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발 탈착식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후방지지판의 뒤꿈치받침대의 잠금장치를 훅크 및 쐐기 타입의 이중잠금 구조로 구성하여 뒤꿈치 윗부분을 한층 더 확고하게 지지하여 롤러스케이팅 도중에 신발 뒤꿈치부분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발 탈착식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는 사용자의 팔뚝에 간단히 착용할 수 있는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유니트를 후방 서포터에 장착하여 후방휠축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빠른 속도감을 체험하면서 새로운 롤러스케이팅의 묘미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부수적으로 장 거리 이동을 손쉽게 하여 대체 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발 탈착식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앞꿈치받침대(110)가 전단부에 결합된 전방지지판(100)과, 뒤꿈치받침대(210)가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지지판(20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전후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조정하여 신발을 장착한 후 롤러스케이팅을 수행하게 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100) 및 후방지지판(200) 각각은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더(103, 203)를 갖고; 상측의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판(100)과 후방지지판(200)에 각각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각 가이더(103, 2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22, 222)이 각각 형성되며, 하측에 전방휠축(131)과 후방휠축(231)이 각각 결합되는 서포터(120, 220)와; 상기 각 가이더(103, 203)에 삽입되어 상기 각 서포터(120, 220)의 가이드홈(122, 222)에 안치되는 코일 스프링(124, 224) 및; 상기 각 가이더(103, 203) 및 가이드홈(122, 222)을 통해 상기 각 전후방지지판(100, 200) 및 서포터(120, 220)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4, 22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25, 2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서 상기 전방지지 판(100)은 전단부에 전면, 상면 및 하면방향으로 개구되고, 내벽에 걸림홈(102)이 수직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승강홀(101)을 구비하고, 상기 앞꿈치받침대(110)는 상기 승강홀(101)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승강돌기(111)를 갖고, 일단이 상기 승강돌기(111)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어 상기 걸림홈(102)에 맞물리는 스토퍼(112)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112)를 상기 걸림홈(10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앞꿈치받침대(110)를 승강시키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서 상기 후방지지판(200)의 중앙부에는 상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저면 안착판(201a)에 걸림공(201b)이 뚫린 안착홈(201)을 형성하며, 상기 뒤꿈치받침대(210) 전면 하반부에는 안내장공(210c)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후면과 저면이 개구된 작동실(210b)을 갖는 하우징(210a)을 전방으로 돌출형성하여 상기 후방지지판(200)의 안착홈(201)으로 삽입하고, 상기 작동실(210b) 내측에는 걸림훅크(211)와 받침쐐기(212)를 내장하되, 상기 걸림훅크(211)는 전단부에 고리부(211a)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판(201a)의 상기 걸림공(201b)에 걸림되도록 하며, 헤드부(211b) 하반부에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장착공(211e)에 상기 받침쐐기(212)를 결합하여 상기 걸림훅크(211) 저면을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훅크(211)의 고리부(211a)가 상기 걸림공(201b)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앞꿈치받침 대(110)가 전단부에 결합된 전방지지판(100)과, 뒤꿈치받침대(210)가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지지판(20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전후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조정하여 신발을 장착한 후 롤러스케이팅을 수행하게 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100) 및 후방지지판(200) 각각은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더(103, 203)를 갖고; 상측의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판(100)과 후방지지판(200)에 각각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각 가이더(103, 2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22, 222)이 각각 형성되는 서포터(120, 