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380B1 -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380B1
KR101001380B1 KR1020100011933A KR20100011933A KR101001380B1 KR 101001380 B1 KR101001380 B1 KR 101001380B1 KR 1020100011933 A KR1020100011933 A KR 1020100011933A KR 20100011933 A KR20100011933 A KR 20100011933A KR 101001380 B1 KR101001380 B1 KR 10100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terminal
slave communication
specific slav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안은, 네트워크 단말이 통신고자 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선택하고,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간에 통신로를 개통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유선으로 전송된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인터넷 망이 구축된 환경에 위치한 사용자가 인터넷 망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IP based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Non-IP based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etwork terminal}
본 발명은 인터넷 폰(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과 같은 네트워크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안에 관한 것이다.
마스터 통신장비와 인터넷 폰 각각에는 고유의 IP(Internet Protocol)가 할당되어 있고 인터넷 폰이 마스터 통신장비에 할당된 IP를 목적지로 하여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송신하며 마찬가지로, 마스터 통신장비가 인터넷 폰에 할당된 IP를 목적지로 하여 음성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터넷 폰 사용자와 마스터 통신장비 사용자는 서로 유선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마스터 통신장비는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하나와도 통신할 수 있는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에는 IP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바, 마스터 통신장비는 슬레이브 통신장비와는 IP 선택을 통하지 않고 통신함으로써, 마스터 통신장비 사용자와 슬레이브 통신장비 사용자가 서로 무선 통화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인터넷 폰 사용자가 어떠한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사용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우선, 슬레이브 통신장비에는 IP가 할당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터넷 폰은 슬레이브 통신장비에 대한 IP 선택을 할 여지조차 없고 이에 따라 인터넷 폰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간의 통화로가 개통되는데 난점이 있다. 설령, 인터넷 폰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사이에 통화로가 개통된다 하더라도, 인터넷 폰과 마스터 통신장비 간에 주고 받는 데이터의 코딩 방식과 마스터 통신장비와 슬레이브 통신장비간에 주고 받는 데이터의 코딩 방식은 일반적으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그 개통된 통화로를 통해 인터넷 폰 사용자는 슬레이브 통신장비 사용자와 통화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P 기반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폰과 같은 네트워크 단말이 IP 를 갖는 마스터 통신장비와 Non-IP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IP 기반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폰과 같은 네트워크 단말이 Non-IP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IP기반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폰과 같은 네트워크 단말이 IP 를 갖는 마스터 통신장비와 Non-IP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방법은 네트워크 단말이 통신고자 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선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간에 통신로를 개통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유선으로 전송된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장치, 상기 개통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 각각에는 고유의 IP가 부여되어 있다. 즉 상기 통신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IP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은 Non-IP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기 지정된 마스터 통신장비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로부터 접속완료 확인메시지를 전송받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마스터 통신장비간의 초기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에 대해 음성통화 호출을 수행하고 상기 개통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간에 상기 코딩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방법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가 마스터 통신장비에 대해 음성통화 호출을 수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 및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간의 초기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개통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간에 상기 코딩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방법은 음성 통화를 수행한 후,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가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에 대해 음성통화 호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인터넷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화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통신장비는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받고 전송된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 가능한 코덱 변환부;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단말간에 통신로가 개통된 후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전송 가능한 모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 변환부는 상기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뎀부는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코덱 변환부는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단말에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 상기 네트워크 단말 각각에는 고유의 IP가 부여되어 있다. 