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190B1 -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190B1
KR100998190B1 KR1020050114782A KR20050114782A KR100998190B1 KR 100998190 B1 KR100998190 B1 KR 100998190B1 KR 1020050114782 A KR1020050114782 A KR 1020050114782A KR 20050114782 A KR20050114782 A KR 20050114782A KR 100998190 B1 KR100998190 B1 KR 10099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signal
effective level
baseband signal
bas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303A (ko
Inventor
남승현
천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1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계 장치의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덧셈기로 제공하는 기저대역 변환부,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를 역변환하여 상기 다른 중계 장치의 기저대역 신호를 구하여 상기 덧셈기로 제공하는 유효레벨 역변환부, 상기 기저대역 변환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다른 중계 장치의 기저대역 신호를 더하여 유효레벨 변환부로 제공하는 상기 덧셈기 및, 상기 덧셈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변환하는 유효레벨 변환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50114782
중계기, 업링크, 상향신호, 유효신호, 유효레벨신호, 수신레벨신호

Description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I/Q SIGNAL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중계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변환부의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변환부의 지수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역변환부의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역변환부의 지수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 신호 중계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시에 기저대역 신호를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유효레벨 변환하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의 처리 능력은 기지국이 위치한 주변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여분의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업자는 여분의 처리 능력을 활용하고 전파 환경이 좋지 못한 영역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써 기지국 사용 효율을 극대화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에서 수집된 신호는 모뎀에서 처리하기 알맞은 동작범위(dynamic range)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그러나, 기지국 수신 안테나 뿐 아니라 중계기의 수신 안테나에서 수집된 신호를 모두 결합하게 되면 결합된 신호는 매우 넓은 동작범위를 갖게 된다. 기존 중계기를 사용하는 경우, 중계기 수신 신호의 동작범위를 조정하지 않고 중간대역 아날로그 신호의 상태에서 광선로를 통해 전송하게 하고, 기지국에서는 각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중간대역에서 결합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동작범위에 대한 별다른 문제 없이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중간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신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대역폭을 차지하고, 광선로를 사용하기 위한 변환 및 전송 손실에 의하여 처리 용량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모든 중계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점유 대역폭이 가장 작은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광선로 임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득을 얻게 된다.
그러면 다단으로 연결하는 일반적인 중계기를 아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계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중계기는 광/전 변환부(100, 102), 상하향 변복조부(104), 중간대역 신호처리부(106),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 덧셈기(110) 및, 안테나(1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광/전 변환부(100)는 광/전 변환부(10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광신호로 변환하여 다단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전송하고 다단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전변환하여 덧셈기(110)로 제공한다.
광/전 변환부(102)는 다른 중계기 또는 모 기지국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전기변환하여 전기신호로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과 광/전 변환부(100)에 제공하고, 덧셈기(110)로부터 제공받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중계기 또는 모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는 광/전 변환부(102)로부터 제공받는 전기신호를 중간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중간 대역 신호처리부(106)로 제공하고, 중간 대역 신호처리부(106)로부터 수신한 중간대역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덧셈기(110)로 제공한다.
덧셈기(110)는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중계기의 수신신호인 기저대역 신호와 광/전 변환부(100)로부터 제공받은 다단 연결된 다른 중계기의 수신신호를 더하여 광/전 변환부(102)로 제공한다.
상하향 변복조기(104)는 중간대역 신호처리부(106)를 통해 아날로그로 변환한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로부터 제공받은 중간대역 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112)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112)로부터 수신한 RF신호를 중간대역 신호로 복조하여 중간대역 신호처리부(106)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하여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로 제공한다.
