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41B1 -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 Google Patents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41B1
KR100999941B1 KR1020100050261A KR20100050261A KR100999941B1 KR 100999941 B1 KR100999941 B1 KR 100999941B1 KR 1020100050261 A KR1020100050261 A KR 1020100050261A KR 20100050261 A KR20100050261 A KR 20100050261A KR 100999941 B1 KR100999941 B1 KR 10099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electronic advertising
advertising medium
public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헌
Original Assignee
(주)핑거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핑거터치 filed Critical (주)핑거터치
Priority to KR102010005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고 매체와 사람들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향하며, 대중들이 "광고 매체"에 자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컴퓨팅 되지 않는 제 1 광고 영역과,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컴퓨팅 되는 제 2 광고 영역과, 상기 광고 영역들과 독립된 영역으로 분할된 VoIP 공중 전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광고 매체마다 VoIP 고유 번호가 할당되고, 화면을 통해 제시되며, 서로 다른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는 전자 광고 매체끼리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Description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ELECTRONIC ADVERTISING MEDIA AT POPULAR PLACE}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대중 공간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광고 매체에 관한 것이다.
눈부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산업, 문화, 생활, 소비, 소통 등 모든 영역에서 인류를 발전시키고 있다.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인적 물적 자원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종 유무선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연스럽게도, 방대한 정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고 소비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 정보를 어떻게 생산하고 제공할지에 대한 노력과, 다른 한편으로는 방대한 정보 통신환경을 어떻게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노력이 있어왔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은 새로운 비즈니스들을 속속 선보여 왔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기초하여, 국가와 기업은 정보 통신의 공간적 제한을 없애거나 최소화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기술은 다양한 표준을 선보이면서, 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보 통신의 시간적인 제한도 극복해 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광고 방법도 다양하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광고는 광고를 수행하는 매체에 의존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광고 방법의 발전도 매체의 발전에 의존하여 발전하게 된다. 근래의 새로운 매체는 인터넷과 모바일 단말이 대표적이며, 전자는 온라인 광고를 후자는 다양한 방식의 모바일 광고를 선보였다. 그렇다고 해서 전통적인 방법의 오프라인 광고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오히려, 디지털 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새로운 기법의 오프라인 광고도 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고찰해 본다.
모든 기업은 자신의 제품과 서비스를 더욱 많은 사람에게 알리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기업은 시장에서 광고주로 등장한다. 광고주는 효과적인 광고를 위하여 다양한 매체의 이용을 고민하고, 다양한 광고대행자들이 등장하였다. 대중들이 많이 보이는 위치에 입간판을 세우거나 광고지를 벽이나 교통수단에 붙임으로써 지나가는 근거리의 행인들의 시선에 호소하거나, 시선이 잘 확보되는 위치에 광고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광고함으로써 원거리의 행인들의 시선을 끄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LCD 패널 기술의 발전과 보급에 따라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패널을 통해 뉴스정보와 다양하게 세팅된 광고 정보를 공공장소에서 실시간으로 방송하기도 한다. 이는 마치 TV 광고와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다. 위와 같은 광고 방법들은 대중들을 대상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 방법의 전형적인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통해서 온라인을 이용한 광고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포털 페이지의 화면 중 어느 부분을 점유하여 광고를 하는 방법과, 키워드 검색 광고가 대표적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광고 방법은 대중 공간에서의 불특정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반면에, 온라인 광고 기법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PC나 노트북의 화면에서 일련의 행위를 할 때, 그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보다 직접적이며, 밀접하며, 계기가 있다. 즉 어느 정도 광고대상이 특정되는 장점이 있다. 온라인을 이용한 광고 방법의 이와 같은 장점은,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는 인터랙티브한 인터넷 자체의 특성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대중 공간을 이용한 오프라인 광고 방법은 단지 지나가는 행인을 광고의 "대상"으로만 설정함으로써, 행인의 시선을 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광고 제작자는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방법으로, 행인의 시선을 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했다. 행인들은 그 광고물을 인식하지 못하고 쉽게 지나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곳에 광고물을 부착(설치)해야 하거나, 또는 보다 효과적인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 때문에, 광고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대중 공간을 이용한 오프라인 광고 방법은, 행인들을 직접 유인할 수 있는 계기가 없기 때문에, 행인들의 "우연한 관심"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광고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추산할 수도 없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광고 방법에서도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광고를 할 수 있다. 그 중 첫 번째 고려할 수 있는 것이, LCD 장치를 이용한 광고이다. 이 방법은, LCD 장치를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독립된 설치물로서 설치하여, LCD 화면을 통해 각종 정보와 광고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행인들을 TV 시청자와 같은 "대상"으로 전제할 뿐이어서,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행인들의 "우연한 관심"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둘째, 키오스크 단말을 이용하는 것이다. 키오스크 단말의 특징은, 불특정 행인이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서 보아야 하는 LCD 장치와는 달리, 사용자가 장치 바로 앞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키오스크 단말은 소정의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하며, 표시부를 통해 안내 및 광고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 단말은, 은행에서는 현금입출금 장치로, 공공장소에서는 각종 민원서류의 신청과 발급 업무로, 기업의 로비에서는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철 등의 교통시설 내에서 노선표를 제공하거나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키오스크 단말 화면에 소정의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키오스크 단말기 좌우상하 표면에 광고지를 부착하여 소정의 광고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키오스크 단말은 지극히 간단한 작업만 대신 처리하는 기기에 불과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한 명씩 순서를 기다려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2가지 이상의 이종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사용자가 특정되기는 하지만, 그 사용자는 은행업무, 민원서류 발급, 노선표 확인, 또는 승차권 구매 등, 키오스크 단말의 이용 목적이 너무나 분명하기 때문에, 그런 목적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효과가 없게 된다. 이는 행정업무의 간편화라는 기존 키오스크 단말의 이용 목적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욱이, 각각의 키오스크 단말 간에 상호 통신을 할 수도 없고, 또는 원거리에 있는 임의의 이종 기기 사용자와 통신하지 못하는 등 자유로운 통신도 불가능하였다.
한편, 키오스크 단말에 전화기가 부착되는 경우가 알려져 있지만, 이 경우의 전화는 단말의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시 긴급하게 관리자와 통화하기 위한 내부 통신선에 불과해서, 미리 정해진 핫라인으로만 통화가 가능하고, 외부 통신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기존의 키오스크 단말을 그대로 대중 공간에서 활용하는 방안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지하철(subway)에는 매일 같이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 직장에 출퇴근하기 위해서,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서, 공연을 보기 위해서, 또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의 교통수단을 이용한다. 지하철 역의 대합실, 승차표 구입장소, 벽, 주요한 통로들 주위로 언제나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특별한 목적이 없는 한 멈추지 않고 지나간다. 광고주들은 그런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광고하기를 원한다. 지하철뿐만 아니라, 철도, 공항, 버스 역과 다른 형태의 대중교통 수단에서도 마찬가지다.
백화점과 같은 종합 쇼핑센터에서도 그와 같다. 수많은 사람들이 백화점에 있다. 물건을 사러 온 사람, 누군가와 만나기 위해 온 사람, 백화점 문화센터를 방문하기 위해 온 사람, 특별한 목적 없이 온 사람 등, 백화점에는 언제나 많은 사람들이 있다. 관공서도 마찬가지다. 공공기관 건물 내에는 각종 민원을 내거나 민원서류를 발급하기 위한 사람들로 분주하다. 광고주는 그런 사람들에게도 효과적으로 광고하기를 원한다.
