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81B1 - Complex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mplex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81B1
KR101002681B1 KR1020080063266A KR20080063266A KR101002681B1 KR 101002681 B1 KR101002681 B1 KR 101002681B1 KR 1020080063266 A KR1020080063266 A KR 1020080063266A KR 20080063266 A KR20080063266 A KR 20080063266A KR 101002681 B1 KR101002681 B1 KR 10100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utensil
cooking apparatus
utensi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3393A (en
Inventor
김현성
김송미
Original Assignee
김현성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성,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현성
Priority to KR102008006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81B1/en
Publication of KR2010000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믹서, 커피포트 및 전기밥솥과 같은 조리기구를 일체로 결합시킨 복합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는 각각 분리되는 여러 조리기구가 일체로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조리기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의 중심에 구비되고 외부의 상용전원이 연결되는 원형단자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형단자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조리기구;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는 각각의 조리기구를 일체로 구성함으로 독신가정의 좁은 주방에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각각의 조리기구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in which a cooking appliance such as a mixer, a coffee pot, and an electric rice cooker used at home are integrally combined, and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separate cooking. In the cooking apparatus is used to combine and separate the instrument integrally, the base uni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 rotatable portion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respective cooking apparatus is seated, the base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including a circular terminal provided at a center of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r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nd a contact terminal provided below the rotating part and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terminal; And a cooking utensil coupled to each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The complex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kitchen of a single family by constructing each cooking utensil integrally. Since each cooking utensil can be used while rota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narrow space.

베이스부, 회전부, 회전축, 전원공급부, 조리기구, 원형단자, 파지부 Base part, rotating part, rotating shaft, power supply part, cooking utensil, round terminal, grip part

Description

복합 조리장치{COMPLEX COOKING APPARATUS}Compound cooking device {COMPLEX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믹서, 커피포트 및 전기밥솥과 같은 조리기구를 일체로 결합시킨 복합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믹서, 커피포트 및 전기밥솥과 같은 조리기구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은 물론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작은 공간에 상기 조리기구들은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고, 상기 조리기구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in which a cooking appliance such as a mixer, a coffee pot, and an electric rice cooker, which are used at home, are integrally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cooking apparatus such as the mixer, a coffee pot, and an electric rice cooker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cooking apparatus that allows the cooking utensils to be disposed in a small space, as well as to rotate, thereby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effectively using the cooking utensils.

각 가정에서는 음식을 만드는데 여러 조리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조리기구 중 전기로 작동되는 조리기구에는 믹서, 커피포트, 전기밥솥 및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상기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조리기구는 가족 구성원의 수와 사용빈도에 따라 용량의 차이가 있을 뿐 가정마다 대부분 상기의 조리기구들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Each household uses several cooking utensils to make food. Among these cookware, electric cookers include a mixer, a coffee pot, an electric rice cooker, and a microwave oven. The cooker operated by the electric appliances has a capacit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frequency of use. In reality, most of the cooking utensils are provided every time.

즉, 여러 가족이 함께 사는 일반가정이나 한 사람이 사는 독신 가정이나 상기 전기로 작동되는 조리기구들은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ther words, it is common to have a general home where several families live together, a single home where one person lives, or all of the electric cooking appliances.

특히, 일반가정에 비해 독신가정의 경우 음식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조리 하기 위해 전기로 작동되는 조리기구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single-family homes are using more electric cooking utensils to cook food easily and quickly compared to the general home.

그러나 일반가정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주택을 사용하는 독신가정의 경우 좁은 주방에 믹서, 커피포트, 전기밥솥 및 전자레인지와 같은 조리기구를 모두 비치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in the case of single-family homes that use relatively small houses, it is difficult to have all the cooking equipment such as mixers, coffee pots, rice cookers, and microwave ovens in narrow kitchens.