이렇게, 중계기에서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되는 수신신호는 기지국 모뎀의 수신단에 입력되는 신호의 동작범위(dynamic rang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넓은 동작범위를 갖는다. 특히, 광선로 사용률을 줄이기 위하여 중계기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잡음 지수 및 수신 환경이 다른 중계기가 여러 개 직렬로 연결되므로, 상대적으로 더 큰 동작범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수신신호를 기지국 모뎀 수신단에 각각의 중계기의 동작범위에 대한 정보를 훼손하지 않고 반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중계기가 갖는 동작범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큰 동작범위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중계기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정보량을 최소로 훼손하면서도 낮은 수의 정보량으로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시에 기저대역 신호를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유효레벨 변환하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규화 또는 지수값을 이용한 유효레벨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유효레벨 역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의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덧셈기로 제공하는 기저대역 변환부,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를 역변환하여 상기 다른 중계 장치의 기저대역 신호를 구하여 상기 덧셈기로 제공하는 유효레벨 역변환부, 상기 기저대역 변환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다른 중계 장치의 기저대역 신호를 더하여 유효레벨 변환부로 제공하는 상기 덧셈기 및, 상기 덧셈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변환하는 유효레벨 변환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 크 전송하는 중계 방법에 있어서, 중계 장치의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다른 중계 장치의 업링크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이 없으면,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유효레벨 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유효레별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유효레벨 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광변환하여 다른 중계 장치 또는 모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디지털 I/Q 신호의 업링크시 동작범위(dynamic range)가 넓은 수신 신호에서 실제로 복조를 위해 필요한 신호 범위인 유효 신호 범위를 추출하여 동작범위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2 내지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광/전 변환부(100, 102), 상하향 변복조부(104), 중간대역 신호처리부(106), 중간대역/기저대역 변환부(108), 덧셈기(110), 안테나(112), 유효레벨 변환부(200) 및, 유효레벨 역변환부(20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은 유효레벨 변환부(200) 및, 유효레벨 역변환부(202)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기 도 1의 기존의 일반적인 중계기와 동일함으로 유효레벨 변환부(200) 및, 유효레벨 역변환부(202)를 제외한 다른 구성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효레벨 변환부(200)는 덧셈기(110)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에서 복조를 위해 필요한 유효 레벨의 신호와 중계기의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광/전변화부(102)로 제공한다. 상기 유효레벨 변환부(200)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유효레벨 역변환부(202)는 다단으로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부터 업링크시 광/전 변환부(100)를 통해 수신하는 다른 중계기의 유효레벨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I/Q 신호를 원래 신호로 역변환하는 장치로 중계기의 다단 연결시 수신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가중치 곱을 포함한다. 유효레벨 역변환부(202)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효레벨 변환부(200)와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202)의 변환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그 실시 예로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각각에 대해 정규화를 이용한 방법과 지수를 이용한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면 복조를 위해 필요한 유효 레벨의 신호와 중계기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유효레벨 변환부(200)의 변환 방법을 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변환부의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유효레벨 변환부는 300단계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평균 수신전력으로 나누어 정규화하고, 3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4단계에서 정규화한 기저대역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서 상기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M bit)로 양자화 하고, 308단계로 진행하여 유효레벨 신호인 유효레벨의 비트수로 표현한 실수값 및 허수값과 수신 신호레벨인 평균 수신전력을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변환부의 지수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유효레벨 변환부는 400단계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면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류하여 절대값을 구하고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신레벨 신호인 지수값(e)을 측정하고, 406단계로 진행하 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2-e을 곱하는 배럴 쉬프트하고, 4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배럴 쉬프트한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서 마지막 비트부터 상기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M bit)만큼을 추출하여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 및 허수값을 구하고, 4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04단계에서 측정한 수신레벨신호와 상기 408단계에서 추출한 유효레벨신호를 출력한다.
Figure 112005069434926-pat00001
(단 e가 0보다 작으면, e = 0이다.)
여기서, e는 유효레벨 신호인 지수값이고, INT()는 정수값을 구하는 함수이고, L은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와 허수 각각의 절대값 중에서 큰 값이고, M은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이다.