220)와; 상기 각 가이더(103, 203)에 삽입되어 상기 각 서포터(120, 220)의 가이드홈(122, 222)에 안치되는 코일 스프링(124, 224)와; 상기 각 가이더(103, 203) 및 가이드홈(122, 222)을 통해 상기 각 전후방지지판(100, 200) 및 서포터(120, 220)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4, 22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25, 225)와; 양단부에 전방휠(130)이 회전가능토록 장착되고, 상기 전방지지판(100)의 서포트(12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전방휠축(131)과; 양단부에 후방휠(630)이 고정되도록 장착되고, 중앙부에 구동기어(601)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601)와 인접한 일측방에 마찰면부(602)가 설치되며, 좌우 양측방에 결합되는 휠베어링(613)에 지지되어 상기 후방지지판(200)의 서포트(22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방구동휠축(600)과;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이 결합되는 상기 서포트(220)에 결합되고, 모터(31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601)에 전달하여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니트(300)와; 브레이크슈(401)의 패드(402)가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의 마찰면부(602)와 맞닿이도록하여 상기 후방구동휠 축(600)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유니트(400) 및; 상기 구동유니트(300)의 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모터(31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브레이크슈(401)와 와이어(503)로 접속되어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500)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의하면, 완충작용을 위한 서포터와 스프링이 전방지지판 및 후방지지판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롤러스케이트의 좌우 폭을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그 완충작용을 위한 구성요소가 적어 무게증가를 최소화시키면서 완충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하고 이동할 시 사용자의 스텝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져 피로감이 줄어들게 되고, 특히 전문가들은 자신이 연출하고자하는 테크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지지판의 전단부에 결합된 앞꿈치받침대의 상하방향 높이조절은 스토퍼를 간단히 눌러주어 걸림돌기를 걸림홈에서 해제시킨 후 신발의 앞꿈치 상면에 맞도록 승강홀을 따라 이동시킨 후 스토퍼를 복귀시키면 높이조절이 간단히 완료되어 사용자에게 착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지지판의 뒤꿈치받침대의 잠금장치를 훅크 및 쐐기 타입의 이중잠금 구조로 구성하여 뒤꿈치 윗부분을 한층 더 확고하게 지지하여 롤러스케이팅 도중에 신발 뒤꿈치부위가 불시에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팔뚝에 간단히 착용할 수 있는 콘 트롤러를 구비하고, 이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유니트를 후방 서포터에 장착하여 후방휠축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빠른 속도감을 체험하면서 새로운 롤러스케이팅의 묘미를 즐길 수 있게 되고, 장거리 이동을 손쉽게 하여 대체 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전방지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후방지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는 신발의 앞꿈치를 둘러싸서 밀착시키는 앞꿈치받침대(110)가 전단부에 결합되고 신발 앞부분 바닥면이 안착되는 전방지지판(100)과, 신발 뒤꿈치를 둘러싸서 밀착시키는 뒤꿈치받침대(210)가 후단부에 결합되며 신발 뒷부분 바닥면이 안착되는 후방지지판(20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전후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조정하여 신발을 장착한 후 롤러스케이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판(100)의 전반부 저면 양측에는 조절공(103a)이 뚫린 가이더(103)가 하향 돌출되고, 섀시프레임(100a) 중반부 좌우측에는 나사공(100c)이 뚫린 힌지축(100b)이 좌우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전방지지판(100)의 전단부에는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되고 좌우측 내벽 중앙부로 가이드레일(101a)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후측 내벽으로는 걸림홈(102)이 수직방향으 로 반복 형성되는 승강홀(101)이 구비된다.
앞꿈치받침대(110) 후면 하반부에는 승강돌기(111)가 돌출되며, 승강돌기(111) 내측에는 저면과 후면이 개구되는 작동요홈(111b)이 형성되고 좌우측 외벽에는 승강홀(101)의 가이드레일(101a)과 끼움되는 가이드홈(111a)이 형성된다. 작동요홈(111b) 내측에는 승강홀(101)의 걸림홈(102)과 맞물리는 스토퍼(112)가 힌지핀(113)에 의해 결합된다. 스토퍼(112)는 일측 상부에 승강홀(101)의 걸림홈(102)에 맞물리는 걸림돌기(112a)가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는 작동요홈(111b)의 수직내벽으로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114)이 결합된다.
