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806B1 -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806B1
KR101000806B1 KR1020100087880A KR20100087880A KR101000806B1 KR 101000806 B1 KR101000806 B1 KR 101000806B1 KR 1020100087880 A KR1020100087880 A KR 1020100087880A KR 20100087880 A KR20100087880 A KR 20100087880A KR 101000806 B1 KR101000806 B1 KR 10100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support
filter
block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서
Original Assignee
김용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서 filed Critical 김용서
Priority to KR102010008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8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PURPOSE: A filtrati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amage of components during a construction process, and to secure the improved durability. CONSTITUTION: A filtration structure comprises the following: a filtering tank(110) including an inlet(111) and an outlet(113); plural supporting pillars(120) formed with a metal material, including a combination bar(125) protrud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pillars; a strainer supporter(130) combined with each supporting pillar; a strainer block(150) with plural through holes, mounted on the strainer supporter; a strainer(160) inserted to the through holes; a filler filing the gap between the strainer supporter and the strainer block; and a binder formed on an insertion groove to insert the combination bar.

Description

여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Filtr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지를 거친 유출수의 방류 전 잔류부유 물질을 제거하며, 상수처리 공정의 침전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입자 및 탁도를 제거하며, 오/폐수의 고도처리를 물리적으로 여과 처리하는 여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residual suspended matter before discharge of the effluent through the sedimentation basin, and to remove fine particles and turbidity not removed in the precipitation process of the water treatment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structure for physically filtering advanced treatment of wastewat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여과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여과 구조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10)와, 여과조의 바닥면(15)에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 지지기둥(20) 및 스트레이너 지지대(30)와, 스트레이너 지지대(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트레이너 블록(50)을 포함한다.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filter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iltration structure 1 includes a filtration tank 10, an integrated support column 20 and a strainer support 30 made of a concrete material on the bottom surface 15 of the filtration tank, and a strainer support. And a strainer block 50 coupled to the top of the 30.

이러한 종래의 여과 구조물(1)의 지지기둥(20) 및 스트레이너 지지대(3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므로, 거푸집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가 난이하며, 시공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support pillar 20 and the strainer support 30 of the conventional filtering structure 1 are concrete structures, they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they must be provided with formwork and go through a concrete pouring and curing proces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takes a long time. there was.

한편, 종래의 여과 구조물(1)의 스트레이너 블록(50)은 스트레이너 지지대(30)에 앙카(60)에 의해 결합되나, 결합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마련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3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스트레이너 지지대(30)가 부식 및 파손되어 앙카(60)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는 여과 구조물(1)의 구조적 안정성을 전체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rainer block 50 of the conventional filter structure 1 is coupled to the strainer support 30 by the anchor 60, but the strainer support 30 is provided as a concrete structure in the coupling process may be damaged. In addition, over time, the strainer support 30 may be corroded and broken, and thus the coupling may be released by the anchor 60. This may hinde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iltering structure 1 as a who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하게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과정에서 구성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증진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여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r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installed in a short time, can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mponent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can provide enhanced durability.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구조물에 있어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에 기립 설치되며, 상부면의 중앙에 결합봉이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양 단부가 상기 여과조의 측벽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며,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열의 스트레이너 지지대와; 양 단부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에 안착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상의 스트레이너 블록과;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와;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사이의 틈을 메우는 메움재와;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상에 걸쳐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의 결합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The problem to be 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ltration structure for filtering the waste water, the inlet and the outlet is formed with a filtration tank;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that are er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the coupling rods protrude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 plurality of strainer supports each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filtration tank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or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of a metal material; A plate-shaped strainer block seated at a pair of adjacent strainer supports, each of which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strainer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the strainer block; Filling material filling gaps between adjacent strainer blocks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coupling member which is provided so as to span on the adjacent strainer block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o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하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high pressure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block.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한 층의 여재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ayer of media layers stacked on top of the strainer block.

