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49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492B1
KR101000492B1 KR1020080009018A KR20080009018A KR101000492B1 KR 101000492 B1 KR101000492 B1 KR 101000492B1 KR 1020080009018 A KR1020080009018 A KR 1020080009018A KR 20080009018 A KR20080009018 A KR 20080009018A KR 101000492 B1 KR101000492 B1 KR 10100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nformation
colors
representativ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3073A (en
Inventor
김성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492B1/en
Priority to JP2008119682A priority patent/JP5058064B2/en
Priority to US12/289,631 priority patent/US8684741B2/en
Priority to CA002642906A priority patent/CA2642906A1/en
Publication of KR2009008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미술치료 기법에 활용가능한 문양에 칠해진 색상의 여러 요인과 작업의 집중도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하여 지식을 탐색하여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단 대상자에게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자의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진단 대상자의 문양 색칠하기 작업에 따른 분석 대상 그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색상 요인 및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요인 및 상기 집중도 요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설문응답정보를 기초로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탐색하여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문을 통해 수집되는 색상에 대한 개인적인 성향과 문양 색칠을 분석하여 획득한 요인들(색상 요인, 집중도 요인 등)의 해석에 관련된 지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임의의 색칠된 문양이 주어지면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해당되는 지식을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factors of color painted on patterns that can be used for art therapy techniques and factors related to concentration of work and to diagnose psychological symptoms by searching knowledge based on responses to questionnaires. More specifically, providing a questionnaire to the diagnosis subject; Acquiring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diagnosis subject from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Receiving an analysis target picture according to a pattern coloring task of the diagnosis subject; Analyzing a color factor and a concentration facto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nd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diagnosis subject by searching for knowledge from a knowledge databas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alyze the personal disposition and pattern coloring of the color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build a database of interpretations on the factors (color factors, concentration factors, etc.) acquired, and analyze the factors given any colored patterns. And search for and provide corresponding knowledge.

미술치료, 문양, 색칠, 색상 요인, 집중도, 심리 증상 진단 Art therapy, glyphs, coloring, color factors, concentration, psychological symptoms

Description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본 발명은 심리 증상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양을 색칠한 그림의 여러 요인(색상 요인 및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various factors (color factor and concentration factor) of a patterned picture.

만다라(Mandala)의 문양 색칠하기 기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색칠하기 미술치료 기법은 심리적, 정신적 상태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효과를 보고 있는 미술 치료 기법으로 입증되어 있다. 색칠하기(이하 만다라 문양 및 일반 문양 색칠하기 포함) 작업은 작업자의 정신을 집중하게 함으로써 자기를 돌아보며, 내면의 질서를 세우고 조화롭게 하며, 고유한 자신을 찾아나가는 도구로 알려져 왔다. 색칠하기 작업 동안 작업자의 내면이 표현된다는 사실만으로도 내면의 긴장이 완화되고 따라 서 치유된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Common coloring art therapy techniques, including Mandala's pattern coloring techniques, have been proven to be widely us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sychological and mental conditions. Coloring (including mandala and common pattern coloring) has been known as a tool for looking back on yourself by focusing on the spirit of the worker, establishing and harmonizing inner order, and finding your own. The fact that the inside of the worker is expressed during the coloring process has proved experimentally that the inner tension is relieved and therefore healed.

미술치료사들은 그림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빈약한 반응으로부터도 심리 상태에 대하여 상당히 정확한 정보를 끄집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색칠하기 작업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정신적,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의 지침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미술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Art therapists can extract fairly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mind, even from the relatively poor response of paintings. Therefore, the coloring task can be a useful art therapy method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identify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tient and to provide a guide of treatment.

색칠하기 작업은 불안, 죄책감, 무기력, 변덕, 악몽, 무관심, 그리고 여러 종류의 사회적 기피증 치료 및 심리 치료에 유용하며,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환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Coloring works are useful for treating anxiety, guilt, lethargy, moody, nightmares, indifference, and various types of social evasion and psychotherapy.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impulses.

미술 치료에서 미술치료사들은 그림에 나타나는 형태, 상징, 선, 색상 등을 관찰한다. 문양을 색칠하는 작업에서는 색상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제까지 색상과 관련된 요인을 컴퓨터와 지식 베이스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방법은 없었다. 그리고 색칠하기 작업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업의 집중도가 있다. 모든 것을 잊고 작업에 몰두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마음이 평정되도록 하는 것은 색칠하기 작업의 기본적인 미술 치료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색칠하기 작업에서 얼마나 열심히 몰두하여 작업하는 지가 미술치료 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In art therapy, art therapists observe the forms, symbols, lines, and colors that appear in paintings. Colors will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painting patterns. There has been no way to automatically analyze and judge color-related factors by computer and knowledge base. And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loring work is the concentration of the work. Unknowingly calming yourself while forgetting everything and working on it is a basic art therapy function of painting. Therefore, how diligent work in the coloring work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art therapy.

또한, 설문에 의해 수집되는 개인적인 성향에 관련된 요인과, 색칠된 문양의 분석을 통해 획득된 요인을 해석하는 전문가 시스템은 지금까지 없었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expert system for interpreting factors related to personal disposition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factor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colored patterns.

따라서, 본 발명은 설문을 통해 수집되는 색상에 대한 개인적인 성향과 문양 색칠을 분석하여 획득한 요인들(색상 요인, 집중도 요인 등)의 해석에 관련된 지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임의의 색칠된 문양이 주어지면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해당되는 지식을 탐색하여 제공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builds a database of knowledge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factors (color factors, concentration factors, etc.) obtained by analyzing individual dispositions and pattern colorings for color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Provided are methods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if any, for analyzing factors and searching for and providing knowledge.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색칠된 문양이 주어지면 그 변화를 탐지하고, 해당 지식을 제공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given a series of colored patterns, for detecting the change and providing the corresponding knowledge.

또한, 본 발명은 단시간 내에 수백에서 수천장의 그림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일반적인 문양 색칠하기 분석에 드는 전문가의 노력과 시간을 절감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by automatically analyzing hundreds to thousands of pictures in a short time to reduce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a general pattern coloring analys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단 대상자에게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자의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진단 대상자의 문양 색칠하기 작업에 따른 분석 대상 그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색상 요인 및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요인 및 상기 집중도 요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설문응답정보를 기초로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탐색하여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ing a questionnaire to a diagnosis subject; Acquiring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diagnosis subject from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Receiving an analysis target picture according to a pattern coloring task of the diagnosis subject; Analyzing a color factor and a concentration facto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nd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diagnosis subject by searching for knowledge from a knowledge databas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을 입력받고 상기 색상 요인 및 상기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는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providing of the questionnaire and obtain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nd analyzing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ny order.

상기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탐색하여 상기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quir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may search for knowledge from the knowledge database based on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to obta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을 입력받는 단계는 둘 이상의 분석 대상 그림을 순차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분석 결과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탐색하여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The receiving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may include receiving two or more analysis target pictures sequentially, and diagnosing the psychological symptom may search for knowledge from the knowledge databas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nalysis results of two or more analysis target pictures. Th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diagnosis subject may be predicted.

여기서,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색상 요인 및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 요인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 요인과 상기 집중도 요인의 판단은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The analyzing of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color factor and analyzing the concentration factor,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may be performed at random. It can be done in sequence or simultaneously.

상기 색상 요인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그림에 사용된 색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색상을 미리 설정된 복수의 대표색들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상기 대표색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색상 요인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2차 색상 요인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rmining of the color factor may include: recognizing a color used in the analysis target picture; Converting the color into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representative colors; Extracting a primary color facto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from the converted representative color; And determining a second color facto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from the first color factor.

상기 색상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을 픽셀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에 칠해진 색상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cognizing the color may include: dividing the analysis target picture in pixel units; And recognizing a color painted on the pixel.

상기 대표색 변환 단계는 상기 색상을 미리 설정된 색상수의 색 분류에 의한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표색 변환 단계는, 상기 색상을 미리 설정된 색상수의 색 분류에 의한 제1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다른 색상수의 색 분류에 의한 제2 대표색 중 하나로 재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대표색의 수가 상기 제2 대표색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step, the color may be converted into any one of representative colors by color classific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colors. Alternatively,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step may include converting the color into any one of the first representative colors by color classific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colors; And re-converting to one of the second representative colors based on the color classification of another preset number of colors,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representative color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representative colors.

상기 1차 색상 요인 추출 단계는 사용된 색상의 수, 색상의 종류, 색상별 면적, 클러스터 수, 윤곽선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The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on step may extract any one of the number of colors used, the type of colors, the area for each color, the number of clusters, the contour line, and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2차 색상 요인 판단 단계는 주제색과 부제색의 2차 색상 요인, 1차색과 2차색의 2차 색상 요인, 따뜻한 색과 찬색의 2차 색상 요인, 보색의 2차 색상 요인, 색상의 다양성의 2차 색상 요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 색상 요인을 정량적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The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step includes the secondary color factors of the main color and the subtitle color, the secondary color factor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the secondary color factors of the warm and cold colors, the secondary color factors of the complementary colors, and the variety of colors. At least one secondary color factor among the secondary color factors of may be calculated as quantitative data.

한편 상기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완성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완성도와 상기 정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문양 색칠하기 작업의 집중도 요인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alyzing the concentration factor, measuring the completenes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Measuring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nd determining a concentration factor of the pattern coloring task based on the completeness and the accuracy.

상기 집중도 판단 단계는 상기 완성도와 상기 정확도를 설명 변수로 하고, 상기 집중도를 종속 변수로 하는 다중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집중도 요인을 판단할 수 있다. In the concentration determining step, the concentration factor may be determined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completeness and the accuracy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concentr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상기 완성도 측정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기본 문양 전체의 픽셀 수 에 대해 상기 기분 문양 내에 칠해진 픽셀 수의 비율을 상기 완성도로 측정할 수 있다. The perfection measurement step may measure the ratio of the number of pixels painted in the mood pattern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basic pattern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상기 정확도 측정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기본 문양의 클러스터와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색상 클러스터의 일치 정도를 상기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 The accuracy measuring step may measure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cluster of the basic pattern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nd the color cluste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with the accuracy.

상기 정확도 측정 단계는, 임의의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 상기 대표색별로 픽셀 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픽셀 수가 가장 많은 대표색을 상기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 정확하게 칠해진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모든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 대해서 상기 픽셀 수 계산 단계 및 상기 색상 결정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모든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 정확하게 칠해진 색상의 픽셀 수를 합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총 픽셀 수로 상기 합산된 픽셀 수를 나눈 값을 상기 정확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asuring accuracy may include calculating a number of pixels for each representative color in any basic pattern cluster; Determining a representative color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as a color accurately painted in the basic pattern cluster; Repeating the pixel number calculation step and the color determination step for all basic glyph clusters; Summing up the number of pixels of the correctly painted color in all the basic glyph clusters; And determining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sum of the number of pixels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with the accuracy.