또한, 유명한 관광지나 도심의 중심지에도 사람들이 북적이며, 사람들은 관광을 하거나 쇼핑을 하기도 하고, 누군가와 만나서 같이 식사를 하거나 즐기기도 한다. 이런 사람들은 모두 불특정 대중이며, 광고주는 이런 사람들에게도 효과적으로 광고하기를 원한다. 모든 대중 공간에서 광고주는 광고하기를 원한다.
위와 같이, 광고주가 대중 공간에서 광고하기를 원하는 까닭은 대중 공간에 매우 많은 사람이 있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대중 공간에서의 광고 방법은, 대중 공간에서의 수많은 사람을 단순히 광고를 소비하는 "대상"으로만 설정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중 공간에서의 광고매체와 사람들 간의 물리적 거리가 밀접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매체가 사람들을 용이하게 포섭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오랫동안 분석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대중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신규한 전자 광고 매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중 공간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광고 매체가 제공하는 광고를 단순히 소비하는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광고 매체에 적극적으로 유인하여 일련의 행위 주체로 행동하여야 함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즉, 광고 매체와 사람들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대중들이 "광고 매체"에 자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기술적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대중 공간의 사람들이, 전자 광고 매체와의 관계에서, "주체"로서 관계를 맺고, "거리"를 없애고, 스스로 "접근"하도록 의도되며, 본 발명의 수단들에 의해 충분히 실현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가는 먼저, 대중 공간의 사람들의 유형에 대해 분석 작업을 하였다.
대중 공간에 있는 수많은 사람은 세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급하게 목적지로 이동해야 하는 사람들이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의 시선을 고정시켜서 광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이 경우 대중 공간에서의 광고는 단지 그런 사람들의 "우연한 시선"에 호소할 수 있을 뿐이다. 두 번째 유형은 다소의 시간적 여유가 있어서 굳이 급하게 길을 서두르지 않아도 되거나 또는 누군가를 기다리는 사람들이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대중 공간에서의 광고의 대상으로 유효하게 포섭될 수 있다. 세 번째 유형은, 특정한 정보를 얻기 위해 머뭇거리는 사람들이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로는 길을 묻는 사람, 위치를 알고 싶은 사람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의 경우 찾고 있는 정보가 제공되면 첫 번째 유형으로 전이하거나 두 번째 유형에 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중 공간에서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유형에 속하는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광고에 포섭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중 공간에 이미 구축되었거나 용이하게 재설치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 네트워크는 인터넷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운영 서버에 의해 용이하게 통제되며, 이동국 전화망 내에 위치함으로써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과 모바일 통신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내의 광고 매체는 접속과 통신과 정보의 소비에 있어서 일종의 스테이션으로 기능 하도록 목적 된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광고 시스템의 구축과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의 구현을 수익 창출의 모델로서 제안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광고 매체를 단순히 "광고 수단"으로 접근해서는 아니 된다. 그와 같은 접근 방법은 종래의 대중 공간에서의 광고 방법으로부터 여전히 진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분석에 기초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전제로 한다.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 공간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매체와의 관계에 있어서, 대중들이 보고 만지고 반응할 수 있는 상호 작용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 스테이션을 구현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주요하게 여섯 가지 스테이션 요소의 복합화를 제안한다.
우선 그 첫째 요소가 공중전화 스테이션이다. 휴대전화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말미암아 종래의 PSTN 공중전화의 이용은 극감하고 있다. 실제 대중 공간에서 공중전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휴대전화의 통화 요금은 비싸기 때문에 부담이 되며, 만일 국제전화인 경우에는 더욱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오늘날 대중 공간에도 초고속 인터넷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VoIP 공중전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뿐만 아니라 종래의 PSTN 공중전화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심지어는 무료로 전화 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VoIP 공중 전화 스테이션을 구축함으로써, 대중 공간에 있는 사람들을 광고 매체로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두 번째 유형의 대중들을 효과적으로 유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가 위와 같은 공중전화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그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고 인접하여 반응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요소는 인터넷 접속 스테이션이다.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PC나 노트북 등 인터넷에 접속된 단말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대중 공간에서 인터넷에 접속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물론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열악하고, 비싼 패킷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본 발명의 인터넷 접속 스테이션은 대중 공간에 있는 사람들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중들을 광고 매체로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소속되어 있는 다수의 전자 광고 매체는 IP 통신 회선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 LCD 터치스크린에 의해 인터넷 웹 페이지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대중 공간의 매체를 통해 자유롭게 유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중 공간의 매체에 인접하여 터치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Wi-Fi 표준의 무선 랜 AP를 광고 매체에 설치함으로써, 광고 매체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서 대중들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두 번째 유형의 대중들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가 위와 같은 인터넷 접속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그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거나 인접해서 반응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요소는 정보 제공 스테이션이다. 광고 매체는 그 대중 공간의 특성에 맞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중들을 적극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지하철과 같은 대중 공간에서는 역 근방의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백화점에서는 매장의 맵 정보를, 공항에서는 공항시설의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광지에서는 관광지 맵 정보과 관광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공기관은 각종 민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고 매체가 정보 제공 스테이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두 번째와 세 번째 유형의 대중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가 위와 같은 정보 제공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그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고 반응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요소는 휴대전화 컨텐츠 이용 스테이션이다. 대중 공간의 대부분의 사람은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전화는 폰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들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 회사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사진, 동영상, 음악 파일의 재생, 통화연결음, 게임, 메시지 전송 등의 그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 매체는 휴대전화 컨텐츠 이용 스테이션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 두 번째 유형의 대중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가 위와 같은 휴대전화 컨텐츠 스테이션으로서 기능 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그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고 반응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섯째 요소는 티켓 예매 스테이션이다. 예컨대 사람들은 쉽게 영화나 각종 공연 정보를 대중 공간에서 얻게 되고 그때 바로 티켓예매를 하고 싶을 때가 있다. 또한, 친구, 가족, 연인 사이에 언제 어느 영화를 보자고 약속할 수도 있다. 그때 다시 집에 돌아가서 인터넷을 통해 예매하거나 전화를 걸어 예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중 공간의 광고 매체가 문화 향유 스테이션으로서 티켓 예매 기능을 제공한다면, 사람들은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대중 공간에서 곧바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상기 두 번째 유형의 대중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가 위와 같은 티켓 예매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그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고 반응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섯째 요소는 사진 촬영 스테이션이다. 대중 공간에서 사진을 찍으려면 반드시 카메라가 있어야 한다.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기 자신을 찍기가 어렵고 친구들과 함께 단체 사진을 찍기도 어렵다. 본 발명의 광고 매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광고 매체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촬영하고, 사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많은 사람이 광고 매체에 근접하도록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상기 두 번째 유형의 대중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가 위와 같은 사진 촬영 스테이션으로서 기능 함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그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고 반응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매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의 사용자를 CCTV와 같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분석함으로써 광고 매체를 통해 표시되는 광고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조성하거나, 대중 공간의 광고 매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요소들이 복합된 대중 공간의 새로운 문화 스테이션을 구현함으로써 얻게 되는 대중들의 주체적인 행동과 매체와의 밀접한 관계를 기초로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다. 또한, 문화 스테이션의 기능과 광고 기능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 공간에 있는 대중들에게는 편리성과 즐거움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확보된 대중과의 근접성을 기초로 안정적인 광고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유료 결제를 위한 과금처리수단, 광고 매체의 파손을 대비하기 위한 센싱 수단, 그 밖의 각종 편의장치들의 구현들도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으로서 중요하게 고려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이격된 N(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셀을 통신 네트워크로 구축한 광역 네트워크 내에서, 벽, 기둥, 통로 및 사람이 지나가거나 기다리는 임의의 지점 중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선택되는, 상기 셀 내의 물리적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로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컴퓨팅 되지 않는 제 1 광고 영역;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컴퓨팅 되는 제 2 광고 영역;및
상기 광고 영역들과 독립된 영역으로 분할된 VoIP 공중 전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광고 영역과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하우징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결제부;
