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846B1 - 이동형 토수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토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46B1
KR100997846B1 KR1020080053467A KR20080053467A KR100997846B1 KR 100997846 B1 KR100997846 B1 KR 100997846B1 KR 1020080053467 A KR1020080053467 A KR 1020080053467A KR 20080053467 A KR20080053467 A KR 20080053467A KR 100997846 B1 KR100997846 B1 KR 10099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ssembly
hose
support
j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470A (ko
Inventor
박찬규
Original Assignee
나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4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8Independent, movable shower units operated by weight, by hand or by foot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나 장소를 쉽게 이동시켜가면서 토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토수 상태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이동형 토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토수 장치는
수도관로에 접속되어 급수를 행하는 호스조립체와, 토출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와, 유입된 물을 분산해서 살수를 행하는 토수 부재로 이루어진 토수 조립체와;
상기 토수 조립체가 삽탈되는 거치수단과, 상기 거치수단과 나사 결합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주 조립체와, 상기 지주 조립체가 결합하는 진공흡착기와, 상기 진공 흡착기의 하부에 밀착되어 진공 흡착되어 결합하며 금속 재질의 평판 형태를 갖는 하부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스탠드 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토수 장치는, 토수 조립체를 스탠드 조립체에 거치해서 사용하면 양쪽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일의 능률을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이 닿지 않는 면을 세척하거나, 화초에 물을 주거나 바닥면을 물청소할 때와 같이 이동을 하면서 토수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토수 조립체를 스탠드 조립체에서 빼내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며, 토수량을 제어하기 위해 멀리 있는 수도꼭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필요 시에만 적정한 토수량으로 물을 소비하게 됨으로써 아울러 물의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 바닥면의 상태나 이동 빈도 등 다양한 사용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바닥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토수 장치, 스탠드, 거치수단, 밸브, 지주, 토수 부재, 호스, 이동, 급수, 진공 흡착

Description

이동형 토수 장치 {Movable Shower Stand}
본 발명은 토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나 장소를 쉽게 이동시켜가면서 토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토수 상태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이동형 토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 있어서 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토수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욕실에는 세면기와 샤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방에는 설거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고안된 가요성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는 별도로 베란다나 다용도실 등에는 일반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손빨래를 한다든지, 물청소를 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단순히 용기에 물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도꼭지에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끼워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 호스를 용기에 적당히 걸쳐 놓는 경우 수압에 의해 호스가 위치를 이탈해 물이 뜻하지 않은 곳으로 토수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물을 개폐한다든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멀리 떨어져 있는 수도꼭지가 있는 곳까지 왔다갔다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물을 잠그지 않고 그냥 흘려가면서 일을 하게 되어 물의 낭비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이동형 토수장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에서 출원되어 등록된 "급수장치(공고번호 20-0213228)"가 있다. 