그러면 복조를 위해 필요한 유효 레벨의 신호와 중계기 수신 신호 레벨을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는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202)의 역변환 방법을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역변환부의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는 500단계에서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면, 50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레벨신호인 평균수신전력의 제곱근을 측정하고, 504 단계로 진행하여 유효레벨신호에 제곱근을 곱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다른 중계 장치로 부터 수신한 수신신호가 전체 수신 신호 중 차지하는 비중을 제어하기 위한 미리 정한 가중치를 곱하고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유효레벨 역변환부의 지수를 이용한 변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는 600단계에서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면, 602단계로 진행하여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과 허수값 각각에 다른 중계 장치로 부터 수신한 수신신호가 전체 수신 신호 중 차지하는 비중을 제어하기 위한 미리 정한 가중치를 곱하고, 604단계로 진행하여 가중치를 곱한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과 허수값 각각에 2e을 곱하는 배럴 쉬프트를 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구하고, 6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 신호 중계 방법을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의 업링크 신호 중계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중계 장치는 700단계에서 RF신호를 수신하면 702단계로 진행하여 중간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704단계로 진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706단계로 진행하여 다단(Cascade)으로 연결된 다른 중계 장치로부터 업링크(Uplink)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706단계의 검사결과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7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06단계에서 수신한 다른 중계장치의 업링크 신호에 대한 유효레벨 역변환을 수행하고, 7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04단계의 상기 중계 장치의 수신인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역변환한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합하고, 7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10단계에서 합한 기저대역 신호에서 유효레벨 변환을 하여 복조를 위해 필요한 유효 레벨의 신호와 중계기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714단계로 진행하여 광변환하고 716단계로 진행하여 다단(Cascade)으로 연결된 상위의 다른 중계 장치 또는 모 기지국으로 상기 714단계에서 광변환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706단계의 검사결과 업링크 신호의 수신이 없으면, 7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04단계에서 변환한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유효레벨 변환하여 복조를 위해 필요한 유효 레벨의 신호와 중계기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714단계로 진행하여 광변환하고 716단계로 진행하여 다단(Cascade)으로 연결된 상위의 다른 중계 장치 또는 모 기지국으로 상기 714단계에서 광변환한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시에 기저대역 신호를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유효레벨 변환하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계 장치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정보량을 낮은 수의 정보량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Claims (19)

  1.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의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덧셈기로 제공하는 기저대역 변환부;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를 역변환하여 상기 다른 중계 장치의 기저대역 신호를 구하여 상기 덧셈기로 제공하는 유효레벨 역변환부;
    상기 기저대역 변환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다른 중계 장치의 기저대역 신호를 더하여 유효레벨 변환부로 제공하는 상기 덧셈기; 및
    상기 덧셈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유효레벨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변환하는 유효레벨 변환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레벨 변환부의 변환은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과 지수를 이용한 변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은,
    기저대역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평균 수신전력으로 나누어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한 기저대역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서 각각을 상기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의 크기로 양자화하여 상기 유효레벨신호인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과 허수값을 구하고,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신호레벨인 상기 평균 수신전력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를 이용한 변환은,
    기저대역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류하여 절대값을 구하고 아래 <수학식 2>을 이용하여 수신레벨 신호인 지수값(e)을 측정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2-e을 곱하는 배럴 쉬프트하고, 상기 배럴 쉬프트한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서 마지막 비트부터 상기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 수만큼을 추출하여 상기 유효레벨신호인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 및 허수값을 구하고,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출력함을 특징 으로 하는 장치.
    Figure 112005069434926-pat00002
    (단 e가 0보다 작으면, e = 0이다.)
    여기서, e는 유효레벨 신호인 지수값이고, INT()는 정수값을 구하는 함수이고, L은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와 허수 각각의 절대값 중에서 큰 값이고, M은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부의 역변환은 상기 다른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변화하는 장치로 정규화를 이용한 역변환과 지수를 이용한 역변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레벨신호인 평균수신전력의 제곱근을 측정하고, 상기 유효레벨신호에 제곱근을 곱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변환한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 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에 제곱근을 곱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변환한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역변환한 기저대역 신호에 미리 정한 가중치를 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레벨신호인 지수값(e)을 이용하여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과 허수값 각각에 2e을 곱하는 배럴 쉬프트를 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럴 쉬프트 하기전에,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상기 실수값과 상기 허수값에 미리 정한 가중치를 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디지털 I/Q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방법에 있어서,
    중계 장치의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다른 중계 장치의 업링크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이 없으면,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유효레벨 신호와 수신레벨신호로 유효레별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유효레벨 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광변환하여 다른 중계 장치 또는 모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상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유효레벨 역변환하는 과정;
    상기 역변환 업링크 신호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더하는 과정;
    상기 역변환 업링크 신호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더하여 생성한 신호를 상기 유효레벨 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로 상기 유효레별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유효레벨 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광변환하여 다른 중계 장치 또는 모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레벨 변환은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로 변화하는 장치로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과 지수를 이용한 변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를 이용한 변환은,
    기저대역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평균 수신전력으로 나누어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한 기저대역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서 각각을 상기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의 크기로 양자화하여 상기 유효레벨신호인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과 허수값을 구하고,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신호레벨인 상기 평균 수신전력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를 이용한 변환은,
    기저대역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류하여 절대값을 구하고 아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신레벨 신호인 지수값(e)을 측정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2-e을 곱하는 배럴 쉬프트하고, 상기 배럴 쉬프트한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서 마지막 비트부터 상기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 수만큼을 추출하여 상기 유효레벨신호인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 및 허수값을 구하고,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5069434926-pat00003
    (단 e가 0보다 작으면, e = 0이다.)