한편, 서포터(120)는 후방 상단부에 섀시프레임(100a)의 힌지축(100b) 바깥둘레에 끼움되는 힌지공(121)이 뚫리고, 상반부 중앙에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22) 바닥면에 조절공(123a)이 뚫린 가이더(123)가 상향 돌출되고, 저면 양쪽에는 고정나사공(120a)이 뚫리며, 전방 하단부에는 핀축공(120b)이 뚫리고, 측면 하단부 양쪽에는 커버홈(128)이 뚫린 서포터(120)가 구비된다. 서포터(120)는 후방 상단부에 뚫린 힌지공(121)을 섀시프레임(100a)의 힌지축(100b) 바깥둘레에 끼워 넣고 힌지축(100b)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공(100c)에 힌지볼트(121a)를 체결함으로써, 서포터(120)는 섀시프레임(100b)에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100b)을 중심으로하여 각운동가능하게 된다. 전방지지판(100)의 가이더(103)와 서포터(120)의 가이더(12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24)이 장착되며, 이와 같은 코 일 코일 스프링(124)은 상하단부가 전방지지판(100)의 가이더(103)와 서포터(120)의 가이더(123)의 바깥둘레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124)의 수축 및 팽창범위는 가이더(123)의 조절공(123a)과 코일 스프링(12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가이더(103)의 조절공(103a)에 삽입되어 조절너트(126)와 체결되는 조절볼트(125)를 풀고 조임으로서 조절된다. 조절공(103a) 상부에는 조절캡(126a)이 결합되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섀시프레임(100a) 양측에 결합된 서포터(120)의 저면에는 전방휠축(131)이 체결볼트(133)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전방휠축(131)은 체결공(131b)이 뚫린 고정캡(131a)을 서포터(120)의 저면에 맞대고 체결공(131b)으로 체결볼트(133)를 삽입하여 서포터(120) 저면양쪽에 뚫린 고정나사공(120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결합된다. 서포터(120)의 측면하단부 양쪽에 뚫린 커버홈(128)에는 휠축커버(127)를 결합한다. 휠축커버(127)는 커버홈(128)에 삽입되는 수평면부에 뚫린 통공(127a)으로 체결볼트(133)가 관통함으로써 커버홈(128)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전방휠축(131)의 양단부 바깥둘레에는 전방휠(130)을 삽입하고 나사부(131c)에 휠캡(134)을 결합한다. 전방휠(130)은 중심부에 뚫린 축공(130a)으로 끼워지는 휠베어링(132)에 의해 전방휠축(131) 양단부에 회전가능상태로 끼움결합되며, 전방휠축(131)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31c)에 휠캡(134)을 체결하여 전방휠(1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서포터(120)의 전방 하단부에는 전방브레이크(135)가 결합되며, 전방브레이크(135)는 고정볼트(135b)를 서포터(120)의 핀축공(120b)에 삽입하여 전방브레이크(135) 후단부의 체결공(135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결합된다. 전방지지판(100)의 중앙상부 양측면에는 발등부위를 감싸며 조여주는 조임밴드(104)가 결합되며, 후반부 저면에는 길이조절공(105)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판(200)의 중반부 저면 양측에는 조절공(203a)이 뚫린 가이더(203)가 하향 돌출되고, 섀시프레임(200a) 전단부 좌우측으로는 중심부에 나사공(200c)이 뚫린 힌지축(200b)이 돌출된다. 후방지지판(200)의 전면부에는 중앙상면으로 위치고정돌기(202a)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길이조절바(202)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후방지지판(200)의 중앙부에는 상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저면 안착판(201a)에 걸림공(201b)이 뚫린 안착홈(201)이 형성된다. 뒤꿈치받침대(210) 전면 하반부에는 안내장공(210c)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후면과 저면이 개구된 작동실(210b)을 갖는 하우징(210a)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뒤꿈치받침대(210)의 하우징(210a)은 후방지지판(200)의 안착홈(201)에 장착되는 것으로, 작동실(210b) 내측에는 걸림훅크(211)와 받침쐐기(212)가 내장된다.