상기 정확하게 칠해진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 수가 가장 많은 대표색이 하양인 경우 상기 기본 문양 클러스터를 칠하지 않은 기본 문양 클러스터로 간주하고 상기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는 정확하게 칠해진 픽셀 수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f the correctly painted color, when the representative color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s white, it may be regarded as a basic pattern cluster without painting the basic pattern cluster,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pixels accurately painted in the basic pattern cluster is not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단 대상자의 문양 색칠하기 작업에 따른 분석 대상 그림을 입력받고, 상기 분석 대상 그림의 색상 요인 및 집중도 요인을 분석하는 문양 색칠 분석 모듈; 상기 진단 대상자에게 설문을 제공하고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자의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 상기 개인 성향, 상기 색상 요인 및 상기 집중도 요인과 심리 증상을 연계시키는 지식을 저장하고 있는 지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색상 요인 및 상기 집중도 요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설문응답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탐색하여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심리 증상 진단 모듈을 포함하는 심리 증상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for receiving an analysis target pic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coloring task of the diagnosis subject, and analyzing the color factor and concentration factor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providing a questionnaire to the diagnosis subject and obtaining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diagnosis subject from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A knowledge database storing knowledge linking the personal disposition,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with psychological symptoms; And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subject by searching for knowledge from the knowledge databas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lor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do.

여기서, 상기 문양 색칠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리 증상 진단 모듈은 현재 분석 대상 그림의 분석 결과와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거 분석 대상 그림의 분석 결과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탐색하여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istory database for storing a result analyzed by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wherein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includes a difference between an analysis result of a current analysis target picture and an analysis result of a past analysis target picture stored in the history database. Th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diagnosis subject may be predicted by searching for knowledge from the knowledge database based on.

한편, 상술한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to be executed in the computer.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은 설문을 통해 수집되는 색상에 대한 개인적인 성향과 문양 색칠을 분석하여 획득한 요인들(색상 요인, 집중도 요인 등)의 해석에 관련된 지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임의의 색칠된 문양이 주어지면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해당되는 지식을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uilding a database of knowledge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factors (color factors, concentration factors, etc.) obtained by analyzing the individual disposition and pattern coloring of the color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Given the colored patterns, the factors can be analyzed and the corresponding knowledge explored and provided.

또한, 일련의 색칠된 문양이 주어지면 그 변화를 탐지하고, 해당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given a series of colored pattern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hange and provide corresponding knowledge.

또한, 단시간 내에 수백에서 수천장의 그림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일반적인 문양 색칠하기 분석에 드는 전문가의 노력과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automatically analyzes hundreds to thousands of pictures in a short time, saving time and effort for the expert in analyzing common coloring pattern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심리 증상 진단을 위한 설문의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of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It is an illustration.

도 1을 참조하면,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12), 심리 증상 진단 모듈(13), 지식 데이터베이스(14), 이력 데이터베이스(15)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apparatus 10,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a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12,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13, a knowledge database 14, and a history database 15 Is shown.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은 일반적으로 미술 치료의 대상이 되는 진단 대상자(예를 들어, 아동, 심리 치료 대상자 등)가 색칠한 문양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요인들(색상 요인, 집중도 요인 등)을 정량적인 데이터로 제공한다(단계 S21).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에 대해서는 추후 도 4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analyzes patterns painted by a diagnosis subject (eg, a child, a psychotherapy subject, etc.) who are generally the subject of art therapy, and analyzes preset factors (color factor, concentration factor, etc.). Quantitative data are provided (step S21).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6.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12)은 설문 등의 방법을 통해 개인적인 성향을 획득한다(단계 S22).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설문은 색상에 관한 것으로, 선호 색상과 혐오 색상(문항 1 및 2 참조), 진단 대상자의 현재 심리 상태(문항 3 및 5 참조), 색상 성향(문항 4 및 6참조)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12 acquires personal propensity through a questionnaire or the like (step S22). Referring to FIG. 3, a questionnaire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llustrated. The questionnaire is about color and obtains information about preferred and dislike colors (see questions 1 and 2), the current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see questions 3 and 5), and color disposition (see questions 4 and 6).

이러한 설문은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진단 대상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 도 3과 같은 화면을 제공하고, 각 문항별로 해당 색상 아이콘을 클릭(click) 또는 드래그앤드롭(drag & drop)함으로써 진단 대상자의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각 문항별로 해당 색상에 상응하는 숫자, 기호, 문자 등을 입력함으로써 진단 대상자의 설문응답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Such a questionnaire may be provided to a diagnosis subjec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apparatus 10. The screen as shown in FIG. 3 is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diagnosis subject may be acquired by clicking or dragging and dropping the corresponding color icon for each item. Alternatively,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diagnosis subject may be obtained by inputting numbers, symbols, and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lor for each item.

여기서,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이 그림을 입력받고 문양 색칠을 분석하는 것과,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12)이 설문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획득하는 것은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glyph coloring analysis module 11 receives a picture and analyzes glyph coloring,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12 provides a questionnaire and obtains a response thereto in any order or simultaneously. .

심리 증상 진단 모듈(13)은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에서 분석된 요인들(색상 요인, 집중도 요인 등)과,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12)에서 획득한 설문응답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지식들을 탐색하여 상응하는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진단 대상자의 심리 증상을 진단한다(단계 S23). 심리 증상을 진단함에 있어서, 지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지식들, 이력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과거 이력 정보(예를 들어, 진단 대상자가 과거에 색칠한 문양의 분석 결과 등)를 활용할 수 있다.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13 is based on the factors analyzed in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color factor, concentration factor, etc.)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12 based on the knowledge database. The psychological symptom of the subject to be diagnosed is diagnosed by searching for the knowledge stored in 14 and providing corresponding knowledge (step S23). In diagnosing a psychological symptom, knowledge stored in the knowledge database 14 and past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history database 15 (for example, an analysis result of a pattern painted in the past by a diagnosis subject) may be utilized.

지식 데이터베이스(14)는 일반 그림에 나타나는 색상에 관한 지식, 정해진 문양(예를 들어, 만다라 등) 색칠하기에 나타나는 색상에 관한 지식, 이들 색상에 대한 지식들과 개인 성향 정보를 연계시키는 지식, 둘 이상의 색칠된 문양 사이의 차이로부터 획득되는 심리 변화에 대한 지식 등이 저장된다. The knowledge database 14 includes both knowledge about the colors that appear in a general picture, knowledge about the colors that appear in a given pattern (e.g., mandala, etc.), knowledge about those colors, and knowledge that links personal propensity information. Knowledge of the psychological change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colored patterns is stored.

다양한 지식이 지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Various knowledge may be stored in the knowledge database 14, some of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이러한 지식은 IF THEN 형식으로 표현한다. IF THEN 형식은 다음과 같다. 모든 지식 표현이 이 형식을 완전히 따를 필요는 없고, 일부 표현을 생략하여도 된다. This knowledg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IF THEN. IF THEN format is as follows. Not all representations of knowledge need to follow this form completely, and some representations may be omitted.

IF (n) 조건1, or 조건2, or . . . , or 조건n, IF (n) condition 1, or condition 2, or. . . , or condition n,

THEN (m) 결과1, 결과2, . . . , 결과m[지식의 확신 정도; 표현양식].THEN (m) result1, result2,. . . , Result m [degree of confidence of knowledge; Expression form].

..

여기에서 n은 or 조건의 수, m은 결과의 수를 나타낸다. and의 여러 조건은 하나의 조건으로 표시한다. 결과에서 and와 or가 동시에 적용될 때에는 and/or로 표시한다. 지식의 확신 정도가 1이면 "~이다"로 표현되고, 2이면 "~일 것이다", 3이면 "~일 것같다", 4이면 "~일 수도 있다", 5이면 "가끔 ~일 수도 있다" 등으로 표시된다. 화면 제공에서 표현 양식이 1이면, "~이다"의 형태로, 2이면 "~입니다"의 형태로 표현된다. 이 밖에도 서술문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Where n is the number of or conditions and m is the number of results. Multiple conditions of and are represented by one condition. When and and or are applied simultaneously in the result, it is indicated as and / or. If the confidence level of knowledge is 1, it is expressed as "is", 2 is "will be", 3 is "may be", 4 is "may be", 5 is "sometimes" And the like. In the screen providing, if the expression style is 1, 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is", and if it is 2, it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is". In other cases, the statement may be displayed.

다음의 지식을 예로 들어 지식 표현 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knowledge is used as an example to explain how to express knowledge.

"만다라에 빨간색이 많이 나타난 경우, 긍정적인 의미로는 건강하게 생존하며, 보다 위대한 내면의 지혜를 터득하는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이고, 부정적인 의미로는 상처와 파괴성을 가진 분노, 고통을 의미한다고 하였다.""If you see a lot of red on the mandala, you're in a positive sense, you're healthy, you've got the energy to change, and you're hurting, destructive anger and pain." "

위 지식의 내용은 IF THEN 규칙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The content of the above knowledge is expressed as IF THEN rule as follows.

[지식1] [Knowledge 1]

IF (2) 주제색=빨강 or 부제색=빨강, IF (2) subject color = red or subtitle = red,

THEN (4) 건강한 생존, 내면의 지혜를 터득할 에너지 존재, 상처와 파괴성을 가진 분노, 고통 [3; 1].THEN (4) Healthy survival, an energy being to acquire inner wisdom, anger with wounds and destructiveness, suffering [3; One].

설문에 응답한 개인의 성향과 색칠된 문양에 나타낸 색상을 연계하는 지식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Examples of knowledge linking the dispositions of individual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ith the colors in the colored patterns are:

"설문서에서 기쁠 때의 색상과 만다라의 주제색이 같은 경우에는 현재의 기분이 좋은 상태라고 판단된다.""If you are happy with the subject color of the mandala in the document, it is judged to be in a good mood."

[지식2] [Knowledge 2]

IF (1) input#6(3) = 주제색,IF (1) input # 6 (3) = subject color,

THEN (1) 현재 기분 = 좋은 상태 [2; 2].THEN (1) current mood = good condition [2; 2].

여기서, input#i(j)는 도 3에 도시된 설문의 문항 i의 소문항 (j)의 답변을 의미한다. Here, input # i (j) means the answer of the rumor item (j) of the question i of the questionnaire shown in FIG.

색상은 인간의 사고과정과 행동에 신체적 영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사람의 의식을 넘어서서 잠재의식적인 정신적 영향을 가진다. 색상은 정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인식된다. 색상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색상을 사용하느냐는 그 사람의 현재의 정서적 상태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비록 색상들이 모든 사람들에게 같은 의미를 갖지 않지만, 빨강의 정서적 의미는 폭력, 열정, 공격적, 화남으로 간주되고, 노랑은 수용력, 갈색은 수줍음으로 간주된다. Color not only has a physical effect on human thinking processes and actions, but also subconscious mental effects beyond human consciousness. It is recognized that color is closely related to emotion. How to react to color and what color to use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in analyzing the person's current emotional state. Although colors do not have the same meaning for everyone, the emotional meaning of red is regarded as violence, passion, aggressiveness, anger, and yellow as capacity and brown as shyness.

심각한 성적학대를 받은 아동이나 의기소침한 환자들은 그림에서 한 개 또는 두 개의 색상만을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정신적 외상을 겪은 환자들은 그들의 정신적 고통, 불안, 두려움, 슬픔, 고독, 절망감을 색상을 선택하여 표현한다. 지진, 태풍, 비행기 추락 등의 천재지변을 겪은 아동들은 단지 한 개, 두 개 또는 많아야 세 개의 색상만을 사용하고, 그 색상이 검정, 흰색, 어떤 경우에는 빨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children with severe sexual abuse or depressed patients use only one or two colors in the picture. Patients with mental trauma choose color to express their mental pain, anxiety, fear, sadness, loneliness and despair. Children who suffer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yphoons, and plane crashes tend to use only one, two, or at most three colors, and the colors are black, white, and in some cases red.

