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823B1 -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823B1
KR101000823B1 KR1020080029593A KR20080029593A KR101000823B1 KR 101000823 B1 KR101000823 B1 KR 101000823B1 KR 1020080029593 A KR1020080029593 A KR 1020080029593A KR 20080029593 A KR20080029593 A KR 20080029593A KR 101000823 B1 KR101000823 B1 KR 10100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erence
phase index
conferences
scholars
sch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255A (ko
Inventor
정상원
김홍기
손남례
이성인
송승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2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8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은,국내외에서 개최된 학술대회에 대해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특정 구조로 정규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자의 해당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이나 핵심집단 유형에 포함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 및 상기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학자의 위상지수 및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바탕으로 해당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논문의 피인용지수 또는 이용지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계량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좋은 학술대회 및 주제별 우수한 학술대회의 추천이 가능하며, 새로운 형태의 지식구조화 도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자, 학술대회, 학술대회 시리즈, 평가, 위상지수

Description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scholars and scholarly events using scholarly event data}
본 발명은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술대회 데이터를 반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자 및 학술대회를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자의 생산성에 대한 계량적 평가방법은 계량서지학적인 평가 (Bibliometrics)가 가장 핵심적인 척도로 인식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논문의 피인용 횟수, 학술 저널의 영향력(Impact factor) 등이 학자와, 학자가 속한 조직이나 국가를 평가하는 핵심 기준이 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모든 계량서지학적인 계산방법은 인용색인(예:Science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를 원시자료로 의지하여 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는 그 수록범위의 제한성, 데이터 입력의 비일관성으로 인해 그로부터 생성된 계량서지학적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둘째, 논문을 인용하는 학자가 자신의 논문에 인용된 다른 논문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기 위해 인용하는 비우호적 인용(negative citation)의 문제로서,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출판물이 자주 인용되는 사례가 발생한다.
셋째,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는 원래 저널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학자의 위상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넷째, 학자들은 자신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인용(self-citation)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수단이 되는 것을 저해한다.
다섯째, 서로 다른 학문분야는 서로 다른 인용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주제분야에 따라 피인용 횟수를 이용하여 학자의 생산성을 일률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단순히 피인용 횟수의 측정으로 과학적인 연구성과의 품질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한편, 학술대회를 평가하는 기존의 방법으로서, 논문의 피인용지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은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또 새로 구성된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피인용 횟수는 그 새로 구성된 학술대회보다 이전에 구성된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피인용 횟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온전한 평가를 위해서는 평균 5년이 걸린다.
둘째, 학술대회와 관련해서는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지 않는 경우 가 많고, 또 한 학자의 주제범위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학술대회일 경우에는 그 인용통계를 얻기 어렵다.
또한, 학술대회의 위원회 구성원에 대한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학술대회와 관련된 탐색결과(기사 또는 논문)의 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학술대회를 평가하는 방법이 있다. 평가에 사용된 척도는 다음과 같다.
