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011B1 -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011B1
KR100997011B1 KR1020060081414A KR20060081414A KR100997011B1 KR 100997011 B1 KR100997011 B1 KR 100997011B1 KR 1020060081414 A KR1020060081414 A KR 1020060081414A KR 20060081414 A KR20060081414 A KR 20060081414A KR 100997011 B1 KR100997011 B1 KR 10099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ne
sterilized
spraying
saline solu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500A (ko
Inventor
김칠영
Original Assignee
김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칠영 filed Critical 김칠영
Priority to KR102006008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01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85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anodic or acidic water, e.g. for oxidizing or sterili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살균하도록 상기 용기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와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배열된 양전극부를 구비한 전극부를 구비하고, 전극부와 양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그 사이에서 전기 분해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산화체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멸균하여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짧은 시간 내에 제조하여 곧바로 상처 부위나 코 안쪽에 분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부제가 없는 살균된 생리식염수로 염증이 있는 점막 또는 상처 부위나 코의 안쪽을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으며,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자마자 곧바로 소독할 수 있으므로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은 신선한 살균된 생리식염수로 소독이나 세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을 제공한다.
수중 방전, 살균된 생리식염수, 전극 돌기, 산화체, 비염, 상처 부위, 소독

Description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SPRAYING METHOD OF STERILIZED ISOTONIC SOLU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에 사용되는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전극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조립된 사시도
도4는 도2의 격벽에 고정된 전극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1의 분무기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1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
도7은 도1의 전극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분리 사시도
도9은 도8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10는 도1의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의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도
도11은 도1의 전극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2은 도1의 전극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3는 염수의 전기 분해에 따른 염소 이온의 증가량을 측정하여 도시한 실 험 데이터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 110: 용기부
111: 용기 케이스 112: 밀폐링
120: 분사부 121: 분사 케이스
122: 분사관 123: 분사기
130: 본체 케이스 131: 제1챔버
132: 제2챔버 133: 작동 스위치
134: 표시기 140: 전극부
141: 음전극판 141a: 음극 돌기
142: 양전극판 142a: 양극 돌기
143: 지지대 1431: 음전극판 접속 슬롯
1432: 양전극판 접속 슬롯 144: 고정 나사
148: 격벽 148a: 고무 패킹판
150: 제어부 151: 제어 회로 안착판
151a: 측벽 152: 제어 회로
153: 배터리 수용부 154: 저판
155: 배터리 커버 156: 고정 볼트
151b, 155b : 고정공 160: 전원 공급부
161: 음극 전원선 162: 양극 전원선
241: 음전극판 2411: 양전극 분기판
2411a: 양극 돌기 242: 양전극판
2421: 음전극 분기판 2421a: 양극 돌기
본 발명은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돗물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여 상처난 부위나 비염 환자들의 코를 소독하거나 세척하는 데 사용되며, 휴대가 간편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를 이용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나 토양의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알러지나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 질환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웰빙의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시중에 유통중인 생리 식염수를 구입하여 코의 안쪽을 빈번하게 세척하는 비염 환자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시중에 유통중인 생리 식염수는 고온 및 고압으로 약30분간 가열하여 대용량의 증류수를 멸균하고, 염화나트륨(NaCl)을 투여하여 염수로 제조한 이후에, 생리 식염수 내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솔베이트, 치메로살, 폴리퀴드, 다이메드 등의 방부제를 