상술한 것과 같이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그림에서 나타나는 색상에 대한 지식에 관하여 예시로 몇 개의 표현을 제시한다. 이러한 지식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방법에도 적용된다. As described above, several expressions are presented as an example regarding the knowledge of colors appearing in general pictures used in art therapy. This knowledge also applies to the method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식3] [Knowledge 3]

IF (0),IF (0),

THEN "Johannes Itten은 그의 대표적 미술교육학 저서인 '색채의 예술'에서 "색은 우리의 의식과는 상관없이 긍정적 혹은 부정적 방식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이다"라는 말을 피력하였습니다. 이 전문가 시스템은 △△△ 님께서 작성하신 만다라의 색상을 통하여 성격과 심리를 분석하고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여 드립니다." THEN "Johannes Itten wrote in his iconic art education book, The Art of Colors," Color is the energy that affects us in a positive or negative way irrespective of our consciousness. " △△△ through the color of the mandala prepared by the character and psychology to analyze and provide the results. "

[지식4] [Knowledge 4]

IF (0),IF (0),

THEN "이 시스템에서는 귀하께서 그리신 만다라에 나타난 색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의미와 해석은 매우 일반적인 것입니다. 모 든 색상은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를 동시에 갖고 있고, 개인이 자라온 환경, 경험,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색상에 대한 의미와 해석은 실제와 크게 다를 수 있음을 밝힙니다."THEN "In this system we have given meaning to and interpreted the colors in your mandala. But these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are very common. All color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s. It depends on the environment, experiences, and cultures that have grown up, so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olors provided by this system can be very different. "

지식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가 진단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서두에 나타낼 일반적인 지식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Knowledges 3 and 4 are general knowledge to be shown at the beginning of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diagnosis result,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반 그림에서 나타나는 색상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lors in common pictures:

[지식5] [Knowledge 5]

IF (1) 사용한 색상 수 ≤ 2,IF (1) number of colors used ≤ 2,

THEN (2) 심각한 성적학대 경험 and/or 의기소침. THEN (2) Serious sexual abuse experiences and / or depression.

[지식6] [Knowledge 6]

IF (1) 사용한 색상 수 ≤ 3 and 사용한 색상 = 검정, 흰색, 빨강,IF (1) Number of Colors Used ≤ 3 and Colors Used = Black, White, Red,

THEN (1) 지진, 태풍, 비행기 추락 등의 천재지변.THEN (1)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yphoons and plane crashes.

[지식7] [Knowledge 7]

IF 주제색 = 빨강 and 빨강색의 비율 ≥ 0.5, IF subject color = red and red ratio ≥ 0.5,

THEN "폭력적, 공격적 성격을 누그러뜨릴 필요가 있거나, 열정적 성격의 소유자이며, 화가 나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THEN "You need to soften your violent and aggressive personality, or you're a passionate personality and look angry."

[지식8] [Knowledge 8]

IF 주제색 = 노랑 and 노랑색의 비율 ≥ 0.3,IF subject color = yellow and yellow ratio ≥ 0.3,

THEN 수용력이 많은 성격. THEN Carrying character.

[지식9] [Knowledge 9]

IF 주제색 = 갈색 and 갈색의 비율 ≥ 0.3IF subject color = brown and brown ratio ≥ 0.3

THEN 수줍음이 많은 성격.THEN shy character.

[지식10] [Knowledge 10]

IF (6) 주제색 = 빨강, or 주제색 = 주황, or 주제색 = 노랑, or 부제색 = 빨강 and 부제색의 비율 ≥ 0.2, or 부제색 = 주황 and 부제색의 비율 ≥ 0.2, or 부제색 = 노랑 and 부제색의 비율 ≥ 0.2,IF (6) Subject color = red, or subject color = orange, or subject color = yellow, or subcolor = red and subcolor ratio ≥ 0.2, or subcolor = orange and subcolor ratio ≥ 0.2, or subcolor = Ratio of yellow and subcolor ≥ 0.2,

THEN "외향적인 성격으로, 자신의 감정표현이 활발하고 자유롭습니다. 애정을 받고 자랐고, 누군가를 의지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듯합니다. 다른 사람과의 인간관계가 원활하고, 잘 어울릴 수 있습니다. 자기중심적이지만 협동적이며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합니다."THEN "As an outgoing personality, you are active and free to express yourself. You seem to grow up with affection and want to depend on someone. Y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are smooth and well-matched. Self-centered. But cooperative and well adapted to the new environment. "

[지식11] [Knowledge 11]

IF (1) 빨강의 비율 ≥ 0.5,IF (1) the ratio of red ≥ 0.5,

THEN "심리적, 정신적으로 이상 상태에 있는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THEN "I need to doubt whether I am mentally or mentally abnormal."

[지식12] [Knowledge 12]

IF (1) 빨강의 비율 ≤ 0.03,IF (1) the ratio of red ≤ 0.03,

THEN "너무 수동적이 아닌지, 무엇을 하고자 하는 의지력이 결핍되어 있는지, 또는 자기 주장에 너무 소극적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THEN "You need to wonder if you're not too passive, what you lack the willingness to do, or if you're not too passive in your arguments."

[지식13] [Knowledge 13]

IF 보색 = 파랑-주황,IF complementary color = blue-orange,

THEN 관계성을 갖고자 하는 욕망과 성취지향적인 노력 사이의 마찰.The friction between desire to have a THEN relationship and achievement-oriented effort.

[지식14] [Knowledge 14]

IF 찬 색의 비율 ≥ 0.7,IF cold color ratio ≥ 0.7,

THEN "△△△ 님은 당면한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매우 차분한 성격의 소유자로 보입니다." THEN "△△△ seems to be a very calm owner who reasonably solves the problems at hand."

문양 색칠 관련 지식:Related Knowledge:

[지식15] [Knowledge 15]

IF 주제색 = 빨강,IF subject color = red,

THEN 긍정적 측면: 사랑, 감각, 열정, 자기신뢰, 힘, 권위, 지구력, 자립심, 삶의 기쁨, 생의 욕구, 획득, 생명력, 강한의지, 용기, 즉흥성, 정직, 감사, 용서, 인간적, 외향적 or 부정적 측면: 본능, 분노, 미움, 자기연민, 자기만족, 급한 성격, 무례한, 지배적, 오만한, 격렬한, 잔인한.THEN Positive aspects: love, sense, passion, self-confidence, strength, authority, endurance, independence, joy of life, life desire, acquisition, vitality, strong will, courage, improvisation, honesty, gratitude, forgiveness, human, extrovert or Negative aspects: instinct, anger, hate, self-pity, self-satisfaction, impatient personality, rude, dominant, arrogant, violent, cruel.

[지식16] [Knowledge 16]

IF 주제색 = 주황,IF subject color = orange,

THEN 자의식과 자기회의의 양면성 and/or 방심과 부주의한 성향이나 에너지가 넘치는 목적지향성과 공명심.THEN Two-sided and / or self-consciousness and self-confidence and carelessness, careless disposition or energetic destination orientation and resonance.

[지식17] [Knowledge 17]

IF 주제색 = 주황,IF subject color = orange,

THEN 긍정적 측면: 에너지, 낙천주의, 생의 욕구, 생명력, 활동성, 용기, 강함, 개방성, 젊음의 활력, 건강, 자기신뢰, 친절, 순수한, 진심, 기쁨, 열정, 자기 확신, 독립적, 건설적, 사교적, 섬세함, 싱싱함, 음식을 좋아하는, 넘치는 에너지, 스포티한 or 부정적 측면: 권세욕, 자기 과시, 경망함,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성향, 병적 거식증(혹은 폭식증), 알코올 과음, 거만한.THEN Positive aspects: energy, optimism, life needs, vitality, vitality, courage, strength, openness, youthful vitality, health, self-confidence, kindness, pure, sincere, joy, passion, self-confidence, independence, constructive, social, Delicacy, crisp, food-loving, energetic, sporty or negative aspects: power greed, self-examination, disdain, disposition to solve problems, morbid anorexia (or bulimia nervosa), alcoholism, arrogance.

개인 성향 관련 지식:Personal orientation knowledge:

[지식18] Knowledge 18

IF input#3 ≠ input#5,IF input # 3 ≠ input # 5,

THEN "설문서의 응답에 모순이 있습니다. 좀 더 성의를 갖고 작성해 주세요." THEN "There is a contradiction in the response to the article. Please write more carefully."

[지식19] [Knowledge19]

IF 주제색 = input#6(3),IF subject color = input # 6 (3),

THEN "△△△ 님은 현재 기분이 좋으신 것으로 보입니다."THEN "△△△ seems to be happy now."

[지식20] [Knowledge 20]

IF input #4(1) = input#4(2) and input#4(1) ≠ input#4(3),IF input # 4 (1) = input # 4 (2) and input # 4 (1) ≠ input # 4 (3),

THEN "△△△ 님은 어머니보다 아버지에 더 가까운 듯합니다."THEN "△△△ 's closer to my father than my mother."

문양 색칠 변화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hanging pattern coloring:

[지식21] [Knowledge 21]

IF (5) (이전 색상의 수) x 1.3 ≤ 현재 색상의 수, or (이전 클러스터의 수) x 1.3 ≤ 현재 클러스터의 수, or (이전 완성도) x 1.3 ≤ 현재 완성도, or (이전 정확도) x 1.3 ≤ 현재 정확도, or (이전 집중도) x 1.3 현재 집중도, IF (5) (number of previous colors) x 1.3 ≤ number of current colors, or (number of previous clusters) x 1.3 ≤ number of current clusters, or (previous completeness) x 1.3 ≤ current completeness, or (previous accuracy) x 1.3 ≤ current accuracy, or (previous concentration) x 1.3 current concentration,

THEN "이전 만다라 작성 시보다 더 성의를 갖고 작성하셨으며, 그 때보다 기 분이 좋으신 것으로 생각됩니다."THEN "I wrote this with more sincerity than when I wrote the mandala, and I think you feel better than ever."

[지식22] [Knowledge 22]

IF (1) 이전 주제색 = 빨강 and 현재 주제색 = 파랑,IF (1) previous subject color = red and current subject color = blue,

THEN "이전보다 더 침착해지시고 냉정해지신 것 같습니다."THEN "I feel calmer and cooler than before."

[지식23] [Knowledge 23]

IF (1) 이전 따뜻한 색의 비율 x 1.3 ≤ 현재 따뜻한 색의 비율,IF (1) the ratio of previous warm colors x 1.3 ≤ the ratio of current warm colors,

THEN "이전보다 감정 표현이 활발하여지고 자유로워진 것 같습니다."THEN "I feel more active and free than before."

지식 21, 23에서 1.3은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변수이며, 임의의 값으로 변화될 수 있다. In Knowledge 21, 23, 1.3 is a variable for detecting change and can be changed to any value.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은 지식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의 지식이 지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knowledge, knowledge of various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knowledge database 14.