상기 여재층은 활성탄(Activated Carbon)층, 여과사(Filter Sand)층, 여과사리(Filter Gravel)층 및 바이오 필터 메디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ter media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tivated carbon layer, a filter sand layer, a filter gravel layer, and a biofilter media layer.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에는 수평방향으로 유동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strainer support may be formed through the flow 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여과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에 상부면의 중앙에 결합봉이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기둥을 기립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조의 측벽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에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양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상의 스트레이너 블록의 양 단부를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관통홀에 스트레이너(Strainer)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사이의 틈에 메움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의 결합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재를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Another object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ter structure, the step of installing a filter tank formed with the inlet and outlet; A coupling rod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and standing-up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ing both ends of the strainer support made of a metal material to the sidewall of the filtration ta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djacent to the support pillar; Mounting both ends of a plate-shaped strainer block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a pair of adjacent strainer supports; Inserting a strainer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trainer block; Filling a gap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blocks along the length of the strainer support; And a bonding material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ro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are inserted is disposed on adjacent strainer block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하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high pressure ai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block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부에 활성탄(Activated Carbon)층, 여과사(Filter Sand)층, 여과사리(Filter Gravel)층 및 및 바이오 필터 메디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여재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stalling a filter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tivated carbon layer, a filter sand layer, a filter gravel layer, and a bio filter media layer on the strainer block. It may be.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게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과정에서 구성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증진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여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tr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be constructed in a short time, can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mponent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can provide enhanced durability.

도 1은 종래의 여과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에서 오/폐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filtration structure,
2 and 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t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waste water / waste water is filtered in the fil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100)에서 오/폐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tr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filtration / waste water in the filtr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100)은 유입구(111) 및 유출구(113)가 형성된 여과조(110)와; 여과조(110)의 바닥면에 기립 설치되며, 상부면의 중앙에 결합봉(125)이 상향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기둥(120)과; 양 단부가 여과조(110)의 측벽(117)과 지지기둥(120)의 상부면 또는 인접하는 지지기둥(120)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열의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와; 양 단부가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에 안착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151)이 형성된 판상의 스트레이너 블록(150)과;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관통홀(151)에 삽입되는 스트레이너(160, Strainer)와;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 사이의 틈을 메우는 메움재(170)와;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 상에 걸쳐지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지지기둥(120)의 결합봉(125)이 삽입되는 삽입홈(183)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재(180)를 포함한다.
The filtr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tank 110 in which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3 are formed;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20 that are er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in which a coupling rod 125 protrudes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strainer supports 130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support pillar 120, respectively; A plate-shaped strainer block 150 seated at a pair of adjacent strainer supports 130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1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strainer 16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51 of the strainer block 150; Filling material 170 to fill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block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span the adjacent strainer block 15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the insertion groove 183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od 125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20 And 18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100)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filtr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ile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tr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110)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조(110)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지면 또는 지중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마련된다. 그러나, 여과조(110)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조(110)의 바닥면(115)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과조(110)의 상부의 측벽에는 오/폐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측벽에는 여과된 오/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1)에는 유입 배관(111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유출구(113)에는 유출 배관(113a)이 설치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2, the filtration tank 110 is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the filtration tank 110 is provided with a concrete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to have an internal space. However, the filtration tank 11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is provided in a quadrangular shape. An inlet 111 through which wastewater / wastewater flows into the inner sidewall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110 is formed, and an outlet 113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stewater / waste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n inlet pipe 111a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111, and an outlet pipe 113a may be installed at the outlet 113.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110)의 바닥면(115)에 복수의 지지기둥(120)을 기립 설치한다. 복수의 지지기둥(120)은 연결선상이 격자 형상이 되도록 열과 행을 맞추어 설치된다. 복수의 지지기둥(120)은 후술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지지기둥(120)의 하단부에는 판상의 플랜지(121)가 형성되어 있어 여과조(110)의 바닥면(115)에 볼트 체결된다. 지지기둥(120)의 상부면(123) 중앙영역에는 결합봉(125)이 상향 돌출되어 있다. 결합봉(125)은 볼트가 지지기둥(120)에 용접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결합봉(125)의 헤드가 지지기둥(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몸체가 지지기둥(120)의 상부면(12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봉(125)의 상부영역에는 너트(129)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27)이 형성되어 있다.
Next,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20 are standing on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20 are installed in rows and columns so that the connection lines are in a lattice shape.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20 are dispos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izes of the strainer block 150 to be described later. Plate-shaped flange 1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olumn 120 is bolted to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The coupling rod 125 protrudes upwar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support pillar 120. Coupling rod 125 is provided by the bolt is welded to the support pillar (120). Here, the head of the coupling rod 125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illar 120, the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support pillar 120. A thread 127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oupling rod 125 so that the nut 129 may be coupled thereto.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20)의 상부에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를 결합시킨다.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는 일 방향으로 복수열이 마련된다. 여기서, 여과조(110)의 측벽(117) 주위에 배치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는 일단이 여과조(110)의 측벽(117)에 결합되며, 타단이 여과조(110)의 측벽(117)에 인접한 지지기둥(12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기둥(120)은 금속재질로 마련된다. 한편, 한 쌍의 지지기둥(120)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는 양단이 각각 지지기둥(120)의 상부면(123)에 결합된다. Next, as shown in FIG. 2, the strainer support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120. Strainer support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in one direction. Here, the strainer support 130 disposed around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has one end coupled to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I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lar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e strainer suppor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illars 120 ar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support pillars 12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는 H빔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는 지지기둥(120)의 상부면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 결합될 수도 있고,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기둥(120)의 결합봉(125)은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상부면에 비하여 높이 돌출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rainer support 130 is provided with an H be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Strainer support 130 may b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may be bolted, may be fitted. Here, the coupling rod 125 of the support pilla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support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iner support 130.