각 전기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는,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공간 내에 무선 인터넷 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넷 존은, Wi-Fi 표준에 의한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상기 제 2 광고 영역과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너비 방향으로 좌우로 독립되어 분할됨으로써, 상기 제 2 광고 영역의 시야 각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는 두 대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며,
제 1 컴퓨터는 상기 제 2 광고 영역의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제 2 컴퓨터는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의 디스플레이와 VoIP 전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마다 VoIP 고유 번호가 할당되고, 화면을 통해 제시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는 전자 광고 매체끼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은 독립된 2개 이상의 분할된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마다 독립된 송수화기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광고 매체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에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광고 매체 앞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포토 데이터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①화상 전화, ②사진 촬영 이벤트, ③광고 표시 중 사용자 정보 분석 프로세스, ④CCTV 촬영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②사진 촬영 이벤트로 선택되는 경우,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매체-메일 전송, 매체-폰 전송, 매체-저장매체 전송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상기 제 2 광고 영역은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 중 어느 1개 이상의 이벤트가 터치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a) 상기 전자 광고 매체가 위치한 곳의 맵 정보;
(b) 영화, 연극, 공연, 스포츠 티켓 예약 정보;
(c) 인터넷 웹 페이지;
(d) 교통 관련 정보;
(e) 모바일 컨텐츠;
(f) 사진 촬영;
(g) 리서치; 및
(h) 여론조사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제 2 광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a) 전자 광고 매체가 위치한 곳의 맵 정보인 경우,
상기 맵 정보에는 1개 이상의 쿠폰 개소가 표출되며,
표출된 쿠폰 개소가 선택되고 사용자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번호의 휴대폰으로 선택된 쿠폰 개소에 대응하는 모바일 쿠폰이 SMS 또는 MMS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신용카드, 교통카드, 스마트 카드, 휴대폰 결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는 대중 공간에 위치하는 임의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 모바일 단말로의 저장 또는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충전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USB 포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공간은, 지하철 역사, 철도 역사, 버스 역, 공공기관 건물, 백화점, 관광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 광고 영역에는 광고 인쇄물이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는 대중 공간에서 더욱 많은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자 광고 매체와 대중 간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대중들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에 자발적으로 접근하여 대중 매체를 보고, 만지고, 반응하여 매체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전자 광고 매체와의 관계에서, 대중 공간의 대중들은 "주체"로서 행동하며, 매체에 스스로 접근하도록 유인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단지 대중을 광고의 "대상"으로서만 사고 하였던 종래의 대중공간에서의 광고 방법과 질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장점이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는, 그 매체가 설치된 대중 공간에서, 다수의 기능이 복합화된 새로운 문화적인 스테이션 역할을 할 수 있다. 광고주는 더욱 많은 사람에게 "밀접"하게 광고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광고 효과에 만족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자는 효율적으로 광고 수주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중 공간의 대중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대중 공간에서 자유롭게 인터넷을 즐길 수 있고, 공중전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사진 촬영도 가능하며, 할인 쿠폰을 얻거나, 티켓도 예매할 수 있는 편리함과 즐거움을 함께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냥 지나치거나 누군가를 기다리는 곳에 불과했던 대중 공간을, 문화적이고 산업적인 공간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사회 인프라를 질적으로 고양시키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지하철 네트워크에 적용한 실시예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단위 지하철 역 셀에서의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일 실시예에서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대중 공간의 통록 벽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대중 공간의 기둥이 있는 곳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대중 공간의 벽에 매립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원거리에 이격된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끼리 VoIP 전화통화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공중 전화 스테이션으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정보 제공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포토 스테이션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모바일 컨텐츠 스테이션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티켓 예매 스테이션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예로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장소에 초고속 인터넷이 구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중 공간에도 그와 같은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대중공간"이라 함은, 이와 같이 네트워크가 구축된 물리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이 대중공간으로는, 지하철(subway), 철도(railroad), 버스 정류장, 공항과 같은 교통시설과, 백화점과 같은 다수의 점포가 입점되어 있는 쇼핑센터, 행정 업무를 제공하는 공공 기관, 증권사나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 은행 등과 같은 건물, 관광지, 대도시의 광장 등과 같은 물리적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오늘날 위와 같이 예시된 곳에서는, 정보의 제공이나 안내, 사고 관리, 통신 등의 목적으로 소정의 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네트워크에 소속된 다수의 단말 장치들이 이격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 장치들은 원격에서 서버가 통합 관리하며, 이를 위하여 소정의 네트워크가 기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에 소속된 단말들은 물리적으로 이격된, 통상 원거리로 이격된 다른 지역의 단말들과 연결된다.
여기서 물리적으로 이격된 독립된 지역을,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셀"(cell)로 용어를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다수의 셀이 속한 대중 공간의 네트워크를 "광역 네트워크"로 정의하였다. 광역 네트워크에 속한 셀들의 물리적 이격 거리는 수km에서 수십 km에 이를 수 있다. 예컨대 대도시의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곳이 그러하다.
또한, 광역 네트워크에 속한 셀들의 물리적 이격 거리는 수십 또는 수백 km에 이를 수 있다. 국가의 기간망인 철도와 공공기관, 본사와 지사의 관계를 갖는 백화점이나 은행 등이 그러하다.
관광지의 경우, 그 관광지를 관리하는 주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관광지의 경우에는 그 국가의 영토 면적에 의해 크게 변동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셀들의 이격 거리가 수백 미터에 불과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수천 km가 될 수 있다.
한편, 광역 네트워크가 공항의 네트워크인 경우에는, 각 공항마다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경우에는, 그 공항의 크기에 의해 셀들의 이격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셀들은 출국 셀과 입국 셀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들은 정보의 제공이나, 안내, 사고 관리, 통신 등의 목적으로 구축되는 인프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셀(11, 12, 13, 14)들이 통신 가능하게 광역 네트워크(10)에 속해 있으며, 중앙 본사(20)가 네트워크(10)를 이용하여 이 셀(11, 12, 13, 14)들을 통제하고 관리한다. 셀과 셀 사이의 외부의 데이터 통신 회선은 인터넷 회선이 되지만, 셀 내부에서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바람직하게는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구축된 광역 네트워크 및 셀 내부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중앙 본사(20) 측에 관리자 서버(200)를 두고, 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선을 이용하여 셀 내부의 물리적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서버(200)를 해당 광역 네트워크의 IP 회선에 연결함으로써, 서버와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관리자 서버(200)에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201, 203, 205, 207)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소정의 과금 서버(220)가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 표시되는 광고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각종 컨텐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광고 매체로부터 송신되는 광고 효과 리포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광역 네트워크나 이 네트워크에 속한 셀의 특성에 의해 다양하게 추가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200)는 인터넷을 통해 광역 네트워크 외부에 위치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300), VAN(Value added network) 사의 서버(400) 및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VoIP 사(500)와는 VoIP 게이트웨이(510)를 통해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지하철 네트워크에 구축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단위 지하철 역셀(station cell)에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지하철에는 많은 역이 존재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서울시의 서울메트로에는 117개의 역사가 있고, 각 역에는 역내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며, 각 역들은 IP 통신회선에 의해 본사와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이격된 A 역사(1100), B 역사(1200), C 역사(1300), D 역사(1400), E 역사(1500)가 독립된 셀로 존재하고, 이 역사들은 지하철 내부 망(1025)를 통해 물리적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사(1020)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지하철 본사와 역사 간에 통신, 정보의 제공이나 안내, 사고 관리 등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 네트워크에 편승할 수 있다. 본사 측에 관리자 서버(200)를 위치하고, 서버(200)에 인접한 위치에 관리자 단말(210)이 설치될 수 있다. 관리자 서버(200)는 본사 건물 내에 위치하여 본사의 이더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본사 건물과 떨어진 위치에서 본사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관리자 서버(200)는 지하철의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넷(50)을 통해 외부의 서버들과 접속하게 된다. 외부의 서버로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300)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CP(300)들은 포털(Portal) 운영자의 웹 서버일 수 있으며, 뉴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티켓 정보와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리서치 기관들의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200)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로는 VAN 사(400)의 서버일 수 있다. VAN 사(400)의 서버는 소정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대중공간의 사용자가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서, 교통카드(Transportation Cards), T-MONEY,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어떤 결제를 하는 경우에, 그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는 외부 서버이다.