투여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생리 식염수에 투여되는 방부제는 비염 환자들에게 알러지를 유발하므로, 시중에 유통중인 생리 식염수를 곧바로 사용하는 것은 비염 환자들에게 또 다른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1ℓ이상의 용량의 포장 용기에 생리 식염수가 담겨져 판매되므로, 개봉 당시에는 멸균된 상태로 있지만, 개봉 후 3~4일정도 경과하면 공기와 접촉하여 오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개봉 직후 사용하고 남은 생리 식염수를 버리지 않고 소독하거나 세척함에 따라 또 다른 세균에 노출되는 결과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생과 안전을 위하여 소독용이나 세척용 식염수를 제조한 후에 곧바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나 소비자 레벨에서 간편하게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짧은 시간 내에 제조하여 곧바로 염증이 있는 점막 또는 상처난 부위나 비염 환자들의 코를 세척하는 데 사용 가능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독하거나 세척하기 위한 식염수를 제조하여 바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생리 식염수를 장기간 보관하여야 함에 따라 요구되는 방부제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염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미연에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격렬한 전기 분해로 산화체를 짧은 시간에 다량으로 생성함에 따라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단시간 내에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의 기능을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여 어느 장소에서도 원하는 부위에 분무할 수 있는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의 식염수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소금의 제조에 용이한 분량대로 포장된 소금 용액 캡슐 및 소금 포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살균하도록 상기 용기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와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배열된 양전극부를 구비한 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종래에 대규모의 설비를 필요로 하였던 고온 고압의 멸균 과정을, 소비자 레벨에서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하여 발생되는 산화체로 짧은 시간 내에 물을 멸균시킴으로써, 곧바로 멸균된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코안이나 염증이 있는 점막 또는 상처난 부위에 분무함으로써 간편하게 소독이나 세척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방부제가 함유되거나 오염된 살균된 생리식염수로 소독이나 세척을 행하여 부작용을 겪을 위험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만으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전극부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된 음극 돌기와; 상기 음극 돌기와 각각 마주보도록 상기 양전극부에 배열된 복수개의 양극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에 보다 많은 전하가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 사이에서 보다 격렬한 전기 분해를 유도하여, 적은 전원을 소비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 상기 음극 돌기와 양극 돌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 사이의 물을 전기 분해하게 된다. 이 때, 오존(O3), 과산화수소(H2O2), OH라디칼, HOCl과 같은 산화체가 생성되며, 산화체에 의하여 미생물, 세균,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게 된다. 전기 분해에 의한 산화체의 생성과 살균 과정은 다음의 (1) 내지 (5)의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1) 오존이 생성되는 경로는 물(H2O)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시작되어 최종적으로 O와 O2가 결합되는 다음의 공정을 거쳐 오존이 형성된다.
H2O --> H+ + (OH)ads + e-
(OH)ads --> (O)ads + H+ + e-
2(OH)ads --> O2 + 2H+ + 2e-
2(O)ads --> O2
(O)ads + O2 --> O3
(2) 과산화수소는 산소의 전기 분해에 의한 직접적인 경로와, 오존 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중간 산물인 OH라디칼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간접적인 경로에 의하여 생성된다. 즉,
O2 + e- --> O2 ·-
O2 + 2H+ + 2e- --> H2O2
와 같은 직접적인 경로와,
OH·+ OH· --> H2O2
와 같은 간접적인 경로에 의하여 생성된다.
(3) HOCl은 수중에 존재하는 Cl- 이온이 Cl2로 결합한 후에 H2O와 반응하여 HOCl을 생성하게 된다. 즉,
2Cl- --> Cl2 + 2e-
2H2O + 2e- --> H2 + 2OH-
Cl2 + H2O --> HOCl + H+ + Cl-
(4) OH라디칼은 순간적으로 생성되었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오존이 수중에 존재하는 경우에 OH- 또는 과산화수소의 짝염기인 HO2-와 반응하여 라디칼 체인 사이클을 형성하며 최종적으로는 OH라디칼을 생성한다.
O3 + OH --> 라디칼 체인 반응(Radical Chain Reaction) --> OH·
O3 + HO2 - (H2O2의 짝염기) --> 라디칼 체인 반응 --> OH·
(5) 수중에 존재하는 미생물(microorganism, microorganics)은 생성된 산화체(oxidants)에 의하여 불활성화되거나 제거되며, 다음의 microorganism은 전기적 흡착(electrosorption)에 의하여 제거되며, 다음의 microorganics는 e-과의 반응으로 직접적인 전기 분해 반응에 의하여 제거된다.
즉, Microorgainsm에 대해서는,
M(Microorganism) --> Electrosorption --> Inactivation
또한,
M(Microorganism) + O3 --> Inactivation
M + OH· --> Inactivation
M + HOCl --> Inactivation.
