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941B1 -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941B1
KR100998941B1 KR1020100068805A KR20100068805A KR100998941B1 KR 100998941 B1 KR100998941 B1 KR 100998941B1 KR 1020100068805 A KR1020100068805 A KR 1020100068805A KR 20100068805 A KR20100068805 A KR 20100068805A KR 100998941 B1 KR100998941 B1 KR 100998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ntilever
information
detect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현욱
Original Assignee
필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컴퍼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선을 설치하는 업자가 통신선로 설치시 반드시 작업에 필요한 작업의 요소 부분인 전주 또는 통신 단자함 주위에 주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조가선에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또는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 설치 감시센서를 설치하여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감지한 시간과 상태의 정보와 주제어장치에서 감지한 모션센서 또는 TIR 센서의 신호 및 카메라로 촬영한 JPEG 영상신호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불법 설치자에 의한 작업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각종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업무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무분별한 통신선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설치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통신 방식을 무선을 이용하고, 1차 전지를 사용하여 전기공사 없이 조가선의 흔들림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가속도, 충격감지)를 조가선의 흔들림 감지가 가능한 위치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설치하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주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인 평균거리 200m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통신설치시에 꼭 지나는 지점인 전주, 통신단자함 주위에 주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주제어장치에 모션센서와 TIR 센서 또는 정지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불법 설치자가 전주에 승주한 경우 또는 단자함이 설치된 곳에 주제어장치에서 방사선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주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촬영된 사진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어 현장에서 공가설비 선로 순시원의 공가설비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소비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메인 시피유(main cpu)는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할 수 있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RTC(Real Time Clock)를 두어 진동이 발생한 시점을 부가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진 최초의 방향과 시점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of servicing of an equipment of communication using smart sensor}
본 발명은 통신선을 설치하는 업자가 통신선로 설치시 반드시 작업에 필요한 작업의 요소 부분인 전주 또는 통신 단자함 주위에 주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조가선에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또는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 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 설치 감시센서를 설치하여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감지한 시간과 상태의 정보와 주제어장치에서 감지한 모션센서 또는 TIR 센서의 신호 및 카메라로 촬영한 JPEG 영상신호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불법 설치자에 의한 작업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각종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업무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무분별한 통신선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설치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통신 방식을 무선을 이용하고, 1차 전지를 사용하여 전기공사 없이 조가선의 흔들림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가속도, 충격감지)를 조가선의 흔들림 감지가 가능한 위치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설치하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주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인 평균거리 200m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통신설치시에 꼭 지나는 지점인 전주, 통신단자함 주위에 주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주제어장치에 모션센서와 TIR 센서 또는 정지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불법 설치자가 전주에 승주한 경우 또는 단자함이 설치된 곳에 주제어장치에서 방사선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주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촬영된 사진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어 현장에서 공가설비 선로 순시원의 공가설비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소비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메인 시피유(main cpu)는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할 수 있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RTC(Real Time Clock)를 두어 진동이 발생한 시점을 부가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진 최초의 방향과 시점을 알 수 있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현재 한국전력공사에서 설치한 전주는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뿐만 아니라 인터넷, 케이블 방송 등을 위한 통신선도 함께 설치되어 있다. 한국전력공사에서 사용하는 전주의 대부분에 전력선과 통신선이 함께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주의 역할이 전기공급선 뿐만 아니라, 통신사업자의 통신선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주를 다수의 사업자가 공동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주의 주변에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전주의 하중 및 통신선로로 인하여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전력공사의 허가 없이 전주에 통신선을 무단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안전과 미관을 이유로 규정상 전주 1기에 설치할 수 있는 통신선의 수를 6조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통신사업자의 증가에 따라서 한국전력공사의 승인 없이 무분별하게 통신선을 설치는 이른바 무단으로 통신선을 설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경우는 단순히 진동센서만을 사용하여 전주의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설치하고 진동센서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주의 2 내지 3m이내에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전주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시스템의 경우 진동센서 외에는 기타 별다른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바람의 영향에 의하여 통신선의 조가선 또는 통신선로가 흔들릴 경우에 오동작의 염려가 있다. 또한 센서의 위치가 전주를 중심으로 2 내지 3m 이내로 제한됨으로 인하여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거리의 제한 문제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진동센서의 움직임만 있으면 상위단에 통보하도록 하는 기능만 보유하고 있으므로 오동작의 경우에 현장에서만 파악이 가능하므로 환경에 의한 오동작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불법 설치자에 의한 작업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각종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업무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무분별한 통신선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방사성 모양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제어장치에서 감시가 가능하고, 불법 설치자가 전주에 승주한 경우에 주제어장치에서 방사선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주 또는 단자함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촬영된 사진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어 현장에서 공가설비 선로 순시원의 공가설비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현장에서 불법통신선을 가설을 적발하여 조치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소비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메인 시피유(main cpu)는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할 수 있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RTC(Real Time Clock)를 두어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감지가 발생한 시점을 부가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이 이루어진 최초의 방향과 시점을 알 수 있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통신선을 설치하는 업자가 통신선로 설치시 반드시 작업에 필요한 작업의 요소 부분인 전주 또는 통신 단자함 주위에 주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조가선에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또는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설치하여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감지한 시간과 상태의 정보와 주제어장치에서 감지한 모션센서 또는 TIR 센서의 신호 및 카메라로 촬영한 JPEG 영상신호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불법 설치자에 의한 작업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각종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업무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무분별한 통신선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통신 방식을 무선을 이용하고, 1차 전지를 사용하여 전기공사 없이 조가선의 흔들림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가속도, 