(1) 각 위원회 구성원이 저술한 논문의 평균 피인용 횟수
(2) 모든 위원회 구성원의 총 피인용 횟수
(3) 과거 학술대회 동안 한 편 이상 논문을 저술한 위원회 구성원의 비율
(4) 한 학술대회의 위원회 구성원들이 저술한 평균 논문 편수
(5) 각 위원회 구성원들이 참여한 학술대회의 수
그러나, 이상과 같은 방법은 위원회 구성원의 피인용 횟수를 기반으로 순위를 부여했으므로, 기존의 인용척도에 의한 평가방법의 문제점을 그대로 계승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서의 제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반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자 및 학술대회를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은,
학술대회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위상을 계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a) 국내외에서 개최된 학술대회에 대해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특정 구조로 정규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자의 해당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이나 핵심집단유형에 포함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과 상기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계산된 학자의 위상지수 및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바탕으로 해당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의 학술대회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학술대회 온톨로지(ontology) 구조에 맞도록 정규화한 후, 학술대회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학술대회 데이터 편집기를 통해 학술대회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학술대회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는 단순 위상지수와 가중치 위상지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순 위상지수(E1)는 상기 학자가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를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가중치 위상지수(E3)는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유형(t)에 각각 부여된 가중치(Wt)와 학자가 상기 핵심집단유형(t)에 포함된 횟수(Kt)를 곱한 값(WtKt)들의 총합을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눈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은 해당 학술대회에 채택된 논문의 총 건수(A)를 접수된 논문의 총 건수(P)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는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와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는 상기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E3)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C)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는 주제분야(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C)로 나눈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 지표로서 전체 학술대회 종합점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체 학술대회 종합점수는 상기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과 상기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논문의 피인용지수 또는 이용지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계량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좋은 학술대회 및 주제별 우수한 학술대회의 추천이 가능하며, 새로운 형태의 지식구조화 도구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의 실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은, 국내외에서 개최된 학술대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특정 구조로 정규화하여 저장하는 단계(S110)와, 그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자가 해당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이나 핵심집단유형에 포함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S120)와, 상기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과 상기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S130) 및 상기 계산된 학자의 위상지수 및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바탕으로 해당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10에서의 학술대회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학술대회 온톨로지(ontology) 구조에 맞도록 정규화한 후, 학술대회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학술대회 데이터 편집기를 통해 학술대회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학술대회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학술대회 데이터의 출처는 학술대회 홈페이지, 디지털 도서관, E-mail, 서지 데이터베이스, 학술대회논문집(proceed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학술대회는 컨퍼런스(conference), 워크숍(workshop), 세미나(seminar), 심포지움(symposium), 콜로키움(colloquium), 강의, 웹세미나(webinar), 저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집대상 학술대회 데이터는 학술대회의 이름, 학술대회의 시리즈 이름, 개최장소(국가, 주, 시, 건물이름), 개최 일시, 각종 투고요청(call for submission), 학술대회의 URL, 학술대회의 주제목록, 핵심집단(core group), 발표일정, 논문, 발표자료, 포스터, 동영상, 스폰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집단(core group)은 조직위원회(Organizing Committee) 위원장 및 위원, 기술위원회(Program Committee) 위원장 및 위원, 초청 강연자, 튜토리얼(tutorial) 연자, 트랙(track) 또는 세션(session) 위원장 또는 공동위원장 또는 부위원장, 상수상자(Award Winner), 패널(Pan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S120에서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는 단순 위상지수(E1)와 가중치 위상지수(E3),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5) 및 주제분야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순 위상지수(E1)는 학자 i가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를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01
그리고, 상기 가중치 위상지수(E3)는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유형(t)에 각각 부여된 가중치(Wt)와 학자 i가 상기 핵심집단유형(t)에 포함된 횟수(Kt)를 곱한 값(WtKt)들의 총합을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39
또한, 상기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5)는 각 단위 학술대회의 순위 가중치(E6), 핵심집단유형 t에 부여된 가중치(Wt), 그리고 학자 i가 그 핵심집단 유형에 포함된 횟수(Kt)를 곱한 결과(E6WtKt)의 총합을 학술대회의 총 건수(N)으로 나눈 결과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0
여기서, 상기 학술대회의 순위 가중치(E6)는 학술대회 j의 전체순위(R)의 역수(R-1)로 계산된다.
또한,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7)는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순위 가중치(E8), 핵심집단유형 t에 부여된 가중치(Wt), 그리고 학자 i가 그 핵심집단 유형에 포함된 횟수(Kt)를 곱한 결과(E8WtKt)의 총합을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N|F)로 나눈 결과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1
여기서, 상기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순위 가중치(E8)는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 j의 전체순위(R)의 역수(R-1|F)로 계산된다.