따라서, 전기로 작동되는 조리기구를 제작하는 전자제품회사에서도 최근 급증하고 있는 독신가정을 위해 작은 용량의 조리기구들을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 Therefore, an electronics company that manufactures an electrically operated cookware manufactures and sells a small amount of cookware for a single household that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그러나 독신가정을 위해 좁은 공간에 적합하게 소형 조리기구가 제작되어 있다 하여도 이들 조리기구를 모두 주방에 비치하기 위해서는 일정 공간이 필요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독신가정의 좁은 주방에 이와 같이 여러 조리기구를 비치하게 되면 상기 조리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들이 좁은 공간에서 서로 엉켜 합선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even if small cooking utensils are made for a small space for a single family, a certain space is required to have all of these cooking utensils in the kitchen. If it is provided with the wir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okw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a narrow space may cause a fire due to a short circu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는 좁은 공간에도 여러 조리기구를 설치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 또한 편리한 복합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he object of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a variety of cooking utensils in a narrow space, as well as to provide a complex cooking apparatus that is convenient to use.

또한, 여러 조리기구들은 단일 전원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기구들의 전선이 서로 합선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various cooking utensils to be available through a single power source is to prevent the short circuit of the cooking utensils to cause a f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는 각각 분리되는 여러 조리기구가 일체로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조리기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의 중심에 구비되고 외부의 상용전원이 연결되는 원형단자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형단자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조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several cooking utensils are separated and used integrally, respectively, the base uni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he base unit on the top Rotating part rotatably attached and the seating groove in which each cooking utensil is seated, a circular terminal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nd a lower end of the rotating pa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terminal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contact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cooking utensil coupled to each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안착홈에 결합 및 분리될 때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파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oking utens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is easy to grasp when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조리기구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힌지를 경계로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는 누름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누름돌기를 누르면 상기 힌지를 경계로 상기 손잡이가 조리기구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is a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utensil, the handle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rotatably in the groove, and the hinge is connected to the handle at the boundary Consists of a pressing projection, the press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utensils around the hing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는 각각의 조리기구를 일체로 구성함으로 독신가정의 좁은 주방에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각각의 조리기구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kitchen of a single family by constituting each cooking utensil integrally, and can be used while rotating each cooking utensi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또한, 하나의 전원으로 각각의 조리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전선의 합선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cooking utensil can be used simultaneously with one power sourc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fire due to a short circuit of a conventional wire.

또한, 상기 조리기구의 측면에 설치된 파지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리기구가 본체에 신속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each cooking utensil can be quickly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by using a gripp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 조리장치의 안착홈으로부터 조리기구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복합 조리장치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구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리기구의 파지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환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cooking utensils from the seating groove of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3 is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of Figure 1 4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ooking utensil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pping portion of the cooking utensil of FIG. 4.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1)는 상부가 회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 및 분리되고 음식의 조리가 가능한 각각의 조리기구(20)로 구성된다.1 and 2,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the upper portion rotates, each cooking utensil 20 capable of cooking food It is composed of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조리기구(20)가 탈/부착되는 회전부(200) 및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조리기구(20)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0)가 주요구성품으로 구성된다.2 and 3, the main body 10 is rotated about the base part 100 and the base part 100, and the rotating part 200 to which the cooking utensil 20 is detached / attached and the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The power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the power to each of the cooking utensils 20 is configured as a main component.

상기 베이스부(100)는 본체(10)의 저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원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에는 회전축(110)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의 외주면 부근에는 후술 될 롤러(220)가 접촉되는 레일(120)이 형성된다.The base part 100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disc shape, and a rotation shaft 11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the rail 120 to which the roller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tacted is formed ne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회전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동일한 평면으로 제작되고 하부에 형성된 축삽입공(210)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회전축(110)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rotating part 200 is installed above the base part 100. The rotating part 200 is manufactured in the same plane as the base part 100 and is rotated in the base part 100 by inserting the rotary shaft 110 of the base part 100 into the shaft insertion hole 210 formed at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install.

또한, 회전부(20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롤러(220)가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롤러(220)는 베이스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120)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 상부에서 회전될 때 베이스부(100)의 상부와 회전부(200)의 하부 측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회전부(200)가 베이스부(100)의 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ller 220 is installed at the lower edge of the rotating part 200 at uniform intervals. The roller 220 is mov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12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rotation portion 200 of the base portion 100 when the rotating portion 200 is rotated on the base portion 100 In addition to preventing friction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art 200, the rotating part 200 may be rotat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plane of the base part 1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부(200)에는 측면으로 오목하게 안착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30)은 회전부(200)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가 형성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세 개 또는 네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네 개 이상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rotating par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with a recess groove 230 concave to the side. The seating groove 230 is form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ree or four are formed in order to use the space efficient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ur or more may be formed as necessary.