이 등록 고안의 급수 장치가 도 1에 도시된바, 스탠드 조립체(2)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가요성관과 토수 부재가 결합하여 구성된 토수 조립체(1)를 통해 토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밸브 조립체(3) 및 호스 조립체(4)도 스탠드 몸체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몸체 하부에는 진공 흡착 부재(5)를 구비하여 이동형 고정 장치를 바닥면에 직접 진공 흡착 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동형 토수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실용상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이러한 토수장치는 물이 닿지 않는 부분을 골고루 세척하고 싶을 때 피세척물을 뒤집거나 해야 하는데 피세척물이 무겁거나 유아라든가 애완동물일 경우에는 뒤집어서 씻기기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제품 전체를 들어서 세척하는 것 또한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둘째, 제품을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진공흡착 부재(5)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표면이 매끄러운 대형 타일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한 일이나 통상의 가정에서 바닥 타일은 벽 타일에 비해 크기도 작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면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진공 흡착 부재의 흡착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토수부재(1)가 앞쪽으로 쏠려있기 때문에 제품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이 넓어지게 되고, 바닥면이 넓어지면, 토수 부재가 용기나 피세척물로부터 그만큼 멀어지기 때문에 토수된 물이 피세척물이나 피 급수 용기 중심에 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토수 조립체를 스탠드 조립체에 거치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스탠드로부터 분리해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구성된 이동형 토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공간이나 설치 바닥면의 상태에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한 설치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성의 변경이 가능한 이동형 토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토수장치를 사용하다가 토수를 중단 또는 토수량의 제어를 원할 경우, 굳이 수도꼭지까지 가지 않고 그 자리에서 토수량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토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호스조립체의 길이를 사용 환경이나 용도에 맞춰 호스의 길이를 절단하거나 긴 호스를 별도로 구입하여 간편하게 교체 조립할 수 있는 호스의 단부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수 장치는,
수도관로에 접속되어 급수를 행하는 호스조립체와, 토출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와, 유입된 물을 분산해서 살수를 행하는 토수부재를 포함하는 토수 조립체와;
상기 토수 조립체가 삽탈되는 거치수단과; 상기 거치수단과 나사 결합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주 조립체와; 상기 지주 조립체가 결합하는 진공흡착기와; 상기 진공 흡착기의 하부에 진공 흡착되어 밀착 결합하며 금속 재질의 평판 형태를 갖는 하부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스탠드 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 수단은 조립 상태에서 수평면과 상기 거치 수단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10도 이상 4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토수 조립체가 상기 U자 홈 부에 거치 되어 있을 때, 토수 조립체의 자체 중량에 의해 U자홈부를 이탈하지 않으며, 토수압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스탠드 조립체가 전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는 금속 재질의 원형 주름관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 가공하고, 일측 단부에 제1 결합수단을, 타측 단부에 제2 결합 수단을 삽입한 후 각각의 단부를 압착 가공하여 걸림 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상기 제2 결합 수단이 상기 걸림 턱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상기 주름관과 동심원상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 수단의 내주면에는 나사 산이 구비되며, 상기 지주는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호스 조립체는 호스, 제1 호스 연결구 및 제2 호스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호스는 연질 플라스틱 소재로 압출 성형시킨 후, 원하는 길이로 절단 가공하고, 상기 호스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제1 호스 연결구 및 호스 고정 부재 를 삽입한 후, 호스 삽입 부재 상측에 원주 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상기 호스의 내주면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압입한 다음, 상기 삽입 부재의 하단에 밀폐 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호스의 타측 단부 외주면에 제2 호스 연결구 및 호스 고정 부재를 삽입한 후, 호스 삽입 부재 상측에 원주 상으로 형성된 돌기가 상기 호스의 내주면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압입한 다음, 상기 삽입 부재의 하단에 밀폐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제2 호스 연결구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 하는 한 쌍의 체결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 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밸브 조립체는 유입구, 개폐구 및 유출구를 포함한 밸브 몸체와, 상기 유출구 및 상기 개폐구와 대향하면서 동축상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개폐구의 개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일측 