이상과 같은 학자에 대한 평가방법과 관련된 여러 위상지수들 외에도 학자에 대한 평가방법의 일환으로 위상 즉시성, 단위 기간 당의 위상지수들, 그리고 주제 엔트로피와 같은 요소들이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위상 즉시성은 전체 위상 즉시성과 주제분야 위상 즉시성을 포함하며, 전체 위상 즉시성(E9)은 학자 i가 제1저자로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c에 처음으로 참여한 년도(Yc)에서 논문을 처음 출판한 년도(Yp)를 뺀 값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05
또한, 주제분야 위상 즉시성(E10)은 학자 i가 제1저자로서 주제분야 F에 속하는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참여한 년도(Yc|F)에서 논문을 처음 출판한 년도(Yp)를 뺀 값으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06
상기 단위 기간 당의 위상지수들 중, 단위 기간당 전체 위상지수(E11)는 단위 위상지수(E1)에 단위기간 (S)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단위기간 S는 몇 개월, 1년, 2년, 3년,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07
또한, 단위 기간당 주제분야 위상지수(E12)는 주제분야 위상지수(E2)에 단위기간 (S)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08
또한, 단위 기간당 가중치 위상지수(E13)는 가중치 위상지수(E3)에 단위기간 (S)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09
또한, 단위 기간당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14)는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에 단위기간 (S)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10
또한, 단위 기간당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15)는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5)에 단위기간 (S)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11
또한, 단위 기간당 주제분야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16)는 주제분야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7)에 단위기간 (S)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12
한편, 주제 엔트로피(E17)는 학자 i가 주제 F가 아닌 다른 모든 주제(K|Fc)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되는 횟수의 합을 주제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횟수(K|F)의 합으로 나눈 결과로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13
또한, 핵심집단 유형별 주제 엔트로피(E18)는 학자 i가 주제 F가 아닌 다른 모든 주제(Kt|Fc)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t)에 포함되는 횟수의 합을 주제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F)의 합으로 나눈 결과로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2
한편, 상기 단계 S130에서 상기 단위 학술대회(학술대회 j)의 논문 채택률(E19)은 해당 학술대회에 채택된 논문의 총 건수(A)를 접수된 논문의 총 건수(P)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3
또한,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는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와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3) 및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는 학술대회 j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E3)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C)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고,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4
여기서,
Figure 112008023103674-pat00017
는 학술대회 j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 i의 가중치 위상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는 주제분야(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5
여기서,
Figure 112008023103674-pat00019
는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 j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 i의 가중치 위상지수를 나타내고, C는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 j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3)는 학술대회 시리즈 g에 속한 단위 학술대회들의 위상지수(E21)의 합을 학술대회 시리즈 g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G)로 나눈 결과값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6
여기서,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1
는 학술대회 시리즈 g에 속한 단위 학술대회 j의 위상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는 주제분야 F에 속한 단위 학술대회들의 위상지수(E22)의 총합을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G|F)로 나눈 결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7
여기서,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3
는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 시리즈 g에 속한 단위 학술대회 j의 위상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단계 S140에서 상기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 지표로서 전체 학술대회 종합점수(E25)와 주제분야 학술대회 종합점수(E26), 전체 학술대회 시리즈 점수(E27),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의 종합점수(E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학술대회 종합점수(E25)는 상기 학술대회 j의 논문 채택률(E19)과 상기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의 합으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4
또한,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종합점수(E26)는 주제분야 F에 속한 단위학술대회 j의 논문 채택률(E19)과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의 합으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5
또한, 상기 전체 학술대회 시리즈 점수(E27)는 학술대회 시리즈 g의 논문 채택률(E20)과 전체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3)의 합으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6
또한,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의 종합점수(E28)는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 시리즈 g의 논문 채택률(E20)과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의 합으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7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의한 임의의 학자에 대한 평가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학자 i에 대한 평가방법의 일환으로 학자 i의 단순 위상지수(E1), 주제분야 위상지수(E2), 가중치 위상지수(E3) 및 주제분야 가중치 위 상지수(E4)의 4개의 항목에 의해 학자 i를 평가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가중치 평가인지를 판별하고(단계 S201), 가중치 평가가 아니면 주제분야 평가인지를 판별한다(단계 S202). 이 판별에서 주제분야 평가가 아니면, 학자 i의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를 구한다(단계 S203). 그리고, 학술대회의 총 건수(N)를 구한다(단계S204). 그런 후,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학자 i의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를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누어 학자 i의 전체 위상지수(E1)를 구한다(단계 S205).