이때, 걸림훅크(211)는 전단부에 고리부(211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힌지공(211c)이 뚫리며 후단부에는 헤드부(211b)가 형성된다. 걸림훅크(211)의 고리부(211a)는 상기 안착판(201a)의 걸림공(201b)에 걸림된다. 헤드부(211b)의 양측 면에는 핀공(211d)이 뚫리고 하반부에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장착공(211e)이 형성된다. 걸림훅크(211)는 안내장공(210c) 외측면에 끼워진 슬라이더(213)에 힌지핀(213c)으로 힌지결합된다. 힌지핀(213c)은 일측 슬라이더(213)의 핀공(213a)으로 삽입되어 걸림훅크(211)의 힌지공(211c)을 관통하여 타측 슬라이더(213)의 핀공(213a)으로 삽입된다. 슬라이더(213)의 전방에는 안내장공(210c) 전면부에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213b)이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핀(213c)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슬라이더(213)의 일측면과 걸림후크(211)의 일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스프링(213d)이 결합된다. 여기서, 걸림훅크(211)의 장착상태를 살펴보면, 일측이 누름홀(212b)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슬라이더(213) 전방에 고정된 스프링(213b)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13)는 안내장공(210c)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 때 힌지핀(213c)으로 연결된 걸림훅크(211)가 슬라이드(213)와 함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또한, 힌지핀(213c)상에 끼워져 걸림훅크(211)의 일측면과 슬라이더(213)의 일측면에 양단이 고정된 토션스프링(213d)의 누름작용에 의해 걸림훅크(211)의 고리부(211a)는 힌지핀(213c)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눌러지게 된다. 즉, 슬라이더(213) 전방의 스프링(213b)에 의해 고리부(211a)가 후방으로 밀려나고 측면의 토션스프링(213d)에 의해 고리부(211a)가 반시계방향으로 눌려지게됨으로써, 걸림훅크(211)의 고리부(211a)는 후방지지판(200)의 안착판(201a)에 뚫린 걸림공(201b)에 긴밀히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받침쐐기(212)는 걸림훅크(211)의 장착공(211e)으로 삽입되어 걸림훅 크 (211)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받침쐐기(212)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누름홀(212b)과 양측면에 핀장공(212c)이 뚫린 받침부(212a)가 헤드부(212d)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받침부(212a)의 누름홀(212b) 내측으로는 측면에 핀공(214a)이 뚫리고 전면에 스프링(212b)이 결합된 누름구(214)가 장착되며 누름구(214)는 가이드핀(214c)에 의해 결합되어 누름홀(212b)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핀(214c)은 걸림훅크(211)의 헤드부(211b)에 뚫린 일측 핀공(211d)으로 삽입되어 받침부(212a)의 일측 핀장공(212c)으로 삽입된 후, 누름구(214)의 핀공(214a)과 받침부(212a) 타측 핀장공(212c)을 관통하여 걸림훅크(211)의 타측 핀공(211d)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받침쐐기(212)의 장착상태를 살펴보면, 일측이 누름홀(212b)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누름구(214) 전방에 고정된 스프링(214b)의 팽착력에 의해 받침쐐기(212)는 걸림훅크(211)의 고리부(211a) 방향으로 진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핀장공(212c)의 후면부가 가이드핀(214c)과 맞닿여 진입을 멈춘 상태에서 걸림훅크(211)의 저면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방 상단부에 섀시프레임(200a)의 힌지축(200b)에 끼움되는 힌지공(221)이 뚫리고, 상반부 중앙에 가이드홈(222)이 형성되며, 가이드홈(222) 바닥면에 조절공(223a)이 뚫린 가이더(223)가 상향 돌출되고, 저면 양쪽에 고정나사공(220a)이 뚫리며, 후방 하단부에는 핀축공(220b)이 뚫리고, 측면 하단부 양쪽에는 커버홈(228)이 뚫린 서포터(220)가 구비된다. 서포터(220)는 전방 상단부에 뚫린 힌지공(221)을 섀시프레임(200a)의 힌지축(200b) 바깥둘레에 끼워 넣고 힌지축(200b)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공(200c)에 힌지볼트(221a)를 체결함으로써, 서포터(220)는 섀시프레임(200b)에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200b)을 중심으로하여 각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지지판(200)의 가이더(203)와 서포터(220)의 가이더(22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24)이 장착되며,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224)은 상하단부가 후방지지판(200)의 가이더(203)와 서포터(220)의 가이더(223)의 바깥둘레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224)의 수축 및 팽창범위는 가이더(223)의 조절공(223a)과 코일 스프링(224)의 중심부를 관통한 후 가이더(203)의 조절공(203a)에 삽입되어 끝부분이 조절너트(226)와 체결되는 조절볼트(225)를 풀고 조임으로서 조절된다.
