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56B1 -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56B1
KR101002656B1 KR1020080076261A KR20080076261A KR101002656B1 KR 101002656 B1 KR101002656 B1 KR 101002656B1 KR 1020080076261 A KR1020080076261 A KR 1020080076261A KR 20080076261 A KR20080076261 A KR 20080076261A KR 101002656 B1 KR101002656 B1 KR 101002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grape
grapes
sugar conten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686A (ko
Inventor
손재룡
이강진
강석원
박유석
홍현유
손재환
이종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7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43Emiss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25Fruits or vege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포도는 여타 과일과는 달리 한 송이가 통상 수십 개의 작은 포도 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포도의 위치에 따른 당도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표성 있는 부위를 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당도를 판정함으로써 당도에 따른 포도 선별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포도를 선별·출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바, 컨베이어 벨트(1) 위에서 포도송이(G)를 이송시키면서 당도 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1)를 따라 이송되며 포도송이(G)가 안치되는 이송 트레이(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설치되어 이송 트레이(10)에 안치된 포도송이(G)의 양면 소정영역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여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스펙트럼 형태로 변환시키고 전기신호로 바꾸는 광검출기(20)와; 상기 광검출기(20)에서 감지된 포도의 당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당도예측모델식에 대입하여 포도의 당도를 판정하는 컴퓨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 반사스펙트럼, 비파괴

Description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Nondestructive evaluation apparatus of sugar content for grape}
본 발명은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포도의 당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포도는 여타 과일과는 달리 한 송이가 통상 수십 개의 작은 포도 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순히 기존의 투과스펙트럼방식이나 반사스펙트럼방식의 선별장치로 선별이 불가능하였던 버, 본 발명은 포도의 위치에 따른 당도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표성 있는 부위를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당도를 판정함으로써 당도에 따른 포도 선별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포도를 선별·출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당도의 판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포도송이의 양면 소정영역에 대하여 동시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여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고 스펙트럼 형태로 변환시켜 전기신호로 바꾼 후 이 전기신호를 컴퓨터의 당도예측모델식에 대입하여 포도의 당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포도의 품종에 따른 송이의 크기에 맞추어 광검출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도 품종에 상관없이 당도 선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국과 칠레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포도 수입 증가로 국내산 포도의 품질 향상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포도의 생산 및 유통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포도 수입량 중에서 80% 이상이 상반기 칠레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나머지 20%는 하반기 미국에서 수입되는데, 포도 수입은 1996년 칠레와 미국으로부터 2,403톤이 수입되기 시작해서 2005년에는 13,353톤으로 5.6배나 증가하였으며,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발효시점인 2004년보다는 34% 증가하였다(자료 출처: 농업전망 2006).
한편, 근적외선 스펙트럼특성을 이용한 과실의 비파괴 품질판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는데, 그 결과로 사과, 배, 복숭아, 감귤, 참외, 수박, 메론 등의 과일 및 과채류에 대한 내외부 품질을 비파괴적으로 판정하는 선별기의 보급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한편, 투과방식에 의한 당도측정장치는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빛이 분산되거나 과실의 크기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양이 천차만별하여 미리 입력된 측정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별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고, 빛이 분산되는 만큼 센서에 감응되는 그 빛의 세기가 약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져 선별된 과실의 등급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제381144호로 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과실의 당도를 판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포도는 여타 과일과는 달리 한 송이가 통상 수십 개의 작은 포도 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포도의 위치에 따른 당도분포특성을 정확히 알지 못할 경우 신뢰할만한 당도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포도를 당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비파괴 식의 품질판정기는 아직까지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휴대형으로 제작하여 포도송이 중 한 알씩 당도를 판정할 수 있는 휴대형 