    여기서, e는 유효레벨 신호인 지수값이고, INT()는 정수값을 구하는 함수이고, L은 기저대역 신호의 실수와 허수 각각의 절대값 중에서 큰 값이고, M은 중계장치의 미리 정한 유효레벨의 비트수이다.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레벨 역변환은 상기 다른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변화하는 장치로 정규화를 이용한 역변환과 지수를 이용한 역변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레벨신호인 평균수신전력의 제곱근을 측정하고, 상기 유효레벨신호에 제곱근을 곱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변환한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에 제곱근을 곱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변환한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역변환한 기저대역 신호에 미리 정한 가중치를 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레벨신호인 지수값(e)을 이용하여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실수값과 허수값 각각에 2e을 곱하는 배럴 쉬프트를 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를 이용한 역변환은,
    상기 유효레벨신호와 상기 수신레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럴 쉬프트 하기전에, 상기 유효레벨신호의 상기 실수값과 상기 허수값에 미리 정한 가중치를 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14782A 2005-11-29 2005-11-29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9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782A KR100998190B1 (ko) 2005-11-29 2005-11-29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782A KR100998190B1 (ko) 2005-11-29 2005-11-29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03A KR20070056303A (ko) 2007-06-04
KR100998190B1 true KR100998190B1 (ko) 2010-12-03

Family

ID=3835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782A KR100998190B1 (ko) 2005-11-29 2005-11-29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1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660A (ko) * 1998-12-26 2000-07-15 서평원 광중계 시스템의 이득제어방법
KR20010018675A (ko) * 1999-08-20 2001-03-15 조정남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660A (ko) * 1998-12-26 2000-07-15 서평원 광중계 시스템의 이득제어방법
KR20010018675A (ko) * 1999-08-20 2001-03-15 조정남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03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0045B2 (en) Base st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30076787A1 (en) Data transfer method
CN114499651A (zh) 信号传输方法、信号传输装置及电子设备
US20170331527A1 (en) Multistage combining sub-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3534959A (zh) 使用线性变换的回程通信的信号压缩
US9831894B2 (en) Data compression apparatus
US9979493B2 (en)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KR100998190B1 (ko) 디지털 아이/큐 신호를 업링크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009989B1 (ko) 부동소수점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압축 장치 및 그 방법
EP3285407B1 (en) Bas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306259B2 (ja) 情報圧縮装置、情報圧縮方法
CN110612672A (zh) 用于使用低位模数转换器进行数据检测的设备和方法
Li et al. Low bit rate digital radio over fibre system
KR101060586B1 (ko) 디지털 광 중계기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EP2039023A1 (en)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4270774A (zh) 基于微基站的通信的方法和通信系统
WO2013146626A1 (en) Improved cyclostationary detection based on estimating the roll-off factor of a transmit filter
WO2021250818A1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6170216B2 (ja) 基地局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100326307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복호기 입력단의 정규화 장치 및 방법
CN112821962B (zh) 一种水下无线通信系统
Silva et al. A New O-RAN Compression Approach for Improved Performance on Uplink Signals
KR101248583B1 (ko) 중계기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63097B2 (ja) 伝送システム、送信機、受信機及び伝送方法
JP3613276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