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051B1 - 화장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051B1
KR100998051B1 KR1020040034701A KR20040034701A KR100998051B1 KR 100998051 B1 KR100998051 B1 KR 100998051B1 KR 1020040034701 A KR1020040034701 A KR 1020040034701A KR 20040034701 A KR20040034701 A KR 20040034701A KR 100998051 B1 KR100998051 B1 KR 100998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compound
formula
weigh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055A (ko
Inventor
오주영
최수규
홍경우
구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3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05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합성계면활성제 비누가 갖는 장점인 우수한 보습력 및 저자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누의 성형 및 형타 작업성, 무름성, 기포도 및 감촉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35 내지 70 중량%, 알칼리지방산 비누 10 내지 40중량% 및 지방산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비누,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지방산 칼슘염, 전분

Description

화장비누 조성물{TOILET SOAP COMPOSITION}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계면활성제 비누가 갖는 장점인 우수한 보습력 및 저자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누의 성형 및 형타 작업성, 무름성, 기포도 및 감촉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비누는 유지 또는 유지를 분해하여 얻어지는 지방산을 알칼리로 비누화한 지방산계 비누와, 지방산계 비누를 주 세정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보조 세정성분으로 계면활성제를 10 내지 30 % 함유시키는 혼합 비누(Combo soap), 그리고 계면활성제를 주 세정성분으로 사용하고 지방산계 비누를 보조 세정성분 또는 결합제로 사용하는 합성계면활성제 비누(Syndet bar)로 구분할 수 있다.
지방산계 비누는 대체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값이 싸며, 단단하여 쉽게 무르거나 닳아지는 현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용액의 액성이 알칼리를 나타내어 자주 사용하면, 피부의 피지 성분을 과다하게 제거하고 각질층을 연화시켜 피부 를 건조하게 하여 피부가 쉽게 거칠어지거나 피부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혼합비누나 합성계면활성제 비누, 특히 합성계면활성제 비누는 수용액의 액성을 약산성 내지 약 알칼리로 제조 가능하므로 피부에 자극이 적고 보습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합성계면활성제 비누는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고, 겔링(Gelling)현상이 없어 쉽게 수화되므로 사용 중 물러지기 쉽고, 낮은 융점으로 끈적임이 심할 뿐만 아니라 경도가 낮아 제조과정 중 압출, 성형 및 형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합성계면활성제 비누의 장점인 보습력 및 저자극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성형 및 형타 작업성, 무름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를 주 세정기제로 포함하고,보조 세정기제로 알칼리지방산 비누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써,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합물, 및 R1이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35 내지 70 중량%;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R2가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 R2 가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합물, 및 R2 가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알칼리지방산 비누 10 내지 40중량%; 및
(c) 지방산 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R1-COOCH2CH(OH)CH2SO3Na
(화학식2)
R2-COO-M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나트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합성계면활성제를 주 세정기제로 포함하면서 동시에 작업성, 물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비누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화학식 1의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를 주 세정기제로 사용하고 화학식 2의 알칼지방산계 비누를 보조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습력 및 저자극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장비누의 작업성, 무름성 및 사용감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화학식 2의 알칼리지방산계 비누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의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35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단일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로 화장비누에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합물, 및 R1이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a)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혼합물 60 내지 90 중량%, 및
(b) R1이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에서,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합비율은 1: 0.05 내지 0.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의 혼합비율 미만일 경우, 비누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사용중 비누모양 형성이 용이하지 못하며, 혼합비율 초과하는 경우, 비누가 물러지는 단점 및 제조과정 중 압출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a)의 알킬은 타이터(Titer)값이 낮고 용해도가 높아 기포력은 우수하나 무른 특징이 있는 반면, 상기 (b)의 알킬은 타이터 값이 높고 용해도가 낮아 마 딤성이 우수하나 기포력이 적은 특징이 있다. 상기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로는 올레인산(Oleic acid)과 리놀레인산(Linoleic acid)이 대표적이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a) (i) R1이 탄소수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ii) R1이 1 내지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을 1: 0.05 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60 내지 90 중량%; 및