즉,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IP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은 Non-IP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인터넷 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화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에 연결된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 단말이 통신고자 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선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간에 통신로를 개통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유선으로 전송된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방안에 따르면, 인터넷 망이 구축된 환경에 위치한 사용자가 인터넷 망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군 통신 환경과 같이 인터넷 망이 구축된 본부와 작전상 인터넷 망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하며 배치되는 작전 부대간의 인터넷 폰을 활용한 원활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통신장비는 인터넷 망이 구축되어 있는 본부에 설치하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는 인터넷 망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 이동하며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작전 부대에 설치한 후 인터넷 폰을 이용하여 통신한다면 효과적인 작전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방안에 따라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방안에 따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해 요구되는 코덱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안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마스터(master) 통신장비(110), 슬레이브(slave) 통신 장비들(120-1,..., 120-N(단, N은 2이상의 정수)), 네트워크 단말(130), 원격제어장치(140), 및 라우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통신장비(110), 네트워크 단말(130), 원격제어장치(140), 라우터(150)는 IP 영역에 마련되고,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 120-N)은 Non-IP 영역에 마련된다. 즉, 마스터 통신장비(110), 네트워크 단말(130), 원격제어장치(140), 라우터(150)는 인터넷 망이 구축된 환경하에 마련되고,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 120-N)은 인터넷 망이 구축되지 않은 환경하에 마련된다. 다시 말해, 마스터 통신장비(110), 네트워크 단말(130) 각각에는 고유의 IP 가 할당되어 있지만,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 120-N)에는 IP 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영역은 IP 영역을 의미하고, 무선 영역은 Non IP영역을 의미한다.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 120-N)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통신장비에는 IP가 할당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스트 통신장비(110)는 어떠한 특정 슬레이브 통신 장비(예컨대, 120-2)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IP 기반 유선 통신이 아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이라 함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의미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성 통화’라 표현할 것이고, 아직 등장하지는 않았으나 앞으로 ‘통신 데이터’라 함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하는 양측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즉 서로 주거나 받고자 하는 데이터(신호)를 의미하고, ‘코딩 데이터’라 함은 통신 데이터가 어떠한 코딩(coding) 방식에 따라 코딩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는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 120-N)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고 이러한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나름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2번째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라 가정한다.
마스터 통신장비(110)와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인 통신 데이터는 제2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이다. 제2 코딩 방식은 CVSD(Continuously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방식이 일 례가 된다.
네트워크 단말(130)은 마스터 통신장비(110)와 유선 통신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단말(130), 마스터 통신장비(110) 각각에는 IP가 할당되어 있고, 네트워크 단말(130)이 마스터 통신장비(110)에 할당된 IP를 목적지로 하여 코딩 데이터를 송신하며, 마스터 통신장비(110)가 네트워크 단말(130)에 할당된 IP를 목적지로 하여 코딩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단말 사용자와 마스터 통신장비 사용자는 서로 유선 통화할 수 있다. 인터넷 폰(VoIP)은 네트워크 단말(130)의 일 례이다.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인 통신 데이터는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이다. 국제 표준코덱인 G.729a, G.711, G.723.1은 이러한 제1 코딩 방식의 일 례들이다. 이와 같이 제1 코딩 방식은 앞서 설명한 제2 코딩 방식과 상이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제1 코딩 방식은 제2 코딩 방식과 동일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제1 코딩 방식과 제2 코딩 방식이 서로 완전히 상이하다고 가정한다.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 단말(130)이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와 통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네트워크 단말(130)이 음성 통화하고자 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러한 ‘선택’은 네트워크 단말(130)이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제어장치(140)가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단말(130)의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140)를 조작하여, 마스터 통신장비(110)로부터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120-N)’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그 제공된 리스트를 확인하며 이 중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를 선택한다. 이로써,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가 선택된다.
이러한 ‘선택’ 후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통신로 개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을 설명의 편의상 ‘음성 통화’라 가정하였으므로 ‘통신로’ 역시 ‘통화로’라 가정한다. 즉,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통화로 개통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수행되는 과정을 다음의 두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를 경우, 네트워크 단말(130) 및 마스터 통신장비(110)간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에 음성 통화 호출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에 통화로가 개통된다. 이처럼 통화로가 개통된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장비(110)와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는 제2 코딩 방식에 따른 코딩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화하고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제1코딩방식에 따른 코딩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화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를 경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가 마스터 통신장비(110)에 음성 통화 호출을 수행하면, 마스터 통신장비(110)와 네트워크 단말(130)간의 초기 설정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에 통화로가 개통된다. 이처럼 통화로가 개통된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장비(110)와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는 제2 코딩 방식에 따른 코딩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화하고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제1코딩방식에 따른 코딩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화한다.