한편, 섀시프레임(200a) 양측에 결합된 서포터(220)의 저면에는 후방휠축(231)이 체결볼트(233)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후방휠축(231)은 체결공(231b)이 뚫린 고정캡(231a)을 서포터(220)의 저면에 맞대고 체결공(231b)으로 체결볼트(233)를 삽입하여 서포터(220) 저면양쪽에 뚫린 고정나사공(220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결합된다. 서포터(220)의 측면하단부 양쪽에 뚫린 커버홈(228)에는 휠축커버(227)를 결합한다. 후방휠축(231) 양단부에는 후방휠(230)을 삽입한 후 휠캡(234)을 각각 결합한다. 후방휠(130)은 중심부에 뚫린 축공(230a)으로 끼워지는 휠베어링(232)에 의해 서포터(220)에 고정된 후방휠축(231) 양단부에 회전가능상태로 끼움결합되며, 후방휠축(231)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31c)에 휠캡(234)을 체결하여 후방휠(2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서포터(220)의 후방 하단부에는 후방브레이크(235)가 결합되며, 후방브레이크(235)는 고정볼트(235b)를 서포터(220)의 핀축공(220b)에 삽입하여 후방브레이크(235)의 체결공(235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방지지판(100)과 후방지지판(200)은 조절수단으로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을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절수단은 후방지지판(200)의 길이조절바(202)를 전방지지판(100)의 길이조절공(105)으로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한 후 조절바고정장치 및 해제방지장치를 조작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제10-2006-0129554호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조절수단의 구성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 탈착식 롤러스케이트는 전방지지판(100) 및 후방지지판(2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서포터(120)(220)가 힌지축(121)(221)을 중심으로 각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완충작용을 하는 코일 스프링(124, 224)을 서포터(120, 220) 중심부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서 휠의 좌우 폭을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무게증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전방지지판(100)의 전단부에 결 합된 앞꿈치받침대(110)의 상하방향 높이조절과정을 살펴보면, 승강돌기(111)의 작동요홈(111b)에 결합된 스토퍼(112)를 손으로 당겨주면 스토퍼(112)는 힌지핀(1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각운동하여 스토퍼(112)의 걸림돌기(112a)가 승강홀(101)의 걸림홈(102)을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신발 앞꿈치 높이에 따라 앞꿈치받침대(110)를 상하로 승강시키면서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앞꿈치받침대(110)는 승강돌기(111)의 가이드홈(111a)이 승강홀(101)의 가이드레일(101a)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승강홀에서 이탈하여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고 가이드레일(101a)을 활주하면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앞꿈치받침대(110)를 승강시키면서 앞꿈치에 맞는 높이로 조절한 후에는 잡아당긴 스토퍼(1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스토퍼(112)의 걸림돌기(112a)가 승강홀(101)의 걸림홈(102)에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112)의 복귀과정은 작동요홈(111b) 내벽에 일측이 고정되고 스토퍼(112)의 전면 상부에 타측이 결합된 스프링(114)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112) 상단부가 잡아당겨지므로 힌지핀(1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후방지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구동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50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유니트(300)와 브레이크유니트(400) 및 후방구동휠축(600)을 섀시프레임(200a) 양측방으로 결합된 서포터(220)에 장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방구동휠축(600)은 중앙부에 구동기어(601)가 결합되고, 구동기어(601)와 인접한 일측방에는 마찰면부(602)가 마련되며, 좌우 양측방에는 평활면부(603)가 형성된다. 후방구동휠축(600) 양측에는 베어링캡(610)에 안착된 휠베어링(613)이 끼워지며, 베어링캡(610)을 서포터(220) 저면부에 맞대고 고정볼트(612)를 체결공(611)으로 삽입하여 고정나사공(220a)에 체결함으로써 후방구동휠축(600)은 서포터(220) 저면 중앙부에 장착된다. 