이렇게 하여 구한 학자 i의 전체 위상지수 순위는 학자 i의 전체 위상지수를, 동일한 방식으로 구한 학자 j의 전체 위상지수와 비교하여, 학자 i의 수치가 학자 j의 그것보다 높으면 학자 i를 학자 j보다 높은 순위에 할당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단계 S202에서의 판별결과 주제분야 평가이면, 학자 i가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F)를 구한다(단계 S206). 그리고,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N|F)를 구한다(단계 S207). 그런 후, 도 4에서와 같이, 학자 i가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F)를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N|F)로 나누어 학자 i의 주제분야 위상지수(E2)를 구한다(단계 S208).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학자 i의 주제분야 위상지수 순위는 학자 i의 주제분야 위상지수를, 동일한 방식으로 구한 학자 j의 주제분야 위상지수와 비교하여, 학자 i의 수치가 학자 j의 그것보다 높으면 학자 i를 학자 j보다 높은 순위에 할당 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단계 S201의 판별에서 가중치 평가이면, 주제분야 평가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209), 이 판별에서 주제분야 평가가 아니면 학자 i가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를 구한다(단계 S210). 그리고, 핵심집단 유형 t에 각각 부여된 가중치(Wt)를 구한다(단계 S211). 그런 후, 학자 i가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에 가중치(Wt)를 각각 곱하여 얻어진 각각의 값을 모두 더한다(단계 S212). 그런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학자 i가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와 가중치(Wt)를 곱한 값의 총합을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누어, 학자 i의 가중치 위상지수(E3)를 구한다(단계 S213).
여기서, 핵심집단의 유형 t에 대한 가중치 Wt는 별도의 계산방법을 통해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핵심집단의 각 유형은 학자 i의 위상지수에 미치는 기여도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학자의 위상을 재는 다른 척도의 수치와 각 핵심집단의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r을 구한 다음, 각 핵심집단의 유형 t의 각각의 기여도를 가중치 Wt로 치환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 의해 구한 학자 i의 가중치 위상지수(E3) 순위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한 학자 j의 가중치 위상지수와 비교하여, 학자 i의 수치가 학자 j의 그것보다 높으면 학자 i를 학자 j보다 높은 순위에 할당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S209의 판별에서 주제분야 평가이면, 학자 i가 주제분야 F에 속하는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총 횟수(Kt|F)를 구한다(단계 S214). 그리고, 핵심집단 유형 t에 각각 부여된 가중치(Wt)를 구한다(단계 S215). 그런 후, 학자 i가 주제분야 F에 속하는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F)에 가중치(Wt)를 각각 곱하여 얻어진 각각의 값을 모두 더한다(단계 S216). 그런 다음, 도 6에서와 같이, 학자 i가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F)와 가중치(Wt)를 각각 곱한 값의 총합을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N|F)로 나누어 학자 i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를 구한다(단계 S217).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학자 i의 주제분야 F에 대한 가중치 위상지수 순위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한 학자 j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와 비교하여 학자 i의 수치가 학자 j의 그것보다 높으면 학자 i를 학자 j보다 높은 순위에 할당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임의의 학자에 대한 계량적 평가는 학자 i에 대한 단순 위상지수(E1), 주제분야 위상지수(E2), 가중치 위상지수(E3) 및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 등을 계산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학자 j에 대한 각각의 위상지수를 구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위상지수들(E1∼E4) 외에도 임의의 학자에 대한 계량적 평가방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학자 i의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5)(수학식 3 참조)와 주제분야 학술대회 순위 가중치 위상지수(E7)(수학식 4 참조)를 계산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학자 j에 대한 각각의 위상지수를 구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학자 i에 대한 계량적 평가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단위 기간당 각종 위상지수들(E11∼E16)을 계산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학자 j에 대한 각각의 단위기간당 위상지수들을 구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학술대회에 대한 계량적 평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논문 채택률을 계산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학술대회 j의 논문 채택률(E19)은 해당 학술대회에 채택된 논문의 총 건수(A)를 접수된 논문의 총 건수(P)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상기 수학식 5 참조).