또한, 상기 각각의 안착홈(230)의 내부에는 각 안착홈(230)에 대응되는 제어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230)에 인접한 측면 또는 평면에는 해당 안착홈(230)에 설치되는 조리기구(20)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510)가 구비되며, 안착홈(230)의 저면에는 후술될 전원공급부(30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조리기구(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접점(5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each seating groove 23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500 corresponding to each seating groove 230,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230 on the side or plane adjacent to the seating groove 230 An operation switch 510 for operating the cooker 20 to be provided is provided, and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230 is a contact point to enable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lied to the cooker 20. 520 is formed.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각각의 조리기구(20)에 공급시키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된 상용전원이 직접 공급되는 원형단자(310)와 상기 원형단자(310)에 공급된 전원을 회전부(200)의 안착홈(230)에 체결된 조리기구(20)에 공급하는 접촉단자(320)로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each of the cooking utensils 20, the circular terminal 310 directly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circular terminal 310. It consists of a contact terminal 320 for supplying to the cooking appliance 20 fastened to the seating groove 230 of the rotating part 200.

먼저, 상기 원형단자(31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00)의 회전축(110) 외부에 설치되고, 제 1 원형단자(311)와 제 2 원형단자(312) 및 상기 제 1 원형단자(311)와 제 2 원형단자(312)를 분리시키는 분리판(313)으로 구성된다.First, the circular terminal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is installed outside the rotating shaft 110 of the base portion 100, the first circular terminal 311 and the second circular terminal 312 ) And a separating plate 313 separating the first circular terminal 311 and the second circular terminal 312.

상기 설명된 원형단자(3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 원형단자(311)와 제 2 원형단자(312)는 동일한 원형판으로 제작되고 그 재질은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circular terminal 310 in more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ircular terminal 311 and the second circular terminal 312 is made of the same circular plate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 highly conductive metal. .

상기 분리판(313)은 상기 제 1 원형단자(311)와 제 2 원형단자(312)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그 직경은 상기 제 1, 2 원형단자(311,31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ing plate 313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circular terminal 311 and the second circular terminal 312, the diameter is the same as the first, second circular terminal (311, 312). It is desirable to be made a little larger.

상기 접촉단자(320)는 상기 회전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형단자(310)에 접촉되어 외부에서 원형단자(3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데 사용되고 원형단자(310)에서 공급받은 전력은 다시금 회전부(200)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제어부(500)로 공급하게 된다.The contact terminal 32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200, the contact terminal 320 is used to receive power from the circular terminal 310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ircular terminal 310 Is again supplied to each control unit 500 provided in the rotating unit 200.

이와 같은 접촉단자(320)는 상기 베이스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부(200)가 회전될 때에도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contact terminal 320 is installed so that power can be smoothly supplied even when the rotating part 200 is rotated around the base part 100.

상기 접촉단자(32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애자(323)와 상기 애자(323)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 1 접촉단자(321) 및 제 2 접촉단자(322)로 구성된다.The contact terminal 3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insulator 323 provided below the rotating part 200 and the first contact terminal 321 and the second protruding sideways from the insulator 323 are described. The contact terminal 322 is composed of.

상기에서 제 1 접촉단자(321)는 상기 설명된 제 1 원형단자(311)의 외주면에 항시 접촉되게 되고, 제 2 접촉단자(322)는 제 2 원형단자(312)의 외주면에 항시 접촉된다.The first contact terminal 321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rcular terminal 311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tact terminal 322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rcular terminal 312.