충격감지)를 조가선의 흔들림 감지가 가능한 위치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설치하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주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인 평균거리 200m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방사성 모양 또는 전주 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제어장치에서 감시가 가능한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주제어장치에 모션센서와 TIR 센서 또는 정지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불법 설치자가 전주에 승주한 경우 또는 단자함이 설치된 곳에 주제어장치에서 방사선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주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촬영된 사진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어 현장에서 공가설비 선로 순시원의 공가설비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메인 시피유(main cpu)는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할 수 있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RTC(Real Time Clock)를 두어 진동이 발생한 시점을 부가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진 최초의 방향과 시점을 알 수 있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흔들림,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상기 흔들림이 감지된 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하는 RTC와, 상기 흔들림과 시간 정보를 주제어장치에 근거리 무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모듈부와, 클럭을 발생하는 발진부와, 상기 전원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RTC, 무선모듈부 및 발진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 제어부로 구성되어, 조가선의 중심부에 부착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을 감지한 흔들림정보와, 시간정보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주제어장치로 무선모듈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과; 주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시간,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전송받는 근거리 무선모듈과, 적외선 감지를 통하여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와,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TIR 센서와, 상기 모션센서가 동작하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정지영상 JPEG 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영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클럭을 발생하는 발진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모듈, 모션센서, TIR 센서, 카메라, 메모리부, 발진부 및 상위단 연결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기간 간선망과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모션센서를 통해 적외선 감지에 의해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한 움직임정보와, TIR 센서를 통해 온도변화를 감지한 온도변화정보와, 카메라에 의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취득한 정지영상정보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주제어장치와;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무선으로 FEP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상위단 연결시스템과;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기능과, 상기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FEP 서버와; 상기 FEP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관리하여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갖는 웹서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서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흔들림,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는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전주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진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주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는 평균거리 200m 이상이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주제어 장치가 설치된 전주를 중심으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방사성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모양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제어장치에서 감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에서 현장선로 순시원에게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PC 또는 PDA의 기기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으므로 로컬(Local)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은 기간망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FEP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CDMA 망, PLC 원격검침용 AMI 망, DAS, IOTS, FRTU를 이용할 수가 있어, 기존의 망과 복합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통신선을 설치하는 업자가 통신선로 설치시 반드시 작업에 필요한 작업의 요소 부분인 전주 또는 통신 단자함 주위에 주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조가선에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또는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 설치 감시센서를 설치하여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감지한 시간과 상태의 정보와 주제어장치에서 감지한 모션센서 또는 TIR 센서의 신호 및 카메라로 촬영한 JPEG 영상신호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불법 설치자에 의한 작업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각종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업무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무분별한 통신선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설치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통신 방식을 무선을 이용하고, 1차 전지를 사용하여 전기공사 없이 조가선의 흔들림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가속도, 충격감지)를 조가선의 흔들림 감지가 가능한 위치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가 내장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설치하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주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인 평균거리 200m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방사성 모양 또는 전주 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제어장치에서 감시가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주제어장치에 모션센서와 TIR 센서 또는 정지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불법 설치자가 전주에 승주한 경우 또는 단자함이 설치된 곳에 주제어장치에서 방사선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으로 설치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주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촬영된 사진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어 현장에서 공가설비 선로 순시원의 공가설비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본 발명은 소비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메인 시피유(main cpu)는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RTC(Real Time Clock)를 두어 진동이 발생한 시점을 부가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진 최초의 방향과 시점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주제어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상위단 연결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주제어장치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이 전주에 설치되는 형상과, 통신함 단자에 주제어장치가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에서 공가 설비 통신선의 위치가 나타나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조가선에 연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주제어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감지센서 열림감지의 부분이 나타나있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부분이 나타나있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면 타입의 압력센서의 부분이 나타나있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주제어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상위단 연결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 주제어장치(200), 상위단 연결시스템(300), FEP 서버(400), 웹서버(50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은 조가선의 중심부에 부착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을 감지한 흔들림정보와, 시간정보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주제어장치로 무선모듈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과;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모션센서를 통해 적외선 감지에 의해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한 움직임정보와, TIR 센서를 통해 온도변화를 감지한 온도변화정보와, 카메라에 의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취득한 정지영상정보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주제어장치(200)와;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무선으로 FEP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상위단 연결시스템(300)과;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기능과, 상기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FEP 서버(400)와; 상기 FEP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관리하여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갖는 웹서버(500); 로 구성된다.