진단 대상자가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를 이용함에 있어서, 이력 데이터베이스(15)는 진단 대상자가 과거에 색칠한 문양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며, 현재 색칠한 문양의 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측정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In the diagnosis subject using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apparatus 10, the history database 15 stor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attern painted in the past by the diagnosis subject,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painted pattern.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measure psychological changes.

또한,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는 결과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 제공 모듈은 추후 설명할 도 17에 도시된 문양 색칠 분석 결과와, 도 18에 도시된 심리 증상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result providing module. The result providing module may provide a pattern coloring analysis result shown in FIG. 17 and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result shown in FIG. 18.

이하에서는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모듈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5는 문양 색칠 분석 모듈에 포함되는 색상 요인 분석부의 구성블록도이며, 도 6은 문양 색칠 분석 모듈에 포함되는 집중도 요인 분석부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본 문양에 색칠이 되어 있는 분석 대상 그림이다. 도 10은 분석 대상 그림을 대표색 변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 중 주제색과 보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 중 1차색과 2차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 중 따뜻한 색과 찬 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분석 대상 그림에서 추출된 클러스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기본 문양의 클러스터와 분석 대상 그림의 클러스터가 겹쳐진 도면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color factor analysis unit included in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and FIG. 6 is included in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ntration factor analysis unit,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asic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icture of the analysis target is colored on the basic pattern shown in FIG.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representative color image is converted from an analysis target figure,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color and a complementary color among primary color factors of an analysis target figure,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primary colors and secondary colors, FIG. 13 is a view showing warm colors and cold colors among the primary color factor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FIG. 14 is a view showing cluster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target picture, and FIG. This is a diagram where the cluster of basic patterns overlaps with the cluster of the figure to be analyzed.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 입력부(110), 잡음 제거부(120), 색상 요인 분석부(130), 집중도 요인 분석부(140), 색상 인식 모듈(131), 대표색 변환 모듈(133), 1차 색상 요인 추출 모듈(135),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7), 완성도 측정 모듈(141), 정확도 측정 모듈(143), 집중도 요인 판단 모듈(145)이 도시되어 있다. 4 to 6,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the input unit 110, the noise removing unit 120, the color factor analysis unit 130, the concentration factor analysis unit 140, and the color recognition module 131. ),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on module 135,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37, completeness measurement module 141, accuracy measurement module 143, concentration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45 ) Is shown.

입력부(110)는 문양 색칠 분석을 하고자 하는 그림을 입력받는다(단계 S200). 진단 대상자에 의해 색칠된 그림이 문양 색칠 분석의 대상이 된다. 이하에 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석 대상이 되는 그림은 다양한 색상으로 색칠된 만다라(원)에 주어진 기하학적 문양임을 가정하지만, 이 외에도 사람, 새, 강아지, 나무 등의 일반적인 그림 문양도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picture to be analyzed for pattern coloring (step S200). The picture painted by the diagnosis subject is subjected to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In the following,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gure to be analyzed is a geometric pattern given to a mandala (circle) colored in various colors, but in addition, general figure patterns such as people, birds, dogs, trees, etc. Can be analyzed.

진단 대상자는 도 8에 도시된 만다라(800)에 주어진 기하학적 문양인 기본 문양 내에 다양한 색상을 색칠한다. 진단 대상자가 다양한 색상을 색칠한 그림(이하, 분석 대상 그림(900)이라 한다)의 일례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The diagnosis subjects paint various colors within the basic pattern, which is the geometric pattern given to the mandala 800 shown in FIG. An example of a picture in which a diagnosis subject is painted in various col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alysis object picture 900) is shown in FIG. 9.

입력부(110)는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거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등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촬상되고 디지털화된 그림 파일을 입력받는다. 그림 파일은 컴퓨터 등의 디지털 장치에서 각 픽셀별로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BMP, GIF, JPEG, TIF 등의 이미지 파일 형태를 가지거나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에서 해석 가능한 파일 형태를 가진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picture file digitized and digitized using an image sensor such as scanned by a scanner or photographed by a camera. The picture file may have an image file type such as BMP, GIF, JPEG, TIF, etc. that may be analyzed for each pixel in a digital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may have a file type that may be interpreted by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잡음 제거부(120)는 진단 대상자의 의도와는 달리 칠해지지 않은 부분, 약하게 칠해진 부분, 겹쳐서 칠해진 부분 등의 잡음을 제거한다(단계 S210). 잡음 제거부(120)는 블러링(blurring)과 클러스터링(clustering) 과정을 통해 그림의 잡음을 제거한다. 블러링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영상의 잡음 제거에 널리 사용되는 중앙치(median) 3×3 마스크를 적용한다.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러스터링 과정에서는 그림의 색상들이 비슷한 색상끼리 모은다. 그리고 픽셀의 색상 속성(color feature)과 공간적 연결성(spatial connectivity)을 이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잡음 제거부(120)는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문 양 색칠 분석 모듈(11)에 포함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unit 120 removes noise such as an unpainted portion, a weakly painted portion, and an overlapped portion, unlike the intention of the diagnosis subject (step S210). The noise removing unit 120 removes the noise of the picture through a blurring and clustering process. In the blurring process, a median 3 × 3 mask, which is generally used for noise reduction of an image, is applied. Thi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clustering process, the colors in the picture collect similar colo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gment a color image using color features and spatial connectivity of pixels. The noise removing unit 12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은 입력된 그림에 대하여 색상 요인과 집중도 요인을 분석한다. 색상 요인과 집중도 요인은 임의의 순서로 혹은 동시에 분석될 수 있다.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analyzes a color factor and a concentration factor on an input picture. Color factors and concentration factors can be analyzed in any order or simultaneously.

우선, 색상 요인의 분석은 색상 요인 분석부(130)에서 수행된다(단계 S220). 색상 요인 분석부(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그림의 색상을 분석한다. 그림은 픽셀(pixel)로 나누어져 분석된다. 예를 들어, 그림이 480×640인 경우 307,200개의 픽셀들로 구분되어 분석된다. First, the color factor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color factor analyzer 130 (step S220). The color factor analysis unit 130 analyzes the color of the picture input to the input unit 110. The picture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ixels. For example, if the picture is 480 × 640, it is divided into 307,200 pixels and analyzed.

도 5를 참조하면, 색상 요인 분석부(130)는 색상 인식 모듈(131), 대표색 변환 모듈(133), 1차 색상 요인 추출 모듈(135),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7)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lor factor analyzer 130 includes a color recognition module 131, a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a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on module 135, and a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37. do.

색상 인식 모듈(131)은 입력부(110)로 입력된 그림 파일의 각 픽셀에 사용된 색상들을 인식한다(단계 S221). The color recognition module 131 recognizes colors used for each pixel of the picture file input to the input unit 110 (step S221).

대표색 변환 모듈(133)은 색상 인식 모듈(131)에서 인식한 색상을 미리 설정된 복수의 대표색들 중의 하나로 변환한다(단계 S223). 미리 설정된 복수의 대표색들을 표현하는 색상 공간은 RGB, YUV, HSV, LUV, CIEXYZ, CIELAB, HVC 등 용도와 개념에 따라 다양하다. 이 중에서 Munsell 표색계로 불리우는 HVC는 사람의 눈에 의한 색상 인식과 유사하다. HVC는 색의 3가지 속성으로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를 나타내고, 색은 HV/C로 표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HVC를 기준으로 대표색을 분류하고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에도 다른 색상 공간에 의해 색상을 분류하고 설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converts the color recognized by the color recognition module 131 into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representative colors (step S223). The color space representing a plurality of preset representative colors va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cept of RGB, YUV, HSV, LUV, CIEXYZ, CIELAB, HVC, and the like. Among these, HVC, called Munsell color system, is similar to color recognition by human eyes. HVC has three attributes of color, hue, value, and saturation, and color can be expressed as HV / C.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presentative colors are classified and set based on the HVC, but it is obvious that the colors can be classified and set by other color spaces.

대표색 변환 모듈(133)은 각 픽셀의 색상을 미리 설정된 색상수의 분류에 따른 대표색 중 하나로 변환한다. 혹은 보다 많은 색상수의 분류에 따른 제1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한 뒤 보다 적은 수의 색상수의 분류에 따른 제2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재변환할 수 있다.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converts the color of each pixel into one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preset number of colors. Alternatively, the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representative col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ore colors, and then reconverted into one of the second representative col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fewer color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15색 분류 및/또는 47색 분류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15 color classification and / or 47 color classification.

HVC를 기준으로, 한국공업규격 KS A 0011에 따른 물체색의 이름에서 분류한 15가지 색상을 대표색으로 하는 색상 분류를 '15색 분류'라 한다. 15색 분류에 의한 대표색은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다. 15색 분류에 의한 대표색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Based on the HVC, the color classification which has 15 colors classified by the object color name according to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A 0011 as the representative color is called '15 color classification '. Representative colors by 15 color classification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A set of representative colors by 15 color classifications

A15 =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분홍, 갈색, 하양, 회색, 검정} A15 = {red, orange, yellow, light green, green, teal, blue, indigo, violet, purple, pink, brown, white, grey, black}

으로 표시한다. 하기의 표 1에는 A15에 포함되는 각 대표색 I에 대한 (hi, vi, ci) 값이 주어져 있다. Indicated by. Table 1 below is given (h i , v i , c i ) values for each representative color I included in A15.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1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1

대표색 변환 모듈(133)은 그림의 색상을 가장 근접한 상기의 표 1에 나타나 있는 15색 분류에 따른 A15에 포함되는 대표색으로 변환한다. 대표색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가장 근접한 대표색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converts the color of the picture into the representative color included in A15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s shown in Table 1 above. The method of finding the closest representative color in converting the representative color is as follows.

그림의 색상과 15개의 대표색 간의 색상 차이를 측정하는 척도로 거리를 정의한다. 미국의 국가표준국(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은 HVC 공간에서 두 색상 (h1, v1, c1)과 (h2, v2, c2)의 거리 척도로 하기의 수학식 1을 제시한다.The distance is defined as a measure of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colors in the picture and the 15 representative colors. Th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NBS) uses Equation 1 below as a distance measure of two colors (h 1 , v 1 , c 1 ) and (h 2 , v 2 , c 2 ) in the HVC space. present.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2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2

dis[(h1, v1, c1), (h2, v2, c2)]를 두 색상 간의 NBS 거리라고 한다. 색상과의 NBS 거리가 가장 짧은 대표색을 해당 색상에 가장 근접한 대표색으로 정하고, 해당 색상을 해당 대표색으로 변환한다. dis [(h 1 , v 1 , c 1 ), (h 2 , v 2 , c 2 )] is called the NBS distance between the two colors. The representative color with the shortest NBS distance from the color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color closest to the color, and the color is converted into the representative col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5색 분류 이외에 47색 분류에 의해 대표색이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빨강을 진한 빨강, 빨강, 연한 빨강 등으로 세분화하는 것이다. 한국공업규격 KS A 0011에는 47개의 색상 분류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대표색의 분류를 '47색 분류'라 하고, 47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들의 집합을 A47이라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esentative color may be further subdivided by 47 color classifications in addition to 15 color classifications. For example, red is subdivided into dark red, red, and light red. 47 color classifications are defined in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A 0011. The representative color classification is called '47 color classification ', and the set of representative colors according to the 47 color classification is called A47.