그리고, Microorganics에 대해서는,
M(Microorganics) + e- --> M-
또한,
M(Microorganics) + O3 --> Product
M + OH· --> Product
M + HOCl --> Product
즉, 전기 분해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1) 내지 (5)의 공정에서 생성된 혼합된 산화체(O3, H2O2, HOCl, OH라디칼)에 의하여 산화 및 살균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약산성 내지 중성의 수돗물로 만들어진 식염수에 전기 분해가 이루어진 후에는 높은 살균력과 잔류성을 갖는 HOCl에 의하여 높은 살균력이 유지된다.
또한, 전기 분해가 일어나는 중에 생성되는 과산화수소(H2O2)는 자유기(free radical, HO·+ O·)을 생성하는 능력이 있는데, 이 자유기들은 단백질을 낮은 분자 무게의 펩타이드,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수용성 물질로 만들며, 이중결합 부위로 몰려들어 에폭사이드(epoxide)를 생성한다. (예컨대, C=C-R 구조는 C-C-R 구조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산화수소에서 생성된 자유기는 매우 반응성이 큰 데, 자체의 안정을 이루기 위하여 단백질과 같은 다른 유기질 분자를 공격함으로써, 과산화수소의 산화 작용으로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수용성 물질로 만들게 되어, 알러지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분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는 판(板)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원추형과 같이 끝단이 뾰죡한 돌기나 기둥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보다 많은 전하가 응집되어 전기 분해 반응이 더욱 촉진된다. 그리고, 단위 설치 공간에 보다 많은 전기 분해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는 복수개의 쌍을 이루는 판들이나 막대들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판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의 판면으로부터 분기된 분기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음전극부로부터 분기된 분기판과 상기 양전극부로부터 분기된 분기판은 하나씩 차례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마주보는 상기 분기판들에는 각각 음극 돌기와 양극 돌기들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공간에 전기 분해가 일어나는 영역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분기판으로부터 또 다른 분기판이 형성되고, 양전극부와 음전극부로부터 연장된 또 다른 분기판들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음극 돌기와 양극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기 분해 반응이 보다 격렬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는 백금으로 형성되거나 백금 도금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부가 백금으로 도금되는 경우에는, 전극의 소모가 큰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에는 주위보다 두껍게 백금 도금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극 돌기와 상기 음극 돌기가 형성되는 대신에, 그 주변에 홈을 형성하여 일정 부분에 전하가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가 백금으로 형성되고,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다면, 나사 결합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돌기만을 교체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상기 음극 돌기와 상기 양극 돌기는 티타늄 도금되거나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에 소정의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지령하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사용자는 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용기 내의 물을 멸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전극부에는 외부의 AC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시중에서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배터리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용기는 대용량의 물을 담아 놓을 수 있도록 큰 챔버로 형성되고, 상기 분무기는 별도의 펌프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대용량의 용기는 병원, 치과 병원 등에 설치되어, 치료를 위하여 입안이나 상처 부위를 소독하거나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는 전극부가 보다 큰 것이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도 AC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의 변압기에 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 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극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전극부의 주변에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핀이 형성되고, 방열핀으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공급하는 송풍팬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용기 내의 물이 흘러 들어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가 설치된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 내의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챔버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제어부가 설치된 제2챔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용기 내의 물은 상기 제1챔버 내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산화체에 의하여 멸균된다. 