당도측정장치는 개발되어 있으나, 포도는 한 알씩 당도를 측정해서는 한 송이의 당도를 대표할 수 없음은 물론 전량 측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를 기계적인 선별시스템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 음향을 이용하여 포도의 당도를 예측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 실용화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381144호를 개량하여 포도의 일정 영역에 대한 당도를 측정하여 평균하는 것으로서 한 송이의 포도에 대한 대표성 있는 당도 값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포도를 자동 선별할 수 있는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포도송이를 이송시키면서 당도 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며 포도송이가 안치되는 이송 트레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설치되어 이송 트레이에 안치된 포도송이의 양면 소정영역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여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고 스펙트럼 형태로 변환시켜 전기신호로 바꾸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서 감지된 포도의 당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당도예측모델식에 대입하여 포도의 당도를 판정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광검출기는 포도의 품종별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광검출기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설치되고 전, 후 방향으로는 관통되어 포도가 안치된 이송 트레이가 통과하는 암실과, 상기 암실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수,발광센서와 상기 수,발광센서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암실의 외부와 수,발광센서 사이에 설치된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기구는 암실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와, 이 제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발광센서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각도조절손잡이가 부착되어 수,발광센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발광센서를 이루는 발광센서는 800~1100nm의 근적외선 파장대를 강하게 출력시키는 수정-텅스텐 할로겐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광섬유프로브와 동심원형태의 분기형 광섬유다발을 통하여 전달받아 시료인 포도송이에 조사되도록 되어 있으며, 수광센서는 광섬유다발에 의해 전달된 과일 반사광이 렌즈에 모아진 후 슬릿에 의해 잘게 분해되고, 회절격자에서 분광된 반사광이 광다이오드어레이에서 누적되어 전기신호로 바뀌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광센서에서 전기신호로 바뀐 신호는 컴퓨터로 보내져서 당도예측과 관련된 파장에서의 반사율만을 당도예측모델식에 대입하여 포도송이의 당도를 판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여타 과일과는 달리 한 송이가 통상 수십 개의 알로 이루어져 있는 포도는 지금까지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수선별에만 의존하던 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포도를 위치(영역)에 따른 당도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표성 있는 포도의 양면 부위(영역)를 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당도를 판정함으로써 당도에 따른 포도 선별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당도에 따른 등급화 및 가격차별화가 가능하므로 고품질의 포도를 선별·출하할 수 있어 과수농가의 소득증대 및 객관적인 선별에 의한 소비자이 과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양면 광검출기를 이루는 수,발광센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1a와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장치는 컨베이어 벨트(1) 위에서 포도송이(G)를 이송시키면서 당도 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1)를 따라 이송되며 포도송이(G)가 안치되는 이송 트레이(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설치되어 이송 트레이(10)에 안치된 포도송이(G)의 양면 소정영역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여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스펙트럼 형태로 변환시켜 전기신호로 바꾸는 광검출기(20)와; 상기 광검출기(20)에서 감지된 포도의 당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당도예측모델식에 대입하여 포도의 당도를 판정하는 컴퓨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면 중 부호 40은 무게판정부로 로드 셀(laod cell)을 이용하여 포도송이의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부분이고, 부호 50은 포도송이의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영상측정부로서, 상기 무게판정부(40)와 영상측정부(50)에서는 포도의 형태와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1차로는 포도의 당도를 측정하고, 2차는 무게를 측정하며, 3차로는 형태를 측정하여 포도를 이들 3가지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등급으로 세분화하여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60은 상기 광검출기(20)와, 무게판정부(40) 및 영상측정부(50)를 거친 포도송이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선별부로서, 이 선별부(60)는 이송라인(L)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 다수의 선별컨베이어(61,62,63)와 상기 이송라인(L)을 지나는 이송 트레이(10)를 상기 각각의 선별컨베이어(61,62,63)로 진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기구(64,65,6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선별컨베이어(61,62,63)로 진입된 포도송이는 인력에 의해 별도의 포장상자에 포장된 후, 빈 이송 트레이(10)는 다시 복귀 컨베이어(2)를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의 전방에는 빈 이송 트레이(10)에 미선별된 포도송이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마련되어 여기서 인력에 의해 미선별된 포도송이를 이송 트레이(10)에 올려 선별장치로 연속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기구(64,65,66)는 