(b) R1이 탄소수 13, 탄소수 15 및 탄소수 1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i)에서, 1 내지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칼리 지방산 비누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1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2의 알칼리 지방산 비누는, R2가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 R2 가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합물, 및 R2 가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알칼리 지방산 비누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알칼리 지방산 비누는,
(a) R2가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R2가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혼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b) R2가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20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에서,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혼합비율은 1: 0.05 내지 0.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한 혼합비율 미만인 경우, 거품의 질감이 좋치못하며, 혼합비율 초과하는 경우, 제조과장 중 압출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알칼리 지방산 비누는,
(a) (i) R2가 탄소수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ii) R2가 1 내지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을 1: 0.05 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b) R2가 탄소수 13, 탄소수 15 및 탄소수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i)에서, 1 내지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인산 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또한, 알칼리 지방산 비누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기로는 (a') M이 나트륨인 화학식 2의 화합 물 및 상기 M이 칼슘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b') M이 나트륨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상기 M이 마그네슘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을 1: 0.05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기는 우지, 돈지 등의 동물 유지, 야자유, 팜핵유, 팜유, 팜스테아린유 등의 식물 유지로부터 얻어진 지방산, 또는 지방산을 분별증류한 후 수소첨가하여 수득한 지방산으로부터 제조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은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지방산을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은 5 내지 15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지방산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적당한 소성 및 결합력을 얻기 어려우며, 15 중량% 초과하는 경우 지방산이 갖는 점성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헹굼성이 낮을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우지, 돈지 등의 동물 유지, 야자유, 팜핵유, 팜유, 팜스테아린유 등의 식물 유지로부터 얻어진 지방산, 또는 지방산을 분별증류한 후 수소첨가하여 수득한 지방산일 수 있으며, 지방산은 고형 비누의 특성 유지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일예로는 카프릴린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구성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화장비누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 예컨대 가소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방부 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첨가제를 잔량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지방알콜,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글리콜, 경화 피마자 오일 및 지방 알킬 케톤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로는 덱스트린, 전분, 무수망초, 소금 및 탈크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소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색소, 향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및 금속이온 봉쇄제는 공지의 물질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
표 1(단위: 중량%)의 조성물을 아말가메이터(Amalgamator)와 롤밀(Roll mill)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일반 지방산계 화장비누 제조 장치에서 성형 및 압출 공정을 거쳐 형타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 비교예
R1, R2 및 M 1 2 3 4 1 2 3 4 5 6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R1COOCH2CH(OH)CH2SO3Na) R1은 탄소수 11의 포화알킬 및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 1 : 0.2
70 80 90 60 50 80 80 95 0 70
R1은 탄소수 17의
포화 알킬
30 20 10 40 50 20 20 5 0 30
사용함량 40 50 50 70 40 50 50 60 0 40
알카리지방산비누
(R2COOM)
R2 는 탄소수 11의 포화알킬 및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 1 : 0.2
80 70 60 50 50 70 50 90 70 70
R2는 탄소수 17의
포화 알킬
20 30 40 50 50 30 50 10 30 30
M에 포함된 Na및
Ca의 비율
1:0.05 1:0.1 1:0.2 1:0.5 1:0.05 1:0.01 1:0.7 1:0.1 1:0.2 1:0.2
사용함량 35 30 30 15 40 30 30 20 80 30
팜핵유지방산 15 10 10 5 10 10 10 10 10 20
염화나트륨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이산화티탄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향 료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수 분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의 화장비누에 대한 작업성, 무름성, 사용감, 보습력 및 저자극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작업성(성형 및 형타) 평가
성형 작업성은 일반 지방산계 화장비누 제조 장치에 의해 비누를 제조할 때 성형기와 스크류에서의 이송 상태로, 형타 작업성은 비누가 금형에 부착되지 않고 이탈되는 정도를 하기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
○: 성형 또는 형타 작업성이 양호함.
△: 성형 또는 형타 작업성이 보통임.