이렇게 하여 구한 단위 학술대회 논문 채택률에 의한 순위는 단위 학술대회 j의 단위 논문 채택률을, 동일한 방식에 의해 구한 단위 학술대회 k의 단위 논문 채택률과 비교하여, 학술대회 j의 수치가 학술대회 k의 그것보다 낮으면 학술대회 j를 학술대회 k보다 높은 순위에 할당한다.
또한,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 자료로 학술대회 시리즈의 논문 채택률을 계산할 수도 있다. 학술대회 시리즈 g의 논문 채택률(E20)은 학술대회 시리즈에 속한 상기 단위 학술대회들의 논문 채택률(E19)의 합을 학술대회 시리즈 g에 속한 학술대회 의 총 건수(G)로 나눈 결과로 계산되며,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3003868-pat00048
여기서,
Figure 112008023103674-pat00029
는 학술대회 시리즈 g에 속한 단위 학술대회 j의 논문 채택률을 나타낸다.
이때, 학술대회 시리즈의 논문 채택률 순위는 학술대회 시리즈 g의 논문 채택률을,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학술대회 시리즈 h의 논문 채택률과 비교하여 그 수치가 낮으면 학술대회 시리즈 g를 학술대회 시리즈 h보다 높은 순위에 할당한다.
또한,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자료로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 및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를 계산하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상기 수학식 6 및 7을 통해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술대회 j의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 학술대회 j의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 및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를 구하는 것을 각각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학술대회 j의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는 전술한 바와 같이(수학식 6 참조), 학술대회 j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E3)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C)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학술대회 j의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는 전술한 바와 같이(수학식 7 참조), 주제분야(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는 전술한 바와 같이(수학식 9 참조), 주제분야 F에 속한 단위 학술대회들의 위상지수(E22)의 총합을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G|F)로 나눈 결과로 계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학술대회에 대한 논문 채택률(E19), 학술대회 시리즈의 논문 채택률(E20),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 및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 등을 구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임의의 학술대회에 대해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의 실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의한 임의의 학자에 대한 평가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자 i의 단순 위상지수(E1)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자 i의 주제분야 위상지수(E2)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자 i의 가중치 위상지수(E3)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자 i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술대회 j의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E21)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학술대회 j의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E22)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주제분야 학술대회 시리즈 위상지수(E24)를 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Claims (6)

  1. 학술대회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위상을 계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a) 국내외에서 개최된 학술대회에 대해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특정 구조로 정규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자의 해당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이나 핵심집단유형에 포함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 및 상기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위상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계산된 학자의 위상지수 및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를 바탕으로 해당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학술대회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수집된 학술대회 데이터를 학술대회 온톨로지(ontology) 구조에 맞도록 정규화한 후, 학술대회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학술대회 데이터 편집기를 통해 학술대회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학술대회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는 단순 위상지수(E1)와 가중치 위상지수(E3)를 포함하고, 상기 단순 위상지수(E1)는 상기 학자가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를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가중치 위상지수(E3)는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t)에 각각 부여된 가중치(Wt)와 학자가 상기 핵심집단 유형(t)에 포함된 횟수(Kt)를 곱한 값(WtKt)들의 총합을 학술대회의 총 건수(N)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자의 위상지수는 주제분야 위상지수(E2)와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분야 위상지수(E2)는 학자가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총 횟수(K|F)를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N|F)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는 학자가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 유형 t에 포함된 횟수(Kt|F)와 가중치(Wt)를 각각 곱한 값의 총합을 주제분야 F에 속한 학술대회의 총 건수(N|F)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학술대회의 위상지수는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와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는 