그리고, 제2챔버 내의 전원 공급부와 제어부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격벽에는 둘레에 밀봉용 고무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챔버 내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용기 사이에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형성되어 전극부 주변에서 살균된 살균된 생리식염수가 재빨리 순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순환팬은 상기 전극부에 전원이 인가될 때에만 회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상기 물의 살균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를 무균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전극부를 끼워 고정하는 음극 지지턱과, 상기 양전극부를 끼워 고정하는 양극 지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음극을 상기 음극 지지턱과 연결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양극을 상기 양극 지지턱과 연결하도록 구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전극부를 상기 용기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지지턱에 전극부를 단순히 착탈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극부 자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극부에 인가하는 전원의 인가 방향을 꺼꾸로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이는, 전극부에 가하는 전류의 방향을 꺼꾸로 인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정 기간동안에는 양전극부로 작용하는 제1전극부에 양극 전원을 인가하고 음전극부로 작용하는 제2전극부에 음극 전원을 인가하다가, 꺼꾸로 상기 제1전극부에 음극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전극부에 양극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기 분해 과정 동안에 각각의 전극부에 고용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정 기간은 1 내지 10회의 횟수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2 내지 5일 등의 시간으로도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에는 약 pH 6.0 내지 7.5의 약산성 내지 중성인 증류수, 수돗물, 지하수, 정제수 중 어느 하나 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격렬한 전기 분해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소금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불순물을 일부 포함하고 있는 수돗물을 사용하는 대신에, 증류수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돗물이나 지하수를 별도의 용기에서 여과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금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식염수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용기에 수돗물이나 정제수 등을 채운 후에 채워진 물의 양에 따라 소금 용액을 적당량 혼합함으로써 소독이나 세척에 적합한 식염수로 만들 수 있다. 수돗물에 비하여 농도가 약 0.5% 내지 5%의 식염수를 사용하면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으며, 보다 격렬한 전기 분해를 통해 보다 신속한 살균된 생리식염수 제작이 가능해진다. 이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식염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식염수에 섞여있는 방부제로 인하여 알러지 등의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수돗물 등의 물에 소금 용액이나 소금 덩어리를 섞어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에 사용되는 소금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금 용액이나 소금 덩어리가 용기에 담겨져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용액 캡슐 및 소금 포대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제조에 필요한 식염수를 휴대하지 않고 단순히 손톱만한 캡슐이나 포대를 휴대함으로써, 어느 곳에서든지 간편히 소독에 필요한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포장된 소금 용액의 양은 용기에 채워진 물을 0.5% 내지 5%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비염 환자들의 코 안쪽의 소독에 가장 우수한 효능을 갖는 약 0.9%의 식염수로 제조하도록 0.9%의 농도를 고려하여 필요한 양의 소금물이나 소금 덩어리가 캡슐이나 포대에 담겨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1회의 소독이나 세척에 필요한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제조를 위하여 하나의 캡슐 또는 포대 내의 소금 용액이나 소금 분말을 용기 내에 넣기만 하면, 상기 농도를 갖는 소금물을 간편히 만들 수 있다. 이 때, 소금 용액은 포화 소금 용액일 수도 있으나, 용기에 담겨지는 물의 양이 크지 않으므로, 용기에 담겨진 물의 양을 감안하여 적정한 농도를 갖는 소금 용 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내에 정제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수돗물이나 지하수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1은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전극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조립된 사시도, 도4는 도2의 격벽에 고정된 전극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1의 분무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는,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도록 물을 수용하는 용기부(110)와,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염증이 있는 점막 또는 상처난 부위나 코 안쪽에 분무하는 분사부(120)와, 용기부(110)의 저부에 장착된 본체 케이스(130)와, 본체 케이스(130)의 내부에 용기부(110)와 연통된 위치에 설치되어 용기부(110)의 물을 멸균하는 전극부(140)와, 전극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전극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부(110)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 케이스(111)와, 용기 케이스(111)의 저부에 외부로 물이 새지 않도록 본체 케이스(130)와 결합되는 부위에 끼워지는 밀 폐링(112)을 구비한다.