47색 분류로 분류한 후 15색 분류로 색상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람은 붉은색 계통, 파랑색 계통, 초록색 계통 등으로 크게 나누고, 이들 계통 간의 차이는 아무리 미미하여도 이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파랑색 계통과 초록색 계통의 차이는 아무리 미미하여도 구별하지만, 15색 분류에 따른 NBS 거리는 큰 차이가 없어 서로 바뀌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47색 분류로 그림의 각 색상을 자세하게 분류한 후, 각 색상을 15색 분류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 계통의 색상끼리 묶어주는 것이 그림의 색상을 정확하게 15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변환가능하게 한다. It is possible to classify colors by 15 color classification after classifying by 47 color classification. Humans are divided into red lines, blue lines, green lines, etc.,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lines are insignificant.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lue system and the green system can be distinguished by the slightest difference, but the NBS distance according to the 15-color classification does not have a big difference, and thus sometimes changes. Therefore, after classifying each color of the picture in detail by 47 color classification, and combining each color with the same or similar system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color of the picture to the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 accurately. do.

주어진 그림의 색상 (h, v, c)를 47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시키는 대표색 j를 찾는 것이다. A method of classifying a color (h, v, c) of a given picture as a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47 color classifications is to find a representative color j that satisfies Equation 2 below.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3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3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표색 변환 모듈(133)은 주어진 그림의 색상과 47색 분류에 따른 제1 대표색 간에 상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는 제1 대표색을 찾은 후, 제1 대표색과 15색 분류에 따른 제2 대표색 간의 NBS 거리를 파악하여 제1 대표색이 가장 근접한 제2 대표색을 찾고, 이 제2 대표색을 대표색으로 결정하여 주어진 그림의 색상을 대표색으로 변환한다. That is,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nds a first representative color satisfying Equation 2 between a color of a given picture and a first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47 color classifications, and then, the first representative color and the first representative color. Find the second representative color closest to the first representative color by determining the NBS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presentative colors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s, and determine the second representative color as the representative color to convert the color of the given picture into the representative color. .

대표색 변환 모듈(133)에 의해 15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분류된 그림 파일(1000)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A picture file 1000 classified as a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15 color classifications by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is illustrated in FIG. 10.

1차 색상 요인 추출 모듈(135)은 대표색 변환 모듈(133)에 의해 15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분류된 그림 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1차 색상 요인을 추출한다(단계 S225). The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ng module 135 extracts a predetermined primary color factor with respect to the picture file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 by 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3 (step S225).

1차 색상 요인은 색상의 수, 색상의 종류, 색상별 면적, 색상별 클러스터 수, 색상의 윤곽선 등일 수 있다. 색상의 수와 종류는 일반적인 미술 치료의 평가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활용되며, 색상의 혼합, 색상의 적합성, 색상의 사용 정도가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The primary color factor may be the number of colors, the type of colors, the area per color, the number of clusters per color, and the contour of the color. The number and type of colors are also important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general art therapy, and the mixing of colors, the suitability of colors, and the degree of use of colors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색상의 수는 15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분류된 그림 파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색의 수를 의미하고, 색상의 종류는 15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분류된 그림 파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색의 종류를 의미한다. 색상별 면적은 대표색별로 해당 대표색으로 분류된 픽셀의 수를 의미하고, 색상별 클러스터 수는 임의의 대표색이 연속적으로 칠해진 최소한의 면적을 하나의 클러스터라 할 때 이러한 클러스터의 수를 의미한다. The number of colors means the number of representative colors used in the picture file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 and the type of colors is the type of representative colors used in the picture file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 Means. The area by color means the number of pixels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by the representative color, and the number of clusters by color means the number of such clusters when the minimum area in which any representative color is continuously painted is one cluster. .

색상의 윤곽선은 15색 분류에 따른 대표색으로 분류된 그림 파일에 대하여 각 대표색 간의 경계를 의미한다. 임의의 픽셀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의 픽셀들의 대표색이 바뀌게 됨을 이용하여 윤곽좌표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윤곽좌표들의 집합이 윤곽선이 된다. The outline of the color means the boundary between the representative colors for the picture files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s according to the 15 color classifications. The pixels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coordinates are extracted by changing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the pixels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rbitrary pixels, and the set of the contour coordinates becomes the outline.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7)은 추출된 1차 색상 요인을 이용하여 2차 색상 요인을 판단한다(단계 S227).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7)은 추출된 1차 색상 요인으로부터 미리 구축되어 있는 지식 베이스를 활용하여 2차 색상 요인을 판단한다. 2차 색상 요인으로는 주제색과 부제색, 1차색과 2차색, 따뜻한 색과 찬 색, 보색, 색상의 다양성 등이 결정될 수 있다. 2차 색상 요인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 즉 지식 베이스는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7)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37 determines the secondary color factor using the extracted primary color factor (step S227). The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37 determines the secondary color factor by using a knowledge base built in advance from the extracted primary color factor. As the secondary color factors, the main color and sub-color,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warm and cold colors, complementary colors, and variety of colors may be determined.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secondary color factor, that is, the knowledge bas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37.

2차 색상 요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Details of the secondary color factors are as follows.

(i) 주제색과 부제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Subject colors and subtitle colors are defined as follows.

주제색은 가장 많이 사용된 색상이며, 부제색은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된 색상이다. 단, 칠해진 면적이 그림 전체 면적 또는 문양 색칠 분석의 대상이 되는 기본 문양(예를 들어, 만다라의 경우 최외곽에 구비된 원)의 전체 면적의 A%(예를 들어, 20% 등) 미만일 경우 부제색은 없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The subject color is the most used color and the subtitle color is the second most used color. However, if the painted area is less than the A% (for example, 20%, etc.) of the entire area of the figure or the basic pattern (e.g., the outermost circle in the case of the mandala) that is the object of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no subtitle color.

도 9에 도시된 분석 대상 그림(900)을 대표색으로 변환한 후(도 10의 1000 참조), 대표색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색은 보라색으로 30.1%를 차지하며(도 11의 1100 참조),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색은 빨강색으로 22.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각각 주제색과 부제색으로 판정한다. After converting the analysis target image 900 illustrated in FIG. 9 to a representative color (see 1000 in FIG. 10), the most used color among the representative colors is 30.1% of purple (see 1100 in FIG. 11). The next most used color is red, which accounts for 22.0%. Therefore, these are judged as the main color and the subtitle color, respectively.

(ii) 1차색과 2차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i) The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are defined as follows.

1차색은 빨강, 파랑, 노랑이며, 2차색은 초록, 보라, 주황이다. 1차색은 노랑으로 대표되고(도 12의 1200 참조), 2차색은 초록으로 대표된다(도 12의 1210 참조). 1차색은 40.4%, 2차색은 34.0%로 분석된다. Primary colors are red, blue, and yellow. Secondary colors are green, purple, and orange. The primary color is represented by yellow (see 1200 in FIG. 12) and the secondary color is represented by green (see 1210 in FIG. 12). The primary color is 40.4% and the secondary color is 34.0%.

(iii) 보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ii) Complementary color is defined as follows.

주제색과 부제색 또는 B%(예를 들어, 12% 등)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세번째로 많이 사용한 색상이 (1) 빨강과 청록, (2) 파랑과 주황, (3) 남색과 주황, (4) 노랑과 보라 또는 (5) 초록과 자주일 때 보색이 존재한다고 정의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노랑은 14.4%로 세번째로 많이 사용된 색이고(도 11의 1110 참조), 주제색이 보라색(도 11의 1100 참조)이므로 노랑과 보라의 보색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The third most commonly used color, with an area of over the main and sub-colors or B% (e.g. 12%), is (1) red and cyan, (2) blue and orange, (3) indigo and orange, ( 4) yellow and violet or (5) green and purple. Referring to FIG. 11, yellow is 14.4%, the third most commonly used color (see 1110 of FIG. 11), and since the main color is purple (see 1100 of FIG. 1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complementary colors of yellow and violet.

(iv) 따뜻한 색과 찬 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v) Warm and cold colors are defined as follows.

따뜻한 색은 빨강, 주황, 노랑이며, 찬 색은 파랑, 남색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따뜻한 색은 빨강으로 대표되고(도 13의 1300 참조), 찬 색은 파랑으로 대표된다(도 13의 1310 참조). 따뜻한 색은 40.4%, 찬 색은 4.0%로 분석된다. Warm colors are red, orange and yellow, and cold colors are blue and indigo. Referring to FIG. 13, a warm color is represented by red (see 1300 in FIG. 13), and a cold color is represented by blue (see 1310 in FIG. 13). Warm color is 40.4% and cold color is 4.0%.

(v) 색상의 다양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v) The variety of colors is defined as follows.

미술 평가자의 전문적 경험과 지식에 의하여 개인적으로 평가하는 색상 사용의 일반적 개념을 말한다. Refers to the general concept of the use of color, which is evaluated individually by the art evaluator's professi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색상의 다양성 평가 방법은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있다. There are two ways of evaluating color diversity.

제1 방법: First way:

단계 1. 사용된 색상의 개수가 많을수록 색상의 다양성은 높아진다. Step 1. The greater the number of colors used, the higher the variety of colors.

단계 2. 사용된 색상의 개수가 같으면, 클러스터의 개수가 많을수록 색상의 다양성은 높아진다. 여기서, 클러스터는 윤곽선으로 둘러싸인 최소한의 면적을 의미한다. Step 2. If the number of colors used is the same, the greater the number of clusters, the higher the variety of colors. Here, the cluster means the minimum area surrounded by the outline.

단계 3. 사용된 색상의 개수와 클러스터의 개수가 모두 같으면, 윤곽선의 길이가 길수록 색상의 다양성은 높아진다. Step 3. If both the number of colors used and the number of clusters are the same, the longer the outline length, the higher the color variety.

제2 방법:Second way:

통계적 방법인 회귀분석 모델을 적용한다. 이 모델에서 종속변수는 미술 평가자의 색상의 다양성 평가이고, 독립변수는 색상의 개수, 클러스터의 개수, 윤관선의 기울기, 사용한 색상이 된다. 사용한 색상을 표시하는 독립변수는 가능한 색상의 개수보다 하나가 적은 개수의 지수변수로 표시한다.Apply the regression model, a statistical method. In this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evaluation of the diversity of the color of the art evaluator,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colors, the number of clusters, the slope of the contour line, and the color used.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ing the colors used are represented by one less than the number of possible colors.

상술한 것과 같이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7)은 1차 색상 요인 추출 모듈(135)에서 추출된 1차 색상 요인으로부터 다양한 2차 색상 요인들을 판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37 may determine various secondary color factors from the primary color factor extracted by the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on module 135.

그리고 색상 요인 분석 이외에 집중도 요인 분석부(140)는 집중도 요인을 분석한다(단계 S230). In addition to the color factor analysis, the concentration factor analyzer 140 analyzes the concentration factor (step S230).

도 6을 참조하면, 집중도 요인 분석부(140)는 완성도 측정 모듈(141), 정확도 측정 모듈(143), 집중도 요인 판단 모듈(145)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centration factor analyzer 140 may include a completeness measurement module 141, an accuracy measurement module 143, and a concentration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45.