X: 비누의 단단함 또는 무름성으로 성형 또는 형타 작업성이 좋지 못함.
실험예 2: 무름성 평가
비누의 무름성은 물에 의해 수화된 부분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평량한 비누(W1)를 무게를 알고 있는 핀에 꽂아 25 ℃의 항온 수조에 4시간 침전시킨 후 꺼내어 물러진 부분을 제거한 후 무게(W2)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로 용출도를 계산하였다.
(계산식 1)
용출도(%) = W1 - W2/W1 X 100
용출도 값이 클수록 물에 쉽게 수화되어 물러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사용감(기포도 및 감촉도) 평가
성인남녀 3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25 ℃의 흐르는 수돗물에서 통상적인 화장비누 사용방법으로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표 2의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토록 한 후, 그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기포도 감촉도
5점 기포가 매우 잘 난다 비누가 매우 매끄럽다
4점 기포가 잘 나는 편이다 비누가 약간 매끄럽다
3점 기포가 보통이다 보통이다
2점 기포가 잘 나지 않는 편이다 비누가 약간 거칠다
1점 기포가 잘 나지 않는다 비누가 매우 거칠다
실험예 4: 보습력 평가
보습력은 19~34세(평균연령은 24세)의 건강한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피부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다.
화장비누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10 % 수용액으로 만들고, 이 수용액 5 ㎖를 취하여 팔 안쪽에 5 ㎝ x 5 ㎝ 부위를 60초간 손으로 문지른 다음 30초간 기다렸다 가 10초간 흐르는 물에 씻어내었다. 1일 4시간 간격으로 2회 씻은 다음 마지막 사용시간 후 수분보유율을 산출하였다. 수분보유량 측정기기는 Skicon-200(IBS CO., Japan)을 사용하였고, 시험은 항온항습실(25 ℃, 상대습도 50 %)에서 실시한 후 하기 계산식 2에 따라 수분 보유율(%)을 산출하였다. 수분 보유율이 클수록 보습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계산식 2)
피부수분보유율(%) = 평가전 피부수분보유량 - 평가후 피부수분보유량/평가전 피부수분보유량 X 100
또한 평가 마지막 날 홍반(Skin redness) 및 피부건조(Skin dryness)를 표 3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점 수 홍 반 피부건조
0 없음 없음
1 거의 감지할 수 없음 매우 작은 스케일(Scale) 발생
2 약한 홍반 작은 스케일 또는 갈라짐(Crack)발생
3 중간 정도의 홍반 스케일 들뜸 또는 중간 정도의 갈리짐 발생
4 심한 홍반 피부 스케일 들뜸 및 심한 갈라짐 발생
5 매우 심한 홍반 매우 심한 갈리짐 및 습진발생
상기 실험예 1 내지 4에서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작업성 성형 및 형타 X
무름성 용출도(%) 12.7 13.8 11.0 14.0 17.7 19.0 18.3 20.6 8.7 25.1
사용감 기포도 4.1 4.0 4.2 4.0 3.5 4.0 3.3 4.1 3.3 3.5
감촉도 4.0 3.9 4.0 3.8 3.9 3.9 3.3 3.8 3.5 3.9
보습 및 저자극 수분보유율(%) 65.2 67.6 66.9 70.1 64.5 67.3 67.3 68.2 57.0 67.8
피부건조 0.4 0.4 0.4 0.2 0.4 0.4 0.4 0.4 1.1 0.3
홍반 0.1 0.1 0.1 0.0 0.1 0.1 0.2 0.1 0.5 0.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내지 4의 화장비누들은 성형 및 형타 작업성, 무름성, 기포도, 감촉도, 보습력 및 저자극성이 모두 우수한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4 및 6의 화장비누는 작업성 및 무름성이 좋지 않았고, 비교예 5의 화장비누는 사용감, 보습력 및 저자극성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비누 조성물은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알칼리지방산 비누 및 지방산을 포함하여, 합성계면활성제 비누가 갖는 장점인 우수한 보습력 및 저자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누의 성형 및 형타 작업성, 무름성, 기포도 및 감촉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하다.