한편,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에는 수평방향으로 유동홀(135)이 관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에 두개의 유동홀(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동홀(135)의 개수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홀(135)을 통하여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저부에서 오/폐수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rainer support 130 penetrates the flow hole 13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hough two flow holes 135 are formed in one strainer support 130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flow holes 135 may vary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selection. Through the flow hole 135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waste water / waste water at the bottom of the strainer block 150.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110)의 바닥면(115)과 스트레이너 지지대(130) 사이에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저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140)를 설치한다. 에어 분사부(140)는 여과조(110)의 바닥면(115)을 가로지르는 에어 이동관(141)과 에어 이동관(141)으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지고 분기되는 복수의 에어 분사관(143)을 포함한다. 에어 분사관(143)은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저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저부에서 오/폐수의 유동을 활성화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 2, between the bottom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the strainer support 130, an air injector 140 for injecting high pressure air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rainer block 150. do. The air injection unit 140 includes an air movement pipe 141 crossing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143 branching with an upward inclination from the air movement pipe 141. The air injection pipe 143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by injecting high pressure air to the bottom of the strainer block 15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and separates the flow of waste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strainer block 150. Activate it.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양 단부를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에 안착시킨다. 스트레이너 블록(150)은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폭 방향을 따른 양 단부 저면이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상부면에 안착 지지된다. 한편, 여과조(110)의 측벽(117) 주위에 배치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단부 영역은 여과조(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 브래킷(117a)에 안착 지지된다. Next, as shown in FIG. 3, both ends of the strainer block 150 are seated on a pair of strainer supports 130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Strainer block 15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bottom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strainer support 130. Meanwhile, an end region of the strainer block 150 disposed around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is seated and supported by the side wall bracket 117a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iltration tank 110.

측벽 브래킷(117a)은 ‘L’자 단면형상을 갖는 빔으로 마련되어 여과조(110)의 측벽(117)을 따라 볼트 결합된다. 측벽 브래킷(117a)의 상부 판면은 스트레이터 지지대(130)의 상부판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측벽 브래킷(117a)과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는 용접 결합되어 있다. The side wall bracket 117a is provided as a beam having a 'L' cross section and bolted along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The upper plate surface of the side wall bracket 117a has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plate surface of the strut supporter 130. The side wall bracket 117a and the strainer support 130 are welded together.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판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51)은 상광하협의 역콘(cone)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관통홀에 스트레이너(160)를 삽입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1 are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151 has an inverted cone shape of the ordinary light narrowing. The strainer 16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trainer block 150.