완성도 측정 모듈(141)은 분석 대상 그림(900)으로부터 진단 대상자의 색칠 작업의 완성도를 측정한다(단계 S231). 완성도는 기본 문양(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기본 문양의 최외곽에 배치된 원) 전체의 픽셀 수에 대한 기본 문양 내에 칠해진 픽셀 수의 비율로 측정된다. The completeness measurement module 141 measures the completeness of the coloring task of the diagnosis subject from the analysis target image 900 (step S231). The completeness is measured as the ratio of the number of pixels painted within the basic pattern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basic pattern (eg, the circle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asic pattern shown in FIG. 8).

정확도 측정 모듈(143)은 분석 대상 그림(900)으로부터 진단 대상자의 색칠하기 작업의 정확도를 측정한다(단계 S233). 정확도는 기본 문양의 클러스터와 분석 대상 그림(900)의 색상 클러스터의 일치 정도로부터 측정된다. 분석 대상 그림(900)의 색상 클러스터는 1차 색상 요인 추출 모듈(135)에서 추출된 윤곽선을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기본 문양 클러스터는 주어진 기본 문양에서 선으로 둘러싸인 최소의 면적을 의미하며, 도 8을 참조하면 기본 문양 클러스터의 수는 64개이다. 색상 클러스터는 분석 대상 그림(900)에서 같은 색으로 연속적으로 칠해진 최소의 면적을 의미하며, 도 14를 참조하면 색상 클러스터의 수는 18개이다. 기본 문양 클러스터와 색상 클러스터가 겹쳐진 형태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The accuracy measuring module 143 measures the accuracy of the coloring task of the diagnosis subject from the analysis target picture 900 (step S233). The accuracy is measured from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cluster of basic patterns and the color cluster of the image 900 to be analyzed. The color cluster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900 may be derived using the contour extracted by the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on module 135. The basic pattern cluster means a minimum area surrounded by lines in a given basic pattern. Referring to FIG. 8, the number of basic pattern clusters is 64. The color cluster means a minimum area continuously painted with the same color in the analysis target image 900. Referring to FIG. 14, the number of color clusters is 18. The overlapping form of the basic pattern cluster and the color cluster is shown in FIG. 15.

이러한 기본 문양 클러스터와 색상 클러스터의 일치 정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방법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각 픽셀의 색상은 대표색으로 변환되어 있 음을 가정한다. A method for quantitatively deriving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basic pattern cluster and the color cluster is illustrated in FIG. 16. 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easuring accura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color of each pixel is converted to the representative color.

기본 문양 외의 구역은 제외한다(단계 S1600). Areas other than the basic pattern are excluded (step S1600).

임의의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 대표색별로 픽셀 수를 계산한다(단계 S1610). 픽셀 수가 가장 많은 대표색을 해당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 정확하게 칠해진 색상으로 결정한다(단계 S1620). 만약 픽셀 수가 가장 많은 대표색이 하양인 경우 해당 기본 문양 클러스터는 칠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는 정확하게 칠해진 픽셀 수가 없다고 판단한다. The number of pixels is calculated for each representative color in any basic pattern cluster (step S1610). The representative color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s determined as the color accurately painted in the basic pattern cluster (step S1620). If the representative color with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s white, the basic pattern cluster is considered unpainted, and the basic pattern cluster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pixels accurately painted is not.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 대해서 단계 S1610 내지 S1620을 반복한다(단계 S1630). Steps S1610 to S1620 are repeated for each basic pattern cluster (step S1630).

그리고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서 정확하게 칠해진 색상의 픽셀 수를 합한다(단계 S1640). Then, the number of pixels of exactly painted colors in each basic pattern cluster is added (step S1640).

분석 대상 그림의 총 픽셀 수로 정확하게 칠해진 색상의 픽셀 수를 나눈 값을 정확도로 판단한다(단계 S1650).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ixels of the color accurately painted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is determined with accuracy (step S1650).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정확도 측정 모듈(143)은 정확도를 정량적 데이터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accuracy measuring module 143 may measure the accuracy as quantitative data.

집중도 요인 판단 모듈(145)는 완성도 측정 모듈(141)에서 측정한 완성도와, 정확도 측정 모듈(143)에서 측정한 정확도를 기초로 하여 집중도 요인을 판단한다(단계 S235). The concentration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45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factor based on the completeness measured by the completeness measurement module 141 and the accuracy measured by the accuracy measurement module 143 (step S235).

본 발명에서 집중도는 완성도와 정확도뿐만 아니라, 색상의 수, 클러스터의 수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다음과 같은 회귀분석 방법에 의하여 설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concentration may be related to the number of colors and the number of clusters as well as the degree of completeness and accuracy. This relationship is explained by the following regression method.

n개의 분석 대상 그림 샘플을 수집하고, m명의 평가자들이 집중도를 평가하여 순위를 매긴다. 집중도가 가장 높은 그림이 순위1이며, 가장 낮은 그림이 순위n이다. 분석 대상 그림 샘플 i에 대한 m명의 순위 평균을 Yi로 표기한다. 각 샘플의 색상 수를 Xi1, 클러스터 수를 Xi2, 완성도를 Xi3, 정확도를 Xi4로 표기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한다.Collect n analytical picture samples, and m evaluators rank and rank concentrations. The picture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is rank 1, and the lowest picture is rank n. The rank average of m people for the sample sample i to be analyzed is expressed as Y i .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applied with the number of colors in each sample as X i1 , the number of clusters as X i2 , the degree of completeness as X i3 , and the accuracy as X i4 .

즉, 회귀분석 모델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That is, the regression model is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Yi = β0 + β1 Xi1 + β2 Xi2 + β3 Xi3 + β4 Xi4 + εi, i = 1, 2, ... , nY i = β 0 + β 1 X i1 + β 2 X i2 + β 3 X i3 + β 4 X i4 + ε i , i = 1, 2, ..., n

여기서, εi 는 서로 독립이고 모두 평균 0, 분산 σ2 인 정규분포를 가정한다. Here, ε i assumes a normal distribution that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hat all have mean 0 and variance σ 2 .

β0 는 상수 계수이고, β1 는 색상 수의 계수, β2 는 클러스터 수의 계수, β3 는 완성도의 계수, β4 는 정확도의 계수를 의미한다. β 0 is a constant coefficient, β 1 is the number of colors, β 2 is the number of clusters, β 3 is the coefficient of completeness, and β 4 is the coefficient of accuracy.

β1, β2, β3, β4는 부호가 음수가 된다. 색상 수와 클러스터 수가 많을수록, 완성도와 정확도가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순위값이 작아지는, 즉 집중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β 1 , β 2 , β 3 , and β 4 are negative in sign. The higher the number of colors and clusters,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leteness and accuracy, the smaller the rank,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또한, 각 독립변수의 집중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값In addition, the standardized value to grasp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Yi' = {(Yi - S(Y)} / S(Y),Y i '= {(Y i -S (Y)} / S (Y),

Xij' = {(Xij - S(Xj)} / S(Xj), i = 1, 2, ... , n, j = 1, 2, 3, 4X ij '= {(X ij -S (X j )} / S (X j ), i = 1, 2, ..., n, j = 1, 2, 3, 4

을 사용하는 표준 회귀분석의 결과도 제공한다. 여기에서 S(Y)와 S(Xj)는 각각 Y와 Xj의 표본표준편차를 나타낸다.It also provides the results of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using. Where S (Y) and S (X j ) represent the sample standard deviations of Y and X j , respectively.

일 실시예로, 58장(n=58)의 분석 대상 그림이 샘플로 수집된 경우의 분석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In one embodiment, the analysis data in the case where 58 images of analysis subjects (n = 58) are collected as samples is as follows.

회귀분석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4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4

수집된 데이터에 단계별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적용한 결과, 평가자의 집중도를 설명하는 변수로 색상 수(X1), 클러스터 수(X2), 정확도(X3)가 선정되었고, 완성도는 배제되었다. 완성도와 정확도 사이에 상관이 높기 때문에 완성도가 배제되었다. As a result of applying stepwise regression to the collected data, the number of colors (X 1 ), the number of clusters (X 2 ), and the accuracy (X 3 ) were selected as variables to explain the concentration of the evaluator. . The completeness was excluded because of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completeness and accuracy.

최종적으로 회귀 함수는 Y = 65.171 - 2.973 X1 - 0.666 X2 - 0.241 X3 이다. Finally the regression function is Y = 65.171 - 2.973 X 1 - 0.666 X 2 - X 3 is 0.241.

모델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R2 = 0.740 이어서, 모델은 적용하기에 충분하다. 표준오차는 8.44로 추정되었다.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dicating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is R 2 = 0.740, and the model is sufficient for application. The standard error was estimated at 8.44.

계수들의 부호가 음(陰)인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바람직한 결과이다. 즉, 설명변수인 색상 수와 클러스터 수가 많을수록, 또한 정확도가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순위 값이 적어지는(집중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 수와 정확도가 일정할 때, 사용한 색상 수가 한 개씩 많아지면서 집중도의 순위 값은 평균 2.973 씩 적어진다.Negative sign of the coefficients is a desirable result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ore the number of colors and clusters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higher the accuracy, the lower the rank valu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clusters and the accuracy are constant, the number of colors used increases by one, and the ranking value of the concentration decreases by 2.973 on average.

독립 변수들의 표준화된 값을 사용한 회귀 함수는 Y' = - 0.461 X1' - 0.239 X2' - 0.337 X3'이다. 예를 들어 정확도가 1-표본표준편차(22.56%) 씩 높아질 때 순위 값은 평균적으로 0.337-표본표준편차(16.12) = 5.43 씩 적어짐(집중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표준화 계수로부터 집중도에 대한 설명변수의 영향력 크기는 색상 수, 정확도, 클러스터 수의 순서이다.The regression function using the standardized valu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s Y ' = - it is 0.337 X 3 '- 0.461 X 1 ' - 0.239 X 2 '. For example, when the accuracy increases by 1-sample standard deviation (22.56%), the ranking value decreases by 0.337-sample standard deviation (16.12) = 5.43 (higher concentration).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the explanatory variable on the concentration from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is in the order of color number, accuracy, and cluster number.

상술한 것과 같이 집중도 요인 분석부(140)는 집중도 요인을 판단하고 정량적 데이터로 산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centration factor analyzer 140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factor and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factor as quantitative data.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은 색상 요인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색상 요인과, 집중도 요인 분석부(140)에서 분석된 집중도 요인을 정량적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평가자는 해당 분석 대상 그림에 상응하여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술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may provide the color factor analyzed by the color factor analyzer 130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analyzed by the concentration factor analyzer 140 as quantitative data. The evaluator will be able to apply the art therapy using the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to be analyz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은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예를 들어, 1차 색상 요인(색상의 수, 종류, 클러스터 수, 윤곽선 등), 2차 색상 요인(주제색과 부제색, 1차색과 2차색, 보색, 따뜻한 색과 찬 색, 색상의 다양성 등), 집중도 요인(완성도와 정확도로부터 계산) 등)를 정량적 데이터로 출력한다. 평가자는 출력된 정량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분석 대상 그림을 색칠한 진단 대상자의 심리증상을 진단하게 된다.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for example, primary color factors (number, type, number of clusters, contours, etc.), secondary color factors ( Subject and subtitle colors,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complementary colors, warm and cold colors, color variations, etc.) and concentration factors (calculated from completeness and accuracy) are output as quantitative data. The evaluator uses the quantitative data output to diagnose the psychological symptom of the subject who is colored the analysis subject.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에서 색칠된 문양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nalyzing colored patterns in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색칠된 문양의 그림, 각 색상의 비율(%), 색상의 수, 클러스터의 수 등의 1차 색상 요인과, 주제색과 부제색, 보색, 1차색과 2차색, 따뜻한 색과 찬색 등의 2차 색상 요인과, 정확도, 완성도, 집중도의 집중도 요인이 분석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7, primary color factors such as a picture of a colored pattern, a percentage of each color, a number of colors, and a number of clusters, a main color, a sub-color, a complementary color, a primary color and a secondary color, and a warm color Secondary color factors such as color and light, and concentration factors of accuracy, completeness, and concentration are analyzed.