여기서, 물은 수돗물이나 지하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처 부위가 불순물에 의하여 오염되기 쉬운 부위라면, 증류수나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살균력이 높은 차아염소산을 다량으로 생성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때, 필터를 구비한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일반 수돗물이나 지하수의 불순물을 제거한 정제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소금물은 전극부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만, 코의 안쪽을 소독하거나 세척하는 데에도 가장 우수한 효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약 0.9% 농도의 소금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소독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0.5% 내지 5%의 식염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120)는 용기 케이스(11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11a)에 결합되는 분사 케이스(121)와, 용기 케이스(111) 내의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끌어올리는 통로인 분사관(122)과, 분사 케이스(121)의 외측벽에 분사관(122)과 연통되어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분사시키는 분사기(123)와, 분사관(122)에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끌어 올리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진공 챔버(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사부(120)를 통하여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도1의 화살표 방향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면, 진공 챔버(124) 내의 공간이 좁아졌다가 순간적으로 넓어지는 것에 의하여 분사관(122)을 통해 살균된 생리식염수가 분사부(120)로 끌어 올려지고, 분사기(123)를 통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분무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이미 다양한 분무기를 통하여 공지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30)는 용기 케이스(111)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며, 전극부(140)가 설치되는 제1챔버(131)와, 제어부(150)와 전원 공급부(160)가 수용되는 제2챔버(132)와, 전극부(140)의 작동을 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작동 스위치(133)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챔버(131)는 용기 케이스(111)와 연통되어 용기부(110)의 물이 관통공(131a)을 통해 흘러 들어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챔버(132)는 제어부(150)와 전원 공급부(160)에 제1챔버(131)내의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제1챔버(131)와 격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33)를 누르면,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제조에 필요한 미리 저장된 작동 시간동안만 전극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극부(140)는 제1챔버(131) 내의 격벽(148)에 고정 나사(144)로 고정되며, 제어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부와 연결된다. 이 때, 제어부(150)의 음극 전원선(161) 및 양극 전원선(162)과 전극부(140)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전극부(140)가 놓여지는 격벽(148)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을 통하여 제1챔버(131)내의 물이 제2챔버(132)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지지대(143)의 저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고무 패킹(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148)의 저면에는 제1챔버(131)의 내주면(미도시)에 끼이면서 격벽(148)의 직경보다 큰 고무 패킹판(148a)이 부착되어, 제1챔버(131) 내의 물이 제2챔버(132)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격벽(148)의 직경(d')은 제1챔버(131)의 내주경(d)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고무 패킹판(148a)에 의하여 방수 를 구현한다. 이 때, 고무 패킹판(148a)은 판(板)형상 대신 링형상으로 격벽(148)의 모서리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밖의 전극부(140)는 도 6 내지 도12의 전극부(140, 240, 340) 중 어느 하나로 세워지거나 눕혀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제어회로 안착판(151)과, 제어회로 안착판(151)위에 작동 스위치(133)의 입력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전극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고, 표시기(134)에 작동 상태를 표시하며, 경우에 따라 전극부(140)에 공급하는 전원의 방향을 뒤바꾸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152)와, 전극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60)로서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53)와, 제어회로 안착판(15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저판(154)과, 저판(154)의 관통공(154a)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15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회로 안착판(151)의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측벽(151a)이 돌출 형성되어, 측벽(151a)의 선단면과 제2챔버(132)의 상면(132a)과 접촉된다. 이를 통해, 제어회로 안착판(151)의 바닥면과 제2챔버(132)의 상면(132a)의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제어 회로(152)를 안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챔버(132)의 상면(132a)에는 고정 볼트(156)를 수용하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고정 볼트(156)로 저판(154)의 고정공(154b)과 제어회로 안착판(151)의 고정공(151b)을 관통하여 나사홈에 고정하면, 본체 케이스(130)의 내부에 제어부(150)와 전원 공급부(160)가 설치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33a는 제어부(150)와 작동 스위치(133) 및 표시기(134)를 연결하는 신호선이며, 155a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금속판이다. 금속판(155a)으로부터 별도의 신호선이 제어부(150)와 연결된다.