스트레이너(160)는 통과하는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녹, 스케일, 용접찌꺼기, 모래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한다. 스트레이너(160)는 관통홀(151)과 형상맞춤 결합되는 역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스트레이너(160)는 상부영역이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상부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스트레이너 블록(150)과 스트레이너(160)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구성이므로, 그 기능적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trainer 160 removes rust, scale, weld dregs, sand, and oth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hat passes. The strainer 160 has an inverted cone shape that is fit-fitted with the through hole 151. Here, the strainer 160 has an upper reg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150. Since the strainer block 150 and the strainer 160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func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 사이의 틈에 메움재(170)를 충전한다. 여기서, 메움재(170)는 스트레이너 블록(150) 사이의 틈을 메우는 동시에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레이너 블록(150)을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움재(170)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길이방향을 따른 스트레이너 블록(150) 사이의 틈은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므로, 메움재(170)가 여과조(110)의 바닥면(115)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3 and 6, the filling material 170 is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blocks 1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Here, the filling material 170 fills the gap between the strainer blocks 150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couple the adjacent pair of strainer blocks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ing material 170 may be provided with concrete or morta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ap between the strainer block 1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is blocked by the strainer support 130, the filling material 170 flows to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다음,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 사이의 틈을 결합재(180)로 차단한다. 결합재(180)는 평판의 금속재질의 빔으로 마련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상부면에 걸쳐 배치된다. 여기서, 결합재(180)는 ‘L’자 또는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빔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결합재(180)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 사이의 틈을 차단한다. 결합재(180)의 판면에는 복수의 지지기둥(120)의 결합봉(125)이 삽입되는 삽입홈(18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홈(183)을 통과한 결합봉(125)의 자유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127)에는 너트(129)가 결합된다. 3 and 5,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blocks 15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is blocked by the bonding material 180. The binder 180 is provided as a metal beam of a flat plate, and is dispos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adjacent strainer blocks 150. Here, the bonding material 180 may be provided as a metal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etter 'L' or '' '. The binder 180 blocks a gap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blocks 15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130. The plat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8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83 into which the coupling rods 125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20 are inserted. Here, a thread 127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rod 125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83, and the nut 129 is coupled to the thread 127.

한편, 결합재(180)는 측벽 브래킷(117a)에 결합되어, 여과조(110)의 측벽(117)과 스트레이너 지지대(130) 사이의 틈을 차단한다. 여기서, 측벽 브래킷(117a)에도 결합봉(125a)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onding material 180 is coupled to the side wall bracket 117a, and blocks the gap between the side wall 117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the strainer support 130. Here, of course, the coupling rod 125a is formed in the side wall bracket 117a.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상부에 적어도 한 층의 여재층(190)을 적층시킨다. 여기서, 여재층(190)은 활성탄(Activated Carbon)층(191), 여과사(Filter Sand)층(미도시), 여과사리(Filter Gravel)층(193) 및 바이오 필터 메디아층(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Next, 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layer of the media layer 190 is stacked on the strainer block 150. Herein, the filter layer 190 may include an activated carbon layer 191, a filter sand layer (not shown), a filter gravel layer 193, and a bio filter media layer (not shown). At least one.