따라서 상기 회전부(20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의 원형단자(310)의 외주면에 접촉단자(320)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항시 원형단자(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rotating part 200 is rotated, the contact terminal 320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terminal 310 inside the base part 100 at a constant pressure so that power is always supplied from the circular terminal 310.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기구(20)는 믹서, 커피포트 및 전기밥솥 등이 사용된다. 이들 조리기구(20)는 상부에 덮개(21)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21)를 통해 음식물을 넣고 조리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조리기구(20)의 내부에는 믹서의 경우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전기밥솥과 커피포트의 경우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조리기구(20)의 구성 및 작동방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4 and 5, the cooking utensil 20 may be a mixer, a coffee pot, an electric rice cooker, or the like. These cooking utensils 20 are provided with a cover 21 at the top to put the food through the cover 21 to cook. In addition, the inside of each cooking utensil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grinding blade and the grinding blade in the case of a mixer, a hea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case of an electric rice cooker and a coffee pot.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20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general,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각각의 조리기구(20)는 회전부(200)의 측면에 구비된 안착홈(230)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서, 안착홈(230)에 설치 및 분리될 때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외부에 파지부(400)가 구비된다.Each of the cooking utensils 2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eating recesses 23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200, and when the mounting apparatus 230 is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seating recesses 230, the grippers are provided on the outside for easy grip by the user. 400).

상기 파지부(400)는 조리기구(20)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미관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조리기구(20)의 측면에 삽입되게 설치된 후 사용될 때에만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gripper 400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20, i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nly when used after being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20 for aesthetics and convenience of use. have.

상기에서 사용될 때에만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부(400)를 살펴보면, 상기 파지부(400)는 조리기구(20)의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410)과, 상기 홈(410)과 상단부가 힌지(420)로 결합된 손잡이(440)와, 상기 힌지(420)를 경계로 손잡이(440)의 상단에 결합된 누름돌기(430)로 구성된다.Looking at the gripping portion 400 protruding to the outside only when used in the above, the gripping portion 400 is a groove 41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20 and the groove 410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handle 440 coupled to the hinge 420, and a push protrusion 43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440 at the boundary of the hinge 420.

이와 같이 구성된 파지부(400)는 사용자가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조리기구(20)를 잡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기구(20)의 측면에 형성된 홈(410)의 내부로 상기 누름돌기(430)를 누르면 상기 힌지(420)를 경계로 지렛대와 같이 상기 손잡이(440)가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이다. 또한, 손잡이(440)에서 손을 떼면 손잡이(440)는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4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홈(410)에 삽입되게 된다.The holding part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when the user is to hold the cooking utensil 20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and the inside of the groove 410 form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20. Pressing the push protrusion 430, the handle 44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such as a lever with respect to the hinge 420. In addition, when releasing the handle 440, the handle 440 is rotated about the hinge 420 by its own weigh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1)의 사용을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use of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1)는 동시에 여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여러 조리기구(20)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체(10)의 회전부(200)에 구비된 안착홈(230)에 각각의 조리기구(20)가 설치된다.1 to 5,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oking utensils 20 to be able to cook several foods at the same time, to the rotating part 200 of the main body 10 Each cooking utensil 20 is installed in the provided seating groove 230.

상기 조리기구(20) 중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기구(20)를 회전부(200)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해당 조리기구(20)의 덮개(21)를 개방한 뒤 음식물을 투입한 후 덮개(21)를 다시 닫고 작동스위치(510)를 조작하여 요리를 시작하게 한다.Rotating the rotating unit 200 of the cooking utensils 20 to be used among the cooking utensils 20 are placed on the front of the user, the cover 21 of the corresponding cooking utensils 20 is opened, and the food is put into the cover. Close 21 again and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510 to start cooking.

첫 번째 조리기구(20)가 작동되고 있는 동안 다른 조리기구(2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금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다른 조리기구(20)가 사용자의 앞에 위치되게 하고 사용자는 두 번째 조리기구(20)의 덮개(21)를 열고 음식물을 조리기구(20)의 내부로 투입한 뒤 덮개(21)를 닫고 해당 조리기구(20)의 작동스위치(510)를 조작하여 해당 조리기구(20)에서 음식물이 조리되게 한다.If you want to use another cooking utensil 20 while the first cooking utensil 20 is in operation, rotate the rotating unit 200 again so that the other cooking utensil 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and the second cooking utensil. Open the cover 21 of the 20, injecting food into the cooking utensil 20, close the cover 21 and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510 of the cooking utensil 20, the cooking utensil 20 Allow food to be cooked in.