단부에 결합한 밸브 손잡이와, 상기 실린더를 고정하며, 상기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는 밸브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 산과 상기 피스톤의 일정 구간에 일체 형성된 수나사 산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 손잡이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각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밀폐 부재, 밀폐 부재 1 및 밀폐 부재 2가 구비되는 한편, 밸브 조립체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은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 되고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조립체에서의 물의 유입방향에 대해 유출방향은 직각을 이루며, 토수 부재에서의 물의 유입 방향과 토수의 방향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토수 장치는, 토수 조립체를 스탠드 조립체에 거치해서 사용하면 양쪽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일의 능률을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이 닿지 않는 면을 세척하거나, 화초에 물을 주거나 바닥면을 물청소할 때와 같이 이동을 하면서 토수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토수 조립체를 스탠드 조립체에서 빼내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며, 토수량을 제어하기 위해 멀리 있는 수도꼭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필요 시에만 적정한 토수량으로 물을 소비하게 됨으로써 아울러 물의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 바닥면의 상태나 이동 빈도 등 다양한 사용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바닥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부분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수 조립체의 조립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조립체의 단부 조립도 및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의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흡착기와 지주조립체의 결합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분리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는 크게 스탠드 조립체(100)와 토수 조립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 조립체(100)는 지주 조립체(120), 진공흡착기(130) 및 하부 지지판(140)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 조립체(120)는 거치 수단(121), 제1 결합 부재(121-3), 지주(123), 제2 결합 부재(125-4) 및 하부 고정판(125)의 구성요소가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또, 상기 거치 수단(121)은 상부에 U자홈부(121-1)와 상기 U자홈부(121-1) 하부에 결합 홈(121-2)이 일체로 성형 된다. U자홈부(121-1)의 내주면은 상기 토수 조립체(200)의 제1 호스 연결구(231)의 외주면이 안착 되는 구조로, 상기 U자홈부(121-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토수 조립체(200)를 스탠드 조립체(10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개방 폭은 상기 제1 호스 연결구(231)의 지름 보다는 작고 호스(235)의 지름보다는 크게 하여, 거치 상태에서는 수압에 의한 반력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토수 조립체(200)가 상기 거치 수단(121)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토수 조립체(200)를 상기 스탠드 조립체(100)로 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토수 조립체(200)를 상기 호스(235) 부분이 상기 U자홈부(121-1)에 위치할 때까지 앞쪽으로 살짝 빼낸 다음 들어올림에 의해 상기 토수 조립체(200)를 간단히 빼낼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거치 수단(121)은 조립 상태에서 수평면과 상기 거치 수단(121)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가"는 10도 이상 4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토수 조 립체(200)가 상기 U자 홈부(121-1)에 거치 되어 있을 때, 상기 토수 조립체(200)의 자체 중량이나 의도되지 않은 외력에 의해 U자 홈부(121-1)를 이탈하지 않으며, 토수압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스탠드 조립체(100)가 전도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거치 수단(121)의 결합 홈(121-2)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121-3)가 압입된다. 상기 제1 결합부재(121-3)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주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수단(122)의 내주면에 있는 나사 산과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1 결합부재(121-3)는 상기 거치 수단(121)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고정판(125)은 상부에 결합 홈(125-3)과 결합 공(125-1)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홈(125-3)에는 제2 결합부재(125-4)가 압입된다. 상기 제2 결합부재(125-4)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수단(124)의 내주면에 있는 나사 산과 체결 고정된다. 물론, 상기 제2 결합부재(125-4)는 상기 하부 고정판(125)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판(125)에 일체 성형 된 다리(125-2)는 설치시 바닥면에 닿게 되어 있어서 거치 안정성을 도모한다.