다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에 통화로가 개통된다 하여, 원활한 통신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1 코딩 방식과 제2 코딩 방식이 서로 상이하다면, 네트워크 단말 사용자가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사용자와 통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네트워크 단말(130)로부터 마스터 통신장비(110)에 입력된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 데이터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에 전송할 수도 있고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부터 마스터 통신장비(110)에 입력된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 데이터를 네트워크 단말(1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는 네트워크 단말(130)에서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것이고 후자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에서 네트워크 단말(130)로 통신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에 따라, 네트워크 단말(130)은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와 원활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특별히 설명한 바는 없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에서 라우터(router)(150)는 통상의 라우터이며,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 원격제어장치(140)간의 경로를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상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방안에 따라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통신장비(110)에 원격 제어장치(140)가 연결된 후, 원격 제어장치(140)는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120-N)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140)는 네트워크 단말(130)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 지정된) 마스터 통신장비에 접속을 요청한다(230의 1번). 이 후, 원격제어장치(140)는 마스터 통신장비(110)로부터 접속완료 확인메시지를 전송받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한다(230의 2번 및 3번). 식별번호 230의 2번 및 3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격 제어장치(140)는 마스터 통신장비(110)로부터 ‘마스터 통신장비(110)가 통신가능한 슬레이브 통신장비들(120-1, 120-2, ..., 120-N)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통신장비(110)에 구비된 웹서버(220)로부터 전송받고, 원격 제어장치(140) 사용자(설명의 편의상 네트워크 단말(130)의 사용자와 일치한다고 가정함)는 그 전송된 정보를 원격 제어장치(140)에 구비된 웹브라우저 화면(210)을 통해 보며 원격 제어장치(140)를 조작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를 선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초기 설정 절차(300)를 수행한다. 이러한 초기 설정 절차(300)는 유선 통신장비들간의 초기 설정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절차이다. 초기 설정 절차(300)는 마스터 통신장비(110)가 네트워크 단말 교환기(미 도시)로부터 ACK(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310), 종료된다. 네트워크 단말 교환기(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망에 마련된다.
이처럼 초기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 음성 통화 호출(320)을 수행한다.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가 마스터 통신장비(110)로부터 송출된 음성 통화 호출(320)를 수신하면 통화로 개통(330)이 완료되고,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음성 통화가 수행된다. 이 때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간에 주고받는 코딩 데이터는 RTP(Real Time Protocol)에 기반한 음성 패킷일 수 있다.
한편, 음성 통화 시 네트워크 단말(130)에서 지원하는 음성 코덱(제1 코딩방식)과 마스터 통신장비(110)에서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와 음성 통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성 코덱(제2 코딩방식)간의 코덱 변환(340)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음성 통화가 완료되면,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는 마스터 통신장비(110)로 음성통화호출해제(350)를 요청하며, 음성통화호출해제(350)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간 연결해제절차(360)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 음성 통화를 위한 통화로를 해제한다. 이러한 연결해제절차(360)는 유선 통신장비들간의 통화 해제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절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는 마스터 통신장비(110)로 음성 통화 호출(400) 신호를 송출한다.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부터 음성 통화 호출(400)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마스터 통신장비(110)와 네트워크 단말(130)간의 연결을 위한 절차(410)를 수행한다. 이러한 초기 설정 절차(410)는 유선 통신장비들간의 초기 설정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절차이다. 초기설정 절차(410)는 네트워크 단말(130)이 네트워크 단말 교환기(미 도시)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420) 종료된다. 네트워크 단말 교환기(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망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ACK 메시지 수신(420)이 완료됨으로써,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와 네트워크 단말(130)간의 통화로 개통(430)이 완료되고,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음성 통화가 수행된다. 이 때,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간에 주고받는 코딩 데이터는 RTP에 기반한 음성 패킷일 수 있다.
한편, 음성 통화 시 네트워크 단말(130)에서 지원하는 음성 코덱(제1 코딩방식)과 마스터 통신장비(110)에서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와 음성 통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성 코덱(제2 코딩방식)간의 코덱 변환(440)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음성 통화가 완료되면,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는 마스터 통신장비(110)로 음성통화호출해제(450)를 요청하며, 음성통화호출해제(450)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네트워크 단말(130)과 마스터 통신장비(110)간 연결해제절차(460)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 음성 통화를 위한 통화로를 해제한다. 이러한 연결해제절차(460)는 유선 통신장비들간의 통화 해제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절차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방안에 따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해 요구되는 코덱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코덱 변환부(510)와 모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덱 변환부(510)는 유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20)와 무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통화로가 개통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단말(130)에서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단말(130) 사용자(VoIP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성은 네트워크 단말(130)에 음성 데이터로서 입력되고 네트워크 단말(130)은 이를 제1 코딩 방식(예컨대, G.729a, G.711, G.723.1 등)에 따라 부호화하고, 부호화 결과인 코딩 데이터를 유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20)로 전송한다.