컴퓨터(30)에서 판정된 당도와 무게 및 형상에 따른 선별기준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판정부(40)와 영상측정부(50)의 구조와 원리는 본 출원인의 특허 제381144호를 비롯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광검출기(20)에서의 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에 의한 당도측정원리는 빛의 성분 중 근적외선 파장대(800~1100nm)에 해당하는 빛을 물체에 조사시켰을 때 물체의 내부성분 함량에 따라 다른 반사도를 나타내는 근적외선 반사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만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검출기(20)는 도 2의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는 관통되어 포도(G)가 안치된 이송 트레이(10)가 통과하는 암실(21)과, 이 암실(21)의 좌,우 양 측면에 설치되는 수,발광센서(22,23)와, 상기 수,발광센서(22,23)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암실(21)의 외부와 수,발광센서(22,23) 사이에 설치된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24)에 의해 상기 광검출기(20)는 포도의 품종별(예를 들면, 거봉, 캠벨얼리, 델라웨어, 세라단 등)로 송이의 크기가 각기 다르므로, 포도송이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실(21)의 전,후방에는 포도송이(G)가 안치된 이송 트레이(10)이 진입하거나 빠져나갈때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흑색 천으 로 이루어진 커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암실(21)의 내부는 흑색 무광페인트로 도색하여 광검출기의 동작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2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실(21)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24a)와, 이 제1링크(24a)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발광센서(22,23)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24b)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각도조절손잡이(24c,24d,24e)가 부착되어 수,발광센서(22,23)의 높낮이를 포도의 품종에 따라 이송 트레이(10) 위에 눕혀진 상태로 놓여있는 포도송이(G)의 대략 중간 부분을 향하여 근적외선을 방출하고 포도송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도의 품종에 따른 포도송이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24)를 조작하여 수,발광센서(22,23)의 높이를 선별하고자 하는 포도송이의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품종의 포도를 하나의 선별장치를 사용하여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발광센서(22,23)의 외측은 마치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 레버를 감싸고 있는 벨로우즈형태와 같은 고무부트(25)로 씌워져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암실(21)의 측면에는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플레이트(26)가 부착되어 상기 수,발광센서(22,23)를 감싸고 있는 고무부트(25)의 일단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도 7에서 미설명부호 27은 이송 트레이(10)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기 위한 바코드 센서이고, 부호 28은 컨베이어 벨트(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이송 트레이(10)가 컨베이어 벨트(1)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발광센서(22,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실(21)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데, 실제 포도송이는 밭에서 포도줄기에 매달려 빛을 받으면서 자랄 때, 포도송이의 둘레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당도를 갖지 못하고 어느 한쪽의 당도가 높거나 또는 낮을 수 있으므로, 이는 포도송이의 일측면에만 광검출기를 사용하여 반사스펙트럼을 검출하여 당도를 판정할 경우, 실제 포도송이의 당도와 오차가 커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포도송이의 좌,우측면의 당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당도를 평균하게 되면 실제 포도송이의 당도와 최소한의 오차를 갖도록 판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포도송이의 당도를 판정하기 위하여 포도송이의 당도분포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도 3 내지 도 5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3은 포도송이의 당도분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도송이(G)를 3개의 영역 즉, 꼭지를 기준으로 상부(A)와 중간부(B) 및 하부(C)의 3 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조사결과,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당도가 약간씩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영역별로 뚜렷하게 당도의 분포가 큰 차 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포도의 당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영역별(상,중,하부) 10알의 평균당도와 그 영역에서의 전체 알에 대한 평균당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와 같이 결정계수(R2)가 0.9924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위치(상,중,하부)에서의 10알의 평균당도는 그 위치의 당도를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이용한 당도 판정시 반사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부위가 10알 이상을 조사하여 획득한다면 각 부위(영역)에서의 대표성 있는 당도가 측정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이송중인 포도송이(G)의 양면에 수,발광센서(22,23)를 함께 설치하고 여기에서 검출된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당도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스캔영역은 50mm내외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에서 판정된 당도와 실제 포도송이 당도와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이송 트레이의 사시도로서, 이 이송 트레이(10)는 폭이 160mm, 길이는 300mm로 