심리 증상 진단 모듈(13)은 문양 색칠 분석 모듈(11)에 의해 분석된 결과(도 17 참조)와,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12)에 의해 획득된 결과(도 3 참조)를 기초로 하여 진단 대상자의 심리 증상을 진단한다. 그 결과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13 diagnoses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by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1 (see FIG. 17) and the results obtained by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12 (see FIG. 3). Diagnose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subject. The result is shown in FIG.

도 17 및/또는 도 18에 도시된 분석 결과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픽과 도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analysis results shown in FIGS. 17 and / or 18 may be provided in graphics and diagrams for easy grasp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는 둘 이상의 그림(색칠된 문양)의 차이를 분석하여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는 이력 데이터베이스(15)를 구비할 수 있다. 심리 증상 진단 모듈(13)이 이력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과거의 그림의 분석 결과와 문양 색칠 분석 모듈(12)에 의해 분석된 현재의 그림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고, 지식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비교 결과에 따른 지식을 탐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예측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apparatus 10 may predict a psychological change of a diagnosis subject by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two or more pictures (colored patterns). In this case,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history database 15.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13 compar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ast picture stored in the history database 15 wi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picture analyzed by the glyph coloring analysis module 12 and compares it from the knowledge database 14. By predicting and providing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 th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diagnosis subject is predicted.

도 19 및 20은 동일한 진단 대상자에 의해 색칠된 문양의 과거 그림과 현재 그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진단 대상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설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한 것으로 가정한다.19 and 20 show past and present pictures of patterns colored by the same diagnosis subject. Here, it is assumed that the diagnosis subject answered the question as shown in FIG. 3 as follows.

문항 1. (1) 좋아하는 색깔: 빨강, (2) 싫어하는 색깔: 검정 Question 1. (1) Favorite color: Red, (2) Disliked color: Black

문항 2. (1) 1차색 중 좋아하는 색깔: 빨강, (2) 2차색 중 좋아하는 색깔: 주황, (3) 무채색 중 좋아하는 색깔: 하양 Question 2. Favorite color among (1) primary colors: Red, (2) Favorite color of secondary colors: Orange, (3) Favorite color of achromatic colors: White

문항 3. 지금 나의 마음에 해당하는 얼굴: 행복 Question 3. The face that corresponds to my heart now: happiness

문항 4. (1) 나의 색깔: 빨강, (2) 아버지의 색깔: 파랑, (3) 어머니의 색깔: 초록 Question 4. (1) My Color: Red, (2) Father's Color: Blue, (3) Mother's Color: Green

문항 5. 지금의 기분: 매우 행복 Question 5. I feel now: very happy

문항 6. (1)슬플 때의 색깔: 회색, (2) 화날 때의 색깔: 검정, (3) 행복할 때의 색깔: 빨강.Question 6. (1) Color when sad: grey, (2) Color when angry: black, (3) Color when happy: red.

도 19에 도시된 문양 색칠과, 도 20에 도시된 문양 색칠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ttern coloring shown in FIG. 19 and the pattern coloring shown in FIG. 20 are shown in Table 3 below.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5
Figure 112008007429824-pat00005

도 19에 도시된 그림과 도 20에 도시된 그림의 문양 색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그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확도, 색상 수, 클러스터 수, 완성도, 집중도의 모든 면에서 수치가 좋아짐으로 심리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1차색과 따뜻한 색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정서적으로 활발해지는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results of the figure shown in FIG. 19 and the figure shown in FIG. 20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lots, we can predict that a positive change in psychology is occurring due to better numbers in all aspects of accuracy, number of colors, number of clusters, completeness, and concentration. The increasing use of primary and warm colors can predict emotionally active changes.

즉,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는 두 그림의 차이로부터 지식 데이터베이스(14)의 지식을 탐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것과 같은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된 지식은 [지식 1], [지식 2], [지식 3], [지식 4], [지식 13], [지식 15], [지식 19], [지식 21]이다. That is, 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ng apparatus 10 may search for and provide the knowledge of the knowledge database 14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ctures to predict and provide th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diagnosis subject as described above. Here, the related knowledge is [Knowledge 1], [Knowledge 2], [Knowledge 3], [Knowledge 4], [Knowledge 13], [Knowledge 15], [Knowledge 19], [Knowledge 21].

한편, 상술한 정확도 측정 방법, 문양 색칠 분석 방법,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문서 탐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accuracy measuring method, pattern coloring analysis method, and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can be prepared by a computer program.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a method for providing a document search service.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예측 장치의 구성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ymptom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의 흐름도.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심리 증상 진단을 위한 설문의 예시도. 3 is an illustration of a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모듈의 구성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문양 색칠 분석 모듈에 포함되는 색상 요인 분석부의 구성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of a color factor analysis unit included in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도 6은 문양 색칠 분석 모듈에 포함되는 집중도 요인 분석부의 구성블록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centration factor analysis unit included in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방법의 흐름도. 7 is a flow chart of a pattern coloring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문양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basic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도 8에 도시된 기본 문양에 색칠이 되어 있는 분석 대상 그림. FIG. 9 is an analysis target picture in which the basic pattern shown in FIG. 8 is colored.

도 10은 분석 대상 그림을 대표색 변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is performed;

도 11은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 중 주제색과 보색을 나타낸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a subject color and complementary colors among the primary color factor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도 12는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 중 1차색과 2차색을 나타낸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primary color and a secondary color among the primary color factor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도 13은 분석 대상 그림의 1차 색상 요인 중 따뜻한 색과 찬 색을 나타낸 도면.13 is a view showing warm and cold colors of the primary color factors of the analysis target picture.

도 14은 분석 대상 그림에서 추출된 클러스터를 나타낸 도면.14 is a diagram showing a cluster extracted from an analysis target picture.

도 15는 기본 문양의 클러스터와 분석 대상 그림의 클러스터가 겹쳐진 도면. 15 is a diagram in which a cluster of basic patterns overlaps with a cluster of the analysis target figur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 측정 방법의 흐름도.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easuring accura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색칠 분석 결과.17 is a pattern coloring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결과. 18 is a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20은 동일한 진단 대상자에 의해 색칠된 문양의 과거 그림과 현재 그림을 나타낸 도면.19 and 20 show past and present pictures of a pattern painted by the same diagnosis subjec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심리 증상 진단 장치10: psychological symptom device

11: 문양 색칠 분석 모듈 12: 설문응답정보 입력 모듈11: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12: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13: 심리 증상 진단 모듈 14: 지식 데이터베이스13: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14: Knowledge Database

15: 이력 데이터베이스15: history database

110: 입력부 120: 잡음 제거부110: input unit 120: noise canceling unit

130: 색상 요인 분석부 130: color factor analysis unit

131: 색상 인식 모듈 133: 대표색 변환 모듈131: color recognition module 133: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135: 1차 색상 요인 추출 모듈 137: 2차 색상 요인 판단 모듈135: primary color factor extraction module 137: secondary color factor determination module

140: 집중도 요인 분석부 140: concentration factor analysis unit

141: 완성도 측정 모듈 143: 정확도 측정 모듈141: completeness measurement module 143: accuracy measurement module

145: 집중도 요인 판단 모듈145: concentration factor determination module

Claims (20)