전원 공급부(160)는 배터리와,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을 포함한다.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160)인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전극부(140)에 공급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챔버(131)에 전극부(140)를 끼운 상태에서, 제2챔버(132)에 제어회로 안착판(151)과 저판을 고정 볼트(156)로 고정하면,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은 전극부(140)와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극부(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부(120)는 분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분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용기 케이스(111) 내의 물이나 살균된 생리식염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도5(c)의 뚜껑(120")으로 마개 역할만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용기 케이스(121)에 밀폐링(112)을 끼운 상태로 본체 케이스(130)를 조립한다. 그리고 나서, 본체 케이스(130)의 저면 개방단을 통하여 전극부(140)를 제1챔버(131)에 끼운다. 그리고, 제어회로 안착판(151)을 제2챔버(132)에 넣은 상태에서, 저판(154)을 제어회로 안착판(151)의 저면에 포갠 상태에서 고정 볼트(156)로 제어회로 안착판(151)과 저판(154)을 본체 케이스(130)에 고정한다. 이 때,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은 전극부(140)와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전극부(14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조립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를 오랜 기간 사용하여 전극부(140)의 전극판(141,142)에 형성된 백금 도금이 소모되어 전극부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립 순서의 역순서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를 분해하고, 전극부(140)의 지지대(143)를 격벽(148)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의 작동 원리를 상술한다.
제조 업자는 용기 케이스(111) 내의 물을 세척하는 데 필요한 최적의 시간을 미리 구하여 제어 회로(152)에 미리 기억을 시킨 상태에서 제조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를 출고시킨다. 이와 같은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자가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여 코 안이나 상처 부위를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 케이스(111)에 수돗물이나 증류수나 지하수 등 어느정도 청결한 물을 넣는다. 그리고 나서, 용기 케이스(111)에 담겨진 물을 약 0.9%의 농도를 갖는 소금물(식염수)로 만들 수 있는 높은 농도의 소금 용액이나 소금 덩어리가 담겨진 캡슐(미도시)을 개방하여, 용기 케이스(111)에 담겨진 물과 혼합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 케이스(111)내의 물은 약 0.9%의 식염수가 된다. 한편, 시중에 유통되는 식염수를 직접 용기 케이스(111)에 넣을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용기 케이스(111) 내의 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작동 스위치(133)를 누르면, 용기 케이스(111) 내의 전극부(140)의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각각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인가한다. 이 때, 표시기(134)에는 전극부에 전원이 인가 중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작동중"이라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이 때, 용기 케이스(111)에 물이 담겨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양전극부와 음전극부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류의 흐름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며, 용기 케이스(111)에 물이 담겨져 있는 경우에만 양전극부와 음전극부 사이의 물이나 소금물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전극부(140)에서 전기 분해가 활발히 이루어져 많은 산화체가 짧은 시간 동안에 생성되고, 용기 케이스(111) 내의 순환팬(미도시)이 회전하여 용기 케이스(111) 내의 물을 제1챔버(131)내로 순환시킨다. 동시에, 전극부(14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전극부(140)의 주위의 송풍팬(미도시)이 회전되어 더운 공기를 본체 케이스(130)의 통풍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킨다.
그리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어 전극부(140)로부터 생성된 산화체에 의하여 식염수의 살균 작업이 완료되면, 표시기(134)에는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살균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세척 완료"라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살균 소독이 완료된 상태이더라도, 사용자가 곧바로 살균된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 동안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무부(120, 120')를 분리하고 마개 역할을 하는 뚜껑(120")으로 닫아 외부의 공기가 용기 케이스(1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에 의하여 살균된 생리식염수가 오염되지 않고 장시간동안 살균 소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1회 내지 10회 정도 사용 후에,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를 이용하여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이 꺼꾸로 인가된다. 따라서, 전기 분해를 통해 전극부(140)의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고용물이 부착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 스위치(133)을 1회 누르는 경우와 작동 스위치(133)을 연속하여 2회 누르는 경우를 제어부(150)에서 서로 다른 신호로 인식하여, 전극부(140)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소금물을 사용하는 경우와 일반 수돗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반응 시간이 차이가 나므로, 사용하는 물의 종류에 따라 작동 스위치(133)을 다르게 누름으로써 적절한 살균 소독의 효과를 얻게 된다. 이 때, 전극부(140)의 전부에 항상 전원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전극부(140)의 일부에만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술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내의 물(111)속에 양극부(141)와 음극부(142)를 소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두고,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물(111)속에서 전기 분해를 유도하고, 전기 분해의 반응에서 나타나는 오존, OH라디칼 등의 산화체를 이용하여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살균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40)는 도6 내지 도12의 전극부(140, 240, 340)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부(140)를 구비한 장치(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111)을 수용하는 용기(110)와, 용기(11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전극부(140)와, 전극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외부의 AC전원일 수도 있으며, AC전원을 변환한 DC 전원일 수도 있고, 배터리로 공급되는 DC전원일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40)로부터의 음극 전원선(161)은 음전극판(141)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부(140)로부터의 양극 전원선(162)은 양전극판(142)에 연결된다.