상기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가중치 위상지수(E3)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C)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주제분야 학술대회 위상지수는 주제분야(F)에 속한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들의 주제분야 가중치 위상지수(E4)의 총합을 당해 학술대회의 핵심집단에 포함된 학자의 수(C)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 지표로서 전체 학술대회 종합점수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학술대회 종합점수는 상기 학술대회의 논문 채택률과 상기 전체 학술대회 위상지수의 합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29593A 2008-03-31 2008-03-31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KR10100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93A KR101000823B1 (ko) 2008-03-31 2008-03-31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93A KR101000823B1 (ko) 2008-03-31 2008-03-31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55A KR20090104255A (ko) 2009-10-06
KR101000823B1 true KR101000823B1 (ko) 2010-12-14

Family

ID=4153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93A KR101000823B1 (ko) 2008-03-31 2008-03-31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18B1 (ko) * 2014-01-09 2014-09-26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평가 시스템, 평가 방법 및 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863B1 (ko) * 2014-12-17 2016-06-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자 논문 투고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955244B1 (ko) * 2017-05-22 2019-05-30 주식회사 제오시스 논문 평가 방법 및 전문가 추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733199B1 (ko) 2003-05-06 2007-06-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반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99B1 (ko) 2003-05-06 2007-06-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반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3119B1 (ko)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18B1 (ko) * 2014-01-09 2014-09-26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평가 시스템, 평가 방법 및 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55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Leeuwen Descriptive versus evaluative bibliometrics
Armytage Evaluating aid: An adolescent domain of practice
Yoshikane et al.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researchers’ productivity and their co-authors’ past attributions, including the importance in collaboration networks
CN110942171A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企业劳资纠纷风险预测方法
De Filippo et al. Toward a classification of Spanish scholarly journals i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considering their impact and visibility
Samadi et al.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brary characteristics on digital library effectiveness: A survey at University of Tehran
Smith et al. Compar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social work doctoral programs using the h-Index
Alshaabani et al. Impact of green human resources practices on green work engagement in the renewable energy departments
KR101000823B1 (ko) 학술대회 데이터를 이용한 학자 및 학술대회에 대한 평가방법
CN105893748A (zh) 基于粗糙集理论的幸福指数评价方法及系统
KR101429569B1 (ko)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Mustafa et al.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ublication and citation metrics for quantifying scholarly influence
CN117035550A (zh) 一种人员评价系统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06960398A (zh) 高考志愿合理性的评估方法及装置
Boyne Researching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 role of quantitative methods
Ahmed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uthor-count based metrics in measuring scientific contributions
Scherngell et al. Initial comparative analysis of model and peer review process for ERC starting grant proposals
Zagonari Scientific production and productivity in curriculum vitae characterisation: simple and nested H indices that support cross-disciplinary comparisons
Gosain et al. Assessment of quality of data warehouse multidimensional model
Boonratmaitree et al. The influence of e-government adoption and political stability on levels of happiness: A panel study of ASEAN countries
Kriksciuniene et al. Process mining of periodic rating scale survey data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Gonzalez Garibay et al. Is there an evidence basis for immigrant integration policies? A methodological enquiry
Kumar Can Webometrics Predict the Academic Rankings of Institutes?
Verma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itation Counts and Mendeley Readership: A Case Study of Highly Cited Papers in E-Learning
Grzywacz et al. A primer on sam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