하고, 이송 및 광검출기에서의 당도판정 중 포도송이(G)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포도송이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게 움푹한 안치홈(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 트레이(10)의 좌,우 측부에는 상기 안치홈(12)에 안치된 포도송이(G)의 측부를 향하여 수,발광센서(22,23)에서 근적외선 광을 조사하고 수광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상기 안치홈(12)의 바닥까지 낮게 형성된 개방턱(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 트레 이(10)의 측 하부에는 이송 트레이(10)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16)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당도 선별장치를 사용하여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소재의 하우스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포도(품종; 거봉)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도 8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교정오차(SEC)는 0.4brix이었으며, 당도예측정밀도(SEP)는 0.5brix로 나타났으며, 시험시료의 당도분포는 12.1~17.4brix이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당도 선별장치로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소재의 하우스 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포도(품종;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당도를 판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시험시료의 당도분포는 14.0~16.5brix이었으며, 교정오차(SEC)는 0.4brix이었고, 당도예측정밀도는 0.48brix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다 안정적인 당도판정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검량식 작성을 위해 이보다는 더 많은 시료를 이용해서 만들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10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소재의 노지 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포도(품종;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당도판정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검량식 작성을 위해 사용된 시료수는 126송이 이었고, 당도분포는 11.2~15.8brix이었다. 교정오차는 0.51brix이었고, 예측정밀도는 0.62brix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도 11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소재의 노지 및 하우스에서 재배된 포도를 섞어 총 225송이의 포도송이를 이용하여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시험시료의 당도분포는 11.4~16.8brix이었으며, 당도예측정밀도는 0.56brix로 나타났다.
한편, 당도판정의 재현성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시료 동일부위를 3회 반복 측정한 반복간 표준편차, 최대 및 최소 표준편차 등을 구한 결과, 평균 표준편차는 0.21brix, 최대표준편차는 0.76brix, 최소 표준편차는 2.4×10-7로 나타났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의 평면도,
도 2는 광검출기를 이루는 수,발광센서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당도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포도의 위치 구분도,
도 4는 도 3의 포도의 위치별 당도 분포도,
도 5는 포도의 전체 평균당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이송 트레이의 사시도,
도 7은 광검출기의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당도 선별장치에 의한 거봉의 당도 측정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당도 선별장치에 의한 하우스 재배 캠벨얼리의 당도 측정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당도 선별장치에 노지 재배 캠벨얼리의 당도 측정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11은 노지 및 하우스 재배 캠벨얼리를 섞어 당도 측정을 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당도 선별장치로 동일시료 동일부위를 3회 반복 측정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베이어 벨트 2 : 복귀 컨베이어
10 : 이송 트레이 12 : 안치홈
14 : 개방턱 16 : 바코드
20 : 광검출기 21 : 암실
22 : 수광센서 23 : 발광센서
24 :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
24a : 제1링크 24b : 제2링크
24c,24d,24e : 각도조절손잡이
25 : 고무부트 26 : 플레이트
27 : 바코드센서 28 : 가이드
30 : 컴퓨터 40 : 무게판정부
50 : 영상측정부 60 : 선별부
61,62,63 : 선별컨베이어 L : 이송라인
64,65,66 : 실린더기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포도송이를 이송시키면서 당도 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1)를 따라 이송되며 포도송이(G)가 안치되는 이송 트레이(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설치되어 이송 트레이(10)에 안치된 포도송이(G)의 양면 소정영역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여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스펙트럼 형태로 변환시켜 전기신호로 바꾸는 광검출기(20)와; 상기 광검출기(20)에서 감지된 포도송이 좌,우측면의 당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당도예측모델식에 대입하여 포도의 평균 당도를 산출하는 컴퓨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검출기(20)는 컨베이어 벨트(1) 상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포도(G)가 안치된 이송 트레이(10)가 통과하는 암실(21)과, 이 암실(21)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함께 설치되어 포도송이(G)의 양면 소정영역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센서(23) 및 포도송이(G)에서 반사되는 빛을 스펙트럼형태로 변환시켜 전기신호로 바꾸는 수광센서(22)와, 상기 수,발광센서(22,23)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암실(21)의 외부와 상기 수,발광센서(22,23) 사이에 설치된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용 링크기구(24)는 