상기 전극부(140)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음극 돌기(141a)가 표면에 형성된 음전극판(141)과, 복수의 양극 돌기(142a)가 표면에 형성된 양전극판(142)과, 음전극판(141)과 양전극판(142)을 끼워 고정하고 용기(1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43)와, 지지대(143)의 고정공(143a)을 관통하여 용기(110)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음전극판(141)과 양전극판(142)은 소정의 간격(d2)만큼 이격되어 지지대(142)에 고정되고, 소정의 간격(d1)만큼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B)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추형의 음극 돌기(141a)와 양극 돌기(142a)를 구비하여, 전극판(141,142)에 인가된 전하가 돌기(141a,142a)의 선단부(B)에 집중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원을 인가한 경우에 비하여 음극 돌기(141a) 와 양극 돌기(142) 사이의 물의 전기 분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극 돌기(141a)와 양극 돌기(142a)에는 두껍게 백금 도금되어 활발한 전기 분해가 일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대(143)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전극판(141)을 끼워 고정하도록 요입 형성된 음전극판 접속 슬롯(1431)과, 양전극판(142)을 끼워 고정하도록 요입 형성된 양전극판 접속 슬롯(14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43)의 내부에는 음극 전원선(161)이 음전극판 접속 슬롯(1431)과 연결되고, 양극 전원선(162)이 양전극판 접속 슬롯(1432)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지지대(143)의 슬롯(1431, 1432)에 전극판(141,142)을 끼우기만 하면, 해당 전원이 전극판(141,142)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8은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을 측면에 편의상 표시하였지만, 이는 실제로 음극 전원선(161)과 양극 전원선(162)의 끝단이 봉 형태로 형성되어 이 봉이 전극부(140)에 끼워지면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판(141,142)의 백금이 소모되면, 소모된 전극판(141,142)을 슬롯(1431,1432)으로부터 빼내고 새로운 전극판(141,142)을 슬롯에 끼우기만 하면 교체가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전극부를 포함하는 장치(100)의 작동 원리를 상술한다.
사용자가 상기 장치(100)를 이용하여 세척, 소독하고자 하는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100)에 수돗물(111)을 채워 넣고, 전원 공급부(160)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이 지지대(143)의 음전극판 접속 슬롯(1431)과 양전극판 접속 슬롯(143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접속 슬롯(1431,1432)을 통해, 음극 전원은 음전극판(141)에 공급되고 양전 전원은 양전극판(142)에 공급된다. 이 때, 음전극판(141)과 양전극판(142)에 각각 의 전원이 인가되지만, 각 전극판(141,142)의 마주보는 표면에 형성된 음극 돌기(141a)와 양극 돌기(142a)에 전하가 집중된다. 따라서, 각각의 돌기(141a,142a) 사이에서 전기 분해가 격렬히 일어나게 되며, 격렬한 전기 분해를 통해 다량으로 발생되는 오존, 과산화수소, HOCl, OH라디칼 등의 산화체가 용기 내의 물에 함유된 이물질, 단백질, 세균, 박테리아 등을 단시간 내에 세척, 살균 소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장치(100)는 용기 내에 돌기(141a,142a)가 형성된 전극판(141,142)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100)의 크기를 휴대하기 편리할 정도로 작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별도의 제어부가 장착되지 않았으나, 소정의 시간 동안에만 전기 분해가 일어나도록 하는 타이머 등이 장착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11은 도2의 전극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241,242)은 하나의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지 않고, 전극판(241,242)로부터 분기된 분기판(2411,24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크게 이격된 전극판(241,242)에 전극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분기판(2411,2421)에 각각의 음극 돌기(2411a)와 양극 돌기(2421a)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단위 체적 내에 전기 분해가 격렬히 일어나는 영역을 보다 많이 확보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에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여 곧바록 세척 및 살균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갖는다.