또한, IP 망을 통해 관리자 서버(200)는 외부 VoIP 사(500)의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VoIP 게이트웨이(510)를 경유하여 VoIP사에 연결됨으로써, 관리자 서버는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 VoIP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회선을 통한 VoIP 단말간의 전화통화뿐만 아니라, 수신자가 유선전화(530)이거나 또는 휴대폰(540)인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VoIP사(500)의 서버는 PSTN망을 경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의 관리자 서버(200)는 다양한 외부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대표적인 것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이동통신회사의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시스템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2가 지하철 네트워크와 관리자 서버의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도 3을 보자. 도면부호 1025는 지하철의 기구축되어 있는 인프라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 인프라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인프라의 한 개의 셀인 A역사(1100)와 본사(1020)의 분리된 네트워크는 A 역사(1100)의 CSU(Channel Service Unit) 라우터(Router)(1101)와 본사(1020)의 CSU 라우터(10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A 역사(1100)와 본사(1020)는 지하철 회사의 망을 통해 연결될 것이다. 이들 CSU 라우터는 근거리 통신망의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들을 광역 통신망에 보낼 수 있도록 적절한 프레임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광역통신망으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전송한다. CSU 라우터(1101)를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L2 스위치(Layer 2 Switch)(1102)를 통해서 A 역사(1100) 내부의 여러 가지 목적지(1110, 1112, 1114, 1115)로 중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L3 스위치나 L4 스위치 등이 네트워크 중계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A 역사(1100) 내부의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들, 즉 일종의 네트워크상의 단말이 위치하는 곳은 통신기계실(1110)일 수 있다. 또한, 역무관리실(1112), 전기실(1114) 또는 PSD 기계실(1116)일 수 있다. A 역사에는 다양한 역 관리를 위한 시설들이 있으며, 시설마다 이더넷으로 망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A 역사(1100) 내부의 대중 공간, 대중들이 많이 지나가거나 기다리는 공간으로서, 역사 내의 벽, 기둥, 통로, 대합실, 자판기, 티켓발매기 등의 위치 중에서 바람직한 곳을 선택하여 전자 광고 매체(100)를 설치할 수 있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설치 위치가 통신기계실(1110)과 가까운 곳이라면, 통신기계실(1110)의 통신회선을 인출하여 해당 전자 광고 매체(1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광고 매체(100)의 설치 위치가 PSD 기계실(1115)인 경우에는 그 PSD 기계실(1115)의 통신회선을 인출하여 상기 전자 광고 매체(1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허브(1120)를 이용하여 PSD 기계실(1115)로의 1회선으로 다수의 전자 광고 매체(100)와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본사(1020)의 CSU 라우터(1021)를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본사 내부의 단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L2 스위치(230)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관리자 서버(200)를 지하철 회사의 광역 네트워크(1025)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200)측의, 1개 이상의 관리자 단말(210, 211), 212)들은 상기 광역 네트워크(1025)를 통해서, A 역사의 전자 광고 매체(100)를 원격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10)은 원격제어 운영관리 PC로, 관리자 단말(211)은 컨텐츠 운영 관리 PC로, 관리자 단말(212)는 영상정보 운영관리 PC로 구성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200)는 인텔사의 Xeon Quad Core ™ 2.0GHz의 CPU, 1G 메모리, 100Gbyte의 HDD의 하드웨어와 운영 OS로는 Windows Server ™ 2003로 구성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200)측에는 스토리지 장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스토리지 장치는 인텔사의 Xeon Quad Core ™ 2.0GHz의 CPU, PC2 5300ECC 2G 메모리, 4X SAS/타입 hot plug driver bays HDD와, NC373i Gigabit 2 포트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는 EVA4400GB FC HDD FACT STARTER KIT, 400GB 10K FC EVA M6412 Enc HDD 2개, Business Copy EVA4400 Unlim LTU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 시스템은, 전자 광고 매체(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저작, 편성, 배포, 원격 관리를 하기 위한 영상 솔루션(Digital Signage Solutio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자 광고 매체(1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는 외부의 CP사와 연동하며, 다양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전자 광고 매체(100)의 온오프, 채널 변환, 외부 입력 전환, 볼륨 등의 상태값 변경 등 디스플레이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전자 광고 매체(100)의 그룹 관리와 개별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는 컨텐츠가 전자 광고 매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관련하여 절대시간과 상대시간을 편성하여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밖에 전자 광고 매체(100)에 발송하는 메시지 작성, 편집, 관리, 발송 기능과, 각종 통계에 관한 레포트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리자 서버의 구체적인 사양은 시스템 구성의 설계 의도에 따라서 업그레이드되거나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제조 기술의 발전에 의해 관리자 서버측의 구성 사양도 함께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지하철 네트워크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한 실시예이지만, 대중 공간은 지하철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철도 네트워크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항 네트워크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버스의 정류장 네트워크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예들은 교통수단과 관련되어 있고, 교통수단이 집합된 광역 네트워크의 셀의 물리적 공간 내에 수많은 사람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백화점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공공기관의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관광지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백화점 네트워크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대형 건물의 1개 점포에만 구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지점을 포괄할 수 있다. 또한 백화점 네트워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백화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대형 슈퍼마켓, 전문 쇼핑 몰, 복합 쇼핑센터 등 수많은 사람이 쇼핑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대중 공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위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들에 속하는 독립된 물리적 공간의 셀에는 수많은 사람이 있고, 그들에게 효과적으로 인접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에 전자 광고 매체(1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10a, 120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a)는 큰 사이즈로 주된 표시부 기능을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20a)는 작은 사이즈로 VoIP 전화부(140)의 수신 번호 입력 기능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a)는 46inch, 52inch, 57inch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LCD 패널이 바람직하다. 너무 작으면 대중 공간에서의 사용자 이용에 불편함이 따르며, 너무 크면 전자 광고 매체(100)의 하우징의 크기가 커져서 설치에 불편함과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a)는 대략 15인치 내지 21인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inch LCD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10a, 120a)는 대중 공간의 사용자들과 인터랙티브한 관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IR Type로 터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Projected Capacitive Type 방식 패널로 터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 17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a, 120a)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는 1.8GHz, Dual Core 이상의 CPU와 1G 이상의 메모리를 갖고 Window XP 내지 Windows7 등의 OS가 설치된 컴퓨터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어부(150, 170)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10a, 120a)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50)와 제 2 제어부(170)는 독립적으로 전자 광고 매체(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지만, 상호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입출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공중 전화부(160)는 VoIP 전화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하며, 제 2 제어부(170)에 연결되고, VoIP 전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20a)가 담당한다.