한편, 지주(123)는 스테인리스 주름 관의 양측 단부에 제1 결합수단(122)과 제2 결합수단(124)을 각각 삽입한 후, 단부를 압착가공하여 원주형의 걸림 턱(123-1)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결합수단(122)과, 제2 결합수단(124)이 지주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거치 수단(121) 및 상기 하부 고정판(125) 과 결합하기 위해 나사 체결을 하였을 때 결합 부재(121-3 및 125-4)의 나사 산 측 단부가 상기 걸림 턱(123-1)을 밀착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결합 과정에서 상기 지주(123), 상기 거치 수단(121) 및 상기 하부 고정판(125)은 정해진 방향을 유지한 채 상기 제1 결합수단(122)과 상기 제2 결합수단(124)만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체결 고정 과정에서 상기 거치 수단(121) 등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하여 조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지주(123)는, 상기 거치 수단(121)이 수평면에 대해 10도 이상 4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도록 복수의 굴곡부(123-2 및 123-3)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토수 조립체(200)가 상기 거치 수단(121)에 거치 되었을 때 이동형 토수장치(500) 전체의 무게 중심이 중심 축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여 단면적이 작은 하부 지지판을 적용하더라도 작은 외력에 의해 무게중심을 잃고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토수된 물이 하부 지지판(140)을 벗어난 곳에 위치한 용기나 피 세척물(500)을 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거치 수단(121)이 수평면에 대해 30도의 각을 이루게 하였으나, 이 각도는 토수 부재(210)의 무게나 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반력의 세기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지주(123)에서 사용된 스테인리스 주름관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손으로 쉽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 조립체(120)를 상기 진공흡착기(130) 및 상기 하부지지판(140)과 결합하여 상기 스탠드 조립체(100)를 완성하는 것에 대해 결합 순서에 따라 자세히 기술하면,
우선 상기 하부 지지판(140) 중앙에 흡착판(134)을 배면이 고르게 밀착되도록 한 후, 완충 밀폐 부재(133)가 삽입 결합하여 있는 상부 지지 뚜껑(132)을 상기 흡착판(134)과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올려놓고 살짝 눌러서 상기 완충 밀폐 부재(133)와 상기 흡착판(134)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주 조립체(120)의 하부에 결합한 상기 하부 고정판(125)에 구비된 결합 공(125-1)을 상부 지지 뚜껑(132)의 상단 중앙에 구비된 안내 돌기(132-1)에 끼우면, 상기 안내 돌기(132-1)의 상단면이 상기 하부 고정판(125)의 윗면과 일치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로 흡착 손잡이(131)와 일체로 성형된 너트(131-1)를 상기 흡착판(134)의 중심에 인서트 성형된 볼트(134-1)에 일치시키고 상기 흡착 손잡이(131)를 돌리면, 상기 너트(131-1)가 상기 볼트(134-1)에 의해 진행하면서 1차로 상기 흡착 손잡이(131) 하단면이 상기 하부 고정판(125)의 윗면과 상기 안내 돌기(132-1)의 상단면에 닿게 되고, 이 때 한 손으로 상기 상부 지지 뚜껑(132)을 위에서 누르면서 다른 손으로 상기 흡착 손잡이(131)를 계속 돌리면 고무 재질로 성형된 상기 흡착판(134)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상기 흡착판(134)과 하부지지판(140)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고 이 진공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기(130)는 하부지지판(140)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 결합의 원리를 이용한 진공흡착기는 일반화되어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예시한 구조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면이 매끄러운 타일 바닥면이나 통상 세면기 후방에 세면도구 등을 올려놓기 위해 있는 좁은 보조 선반 등에 본 발명의 이동형 토수장치(300)를 설치 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하부 지지판(140)을 사용하지 않고 바닥면에 직접 흡착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고정 구조물에 직접 흡착 고정하면, 고정의 안정성은 향상되나, 역으로, 위치를 조금만 옮기려 해도 진공을 해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따라서 잦은 위치 변경이 필요치 않으며, 설치 바닥면이 매끈한 경우에는 상기 하부지지판(140)을 배제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지지판(140)에 상기 결합 부재(125-4)를 일체로 구비시켜서 상기 지주(123)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제2 결합수단(124)과 나사 결합하는 단순한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상기 하부 고정판(125)과 상기 진공흡착기(130)를 부가한 것은 이상과 같은 설치나 사용 환경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토수 조립체(200)는 토수부재(210), 밸브조립체(220) 및 호스 조립체(23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수 부재(210)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크기가 작고, 무게도 가벼우며, 구조상으로는 물의 유입 방향과 토수의 방향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종 모양의 토수 부재로서, 토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목 돌림 기능을 갖춘 것이 좋다.