상기 암실(21)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24a)와, 이 제1링크(24a)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발광센서(22,23)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24b)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각도조절손잡이(24c,24d,24e)가 부착되어 상기 수,발광센서(22,2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발광센서(22,23)의 외측은 고무부트(25)로 씌워져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암실(21)의 측면에는 상기 고무부트(25)가 부착된 플레이트(26)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KR1020080076261A 2008-08-05 2008-08-05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KR10100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61A KR101002656B1 (ko) 2008-08-05 2008-08-05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61A KR101002656B1 (ko) 2008-08-05 2008-08-05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686A KR20100016686A (ko) 2010-02-16
KR101002656B1 true KR101002656B1 (ko) 2010-12-22

Family

ID=4208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261A KR101002656B1 (ko) 2008-08-05 2008-08-05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10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마스터코리아 다기능 휴대용 멀티스펙트럴 과일 당도 측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562B1 (ko) 2012-11-07 2020-12-15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난용성 약물의 고체분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16780B (zh) * 2019-11-12 2022-02-11 上海交通大学 一种采用船体板材切割零件理料装备的理料方法
KR102243327B1 (ko) * 2021-02-04 2021-04-26 ㈜진짜맛있는과일 과일의 당도를 예측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03B1 (ko) * 1999-08-13 2002-05-16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근적외선을 이용한 과일당도 판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03B1 (ko) * 1999-08-13 2002-05-16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근적외선을 이용한 과일당도 판정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10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마스터코리아 다기능 휴대용 멀티스펙트럴 과일 당도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686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A near–infrared sensing technique for measuring internal quality of apple fruit
US6847447B2 (en) Apparatus and method and techniques for measuring and correlating characteristics of fruit with visible/near infra-red spectrum
Magwaza et al. Evaluation of Fourier transform-NIR spectroscopy for integrated external and internal quality assessment of Valencia oranges
Cayuela Vis/NIR soluble solids prediction in intact oranges (Citrus sinensis L.) cv. Valencia Late by reflectance
WO20010691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rrelating characteristics of fruit with visible/near infra-red spectrum
AU20012457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rrelating characteristics of fruit with visible/near infra-red spectrum
CN100483109C (zh) 带称重的便携式水果糖度无损检测装置
BG107842A (bg) Методи и устройства за анализиране на земеделски продукти
EP3063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atter
KR101002656B1 (ko) 포도 비파괴 당도 선별장치
Moons et al. Non destructive visible and NIR spectroscopy measurement for the determination of apple internal quality
KR20110081668A (ko) 과일 비파괴 선별장치
KR100934410B1 (ko)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곡물 종실의 무게 측정방법
Mat et al. Prediction of sugarcane quality parameters using visible-shortwave near infrared spectroradiometer
KR100793716B1 (ko) 실시간 광원 세기 보정 기능을 구비한 측정시료의 내부품질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Abebe Total sugar and maturity evaluation of intact watermelon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CN107132197A (zh) 一种食醋总酸含量的检测方法及装置
KR101096790B1 (ko) 멀티 채널 카메라를 이용한 농산물 부피 측정장치
KR100381144B1 (ko) 비파괴 과일 선별장치
Rittiron et al. Useful tips for constructing a near infrared-based quality sorting system for single brown-rice kernels
Yamakawa et al. Real-time nondestructive citrus fruit quality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and laboratory testing
KR100859131B1 (ko) 우유의 신선도 판별용 근적외선 분광 분석 시스템
Reita et al. An evaluating technique for variety compatibility of fruit applied to a near infrared Brix calibration system: a case study using Brix calibration for nectarines
US8239061B2 (en) Specific gravity monitoring and sorting system
JP2004219376A (ja) 果菜類の品質評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