후방구동휠축(600)은 휠베어링(613)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 후방구동휠축(600)의 양측 평활면부(603)에는 후방휠(630)이 고정장착되어 후방구동휠축(600)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후방휠(630)은 축공(630a)으로 결합되는 걸림구(640)에 의해 후방구동휠축(600) 양단에 고정장착되는 것으로, 후방휠(630)의 축공(630a) 안쪽둘레면에 결합돌기(631)가 형성되고, 결합돌기(631)는 걸림구(640) 일측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결합요홈(641)과 맞물리게 되며, 걸림구(640) 중앙에 뚫린 키홀(642)에 후방구동휠축(600)의 평활면부(603)가 삽입됨으로써 후방구동휠축(600)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고정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구동유니트(300)는 고정볼트(302)에 의해 지지플레이트(301c)가 서포터(220) 일측에 결합되는 유니트하우징(301)이 구비된다. 섀시프레임(200a)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유니트하우징(301)의 상부하우징(301a) 내측에는 제 1 타이밍기어(311)를 갖는 모터(310)가 장착되고, 서포터(220) 내측으로 위치하는 하부하우징(301b)의 내측에는 제 1 타이밍기어(31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2 타이밍기어(321)가 제 1 종동축(3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 1 종동축(320)의 타측에는 제 2 종동축(330)의 제 2 베벨기어(331)와 맞물리는 제 1 베벨기어(322)가 결합되며, 제 2 종동축(330)의 타측에는 제 3 종동축(340)의 제 2 전달기어(341)와 맞물리는 제 1 전달기어(332)가 결합된다. 제 1 타이밍기어(311)와 제 2 타이밍기어(321)는 타이밍벨트(312)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전달기어(341)는 후방구동휠축(600)의 구동기어(601)와 맞물리며, 하부하우징(301b) 후면에는 콘트롤러(500)의 제어라인(501) 내측의 전원케이블(502) 단부에 마련된 연결잭(502a)이 꽂히는 커넥터(350)가 결합된다. 물론, 이와 같은 구동유니트(300)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동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모터(310)와 커넥터(350)는 유니트하우징(301)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콘트롤러(500) 내부의 배터리(508) 전원은 콘트롤러(500) 전방 상부에 마련된 콘트롤패널(507)을 조작하여 모터(310)로 전달시키게 된다. 모터(310)가 회전하면 하부하우징(301b) 내부의 기어들이 회전하여 제 2 전달기어(341)와 맞물린 구동기어(601)가 회전하여 후방구동휠축(600)을 회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라스케이트는 모터(310)의 회전력에 의해 자동으로 지면을 활주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니트하우징(301)의 하부하우징(301b) 내부에는 브레이크유니트(400)가 내장된다. 브레이크유니트(400)는 후방구동휠축(600)의 마찰면부(602) 바깥둘레면에 맞닿이는 패드(402)가 저면에 결합된 브레이크슈(401)와, 고정볼트(405)에 의해 서포터(220) 후방 내측에 마련된 연결플레이트(406)에 결합되는 고정하우징(403) 및 고정하우징(403)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404)으로 구성된다. 브레이크슈(401)의 후방의 슬라이드부(401a)는 고정하우징(403) 내측에 삽입되며 슬라이드부(401a) 후면에는 걸림공(401b)이 형성된다. 걸림공(401)에는 콘트롤러(500)의 제어라인(501) 내측의 와이어(503) 단부에 마련된 연결돌기(503a)가 결합된다. 콘트롤러(500)의 조작레버(506)를 작동시켜 와이어(503)를 당겨주게 되면, 브레이크슈(401)의 후방의 슬라이드부(401a)는 고정하우징(403) 내측으로 진입하고, 브레이크슈(401) 저면의 패드(402)는 마찰면부(602)와 맞닿이게 됨으로써 후방구동휠축(600)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빠른 속도감을 체험하면서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게 되며, 원거리 이동이 가능하여 학생이나 일반인들의 등하교 시 또는 출퇴근 시 대체 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유니트(300)를 좌우 양측의 롤러스케이트에 동시에 장착할 시 콘트롤러(500)의 제어라인(501)을 허리밴드(510)에서 분기하여 양측 롤러스케이트의 구동유니트(300)에 연결함으로써, 보다 더 빠른 속도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롤러보드(700)에 장착시키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완충구조는 롤러스케이트와 같이 휠을 사용하는 스포츠 용품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는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전방지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후방지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후방지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구동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의 콘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저면사시도와 분리상태 저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방지지판 101 : 승강홀
102 : 걸림홈 103, 203 : 가이더
110 : 앞꿈치받침대 111 : 승강돌기
112 : 스토퍼 120, 220 : 서포터
122, 222 : 가이드홈 124, 224 : 코일 스프링
125, 225 : 조절볼트 130 : 전방휠
131 : 전방휠축 200 : 후방지지판
201 : 안착홈 201a : 안착판
201b : 걸림공 210 : 뒤꿈치받침대
210b : 작동실 210c : 안내장공
211 : 걸림훅크 211a : 고리부
211b : 헤드부 211e : 장착공
212 : 받침쐐기 231 : 후방휠축
300 : 구동유니트 310 : 모터