상기 토수 부재(210)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에 연결구(211)와 밀폐 부재(21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211)는 상기 밸브 조립체(220)의 제2 결합수단(221-4)에 나사결합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의 기술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물은 유입구(221-1)로 유입되어 피스톤과 대향 하며 상기 유입구(221-1)에 직각 방 향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구(221-5)를 통과해서 유출구(221-2)로 토출된다. 유로를 직각으로 구성한 것은 통상적인 입수 방향과 토수 방향을 고려하여, 거치 사용 상태에서의 거치 안정성을 도모한 것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물은 7~8시 방향으로 토수되며, 호스(235)는 자연스럽게 4~5시 방향으로 늘어뜨려져서 전체적으로 균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밸브 손잡이(226)를 정역회전시키면 밸브 몸체(221)에 내장된 실린더(223)를 관통하면서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224)에 의해 토출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피스톤(224)의 일측 단부는 밸브 뚜껑(225)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어 밸브 손잡이(226)와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토출량의 제어를 위해 원추형 단부(224-3)와 밀폐 부재(224-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223)의 하부에는 암나사 산(22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224)에는 일정 구간에 수나사 산(224-4)이 피스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부의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밀폐 부재 1(222) 및 밀폐 부재 2(224-1)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밸브 손잡이(226)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스톤(224)이 일정 구간을 왕복하게 되어 상기 개폐구(221-5)의 개로 면적을 변화시킴에 의해 토출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 조립체(22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은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소재로 가공된 것으로 함으로써 스탠드 상측 구조물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거치구조의 안정성 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수 조립체(200)의 구성 부품으로서 호스 조립체(230)는 호스(235), 제1 호스 연결구(231) 및 제2 호스 연결구(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호스 연결구(231)는 상기 밸브 조립체(220)의 제1 결합수단(221-3)과 체 결되며, 제2 호스 연결구(236)는 외부의 수도꼭지(400)의 토출구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체결된다. 나사 산이 구비되지 않은 수도꼭지를 위해 접속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조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제2 호스 연결구(236)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 하는 한 쌍의 체결 손잡이(236-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속 및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다.
통상의 호스 조립체와는 달리 본 발명의 호스 조립체(230)의 호스(235)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품을 쉽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호스가 너무 길어서 불편을 유발할 경우에는 호스를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용도상으로 긴 호스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긴 호스를 별도로 구입해서 다시 조립할 수도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호스 조립체(2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스 조립체(230)의 단부를 구성하는 각 요소별 기능을 상기 제1 호스 연결구(231) 측 단부의 예를 들어, 각 구성 부품의 조립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호스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호스 연결구(231)를 끼운다. 다음으로, 각 단부에 호스 고정 부재(232)를 끼운다. 끝으로 호스의 단부 내주면으로 호스 삽입 부재(233)를 압입하고 밀폐 부재(234)를 결합하면 상기 호스 조립체(230)의 일측 단부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호스 연결구(231)를 상기 밸브 조립체(220)의 제1 결합수단(221-3)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1 결합 수단(221-3)의 단부가 상기 밀폐 부재(234)에 밀착되면서 기밀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제1 호 스 연결구(231)의 상부 내면과 맞닿은 상기 호스 고정 부재(232)는 상기 호스 끼움 부재(233)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호스 고정 부재(232)의 단 턱(232-1)이 상기 호스 삽입 부재(233)의 돌기부(233-1)에 위치하게 되고, 그 사이에 위치한 호스의 외주면이 꽉 조여지게 되어 높은 수압이 상기 호스 조립체(230) 내부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호스(235)가 상기 호스 삽입 부재(233)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호스(235)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압출 성형 된다. 