Claims (7)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합물, 및 R1이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35 내지 70 중량%;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R2가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 R2 가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합물, 및 R2 가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알칼리지방산 비누 10 내지 40중량%; 및
    (c) 지방산 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화학식1)
    R1-COOCH2CH(OH)CH2SO3Na
    (화학식2)
    R2-COO-M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나트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a') (i) R1이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ii) R1이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을 1: 0.05 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60 내지 90 중량% 및
    (b') R1이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10 내지 40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소듐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a') (i) R1이 탄소수 11로 이루어진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ii) R1이 1 내지 3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을 1: 0.05 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60 내지 90 중량%; 및
    (b') R1이 탄소수 13, 탄소수 15 및 탄소수 1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알칼리지방산 비누는
    (a') (i) R2가 탄소수 7 내지 11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ii) R2가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을 1: 0.05 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b') R2가 탄소수 13 내지 17의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20 내지 50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알칼리지방산 비누는
    (a') (i) R2가 탄소수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ii) R2가 1 내지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7의 불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을 1: 0.05 내지 0.5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b) R2가 탄소수 13, 탄소수 15 및 탄소수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알킬인 화학식 2의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알칼리지방산 비누는
    (a) M이 나트륨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상기 M이 칼슘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b) M이 나트륨인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상기 M이 마그네슘인 화학식 2의 화합물
    을 1: 0.05내지 0.5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카프릴린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레닌산,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KR1020040034701A 2004-05-17 2004-05-17 화장비누 조성물 KR10099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01A KR100998051B1 (ko) 2004-05-17 2004-05-17 화장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01A KR100998051B1 (ko) 2004-05-17 2004-05-17 화장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055A KR20050110055A (ko) 2005-11-22
KR100998051B1 true KR100998051B1 (ko) 2010-12-03

Family

ID=3728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701A KR100998051B1 (ko) 2004-05-17 2004-05-17 화장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0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782A (en) 1974-09-27 1976-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which impart high luster and manageability to hair
JP2003105374A (ja) 2001-09-28 2003-04-09 Toho Chem Ind Co Ltd 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782A (en) 1974-09-27 1976-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which impart high luster and manageability to hair
JP2003105374A (ja) 2001-09-28 2003-04-09 Toho Chem Ind Co Ltd 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055A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4142B1 (ru) Туалетное мыло с улучшенной пенообразующей способностью
BR112012015922A2 (pt) &#34;barra de lavagem pessoal extrudada&#34;
JP2007314796A (ja) モノグリセリドスルホネートを利用した化粧石鹸組成物
JP2002097496A (ja) タルク、それらのアルカリ石鹸の形態にある1種類又は複数の脂肪酸及び1種類又は複数の再脂肪化物質を含み、アルキル(オリゴ)グリコシドの同時の不在を伴う造形石鹸製品
JPH0360878B2 (ko)
JPH0565499A (ja) 固形洗浄剤
KR100998051B1 (ko) 화장비누 조성물
JPWO2020153216A1 (ja) 固形石けん
EP3880781B1 (en) An extruded soap bar with enhanced antimicrobial efficacy
KR102551953B1 (ko) 클렌징 바 및 그 조성물
KR100564222B1 (ko) 복합 비누 조성물
KR100743830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100998052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100884024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100521776B1 (ko) 중성 피에이치를 갖는 합성 고형 화장비누 조성물
JP2000169879A (ja) モノグリセリドスルフォン酸塩を含有する複合石鹸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8079B1 (ko) 신규 신데트바 비누조성물
JP7468206B2 (ja) 枠練り固形石けん
KR20030078377A (ko) 기포도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비누 조성물
EP4118175B1 (en) A soap bar with high water content
KR20050098528A (ko) 인체 세정 비누 조성물
JP3752033B2 (ja) 固形洗浄剤組成物
KR100444900B1 (ko)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8050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950007716B1 (ko) 합성 계면활성제 화장비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