상기와 같이 첫 번째 조리기구(20)와 두 번째 조리기구(20)가 작동되는 동안 세 번째 조리기구(2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과정과 같이 세 번째 조리기구(20)를 사용자의 앞으로 이동되게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세 번째 조리기구(20)가 사용자의 앞으로 이동되면 상기 과정들과 같이 세 번째 조리기구(20) 상부의 덮개(21)를 분리시킨 뒤 상기 조리기구(20) 내부로 음식물을 투입시키고 덮개(21)를 닫아 세 번째 조리기구(20)를 작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cookware 20 is to be used while the first cookware 20 and the second cookware 20 are operated, the third cookware 20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cooking utensil 20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user by rotating the rotating unit 200, the cover 21 of the upper part of the third cooking utensil 20 is detach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inside the cooking utensil 20. Put food into the furnace and close the cover 21 to operate the third cooking utensil 20.

상기와 같이 각각의 조리기구(20)에 의해 음식이 조리되고 있는 중 특정 조리기구(20)에서 조리가 완료되면 그 순서에 상관없이 조리가 완성된 조리기구(20)를 사용자의 앞에 위치되도록 회전부(200)를 회전시키고 사용자의 앞에 놓인 조리기구(20)는 회전부(200)의 안착홈(230)에서 분리시켜 덮개(21)를 개방한 뒤 조리가 끝난 음식물을 식기에 옮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oking is completed in the specific cooking utensil 20 while the food is being cooked by each cooking utensil 20, the rotating unit is positioned so that the cooking utensil 20 is completed in front of the user regardless of the order. Rotating the 200 and the cooking utensil 20 placed in front of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230 of the rotating part 200 to open the cover 21, and then transfer the cooked food to the tableware.

상기 설명된 세 가지의 조리기구(20)는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믹서, 커피포트 및 전기밥솥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조리기구(20)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three cooking utensils 20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by using a mixer, a coffee pot, and an electric rice cooker, which are typically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cooking utensils 20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used.

이와 같이, 각각의 조리기구(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기구(20)가 자신의 앞에 놓이도록 회전부(200)를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조리기구(20)에서 음식의 조리가 끝난 뒤에는 음식을 식기에 담기 위해 각각의 조리기구(20)를 회전부(200)의 안착홈(230)에서 분리시키면 되고, 조리기구(20)를 안착홈(230)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체결시킬 때에는 조리기구(20) 측면에 구비된 파지부(400)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such, in order to use each of the cooking utensils 20, the user may rotate the rotating unit 200 so that the cooking utensils 20 to be used are placed in front of their own. In addition, after the cooking of the food is finished in the cooking utensil 20, each cooking utensil 2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230 of the rotating part 200 in order to put the food in the tableware, and seat the cooking utensil 20 When detaching or fastening from the groove 230, the holding unit 40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20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1)는 회전가능한 회전부(200)가 구비된 하나의 본체(10)에 각각의 조리기구(20)를 탈/부착시켜 사용하므로 좁은 주방에 다양한 조리기구(2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각각의 조리기구(20)를 회전시켜가며 사용하므로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various cooking utensils in a narrow kitchen because the cooking utensils 20 are detached / attached to one main body 10 provided with the rotatable rotating part 200. 20) can be installed and used, so that each cooking utensil 20 to be used is rotated and used quickly and convenientl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pecific to the above embodim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ll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x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복합 조리장치의 안착홈으로부터 조리기구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ooking utensils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of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of FIG.

도 3은 도 1의 복합 조리장치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of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구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oking utensil shown in FIG.

도 5는 도 4의 조리기구의 파지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환대 단면도이다.FIG. 5 is a hospitality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grip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4.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복합 조리장치 10: 본체1: Combined Cooker 10: Main Unit

20: 조리기구 100: 베이스부20: cooking utensil 100: base portion

110: 회전축 200: 회전부110: rotating shaft 200: rotating part

210: 축삽입공 220: 전원공급부210: shaft insertion hole 220: power supply

230: 안착홈 310: 원형단자230: seating groove 310: circular terminal

320: 접촉단자 400: 파지부320: contact terminal 400: gripping portion

410: 홈 420: 힌지410: groove 420: hinge

430: 누름돌기 440: 손잡이430: push button 440: the handle

500: 제어부 510: 작동스위치500: control unit 510: operation switch

Claims (3)