상기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은 조가선의 중심부에 부착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을 감지한 흔들림정보와, 시간정보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주제어장치로 무선모듈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5)와,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흔들림, 감시센서 열림 감지(109),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110)의 봉인파손, 면타입의 압력센서(107)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108)의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와, 상기 흔들림이 감지된 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하는 RTC(Real Time Clock)(101)와, 상기 흔들림과 시간 정보를 주제어장치에 근거리 무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모듈부(104)와, 클럭을 발생하는 발진부(106)와, 상기 전원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RTC, 무선모듈부 및 발진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에서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흔들림,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는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전주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진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RTC(Real Time Clock)(101)를 이용한 시간의 동기는 주제어장치(200) 또는 PDA 설정장치를 가지고 중요한 변수인 감도와 발생 개수 및 시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반도체 타입의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에서 설정된 값의 이상으로 신호가 발생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메인 시피유(MAIN CPU)에 발생하여 진동을 감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정보의 전송 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재시도 기능을 추가하여 정확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주제어장치(200)는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모션센서를 통해 적외선 감지에 의해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한 움직임정보와, TIR 센서를 통해 온도변화를 감지한 온도변화정보와, 카메라에 의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취득한 정지영상정보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불법으로 통신망을 가설하는 작업자를 감시하여 공가감시 선로 순시원에게 위치를 통보하여 설치시에 적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들의 오동작에 의하여 부정확한 정보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에 통보할 수 있어 이 에 대한 보완용으로 전주의 상태를 영상으로 감시하여 전주에 승주한 작업자의 상태를 완벽하게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와 주제어장치(200)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는 평균거리 200m 이상이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주제어장치(200)가 설치된 전주를 중심으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가 방사성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제어장치(200)에서 감시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200)는 주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208)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시간,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전송받는 근거리 무선모듈(203)과, 적외선 감지를 통하여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201)와,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TIR(thermal infrared) 센서(202)와, 상기 모션센서가 동작하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정지영상 JPEG 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204)와, 영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205)와, 클럭을 발생하는 발진부(207)와, 상기 근거리 무선모듈, 모션센서, TIR 센서, 카메라, 메모리부, 발진부 및 상위단 연결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기간 간선망 또는 PLC/Binary CDMA(212), CDMA 모듈(211), FRTU(210), HFC 망, OPGW(209)와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 제어부(206)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어장치(200)에서 현장선로 순시원에게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PC 또는 PDA의 기기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으므로 상위단 연결시스템(300)을 통하지 않고 로컬(Local)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주제어장치(200)는 저압 트랜스퍼머(SMPS)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AC를 DC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 전원장치로 +12V, 5V -12V의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위단 연결시스템과 통신하는데 기존의 간선망(CDMA, HFC, D-TRS)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가선의 중심부 또는 통신 가설시 반드시 지나는 중요한 지점에 무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를 가설되어 있어, 주제어장치(200)에서는 작업자의 작업 상태를 무선으로 감시하여 어느 방향에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상위단 연결시스템(300)에 통보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들의 감도 등을 근거리 무선에 의하여 세팅이 가능하며, 상위단 연결시스템에서 각 센서들의 세팅이 가능하도록 설계함과 동시에 무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그리고 모션센서, TIR 센서의 동작 또는 영상정보에 의하여 감지의 상태를 개별 또는 동시에 발생한 이벤트를 데이터로 하여 동작을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300)은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무선으로 FEP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300)은 기간망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FEP(Front End Processor)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CDMA 망, PLC 원격검침용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 망,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초고속 데이터 처리장치(IOTS),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를 이용할 수가 있어, 기존의 망과 복합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한국전력공사가 사용 중인 기존의 배전자동화 망 그리고 PLC 원격검침용 AMI 망에 연동하여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FEP 서버(400)는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기능과, 상기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웹서버(500)는 상기 FEP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관리하여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주제어장치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이 전주에 설치되는 형상과, 통신함 단자에 주제어장치가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주에서 