한편, 제2 호스 연결구(236)의 단부 구성과 결합 형태도 상기 제1 호스 연결구(231) 측 단부의 경우와 동일하나, 상기 제2 호스 연결구(236)는 사용자가 수도꼭지(400)에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체결 손잡이(236-1)가 부가적으로 구비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이동형 토수장치(300)는 일반적으로는 도 9에서와 같이 토수 조립체(200)가 스탠드 조립체(100)에 거치 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물청소나 화초에 물을 줄 때 또는 토수 되는 물줄기가 닿지 않는 사각 지대를 세척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 조립체(200)를 스탠드 조립체(100)에서 빼내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형 토수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부분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수 조립체의 조립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조립체의 단부 조립도 및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주조립체의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흡착기와 지주조립체의 결합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토수장치의 분리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수 조립체 2. 스탠드 조립체
3. 밸브 조립체 4. 호스 조립체
5. 진공 흡착 부재
100 스탠드 조립체
120 지주 조립체
121 거치 수단
121-1 U자 홈부 121-2 결합 홈
121-3 제1 결합 부재
122 제1 결합수단
123 지주 123-1 걸림 턱
123-2 굴곡부 123-3 굴곡부
124 제2 결합 수단 124-1 손잡이
125 하부 고정판
125-1 결합 공 125-2 다리
125-3 결합 홈 125-4 제2 결합 부재
130 진공 흡착기
131 흡착 손잡이 131-1 너트
132 상부 지지 뚜껑 132-1 안내 돌기
133 완충 밀폐 부재
134 흡착판 134-1 볼트
140 하부 지지판
200 토수 조립체
210 토수 부재
211 연결구 212 밀폐 부재
220 밸브 조립체
221 밸브 몸체
221-1 유입구 221-2 유출구
221-3 제1 결합수단 221-4 제2 결합수단
221-5 개폐구
222 밀폐 부재 1
223 실린더 223-1 암나사 산
224 피스톤
224-1 밀폐 부재 2 224-2 밀폐 부재
224-3 원추형 단부 224-4 숫자사산
225 밸브 뚜껑 226 밸브 손잡이
230 호스 조립체
231 제1 호스 연결구
232 호스 고정 부재 232-1 단턱
233 호스 삽입 부재 233-1 돌기
234 밀폐 부재
235 호스
236 제2 호스 연결구 236-1 체결 손잡이
300 이동형 토수 장치(거치 사용시) 300-1 이동형 토수 장치(분리 사용시)
400 수도꼭지
500 피세척물 600 피 급수물

Claims (9)

  1. 샤워기가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토수장치에 있어서,
    수도관로에 접속되어 급수를 행하는 호스조립체(230)와, 토출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220)와, 유입된 물을 분산해서 살수를 행하는 토수 부재(210)를 포함하는 토수 조립체(200)와;
    상기 토수 조립체(200)가 삽탈되는 거치수단(121)과; 상기 거치수단(121)과 나사 결합하는 지주(123)와, 상기 지주(123)의 하단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 고정판(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주 조립체(120)와; 상기 지주 조립체(120)와 결합하는 진공흡착기(130)와; 상기 진공 흡착기(130)의 하부에 진공 흡착되어 밀착결합되는 하부 지지판(140)으로 구성된 스탠드 조립체(100)로 구성되는 이동형 토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수단(121)은 조립 상태에서 수평면과 상기 거치 수단(121)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가"는 10도 이상 4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23)는 금속 재질의 원형 주름관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 가공하고, 일측 단부에 제1 결합수단(122)을, 타측 단부에 제2 결합 수단(124)을 삽입한 후 각각의 단부를 압착 가공하여 걸림 턱(123-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 수단(122)과 상기 제2 결합 수단(124)이 상기 걸림 턱(123-1)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주름관과 동심원상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 결합수단(122)과 상기 제2 결합 수단(124)의 내주면에는 나사 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복수의 굴곡부(123-2 및 12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조립체(230)는 호스(235), 제1 호스 연결구(231) 및 제2 호스 연결구(2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호스(235)는 연질 플라스틱 소재로 압출 성형시킨 후, 원하는 길이로 절단 가공하고, 상기 호스(235)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호스 연결구(231) 및 호스 고정 부재(232)를 삽입한 후, 호스 삽입 부재(233)의 돌기(233-1)가 상기 호스(2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압입한 다음, 상기 호스 삽입 부재(233)의 하단에 밀폐 부재(234)를 결합하고;