또한, 상기 공중 전화부(140)를 통한 VoIP 전화를 유료로 구성하는 경우, 결제부(160a)에 의해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 결제부(160a)는 소정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모듈을 포함하며, 결제 수단으로는, 신용카드, 교통카드, 스마트카드일 수 있으며,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결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부(130a, 135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a, 135a)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렌즈)와, 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고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활용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제1 카메라부(130a)는 제 1 제어부(150)에 연결되며, 제 2 카메라부(135a)는 제 2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의 카메라부(130a)는 (1) 대중 공간의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여 포토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2) CCTV의 감시 모니터링으로, 또는 (3) 광고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때, 장치 주변의 이동 인원의 카운팅이나 사용자의 신상 정보(연령이나 성별 등)를 취득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카메라부(135a)는 VoIP 전화시에 화상 통화를 위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의 구별 없이 1개의 카메라만을 제 2 제어부(170)에 연결하여, 화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되, 화상 통화가 실행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1), (2) 또는 (3) 기능이 선택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미리 설정된 출력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할 수 있다. 전자 광고 매체(100)는 전송부(190, 191)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관리자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하며, 전송부(190, 191)는 허브(Hub)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50, 170)를 하드웨어적으로는 하나의 PC로 구성하고,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두 개의 독립된 제어 파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센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부(155)는 충격 감지 센서 및/또는 기울기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중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나 도난 사고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이벤트 정보를 관리자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가 센서부(155)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자 서버(200)로 전송되기 때문에, 관리 요원을 즉시 파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 센서부(155)는 제 1 제어부(15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2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는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AP)(109)가 설치될 수 있다.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전송부(190, 191)와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109)를 연결함으로써, 전자 광고 매체(100)를 중심으로 수십 미터 이격된 영역까지 무선 인터넷 존(Wireless Internet Zone)을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109)는 Wi-Fi AP이다.
이와 같이 전자 광고 매체(100)을 통해서 Wi-Fi 존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사용자 단에 위치하는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개수만큼 Wi-Fi 존을 개설할 수 있고, 대중 공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 LAN 모듈이 장착된 노트북이나 Wi-Fi 모듈이 장착된 소형 모바일 단말기, 예컨대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 폰을 휴대한 사람들은, 누군가를 기다리면서 전자 광고 매체(100)의 근방에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광고 매체(100)는 무선 인터넷 존에 들어온 Wi-Fi 단말기들을 인지하여, 해당 단말기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푸시해 줄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화면에 “무선 인터넷 존에 들어왔습니다”라는 알림 메시지를 푸시해 줄 수 있으며, 소정의 광고 메시지를 부가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광고 매체(100)의 외부 하우징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물은 사각의 철재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는 상기 도 4의 요소들이 위치한다. 전면은 강화 유리로 코팅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한다. 전자 광고 매체(100) 하우징의 전방에는 제 2 광고 영역(110)과 VoIP 공중전화 영역(120)이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의 측면에는 컴퓨팅 되지 않는 제 1 광고 영역(105)이 구성될 수 있고, 이 제 1 광고 영역(105)을 통해 부착 광고를 할 수 있다. 제 1 광고 영역(105)은 전자 광고 매체(100)의 하우징의 좌우 측면이나 정면의 하단에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컴퓨팅 되지 않는다 함은, 관리자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지 않고,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임을 의미한다.
제 2 광고 영역(110)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110a)에 대응하며, 내부의 제어부에 의해 컴퓨팅될 수 있다. 전자 광고 매체(100) 전면부의 소정의 영역에 구성되는 제 2 광고 영역(110)을 통해서, 텍스트나 동영상 등의 포맷으로 이루어진 광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1) 전자 광고 매체(100)가 위치한 곳의 맵 정보, (2) 영화, 연극, 공연, 스포츠 티켓 예약 정보, (3) 인터넷 웹 페이지, (4) 교통 관련 정보, (5) 모바일 컨텐츠 목록, (6) 리서치, (7) 진행 중인 여론조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제 2 광고 영역(110)은 터치스크린 패널로 형성되기 때문에,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제 2 광고 영역(110)의 표면 위로 손을 접촉하여 터치 입력, 선택을 할 수 있다. 제 2 광고 영역(110)의 위쪽에 카메라(130)를 설치하여 전방을 촬영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카메라(130) 대신에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에 인접하여 설치된 카메라(135)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이하, 같다).
상기 제 2 광고 영역(110)과 물리적으로 독립된 영역으로서,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이 전자 광고 매체(100) 하우징의 전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이 VoIP 공중 전화 영역(120)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20a)에 대응하며, 화면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송수화기(125)를 들었을 때에는 전화번호를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VoIP 공중 전화 영역(120) 화면 중 일 부분(121)에는 해당 전자 광고 매체(100)의 VoIP 전화기의 고유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의 위쪽에 카메라(135)가 위치하여, 화상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VoIP 공중 전화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VoIP 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이익을 보장하고, 대중 공간에서 한 사람이 장시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유료로 제공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폰으로도 전화할 수 있으며, 국제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중 공간의 이용자에게 매우 매력적인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유료로 하는 경우, 소정의 결제부(160)가 사용자가 제시하는 각종 결제 수단, 예컨대 교통카드, T-MONEY, 신용카드 등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광고 영역(110)과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이 상호 독립된 영역으로, 바람직하게는 좌우로 분할되는 것은 중요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만일 이 영역들(110, 120)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합치는 경우에, 공중 전화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전자 광고 매체(100)의 이용을 독차지하거나, 또는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때문에 전자 광고 매체(100)의 공중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매우 치명적인 문제를 낳게 된다.
대중 공간에서 공중 전화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정보의 향유(지도 찾기, 예약, 인터넷 검색 등)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명확히 구별될 수 있다. 전자는 값싼 통화료로 전화를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지만, 후자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가 아닌 다른 정보를 얻거나 즐기고자 하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도 6을 보자. 전자의 사용자(1)가 VoIP 공중 전화 영역(120) 앞에서 전화를 하는 동안에도, 후자의 사용자(2)가 제 2 광고 영역(110) 앞에서 자신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예컨대 지도 검색 등). 즉,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제 2 광고 영역(110)의 시야 각도를 확보한다.