400 : 브레이크유니트 401 : 브레이크슈
500 : 콘트롤러 503 : 와이어
600 : 후방구동휠축 601 : 구동기어
602 : 마찰면부 613 : 휠베어링
630 : 후방휠
Claims (4)
- 앞꿈치받침대(110)가 전단부에 결합된 전방지지판(100)과, 뒤꿈치받침대(210)가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지지판(20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전후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조정하여 신발을 장착한 후 롤러스케이팅을 수행하게 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있어서,상기 전방지지판(100) 및 후방지지판(200) 각각은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더(103, 203)를 갖고;상측의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판(100)과 후방지지판(200)에 각각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각 가이더(103, 2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22, 222)이 각각 형성되며, 하측에 전방휠축(131)과 후방휠축(231)이 각각 결합되는 서포터(120, 220)와;상기 각 가이더(103, 203)에 삽입되어 상기 각 서포터(120, 220)의 가이드홈(122, 222)에 안치되는 코일 스프링(124, 224) 및;상기 각 가이더(103, 203) 및 가이드홈(122, 222)을 통해 상기 각 전후방지지판(100, 200) 및 서포터(120, 220)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4, 22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25, 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방지지판(100)은 전단부에 전면, 상면 및 하면방향으로 개구되고, 내벽에 걸림홈(102)이 수직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승강홀(101)을 구비하고,상기 앞꿈치받침대(110)는 상기 승강홀(101)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승강돌기(111)를 갖고, 일단이 상기 승강돌기(111)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어 상기 걸림홈(102)에 맞물리는 스토퍼(112)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112)를 상기 걸림홈(10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앞꿈치받침대(110)를 승강시키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후방지지판(200)의 중앙부에는 상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저면 안착판(201a)에 걸림공(201b)이 뚫린 안착홈(201)을 형성하며,상기 뒤꿈치받침대(210) 전면 하반부에는 안내장공(210c)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후면과 저면이 개구된 작동실(210b)을 갖는 하우징(210a)을 전방으로 돌출형성하여 상기 후방지지판(200)의 안착홈(201)으로 삽입하고,상기 작동실(210b) 내측에는 걸림훅크(211)와 받침쐐기(212)를 내장하되,상기 걸림훅크(211)는 전단부에 고리부(211a)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판(201a)의 상기 걸림공(201b)에 걸림되도록 하며, 헤드부(211b) 하반부에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장착공(211e)에 상기 받침쐐기(212)를 결합하여 상기 걸림훅크(211) 저면을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훅크(211)의 고리부(211a)가 상기 걸림공(201b)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앞꿈치받침대(110)가 전단부에 결합된 전방지지판(100)과, 뒤꿈치받침대(210)가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지지판(20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전후 길이를 조절수단으로 조정하여 신발을 장착한 후 롤러스케이팅을 수행하게 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에 있어서,상기 전방지지판(100) 및 후방지지판(200) 각각은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더(103, 203)를 갖고;상측의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판(100)과 후방지지판(200)에 각각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각 가이더(103, 2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22, 222)이 각각 형성되는 서포터(120, 220)와;상기 각 가이더(103, 203)에 삽입되어 상기 각 서포터(120, 220)의 가이드홈(122, 222)에 안치되는 코일 스프링(124, 224)와;상기 각 가이더(103, 203) 및 가이드홈(122, 222)을 통해 상기 각 전후방지지판(100, 200) 및 서포터(120, 220)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4, 22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25, 225)와;양단부에 전방휠(130)이 회전가능토록 장착되고, 상기 전방지지판(100)의 서 포트(12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전방휠축(131)과;양단부에 후방휠(630)이 고정되도록 장착되고, 중앙부에 구동기어(601)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601)와 인접한 일측방에 마찰면부(602)가 설치되며, 좌우 