공가 설비 통신선의 위치가 나타나있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700)의 주위에 변압기와 조가선이 설치되며, 상기 변압기 하단과 조가선(600)에 주제어장치(200)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를 설치하여 전주(700)에 설치된 주제어장치(200)에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로부터 감지한 시간과 상태의 정보와 주제어장치에서 감지한 모션센서(201) 또는 TIR 센서(202)의 신호 및 카메라(204)로 촬영한 JPEG 영상신호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자가 불법 설치자에 의한 작업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인지를 판단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각종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업무의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무분별한 통신선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조가선에 연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가선(600)에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hole)을 끼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를 조가선(600)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주제어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공가(共架)설비설치감시센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감지센서 열림감지의 부분이 나타나있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부분이 나타나있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 중 압력센서의 부분이 나타나있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주제어장치(200)가 초기화되면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와, 모션센서(201)와, TIR 센서(202) 및 카메라(204)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체크하게 된다. 이후에 만일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로부터 진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의 정보의 위치와 횟수를 저장하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로부터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모션센서(201) 또는 TIR 센서(202)의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모션센서 또는 TIR 센서의 동작을 감지하지 않으면, 다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로부터 진동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어서, 모션센서(201) 또는 TIR 센서(202)의 동작을 감지한 후 카메라(204)를 동작시켜 정지영상의 JPEG를 촬영한 다음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와 모션센서(201) 및 TIR 센서(202)의 데이터와, 카메라(204)로 촬영한 정지영상의 JPEG 화면을 상위단 연결시스템(300)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9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100)이 초기화되면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체크하게 된다. 이후에 만일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로부터 진동이 감지되면, 메인 시피유(Main CPU)를 동작시켜 데이터를 취득하고,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102)로부터 진동이 감지되지 않고, 면타입의 압력센서(107),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108), 감시센서 열림감지(109),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110)의 감지가 없는 경우에 시피유(CPU)가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된다. 이어서, 메인 시피유(Main CPU)에서 데이터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정보를 주제어장치(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의 응용범위는 송전, 배전과 관련된 분야는 물론 발전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 101 : RTC
102 :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103 : CPU 제어부
104 : 무선모듈부 105 : 전원부
106 : 발진부 107 : 면타입의 압력센서
108 :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109 : 감시센서 열림감지
110 :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200 : 주제어장치
201 : 모션센서 202 : TIR 센서
203 : 근거리 무선모듈 204 : 카메라
205 : 메모리부 206 : CPU 제어부
207 : 발진부 208 : SMPS
209 : HFC 망, OPGW 210 : FRTU
211 : CDMA 모듈 212 “ PLC/Binary CDMA
300 : 상위단 연결시스템 301 : CDMA 망
302 : AMI DCU 303 : DAS
304 : IOTS 305 : FRTU
400 : FEP 서버 500 : 웹서버
600 : 조가선 700 : 전주

Claims (7)

  1.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흔들림,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상기 흔들림이 감지된 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하는 RTC와, 상기 흔들림과 시간 정보를 주제어장치에 근거리 무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모듈부와, 클럭을 발생하는 발진부와, 상기 전원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RTC, 무선모듈부 및 발진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 제어부로 구성되어, 조가선의 중심부에 부착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을 감지한 흔들림정보와, 시간정보와, 통신선로부에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 면 타입의 압력센서,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주제어장치로 무선모듈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과;
    주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와,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시간,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전송받는 근거리 무선모듈과, 적외선 감지를 통하여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와,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TIR 센서와, 상기 모션센서가 동작하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정지영상 JPEG 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영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클럭을 발생하는 발진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모듈, 모션센서, TIR 센서, 카메라, 메모리부, 발진부 및 상위단 연결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기간 간선망과 연결되어 있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의 흔들림,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의 정보와, 시간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모션센서를 통해 적외선 감지에 의해 전주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감지한 움직임정보와, TIR 센서를 통해 온도변화를 감지한 온도변화정보와, 카메라에 의해 전주가 있는 현장의 상태를 촬영하여 취득한 정지영상정보를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주제어장치와;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무선으로 FEP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상위단 연결시스템과;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기능과, 상기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FEP 서버와;