유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20)는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를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고, 무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30)는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된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한다.
모뎀부(540)는 제2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에 대해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에의 무선 전송을 위한 변조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안테나(550)를 통해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송출한다.
한편, 도 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단말(130)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간의 통화로가 개통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단말(130)이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전송받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뎀부(540)는 안테나(550)를 통해 ‘제2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를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부터 전송받는다.
무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30)는 전송된 ‘제2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고, 유선구간용 코덱 처리부(520)는 그 복호화된 결과를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결과를 네트워크 단말(130)에 전송한다.
네트워크 단말(130)은 그 전송된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코딩 데이터’를 제1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여 재생하며, 이로써, 네트워크 단말 사용자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부터 송출된 통신 데이터의 음성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140)는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를 선택한다(제610 단계).
제610 단계 후에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와 네트워크 단말(130)간의 통화로를 개통한다(제620 단계).
제620 단계 후에, 마스터 통신장비(110)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부터 전송된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단말(130)에 전송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여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120-2)로 전송할 수도 있다(제630 단계 및 제640 단계).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네트워크 단말이 통신고자 하는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선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간에 통신로를 개통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유선으로 전송된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장치, 상기 개통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장치, 상기 네트워크 단말 각각에는 고유의 IP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IP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은 Non-IP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기 지정된 마스터 통신장비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로부터 접속완료 확인메시지를 전송받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법은
    상기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마스터 통신장비간의 초기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에 대해 음성통화 호출을 수행하고 상기 개통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간에 상기 코딩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법은
    상기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가 마스터 통신장비에 대해 음성통화 호출을 수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 및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간의 초기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개통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간에 상기 코딩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법은
    상기 음성 통화를 수행한 후,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가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에 대해 음성통화 호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인터넷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0. 무선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받고 전송된 코딩 데이터를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 가능한 코덱 변환부;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단말간에 통신로가 개통된 후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전송 가능한 모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변환부는 상기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모뎀부는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코덱 변환부는 상기 제2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를 상기 제1 코딩 방식의 코딩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단말에 유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 상기 네트워크 단말 각각에는 고유의 IP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IP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은 Non-IP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인터넷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통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장비에 연결된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장비들 중 상기 특정 슬레이브 통신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장비.
  18. 제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11933A 2010-02-09 2010-02-09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KR10100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933A KR101001380B1 (ko) 2010-02-09 2010-02-09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933A KR101001380B1 (ko) 2010-02-09 2010-02-09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380B1 true KR101001380B1 (ko) 2010-12-14

Family

ID=4351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933A KR101001380B1 (ko) 2010-02-09 2010-02-09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38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633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홈 방문자 확인 및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US9621603B2 (en) Method for pairing a computer with a video conference device
EP4033773B1 (en)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ultimedia playing device and control terminal
US104254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he rendering of multimedia content
WO2017129129A1 (zh) 即时通话方法、装置和系统
KR101479393B1 (ko) 대역 내 신호들을 이용한 코덱 전개
KR20130115986A (ko) 미디어 스트림의 끊김 없는 전송
JP2009543446A (ja) 移動電話及びヘッドセットを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ネットワーキ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104212A1 (fr) Système et procédé associé de sonnette de logement terminal de réseau
JP2007280176A (ja)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90122787A1 (en) Alert for adding client devices to a network
KR20160053795A (ko) 복수의 단말기들 간의 화면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WO2014161403A1 (zh) 视频会议电视终端视频源的接入方法和系统
KR20110039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070165836A1 (e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 flow
CN112019792A (zh) 会议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JP2008244853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KR101001380B1 (ko) IP 기반 마스터 통신장비 및 이와 통신하는 Non-IP 기반 슬레이브 통신장비와 네트워크 단말간의 통신방법
JP2010081279A (ja) 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及び受信方法
JP2008210397A (ja)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9147428A (ja) 広域/狭域ネットワークへの接続切り替え方法、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0415557B1 (ko)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TW201624998A (zh) 多媒體裝置及視訊通信方法
WO2010098355A1 (ja) 小型基地局、情報処理方法
KR101094898B1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