양측방에 결합되는 휠베어링(613)에 지지되어 상기 후방지지판(200)의 서포트(22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방구동휠축(600)과;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이 결합되는 상기 서포트(220)에 결합되고, 모터(31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601)에 전달하여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니트(300)와;브레이크슈(401)의 패드(402)가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의 마찰면부(602)와 맞닿이도록하여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유니트(400) 및;상기 구동유니트(300)의 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모터(31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브레이크슈(401)와 와이어(503)로 접속되어 상기 후방구동휠축(6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7864A KR101002688B1 (ko) | 2008-04-23 | 2008-04-23 |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7864A KR101002688B1 (ko) | 2008-04-23 | 2008-04-23 |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146A KR20090112146A (ko) | 2009-10-28 |
KR101002688B1 true KR101002688B1 (ko) | 2010-12-24 |
Family
ID=4155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7864A KR101002688B1 (ko) | 2008-04-23 | 2008-04-23 |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26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9258B1 (ko) * | 2020-06-30 | 2021-06-24 | 한신규 | 롤러스케이트용 트럭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2996Y1 (ko) | 2003-08-09 | 2003-11-12 | 윤영우 | 조립식 다용도 인라인 스케이트 |
KR200392500Y1 (ko) | 2005-05-31 | 2005-08-17 | 장성만 |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
-
2008
- 2008-04-23 KR KR1020080037864A patent/KR1010026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2996Y1 (ko) | 2003-08-09 | 2003-11-12 | 윤영우 | 조립식 다용도 인라인 스케이트 |
KR200392500Y1 (ko) | 2005-05-31 | 2005-08-17 | 장성만 |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146A (ko) | 2009-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22051B2 (en) | Running machine | |
CN107303419B (zh) | 楼梯机 | |
US5465984A (en) |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 |
AU663802B2 (en) |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 |
US20080256831A1 (en) | Skate Shoe | |
CN101277743A (zh) | 具有双支点铰接力杆的运动器械 | |
US4700958A (en) | Device apt to permit skiing on snowless ground | |
JPS58500007A (ja) | 運動靴の密着装置 | |
KR101002688B1 (ko) | 신발 착탈식 롤러스케이트 | |
US6283481B1 (en) | Braking control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 |
US20030155744A1 (en) |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indings | |
KR20060136054A (ko) |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 |
AT511822B1 (de) | Bremsvorrichtung für skiroller und rollski | |
CN208591500U (zh) | 一种简易式腿部康复行走器 | |
KR101316246B1 (ko) | 스포츠 휠체어용 발판 각도 조절장치 | |
KR102225063B1 (ko) |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 |
DE69918226T2 (de) | Rollschuh mit einer Bremsvorrichtung | |
US5918888A (en) |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 |
KR20060028948A (ko) |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 |
KR101620551B1 (ko) |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는 스노우 보드 | |
KR200414574Y1 (ko) | 인라인 스케이트 | |
CN216293178U (zh) | 一种高度可调的保健鞋 | |
US9339717B2 (en) | Apparatus for altering the ramp angle of a ski binding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fore-aft) balance of a skier | |
KR101430212B1 (ko) | 제동수단을 갖는 인라인스케이트 | |
RU2301100C2 (ru) | Роликовые коньки (вариант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