심리 증상 진단 장치가 심리 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iagnosing psychological symptoms, 진단 대상자의 설문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about a questionnaire of a diagnosis subject; 정해진 기본 문양에 상기 진단 대상자가 색칠한 그림인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nalysis object image information which is a picture painted by the diagnosis subject in a predetermined basic pattern;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색상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color factor information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alculating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and 상기 산출된 색상 요인 정보 및 상기 산출된 집중도 요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상기 응답 정보에 상응하는 심리증상정보를 지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Extract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color factor information and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from a knowledge database, 상기 색상 요인 정보는 변환된 대표색의 수, 상기 대표색의 종류, 색상 클러스터의 수 및 상기 대표색의 윤곽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The color fact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converted representative colors, the type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the number of color clusters, and the contour in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상기 대표색은 미리 설정된 색상수의 색 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이고, 상기 색상 클러스터는 상기 대표색이 연속적으로 칠해진 최소한의 면적이고,The representative color is at least one color among a color classific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colors, and the color cluster is a minimum area in which the representative color is continuously painted, 상기 집중도 요인 정보는 상기 기본 문양 상에 위치하는 전체 픽셀 수와 상기 기본 문양 내에 색상이 칠해진 픽셀 수의 비율인 완성도 정보 및 The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is completeness information which is a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pixels located on the basic pattern and the number of pixels colored in the basic pattern; 상기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의 대표색 중 픽셀 수가 최대인 색상의 픽셀 수를 합산한 픽셀 수와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총 픽셀수로의 비율인 정확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 Psychotic symptom diagno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using the accuracy information that is the ratio of the sum of the number of pixels of the maximum number of pixels of the representative pattern of each basic pattern cluster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색상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Calculating color factor information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are performed in any order or simultaneous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색상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The calculating of the color factor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각 픽셀의 색상을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a color of each pixel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into one of representative colors; 상기 대표색으로부터 제1차 색상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alculating first color factor information from the representative color; And 상기 대표색으로부터 제2차 색상 요인 정보를 더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Further calculating second color factor information from the representative color; 상기 제1차 색상 요인 정보는 상기 변환된 대표색의 수, 상기 대표색의 종류, 색상 클러스터의 수 및 상기 대표색의 윤곽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The first color fact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converted representative colors, the type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the number of color clusters, and the contour in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상기 제2차 색상 요인 정보는 주제색 정보 및 부제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색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대표색의 색상 별 픽셀 수가 최대인 색상이고, 상기 부제색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대표색의 색상 별 픽셀 수가 두 번째로 큰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 The second color facto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ubject color information and subtitle color information, wherein the subject color information is a color having a maximum number of pixels for each color of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And a second largest number of pixels for each color of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차 색상 요인 정보는 제1차색 정보, 제2차색 정보, 따뜻한색 정보 및 찬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The second color factor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first primary color information, second secondary color information, warm color information, and light color information. 상기 1차색 정보는 빨강, 노랑 및 파랑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한 정보이고, The primary col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olor of red, yellow, and blue, 상기 2차색 정보는 주황, 초록 및 보라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한 정보이고, The secondary col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olor of orange, green, and violet, 상기 따뜻한 색 정보는 빨강, 주황, 노랑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한 정보이고, The warm col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red, orange, and yellow colors. 상기 찬 색 정보는 파랑, 남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방법.The cold color information is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olor of blue, indigo b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표색은 한국공업규격 KS A 0011에 따른 15색 분류에 포함되는 색상 또는 KS A 0011에 따른 47색 분류에 포함되는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The representative color is a color included in the 15 col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A 0011 or a color included in the 47 col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KS A 001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각 픽셀의 색상을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는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각 픽셀의 색상(h1, v1, c1) 과 NBS(National Bureau of Standards) 거리가 가장 짧은 대표색(h2, v2, c2)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The step of converting the color of each pixel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into any one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may be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h 1, v 1, c 1 ): And th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NBS) distance is converted to the shortest representative color (h 2, v 2, c 2) .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0024208708-pat00026
Figure 112010024208708-pat00026
여기서, h1 및 h2는 색상정보(Hue), v1 및 v2는 명도정보(Value), c1 및 c2는 채도정보(Chroma)를 나타냄.Here, h 1 and h 2 are color information (Hue), v 1 and v 2 are brightness information (Value), and c 1 and c 2 are chroma information (Chrom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Calculating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상기 완성도 정보 및 상기 정확도 정보를 설명 변수로 하고, 상기 집중도 요인 정보를 종속 변수로 하는 다중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And the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is calculated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completeness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information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확도 정보는The accuracy information is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 포함된 픽셀 중 각 대표색에 해당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는 단계 Computing the number of pixels corresponding to each representative color among the pixels included in each basic glyph cluster 상기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 상응하여 클러스터 주제색을 선정하는 단계 - 상기 클러스터 주제색은 상기 기본 문양 클러스터의 대표색 중 픽셀 수가 최대인 색상임 -;Selecting a cluster subject colo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asic pattern clusters, wherein the cluster subject color is a color having a maximum number of pixels among representative colors of the basic pattern clusters; 상기 기본 문양 클러스터에 상응하여 선정된 상기 클러스터 주제색들의 픽셀 수를 합산하는 단계; 및Summing the number of pixels of the cluster subject colors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basic pattern clusters; And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총 픽셀 수로 상기 합산된 클러스터 주제색들의 픽셀 수를 나누어 상기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방법.And calculating the accuracy information by dividing the pixel numbers of the sum of the cluster subject colors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 제5항,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심리 증상 진단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diagnosing the psychological sympto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6, 8 to 10, 11 and 12 on a computer. Record carrier. 진단 대상자의 설문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 받는 설문응답정보입력모듈;A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on a questionnaire of a diagnosis subject; 정해진 기본 문양에 상기 진단 대상자가 색칠한 그림인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색상 요인 정보 및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문양 색칠 분석 모듈;A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nalysis object image information, which is a picture painted by the diagnosis subject, into a predetermined basic pattern, and calculate color factor information and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of the analysis object image information; 상기 산출된 색상 요인 정보 및 상기 산출된 집중도 요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응답 정보에 상응하는 심리증상정보가 지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심리증상 진단모듈을 포함하되,Inclu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calculated color factor information and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knowledge database comprises a psychological symptom module, 상기 색상 요인 정보는 변환된 대표색의 수, 상기 대표색의 종류, 색상 클러스터의 수, 및 상기 대표색의 윤곽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대표색은 미리 설정된 색상수의 색 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이고, 상기 색상 클러스터는 상기 대표색이 연속적으로 칠해진 최소한의 면적이고, The color fact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verted number of representative colors, type of representative colors, number of color clusters, and outline in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and the representative colors are color classifications of a preset number of colors. At least one of the colors, wherein the color cluster is a minimum area painted with the representative color continuously, 상기 집중도 요인 정보는 상기 기본 문양 상에 위치하는 전체 픽셀 수와 상기 기본 문양 내에 색상이 칠해진 픽셀 수의 비율인 완성도 정보 및 상기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의 대표색 중 픽셀 수가 최대인 색상의 픽셀 수를 합산한 픽셀 수와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총 픽셀수로의 비율인 정확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장치. The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sums the completeness information which is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pixels positioned on the basic pattern to the number of pixels painted in the basic pattern and the number of pixels having the maximum number of pixels among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basic pattern cluster. And psychological symptoms calculated using accuracy information, which is a ratio of the number of one pixel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문양 색칠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저장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history database for storing the results analyzed by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상기 심리증상진단모듈은 현재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에 상응하는 심리증상정보 및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심리증상정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심리 변화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증상 진단 장치.Th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odule predicts a psychological change of the diagnosis subject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sympto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urrent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 information of past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story database.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Devic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문양 색칠 분석 모듈은 The pattern coloring analysis module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색상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색상 요인 정보 분석부 및 A color factor information analyzer for calculating color fact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집중도 요인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진단장치. And a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색상요인 정보 분석부는The color factor information analysis unit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각 픽셀의 색상을 인식하는 색상 인식 모듈;A color recognition module recognizing a color of each pixel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상기 인식된 각 픽셀의 색상을 상기 대표색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상기 대표색 변환 모듈; 및The representative color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recognized color of each pixel into one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And 상기 변환된 대표색으로부터 상기 색상요인정보를 추출하는 색상요인 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진단장치.And a color factor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he color factor information from the converted representative color.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집중도 요인 정보 분석부는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analysis unit 상기 기본 문양 상에 위치하는 전체 픽셀 수와 상기 기본 문양 내에 색상이 칠해진 픽셀 수의 비율인 완성도 정보를 산출하는 완성도 측정 모듈; A completeness measurement module for calculating completeness information that is a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pixels positioned on the basic pattern and the number of pixels colored in the basic pattern; 상기 각 기본 문양 클러스터의 대표색 중 픽셀 수가 최대인 색상의 픽셀 수를 합산한 픽셀 수와 상기 분석 대상 이미지 정보의 총 픽셀수로의 비율인 정확도 정보를 산출하는 정확도 측정 모듈; 및 An accuracy measuring module for calculating accuracy information, which is a ratio of the sum of the number of pixels of the maximum number of pixels among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the basic pattern clusters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analysis target image information; And 상기 완성도 정보 및 상기 정확도 정보를 설명 변수로 하고, 상기 집중도 요인 정보를 종속 변수로 하는 다중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집중도 요인 정보를 산출하는 집중도 요인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진단장치.And a concentration factor determining module for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by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completeness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information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inform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Diagnostic device.
KR1020080009018A 2008-01-29 200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KR101000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18A KR101000492B1 (en) 2008-01-29 200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JP2008119682A JP5058064B2 (en) 2008-01-29 2008-05-01 Picture therapy pattern selection and arrangement, color painting analysis method,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based on picture therapy pattern analysis,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doing this is recorded
US12/289,631 US8684741B2 (en) 2008-01-29 2008-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attern colorings and evaluating psychological status or disorders in art therapy
CA002642906A CA2642906A1 (en) 2008-01-29 2008-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attern colorings and evaluating psychological status or disorders in art thera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18A KR101000492B1 (en) 2008-01-29 200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73A KR20090083073A (en) 2009-08-03
KR101000492B1 true KR101000492B1 (en) 2010-12-14

Family

ID=4120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18A KR101000492B1 (en) 2008-01-29 200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49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01A1 (en) * 2014-10-29 2016-05-06 주식회사 티앤티인재개발원 Psychological counseling method using figures
KR20190044809A (en) * 2017-10-23 2019-05-02 (주)에스오피에스 Psychological analysis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coloring book for children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996498B1 (en) 2018-11-14 2019-07-04 조남지 A Solid Painting Figure For Art Therapy
KR102021088B1 (en) 2019-03-18 2019-09-11 김정민 System for recommending combination of colors based on child propens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140B1 (en) * 2015-05-11 2016-12-29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anagement of members in a group
CN108577868A (en) * 2018-06-29 2018-09-28 方珠 Soul chromatography
KR102366964B1 (en) 2018-12-24 2022-02-24 소현경 Auto Generating System of a Picture Estimation Report for a Art Therapy
KR102083874B1 (en) * 2019-11-28 2020-03-03 이지현 Nurie color therapy verification system reflecting individual color sensitivity
WO2023097357A1 (en) * 2021-11-30 2023-06-08 Cernova Research Pty Ltd Computerized colour-based non-verbal neuropsychological testing
KR102528760B1 (en) * 2022-04-19 2023-05-03 한경은 Word learning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children
KR102640350B1 (en) * 2023-09-26 2024-02-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User sentiment analysis method using color analysis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987B1 (en) * 2005-11-24 2006-05-23 이창주 Apparatus for color design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psychical cure servic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100750871B1 (en) *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987B1 (en) * 2005-11-24 2006-05-23 이창주 Apparatus for color design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psychical cure servic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100750871B1 (en) *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01A1 (en) * 2014-10-29 2016-05-06 주식회사 티앤티인재개발원 Psychological counseling method using figures
KR20190044809A (en) * 2017-10-23 2019-05-02 (주)에스오피에스 Psychological analysis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coloring book for children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005437B1 (en) 2017-10-23 2019-10-01 (주)에스오피에스 Psychological analysis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coloring book for children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996498B1 (en) 2018-11-14 2019-07-04 조남지 A Solid Painting Figure For Art Therapy
KR102021088B1 (en) 2019-03-18 2019-09-11 김정민 System for recommending combination of colors based on child propen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73A (en)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4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JP5058064B2 (en) Picture therapy pattern selection and arrangement, color painting analysis method, psychological symptom diagnosis method based on picture therapy pattern analysis,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doing this is recorded
Mur et al. Human object-similarity judgments reflect and transcend the primate-IT object representation
Said et al. A statistical model of facial attractiveness
Willmore et al. Neural representation of natural images in visual area V2
Gree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unsupervised scoring system (Autonomate) for skin conductance response analysis
Gotz et al. Adaptive contextualization: Combating bias during high-dimensional visualization and data selection
Huysmans et al. Unsupervised learning for mental stress detection-exploration of self-organizing maps
CN110570941B (en) System and device for assessing psychological state based on text semantic vector model
Buettner et al. Machine learning based diagnosis of diseases using the unfolded EEG spectra: Towards an intelligent software sensor
Zhang et al. Wearable neurophysiological recordings in middle-school classroom correlate with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Hasan et al. RGB pixel analysis of fingertip video image captured from sickle cell patient with low and high level of hemoglobin
Liapis et al. User experience evaluation: A validation study of a tool-based approach for automatic stress detec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Vieira et al. On the prediction of human intelligence from neuroimaging: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s and reporting
US20130262182A1 (en) Predicting purchase intent based on affect
Šašinka et al.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n extrinsic and intrinsic cartographic visualizations through correctness, response time and cognitive processing
CN113610853B (en) Emotional state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resting brain function image
Kaping et al. Adaptation to statistical properties of visual scenes biases rapid categorization
Bruno et al. Image content enhancement through salient regions segmentation for people with color vision deficiencies
Gwinn et al. Face encoding is not categorical: Consistent evidence across multiple types of contingent aftereffects
Bouazizi et al. Decision-making based on an improved visual analytics approach for emotion prediction
Watier The saliency of angular shapes in threatening and nonthreatening faces
Van der Jagt et al. A view not to be missed: Salient scene content interferes with cognitive restoration
KR100935014B1 (en) Method for prediction of symptom corresponding to analysis of coloring patterns in art therapy assessment and medium of recording its program
Parr et al. The organization of conspecific face space in nonhuman prim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