    상기 FEP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흔들림 정보, 공가설비 봉인 풀림감지 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 열림감지센서 감지정보, 시간정보, 움직임정보, 온도변화정보 및 정지영상정보를 관리하여 전주가 있는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갖는 웹서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 감지시스템에서 조가선의 중심부에서의 흔들림, 감시센서 열림 감지, 공가설비 봉인 풀림 감지센서의 봉인파손, 압력센서의 접촉, 통신단자함 뚜껑열림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감지하는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는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전주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진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와 주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도달거리는 평균거리 200m 이상이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주제어 장치가 설치된 전주를 중심으로 공가설비설치감시센서가 방사성 또는 전주경간에 일직선모양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제어장치에서 감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에서 현장선로 순시원에게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PC 또는 PDA의 기기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으므로 로컬(Local)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단 연결시스템은 기간망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FEP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CDMA 망, PLC 원격검침용 AMI 망, DAS, IOTS, FRTU를 이용할 수가 있어, 기존의 망과 복합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KR1020100068805A 2010-07-16 2010-07-16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KR100998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05A KR100998941B1 (ko) 2010-07-16 2010-07-16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05A KR100998941B1 (ko) 2010-07-16 2010-07-16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941B1 true KR100998941B1 (ko) 2010-12-09

Family

ID=4351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805A KR100998941B1 (ko) 2010-07-16 2010-07-16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9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827B1 (ko) * 2013-01-11 2014-10-16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공가설비 관리장치
KR101536581B1 (ko) * 2013-12-09 2015-07-15 대한전선 주식회사 패턴분석을 이용한 공가선의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KR20150132761A (ko) * 2014-05-16 2015-11-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모션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선로 공가상태 감시 시스템
KR20210033350A (ko) * 2019-09-18 2021-03-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신주 복합 감시 시스템
KR20210101016A (ko) 2020-02-07 2021-08-18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이상 전류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dcu 함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736A (ja) 2005-06-27 2007-01-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無断共架感知システム
JP2008052615A (ja) 2006-08-28 2008-03-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共架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736A (ja) 2005-06-27 2007-01-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無断共架感知システム
JP2008052615A (ja) 2006-08-28 2008-03-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共架管理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827B1 (ko) * 2013-01-11 2014-10-16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공가설비 관리장치
KR101536581B1 (ko) * 2013-12-09 2015-07-15 대한전선 주식회사 패턴분석을 이용한 공가선의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KR20150132761A (ko) * 2014-05-16 2015-11-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모션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선로 공가상태 감시 시스템
KR101639712B1 (ko) * 2014-05-16 2016-07-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모션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선로 공가상태 감시 시스템
KR20210033350A (ko) * 2019-09-18 2021-03-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신주 복합 감시 시스템
KR102315186B1 (ko) * 2019-09-18 2021-10-20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신주 복합 감시 시스템
KR20210101016A (ko) 2020-02-07 2021-08-18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이상 전류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dcu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941B1 (ko)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공가설비 감시 및 관리시스템
CN106023491B (zh) 一种智能变压器防盗装置
KR101691559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인프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87437B1 (ko) 자동제어반 스마트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CN109816923A (zh) 低功耗感烟探测装置及基于其的火灾监控系统
CN203706346U (zh) 一种远程监控报警装置
CN10765770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无线安防系统
WO2014142486A1 (ko) 태양전지모듈용 정션박스 및 그의 구동방법
CN109142904A (zh) 一种特高压直流输电换流阀故障监测方法及装置
CN108375962A (zh) 海上升压站巡控系统
CN107357173A (zh) 一种基于云控制的家用电器监控系统
CN105785090A (zh) 防窃电智能视频取证系统及防窃电终端图像采集方法
KR101055658B1 (ko) 공가설비 감시장치
CN210155232U (zh) 配电网监测设备及系统
CN103913674A (zh) 一种电力电缆防盗检测方法
CN206097256U (zh) 一种居民小区的智能化管理和便民系统
CN205540176U (zh) 一种通信塔远程监控系统
KR20130130452A (ko) 공가설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공가설비 관리 방법
CN207835504U (zh) 一种基于窄带物联网的信息监控系统
KR20130057696A (ko)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KR101038254B1 (ko) 전력선의 유도전류를 이용한 충전기능이 구비된 전력설비 상태감시용 유,무선통신시스템
CN203799252U (zh) 城市交通设备安全监控装置
CN2921983Y (zh) 一种远程高低压监控抄表装置
CN11031988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电表箱感知监控装置
CN109685951A (zh) 一种光纤通信道闸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