도 5의 실시예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대중 공간의 벽, 통로, 광장, 대합실, 자판기 옆, 교통 카드 발급기 옆 등, 사람들이 많이 지나가거나 기다리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특별히 설치 장소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외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광고 영역(110)과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이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6의 실시예보다, 제 2 광고 영역(110) 사용자와 VoIP 공중 전화 영역(120) 사용자가 서로 방해 받지 않고 전자 광고 매체(100)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설치 장소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대중 공간에 기둥이 있는 경우 그 기둥을 전자 광고 매체(100)의 위쪽으로부터 관통하게 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별도의 표시부(122)를 구비하여 그 표시부(122)를 통해서 모션 포스터가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의 외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서는 VoIP 공중 전화 영역(120,120b)이 복수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를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대중 공간에서 더 많은 이용자들이 본 발명의 VoIP 공중 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17인치 소형 LCD 패널을 복수로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송수화기도 2대 필요하고, 결제부도 두 개소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VoIP 공중 전화 영역(120, 120b)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두 대의 컴퓨터가 내장 될 필요는 없다. 한 대의 PC로 복수의 VoIP 공중 전화 영역(120, 120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VoIP 회선은 허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설치되는 대중 공간의 위치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대중 공간의 통로 벽에 전자 광고 매체(100)가 설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대중 공간의 기둥에 있는 곳에 설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대중 공간의 벽에 매립 설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중들에게는 편리성과 즐거움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대중과의 근접성을 확보하는데 초점이 있으므로, 다양한 대중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있는 다양한 물리적 공간에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이 예시하는 물리적 공간 이외에 다양한 물리적 공간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전차 매체(100)의 하우징의 크기와 각 영역의 배치는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속해 있는 전자 광고 매체 상호 간에 IP 전화를 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의 전화번호 표시부(121)를 통해 각 전자 광고 매체(100)의 IP 고유번호가 전화번호 형식으로, 예컨대 070-1234-5678)가 표시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는 전자 광고 매체(100)까리 IP 통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축된 대중 공간에서, 대중들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를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 또는 무료로 전화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상 통화가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지하철 A 역의 어떤 전자 광고 매체(100)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공항이나 관광지에 다른 전자 광고 매체(100) 앞의 친구에게,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화상 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편리성 때문에, 대중 공간에 있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 근접하게 되고, 대중들은 전자 광고 매체(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와 광고에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는 대중 공간에서 다양하게 복합화된 새로운 문화 스테이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대중 공간의 대중들이 전자 광고 매체를 보고 만지고 반응하여 상호작용함으로써, 광고에 있어서의 대상과 주체의 간격을 없앨 수 있다. 이로써 새로운 오프라인 광고 패러다임을 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와 같은 기능들을 통해서, 전자 광고 매체(100)로 대중 공간의 대중들을 효과적으로 유인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인 오프라인 광고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그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화된 스테이션의 다양한 유형들의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1> VoIP 공중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공중 전화 스테이션으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스는 광고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광고 정보를 대중 공간에 있는 대중들에게 표시한다(①). 그와 같은 광고 정보는 보다 넓은 표시 영역인 제 2 광고 영역(110)을 통해서 표시될 수 있으며, 보다 작은 표시 영역인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가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공중 전화를 사용하고자 할 때, 전자 광고 매체(100)의 화면을 통해 미리 광고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가 전자 광고 매체(100)의 송수화기(125)를 들고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숫자를 터치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②). 이는 통상의 전화번호 입력과 크게 차이가 없다. 그와 같이 수신자의 전화번호(휴대폰 번호, PSTN망의 전화번호, VoIP망의 전화번호, 국제전화번호, 또는 다른 지역의 전자 광고 매체의 전화번호를 의미한다)를 터치하여 통화 요청을 하면,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에 시스템은 소정의 광고 정보가 해당 화면(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의 LCD 화면)을 통해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③).
사용자는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개시되기 전까지 매우 밀접한 거리에서 광고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광고 정보가 LCD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③)는 다양하고 바람직한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송수화기(125)를 들었을 때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가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 호가 연결되는 동안에 그 광고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 통화가 개시되는 동안에도 그 광고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의 방법에 있어서, 공중 전화 통화가 음성 통화인 경우에는 바람직한 광고 방법이 될 수 있지만, 통화가 화상 통화인 경우에는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호가 연결되어 소정 시간 동안 통화를 한 후(④), 화면에 표시되는 종료 버튼을 터치하거나, 송수화기를 내려놓음으로써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⑤), 다시 설정된 광고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⑥). 이때의 광고 정보는 전 단계의 광고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에는 전화번호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며, 해당 전자 광고 매체에 할당된 IP 전화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원거리에 이격된 전자 광고 매체끼리 전화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의 터치 인터페이스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에게 긴급 통화를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대중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을 대비할 수 있다. 또한,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에 인접하여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특히, 원거리의 전자 광고 매체(100)끼리, 예컨대 A역에 있는 사람과 B역에 있는 사람이 각각 해당 역에 설치된 전자 광고 매체 앞에서 화상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위와 같은 VoIP 공중 전화 서비스는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될 수 있다. 유료서비스로 제공하더라도, VoIP 전화의 특성상 일반 PSTN의 유선전화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보다 더 저렴하다. 유료로 서비스하는 경우에, 전자 광고 매체(100)는 소정의 결제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소지하는 교통 카드 등을 인식하여 소액 결제를 할 수 있다.
<2> 지도 정보와 지도 정보에 기반한 쿠폰을 제공하는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도 1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정보 제공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하며, 특히 전자 광고 매체(100)가 위치하는 곳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광고 정보를 대중 공간에 있는 대중들에게 표시한다(①). 그와 같은 광고 정보는 보다 넓은 표시 영역인 제 2 광고 영역(110)을 통해서 표시될 수 있으며, 보다 작은 표시 영역인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제 2 광고 영역(110)은 광고 정보가 스케줄링되어 디스플레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되는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인접한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메뉴 중 맵 정보 메뉴를 터치하여 맵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②). 그러면, 관리자 서버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제 2 광고 영역(110)에 요청한 맵 정보를 표시한다(③).
맵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광고 매체(100)가 위치하는 대중 공간의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미리 구축될 수 있다. 관리자 서버 측에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관리자 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맵 정보 제공자 서버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대중 공간이 지하철이나 철도인 경우에는, 해당 역사의 맵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역사가 있는 지역의 맵일 수 있다. 대중 공간이 백화점인 경우 백화점에 입점한 매장일 수 있다. 대중 공간이 공항인 경우 공항 내의 시설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대중 공간이 관광지인 경우 해당 관광지의 주요 시설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제 2 광고 영역(110)에 표시되는 맵 정보는, 그 맵 정보에 표시되는 상점의 쿠폰 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맵 정보가 지하철이나 철도의 역이 있는 지역의 맵인 경우에, 해당 맵 정보에 표시된 음식점, 주점, 각종 상점 등에서 제공하는 쿠폰의 존재 여부(쿠폰 개소)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백화점 맵에서는 매장의 할인 쿠폰을, 관광지의 맵에서는 그 맵에 표시된 음식점이나 기념품판매점 등의 쿠폰을 표시할 수 있다. 맵 정보를 보는 사용자가, 해당 쿠폰 표지를 터치하면(④), 쿠폰 발급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⑤).