각각 분리되는 여러 조리기구가 일체로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되는 조리장치(1)에 있어서,In the cooking apparatus (1) in which several cooking utensil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integrally combined and separated and used,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조리기구(20)가 안착되는 안착홈(230)이 형성된 회전부(2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의 중심에 구비되고 외부의 상용전원이 연결되는 원형단자(310)와, 상기 회전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형단자(3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단자(320)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220)를 포함하는 본체(10); 및Rotating part 200 is formed with a base portion 10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 mounting groove 230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respective cooking utensils 20 are seated; And a circular terminal 310 provided at a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200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terminal 310. A main body 10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220 having a contact terminal 320; And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230)에 결합되는 조리기구(20);를 포함하는 복합 조리장치.And a cooking utensil (20) coupled to each seating groove (230) formed in the main body (1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리기구(20)는,The cooking utensil 20, 상기 안착홈(230)에 결합 및 분리될 때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파지부(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장치.Composite coo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portion 400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user when the coupling groove 230 is coupled and separa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파지부(400)는,The holding unit 400, 상기 조리기구(20)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410)과, 상기 홈(410)에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420)로 결합된 손잡이(440)와, 상기 힌지(420)를 경계로 상기 손잡이(440)와 연결되어 있는 누름돌기(430)로 구성되고, 상기 누름돌기(430)를 누르면 상기 힌지(420)를 경계로 상기 손잡이(440)가 조리기구(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장치.A groove 41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utensil 20, a handle 440 coupled to the groove 410 by a hinge 420 so as to be rotatable, The pressing protrusion 430 is connected to the handle 440 at the boundary of the hinge 420, and pressing the pressing protrusion 430, the handle 440 is cooking utensils around the hinge 420 Complex coo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20).
KR1020080063266A 2008-07-01 2008-07-01 Complex cooking apparatus KR101002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266A KR101002681B1 (en) 2008-07-01 2008-07-01 Complex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266A KR101002681B1 (en) 2008-07-01 2008-07-01 Complex cook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93A KR20100003393A (en) 2010-01-11
KR101002681B1 true KR101002681B1 (en) 2010-12-20

Family

ID=4181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266A KR101002681B1 (en) 2008-07-01 2008-07-01 Complex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6742A1 (en) * 2019-01-10 2020-07-1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vessel and fabri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5098A (en) 1998-08-06 1999-02-02 Anelli; Deborah J. Multiple container slow cooker device
KR200345845Y1 (en) 2004-01-07 2004-03-25 주식회사 오퀸 rice - slow double coo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5098A (en) 1998-08-06 1999-02-02 Anelli; Deborah J. Multiple container slow cooker device
KR200345845Y1 (en) 2004-01-07 2004-03-25 주식회사 오퀸 rice - slow double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93A (en)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88488Y (en) Oven with mini cooking device
US10561274B2 (en) Multifunction electric oven
CN110101319B (en) Pressure cooker with air frying pan function
US20120213900A1 (en) Cooking appliance
CN104586233A (en) Electric caldron with baking function
US6884971B2 (en) Slow cooker with dual heating elements
KR101869131B1 (en) Kitchenware item provided with a handle that electrically cooperates with a removable accessory
WO200708832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nd mixer arrangements
CN107752746B (en) Cooking utensil
KR101002681B1 (en) Complex cooking apparatus
CN101862132B (en) Two-piece toaster
CN211961814U (en) Multifunctional oven
KR200420976Y1 (en) Rotating table apparatus of a dining table
CN204146894U (en) Decoct roasting machine
CN105394947A (en) Embedded type disinfection cabinet and cupboard with microwave cooking function
US20150257575A1 (en) Cooking unit and assembly thereof
US20170354297A1 (en) Assembly for preparation of meals for infants, in particular meals for babies
CN212261128U (en) Breakfast machine
GB243543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nd mixer arrangements
CN102908060A (en) Multifunctional frying and baking machine
CN104586234A (en) Electric caldron with light wave baking function
CN209391809U (en) Food processing device
CN201066158Y (en) Micro-wave oven
CN220236688U (en) Multifunctional cooking equipment for baking food
CN219699606U (en) Multi-cooking-mod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