    상기 호스(235)의 타측 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2 호스 연결구(236) 및 호스 고정 부재(232)를 삽입한 후, 호스 삽입 부재(233)의 돌기(233-1)가 상기 호스(2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압입한 다음, 상기 호스 삽입 부재(233)의 하단에 밀폐 부재(234)를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20)는 유입구(221-1), 개폐구(221-5) 및 유출구(221-2)를 포함한 밸브 몸체(221)와, 상기 개폐구(221-5)와 대향하면서 동축상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개폐구(221-5)의 개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피스톤(224)과,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는 실린더(223)와, 상기 피스톤(224)의 일측 단부에 결합한 밸브 손잡이(226)와, 상기 실린더(223)를 고정하며, 상기 피스톤(224)의 이탈을 방지하는 밸브 뚜껑(225)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223)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 산(223-1)과 상기 피스톤(224)의 일정 구간에 일체 형성된 수나사 산(224-4)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 손잡이(226)의 회전 운동을 상기 피스톤(224)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각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밀폐 부재(224-2), 밀폐 부재 1(222) 및 밀폐 부재 2(224-1)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22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은 플라스틱과 같이 가벼운 소재로 성형 되고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지지판(140)은 금속 재질의 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밸브 조립체(220)에서의 물의 유입방향에 대해 유출방향은 직각을 이루며, 상기 토수 부재(210)에서의 물의 유입 방향과 토수의 방향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제2 호스 연결구(236)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 하는 한 쌍의 체결 손잡이(236-1)가 일체로 성형 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토수장치
KR1020080053467A 2008-06-09 2008-06-09 이동형 토수 장치 KR100997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467A KR100997846B1 (ko) 2008-06-09 2008-06-09 이동형 토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467A KR100997846B1 (ko) 2008-06-09 2008-06-09 이동형 토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470A KR20090127470A (ko) 2009-12-14
KR100997846B1 true KR100997846B1 (ko) 2010-12-01

Family

ID=4168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467A KR100997846B1 (ko) 2008-06-09 2008-06-09 이동형 토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917B1 (ko) * 2018-01-15 2018-11-28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361A (ja) 1997-10-09 1999-04-27 Sanei Faucet Mfg Co Ltd 吸盤付シャワ掛具
KR200233490Y1 (ko) 2001-02-26 2001-09-28 김우호 스텐드 구조의 샤워헤드 걸이대
KR200295154Y1 (ko) 2002-08-27 2002-11-18 유창근 간이 압력샤워기
KR200389653Y1 (ko) 2005-04-28 2005-07-14 유희상 샤워기 헤드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361A (ja) 1997-10-09 1999-04-27 Sanei Faucet Mfg Co Ltd 吸盤付シャワ掛具
KR200233490Y1 (ko) 2001-02-26 2001-09-28 김우호 스텐드 구조의 샤워헤드 걸이대
KR200295154Y1 (ko) 2002-08-27 2002-11-18 유창근 간이 압력샤워기
KR200389653Y1 (ko) 2005-04-28 2005-07-14 유희상 샤워기 헤드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917B1 (ko) * 2018-01-15 2018-11-28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470A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302B2 (en) Showerhead holder
US7987533B2 (en) Shower water toy construction system
US9499960B2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use with water discharge fixture
CN113242924A (zh) 顶部安装式水龙头
US20180209129A1 (en) Mounting structure for bidet
JP4319193B2 (ja) 水栓金具
US20100058532A1 (en) Portable solar shower
CA2588201A1 (en) Accumulator tank assembly and method
US20130037153A1 (en) Elliptical chambered flow restrictor
US7207075B2 (en) Interchangeable gooseneck faucet
KR101620488B1 (ko) 설치 작업이 용이한 멀티 기능 샤워수전
US2005012721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conversion of a standard showerhead to a spray bar
KR100997846B1 (ko) 이동형 토수 장치
KR20140023093A (ko) 세면대용 정수기 출수장치
US20090249540A1 (en) Sanitary ware with an annular mount
US7467753B2 (en) Connecting tube structure
US20150328646A1 (en) Shower Head Attachment
KR200471357Y1 (ko) 샤워기 헤드용 부착구
KR200474029Y1 (ko) 경사각도를 갖는 샤워헤드 걸이구
KR102102288B1 (ko) 씽크대용 수전장치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US9476523B2 (en) Mounting bracket for a shower head
US8210195B2 (en) Faucet assembly securing method
KR200199557Y1 (ko) 샤워기용 착탈식 고정구
CN216713214U (zh) 抽拉式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