쿠폰 발급 프로세스는 맵 정보를 이용하는 대중 공간의 임의의 사용자의 단말로 쿠폰 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두 가지의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⑥). 첫째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 요청을 하면, 관리자 서버(200)가 해당 휴대폰으로 쿠폰 정보를 SMS(또는 MMS, 이하 같다)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SMS로 쿠폰 표지를 받은 사용자는 해당 쿠폰 발행자의 상점에 가서 그 쿠폰을 제시함으로써 할인을 받거나 또는 기타 상업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전자 광고 매체(100)에 설치된 USB 포트와 같은 표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직접 사용자의 단말로 쿠폰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받은 쿠폰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전자의 방법은 인터페이스 없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지만 SMS 전송에 따른 이동 통신망 이용요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다소 번거롭지만 경제적이며, 사용자의 적극적인 행위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200)는 쿠폰 발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 휴대폰 정보를 쿠폰 발행자의 단말(즉, 쿠폰 개소의 영업자 단말)로 SMS 또는 이메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쿠폰 발행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관리자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다. 이와 같은 쿠폰 발행은 쿠폰 발행자에게 있어서 소정의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짐으로써,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소정의 지도 검색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3> 포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도 1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포토 스테이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오늘날 디지털 카메라는 널리 보급되었고, 휴대폰에도 카메라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소지자가 자기 자신을 찍기는 극히 어려우며, 특히 2인 이상의 단체 사진을 찍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중 1인이 촬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빠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광고 정보를 대중 공간에 있는 대중들에게 표시한다(①). 그와 같은 광고 정보는 보다 넓은 표시 영역인 제 2 광고 영역(110)을 통해서 표시될 수 있으며, 보다 작은 표시 영역인 VoIP 공중 전화 영역(120)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제 2 광고 영역(110)은 광고 정보가 스케줄링되어 디스플레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되는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메뉴 중 사진 촬영 메뉴를 터치하여 사진 촬영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②). 그러면 전자 광고 매체(100)는 소정의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결제 방법으로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사용자가 소지한 교통 카드, T-Money를 인식하여 결제처리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쳐 소액 결제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인식하여 소액 결제처리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제처리는, 관리자 서버(200)와 연결되는 외부 VAN사와의 시스템 연계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전자 광고 매체(100)의 카메라가 기동하게 되어 사진을 촬영한다(④).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전방에 위치하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인식되는 이미지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제 2 광고 영역(11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형 LCD 화면을 보면서 자세를 잡을 수 있고 연출을 할 수 있다. 카운트 다운 방식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제 2 광고 영역(110)에 표시되고, 전자 광고 매체의 카메라 모듈이 사진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진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예컨대 배경 화면의 선택, 각종 필터링 기법, 텍스트 입력 등의 편집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사진 파일은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⑤). 크게 3 가지 방법에 의해 이 전송 절차가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첫 번째 방법으로는, 이메일 주소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여 이메일 전송을 받는 방법이다(매체 to 이메일 전송). 이 방법은 파일의 사이즈나 포맷에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한 두 번째 방법으로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설치된 USB 포트와 같은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직접 사용자의 저장매체로 사진 파일을 전송받는 방법이 있다(매체 to 저장매체 전송). 여기서의 사용자 저장매체는 표준 인터페이스가 있는 외장 메모리가 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가 있는, PDA, PMP, MP3 Player, 휴대폰, 노트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효과적인 전송을 위하여 USB 커넥터가 전자 광고 매체(1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 요청을 하면, 관리자 서버(200)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해당 휴대폰으로 사진 파일을 푸시해 주는 방법이다(매체 to 폰 전송). 이 방법은 사진 파일의 포맷과 사이즈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이벤트를 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지만, 매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은, VoIP 공중 전화를 이용할 때의 화상 전화 시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매체의 전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는 CCTV 촬영 프로세스로도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사진 촬영 이벤트와 VoIP 공중 전화의 화상 통화는 대중 공간의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이지만, CCTV 촬영 프로세스는 관리자 서버에 의해서 동작이 설정된다. 한편, 전자 광고 매체(100)의 화면을 통해서 광고 정보가 표시될 때, 매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4>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는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도 1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모바일 컨텐츠 스테이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광고 정보를 대중 공간에 있는 대중들에게 표시한다(①. 제 2 광고 영역(110)은 광고 정보가 스케줄링되어 디스플레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되는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메뉴 중 모바일 컨텐츠 다운로드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②). 그러면 전자 광고 매체(100)는 모바일 컨텐츠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해 주며(③), 사용자가 이중 어떤 것을 선택하여 터치할 수 있다(④). 그러면, 소정의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⑤).
바람직한 결제 방법으로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사용자가 소지한 교통 카드, T-Money를 인식하여 결제처리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쳐 소액 결제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인식하여 소액 결제처리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제처리는, 관리자 서버(200)와 연결되는 외부 VAN사와의 시스템 연계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로, 해당 모바일 컨텐츠를 푸시해 줄 수 있다.
<5> 티켓 예매 스테이션으로서의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도 1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티켓 예매 스테이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광고 정보를 대중 공간에 있는 대중들에게 표시한다(①. 제 2 광고 영역(110)은 광고 정보가 스케줄링되어 디스플레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되는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화면상의 메뉴 중 티켓 예매 버튼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②). 그러면 전자 광고 매체(100)는 티켓 리스트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해 주며(③), 사용자가 이중 어떤 것을 선택하여 터치할 수 있다(④). 티켓 예매의 대상이 선택되면 티켓 예매 프로세스가 진행될 것이다. 사용자는 티켓 예매 승인번호를 SMS로 받을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⑤), 소정의 결제 프로세스에 진입할 수 있다(⑥).
바람직한 결제 방법으로서, 전자 광고 매체(100)가 사용자가 소지한 교통 카드, T-Money를 인식하여 결제처리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쳐 소액 결제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인식하여 소액 결제처리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제처리는, 관리자 서버(200)와 연결되는 외부 VAN사와의 시스템 연계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로, 티켓 예매 승인 번호를 SMS로 전송해 줄 수 있다(⑦).
<6> 인터넷 접속 스테이션으로서의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IP 통신회선을 통해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를 이용하여 대중 공간에서 자유롭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화면에 웹 페이지를 목록으로 지정해 놓을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예컨대 46inch 이상의 LCD 대형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인터넷 접속 목록을 선택하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중 들이 많이 이용하는 포털 페이지를 첫 페이지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버튼을 이용하여 URL을 입력하거나,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는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AP)(10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광고 매체(100)를 중심으로 일정한 영역까지 무선 인터넷 존이 형성되어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무선 랜 모듈이 장착된 노트북이나 소형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광고 매체(100)에 인접한 위치의 벤치 등에 앉아 자유롭게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대중 공간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다수의 전자 광고 매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유무선으로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대중들은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에 접근하여 직접 보고 만지고 반응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전자 광고 매체에 인접한 일정한 위치에서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이든지, 대중들은 용이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광고 매체를 중심으로 대중 공간의 많은 사람들이 유인되며, 그리고 유인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시스템 운영 사업자는 광고주에 의한 광고 수주에 의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다양한 유료 부가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중 공간의 기구축된 광역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광고 매체의 네트워크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인터넷 회선도 대중 공간의 셀의 회선을 허브로 연결하여 간단하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접속에 따른 패킷 요금은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대중 공간에서 인터넷 접속이 매우 어려웠던 점, 가능하더라도 유료로 이용하여야 했던 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로써 대중 공간에서, 무료로, 용이하게, 인터넷 접속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자 광고 매체(100)로 더 많은 대중 공간의 사람들이 유인될 수 있다.
<7> 리서치 및 여론조사 스테이션으로서의 대중 공간의 전자 광고 매체: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는 대중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대중 공간에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다.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제 2 광고 영역(110)의 서비스 메뉴에는 진행 중인 리서치 또는 여론조사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대중 공간의 사용자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접근하여 메뉴 중 리서치 또는 여론조사 부분을 터치하여, 진행 중인 리서치나 여론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200)로 전송되며, 실시간으로 집계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는 리서치 기관의 서버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서, 대중 공간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관심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전자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와 광고효과의 피드백: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광역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 셀의, 다수의 물리적 공간에 다수의 전자 광고 매체(100)가 위치한다. 전자 광고 매체(100)는, 대중들이 많이 있거나 지나가게 되는, 가장 효과적인 위치가 선택될 것이다. 먼저,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제 1 광고 영역(105)를 통해서 부착 광고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광고는 전형적인 오프라인 광고 기법이며, 컴퓨팅 되지는 않는다. 부착 광고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측면, 상하면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된 광고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컴퓨팅되는 제 2 광고 영역(11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 2 광고 영역(110)은 대형 DID LC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출되는 광고 데이터가 시간대별로 스케줄링 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00)는 수십 또는 수백 대 이상의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 기구축되어 있는 광고 데이터를 텍스트, 음성, 동영상 포맷 등 다양한 포맷으로 전자 광고 매체(100)로 실시간 전송하며, 제 2 광고 영역(110)에 표출된다.