활성탄은 탄소물질 또는 탄소를 함유한 물질을 활성화시킨 것으로 내부 표면적이 크고 흡착력이 매우 강한 무정형탄소의 집합체이다. 활성탄의 주성분은 탄소 이외에 소량의 산소, 질소, 수소, 유황 등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회분 및 수분이 존재하고 있다. 활성탄의 흡착능력은 비표면적이 좌우하며, 1g의 활성탄은 1,000 내지 1,700㎡의 표면적을 갖고 있는 다공성 물질이다. Activated carbon is an aggregate of amorphous carbon that activates a carbon material or a carbon-containing material and has a large internal surface area and a very strong adsorption force. The main component of activated carbon contains a small amount of elements such as oxygen, nitrogen, hydrogen, and sulfur in addition to carbon, and ash and water are present. Adsorption capacity of activated carbon depends on specific surface area, and 1 g of activated carbon is a porous material having a surface area of 1,000 to 1,700 m 2.

여과사는 석영질(SiO2)은 90% 이상의 높은 강도와 화학약품의 내산도를 갖는 자연 모래이며, 여과사리는 형상이 둥글고 모나지 않은 강도 높은 자연 자갈이다. Filtrate sand (SiO 2 ) is a natural sand having a high strength of more than 90% and the chemical acid resistance, and the filter sand is a natural pebble having a round shape and high strength.

본 실시예에서 여재층(190)은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활성탄층(191) 및 여과사리층(193)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edia layer 190 includes an activated carbon layer 191 and a filter layer layer 193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top of the strainer block 15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 구조물(100)에서 오/폐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wastewater / waste water is filtered in the filter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여과조(110)의 유입구(11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오/폐수가 여과조(110) 내부로 유입된다. 여과조(110)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여과사리층(193) 및 활성탄층(191)을 통과하며 1차 정화된다. First, wastewater /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11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1 of the filtration tank 110. Sewage /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110 is first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layer 193 and the activated carbon layer 191.

여재층(190)을 통과한 오/폐수는 스트레이너 블록(150)의 관통홀(151)에 삽입되어 있는 스트레이너(160)를 통과하며 2차 정화된다. 스트레이너(160)를 통과하여 정화된 오/폐수는 여과조(110)의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여 유출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Sewage / waste water passing through the media layer 190 passes through the strainer 16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51 of the strainer block 150 and is purified second. The waste water purified through the strainer 160 moves to the lower region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ort 11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조(110)의 바닥면(115)에 지지기둥(120)을 설치하고 지지기둥(120)에 스트레이너 블록(150)을 지지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가 안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여과 구조물(100)을 종래에 비하여 간단하게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레이너(160)를 지지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130)와, 스트레이너 지지대(130)를 지지하는 지지기둥(120)을 금속 재질로 마련하고 상호 용접 또는 체결함으로써, 시공과정 및 시공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각 구성이 파손될 우려가 없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column 1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filtration tank 110 and the strainer support 130 for supporting the strainer block 150 on the support column 120 is By installing to be seate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filtration structure 100 in a short period of time simpler than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rainer support 130 for supporting the strainer 160 and a support column 120 for supporting the strainer support 130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welding or fastening each other,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construction There is no risk of damage to each component in the process of being us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will be.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100 : 여과 구조물 110 : 여과조
120 : 지지기둥 130 : 스트레이너 지지대
140 : 에어 분사부 150 : 스트레이너 블록
160 : 스트레이너 170 : 메움재
180 : 결합재 190 : 여재층
100 filter structure 110 filter tank
120: support pillar 130: strainer support
140: air injection unit 150: strainer block
160: strainer 170: filling material
180: binder 190: media layer

Claims (7)