관리자 서버(100)는 이종의 광역 네트워크를 링크할 수 있으며, 수백 대 또는 수천 대 이상의 전자 광고 매체(100)를 통해 광고 데이터를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대중공간에서 어떤 사용자가 VoIP 공중전화를 이용하고 있더라도, 물리적으로 다른 대중들의 시선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 화면의 광고 정보는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VoIP 공중전화 영역(120)의 소형 LCD 화면을 통해서도 광고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광고 전자 매체에는 컴퓨팅 되는 광고 영역이 동시에 2개 이상 확보될 수 있다. 물론 제 2 광고 영역(110)의 화면은 2개 이상으로 다중 분할될 수 있다.
그 결과, 수백 개 또는 수천 개 이상의 점보 비전으로 오프라인 광고를 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데, 그 광고 효과는 종래의 점보 비전의 광고 효과보다 훨씬 뛰어날 것이다. 왜냐하면, 종래의 전자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대중 공간에서의 오프라인 광고는 대중 공간의 대중들이 단순히 광고의 대상이 될 뿐이어서, 대중들은 단지 그것을 스쳐 지나갈 뿐이지만, 본 발명의 광고 전자 매체는 대중 공간의 대중들이 매체로 접근하여 주체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광고 전자 매체와 대중 공간의 대중들은 상호 반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광고 매체(100)에는 카메라와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고 효과 레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어떤 광고 정보가 전자 광고 매체의 대형 화면을 통해 표시될 때, 그 카메라는 전자 광고 매체(100)의 전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 사용자 정보 분석 프로세스는, 상기 광고 정보가 표시될 때의 광고 매체 앞의 이동 인원과 전자 광고 매체의 사용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별, 대략적인 추정 연령 등에 대한 데이터를 안면 인식 모듈을 통해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자 서버(200)에 전송하여 광고 효과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200)는 이와 같이 피드백 되는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체의 광고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광고주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온라인의 광고 효과는 클릭 회수 등을 연산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대중 공간에서는 그와 같은 광고 효과 측정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대중 공간에서의 광고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9> 전자 광고 매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 광고 매체(100)는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중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된다. 또한, 소정의 결제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 전자 광고 매체(100)는 신용카드, 교통카드, T-MONEY 카드, 스마트 카드, 휴대폰 결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모듈은 결제 처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된다.
또한, 전자 광고 매체(100)는 대중 공간에 위치하는 임의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매체와 사용자의 단말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전자 매체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로의 다운로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의 방식은 다양한 표준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의 USB 포트일 수 있다. USB 포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과 전자 광고 매체(10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USB 커넥터가 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광고 매체(100)에 USB 커넥터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포트를 이용하여, 전자 광고 매체(100) 하우징 내의 컴퓨터의 USB 포트를 통해 4V의 직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15)

  1. 물리적으로 이격된 N(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셀을 통신 네트워크로 구축한 광역 네트워크 내에서, 벽, 기둥, 통로 및 사람이 지나가거나 기다리는 임의의 지점 중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선택되는, 상기 셀 내의 물리적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로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컴퓨팅 되지 않는 제 1 광고 영역;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컴퓨팅 되는 제 2 광고 영역;및
    상기 광고 영역들과 독립된 영역으로 분할된 VoIP 공중 전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광고 영역과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하우징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결제부;
    각 전기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상기 제 2 광고 영역은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 중 어느 1개가 터치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a) 상기 전자 광고 매체가 위치한 곳의 맵 정보;
    (b) 영화, 연극, 공연, 스포츠 티켓 예약 정보;
    (c) 인터넷 웹 페이지;
    (d) 교통 관련 정보;
    (e) 모바일 컨텐츠;
    (f) 사진 촬영;
    (g) 리서치; 및
    (h) 여론조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상기 제 2 광고 영역과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너비 방향으로 좌우로 독립되어 분할됨으로써, 상기 제 2 광고 영역의 시야 각도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는 두 대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며,
    제 1 컴퓨터는 상기 제 2 광고 영역의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제 2 컴퓨터는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의 디스플레이와 VoIP 전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의 상기 VoIP 공중 전화 영역은 독립된 2개 이상의 분할된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마다 독립된 송수화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자 광고 매체에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광고 매체 앞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포토 데이터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①화상 전화, ②사진 촬영 이벤트, ③광고 표시 중 사용자 정보 분석 프로세스, ④CCTV 촬영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②사진 촬영 이벤트로 선택되는 경우,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매체-메일 전송, 매체-폰 전송, 매체-저장매체 전송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제 2 광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a) 전자 광고 매체가 위치한 곳의 맵 정보인 경우,
    상기 맵 정보에는 1개 이상의 쿠폰 개소가 표출되며,
    표출된 쿠폰 개소가 선택되고 사용자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번호의 휴대폰으로 선택된 쿠폰 개소에 대응하는 모바일 쿠폰이 SMS 또는 MMS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신용카드, 교통카드, 스마트 카드, 휴대폰 결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광고 매체는 대중 공간에 위치하는 임의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 모바일 단말로의 저장 또는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충전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50261A 2010-05-28 2010-05-28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KR10099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261A KR100999941B1 (ko) 2010-05-28 2010-05-28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261A KR100999941B1 (ko) 2010-05-28 2010-05-28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446A Division KR100994968B1 (ko) 2009-11-25 2009-11-25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941B1 true KR100999941B1 (ko) 2010-12-09

Family

ID=4351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261A KR100999941B1 (ko) 2010-05-28 2010-05-28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9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3551A (ja) * 2000-01-20 2001-10-05 Norio Watanabe 自動販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3551A (ja) * 2000-01-20 2001-10-05 Norio Watanabe 自動販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es et al. Using bluetooth device names to support interaction in smart environments
US8799220B2 (en)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interaction, and monitoring system
US20160162950A1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stor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172557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EP2860683A1 (en) User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system comprising same, and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thereof
CN108074129B (zh) 数字标牌及其控制方法
JP2009506451A (ja) ユビキタス音楽及び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2005250A1 (fr) Systeme d&#39;affichage electronique
CN204810294U (zh) 基于微信平台的多功能智能媒体终端
US20110222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ublic Interactive Information Network
US8743753B2 (en) Digital signage system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A3072074A1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med products for dynamically tracking delivery and performance of digital advertisements in electronic digital displays
US20090319625A1 (en) Interactivity in a digital public signage network architecture
KR100999939B1 (ko)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KR100994968B1 (ko)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Taniguchi Content scheduling and adaptation for networked and context-aware digital signage: A literature survey
CN204808782U (zh) 一种多功能候车室广告机
KR20140099167A (ko) 객체 표시 방법, 객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999941B1 (ko)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KR20140025091A (ko) 무인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0191A (ko) 광고 제공 방법
KR20110056204A (ko) Ip 텔레포니가 구축된 대중 공간에서의 종합 광고 시스템
Kaasinen et al. Mobile advertising model in N-Screen environment for CSCW
KR101448198B1 (ko) 개인 점포를 이용한 수익 창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