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구조물에 있어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에 기립 설치되며, 상부면의 중앙에 결합봉이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양 단부가 상기 여과조의 측벽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며,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열의 스트레이너 지지대와;
양 단부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에 안착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상의 스트레이너 블록과;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와;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사이의 틈을 메우는 메움재와;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상에 걸쳐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의 결합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
In the filtration structure for filtering wastewater,
A filter tank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that are er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the coupling rods protrude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made of metal;
A plurality of strainer supports each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filtration tank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or to an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support pillar and formed of a metal material;
A plate-shaped strainer block seated at a pair of adjacent strainer supports, each of which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strainer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the strainer block;
Filling material filling gaps between adjacent strainer blocks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And a coupling member provided to span the adjacent strainer block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ro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are inser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하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ltra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high pressure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block.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부에 활성탄(Activated Carbon)층, 여과사(Filter Sand)층, 여과사리(Filter Gravel)층 및 및 바이오 필터 메디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여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lter medium further comprises a filter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tivated carbon layer, a filter sand layer, a filter gravel layer, and a bio filter media layer on the strainer block. Filtration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에는 수평방향으로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lt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ner support is formed through the flow 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과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조의 바닥면에 상부면의 중앙에 결합봉이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기둥을 기립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조의 측벽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면에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양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상의 스트레이너 블록의 양 단부를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관통홀에 스트레이너(Strainer)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사이의 틈에 메움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의 결합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재를 상기 스트레이너 지지대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스트레이너 블록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의 시공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tration structure,
Installing a filtration tank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A coupling rod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and standing-up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ing both ends of the strainer support made of a metal material to the sidewall of the filtration ta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djacent to the support pillar;
Mounting both ends of a plate-shaped strainer block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a pair of adjacent strainer supports;
Inserting a strainer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trainer block;
Filling a gap between the adjacent strainer blocks along the length of the strainer support;
And arranging a coupling memb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ro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are inserted, on the adjacent strainer block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iner suppo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하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installing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high pressure ai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block.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상부에 활성탄(Activated Carbon)층, 여과사(Filter Sand)층, 여과사리(Filter Gravel)층 및 바이오 필터 메디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여재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filter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tivated carbon layer, a filter sand layer, a filter gravel layer and a bio filter media layer on top of the strainer block.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tr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0087880A 2010-09-08 2010-09-08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000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880A KR101000806B1 (en) 2010-09-08 2010-09-08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880A KR101000806B1 (en) 2010-09-08 2010-09-08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806B1 true KR101000806B1 (en) 2010-12-13

Family

ID=4351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880A KR101000806B1 (en) 2010-09-08 2010-09-08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8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69B1 (en) * 2015-05-04 2016-06-14 주식회사 부강테크 Strainer Block for a Bio-Filtration Appli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69B1 (en) * 2015-05-04 2016-06-14 주식회사 부강테크 Strainer Block for a Bio-Filtration Appliance
WO2016178520A1 (en)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 부강테크 Strainer block for biofiltr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0114B1 (en) Fluid treatment media support system
US20030132169A1 (en) Filter underdrain system for backwash flow and method for measuring same
AU2007201524A1 (en) An improved underdrain system
KR101226206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6-way filter and waterpurification method using that
JP5124318B2 (en) Filtra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9480939B2 (en) Underdrai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orces and directing flow
KR101000806B1 (en) Filt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7410578B2 (en) Underdrai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350301B2 (en) Sand filter
KR101764117B1 (en) Water intake system having reinforced screen filters
KR101319819B1 (en) The drainage system of bridge
KR100454276B1 (en) Method to construct integration type lower water collector and thereof apparatus
KR100997116B1 (en) Method for remodeling lower facilities on filtration bed of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ucture thereof
CN107299592B (en) Grouting bridge for filter underdrain block
KR101194030B1 (en) Air uniform supplying structure of rapid filter system
CN109322226A (en) The sponge urban water-through pavement of replaceable filter device
KR100988274B1 (en) Purifying equipment for making freshwater from river water by fitering river using a natural river bed
KR100575848B1 (en) Porous blo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nderdrain system
KR200282955Y1 (en) Method to construct integration type lower water collector and thereof apparatus
KR100737840B1 (en) Method to construct multi-integration type lower water collector and thereof apparatus
CN206219307U (en) It is a kind of for denitrification deep-bed filter and the filter block in advanced catalytic oxidation pond
KR20120120694A (en) Clarification of water and sewerage filter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larification of water and filtering equipment
CN215053791U (en) Stone cage for filtering
KR100659401B1 (en) Underdrain Apparatus for Filtering Pond
KR200421123Y1 (en) Multi-integration type lower water collec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