도12는 도2의 전극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에 도시된 전극부(340)는 도7에 도시된 전극부(140)와 비교할 때, 전원 공급부(420)로부터 음극 전원선(421)을 통해 음극 전원을 공급받는 음전극부(340)와, 전원 공급부(420)로부터 양극 전원선(422)을 통해 양극 전원을 공급받는 양전극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상기 음전극부(340)는 음극 전원선(421)과 연결되고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음전극 지지봉(431)과, 음전극 지지봉(431) 사이에 복수개의 봉으로 형성된 음전극봉(431)과, 음전하를 집중시키기 위하여 음전극봉(431)의 저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극 돌기(433)와, 양전극부(350)와 미리 정해진 간극을 유지하도록 음전극 지지봉(431)의 단부 저면에 형성된 끼움 돌기(434)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양전극부(350)는 양극 전원선(422)과 연결되고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양전극 지지봉(351)과, 양전극 지지봉(351) 사이에 복수개의 봉로 형성된 양전극봉(351)과, 양전하를 집중시키기 위하여 양전극봉(351)의 상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양극 돌기(353)와, 음전극부(340)와 미리 정해진 간극을 유지하도록 양전극 지지봉(351)의 단부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354)을 구비한다.
이 때, 음전극부(340)와 양전극부(350) 사이에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끼움 돌기(434)와 끼움홈(354)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무 등의 절연체(미도시)가 삽입되거나 절연 코팅된다. 그리고, 끼움 돌기(434)와 끼움홈(354)을 맞춘 상태에서는 음극 돌기(433)의 선단부와 양극 돌기(353)의 선단부 사이는 소정의 간 격으로 유지되며, 그 사이에서 격렬한 전기 분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의 전극부(340,350)는, 전하를 모으는 전극 돌기(433,353)가 봉(奉)형상의 전극봉(432,352)에 형성됨으로써, 전극 돌기(433,353)에 모여지지 않는 전하량을 줄이고, 금형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으며, 높은 비용이 소요되는 전극부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13는 0.98%농도와 pH6.39를 갖는 소금물에 5V, 2.2A의 전류를 흘려주어 전기 분해에 따른 염소 이온의 증가량을 측정하여 도시한 실험 데이터 그래프이다. 도7의 실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금물에 대해서는 보다 격렬한 전기 분해가 이루어지므로, 보다 신속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도7의 전극판(141,142)에는 전하를 응집시키는 돌기(141a,14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11의 실험 결과보다 더욱 더 격렬한 전기 분해가 이루어져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은 훨씬 단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은 수돗물, 증류수 뿐만 아니라, 소금물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간단한 구성으로 산화체를 보다 많이 생성하는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뾰족하거나 기둥 형상으로 전하를 집중시키는 전극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극 돌기는 뾰족하거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하의 집중을 유도하기 위하여 전극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어떠한 형상(예컨대, 돌출된 막대)이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분무기는 소형의 용도로서 코안을 스프레이의 형태로 분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용량의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담은 용기로부터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원하는 곳, 예컨대, 병원에서 설치되어 각각의 진료실이나 환자의 치료대로 펌프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한 형상의 전극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 분해를 유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전극부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살균하도록 상기 용기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와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배열된 양전극부를 구비한 전극부를 구비하고, 전극부와 양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그 사이에서 전기 분해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산화체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멸균하여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짧은 시간 내에 제조하여 곧바로 상처 부위나 코 안쪽에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소금 용액 캡슐 및 소금 포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중에 유통되는 생리 식염수에 함유된 방부제가 없는 살균된 생리식염수로 상처 부위나 코의 안쪽을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으며, 살균된 생리식 염수를 제조하자마자 곧바로 소독할 수 있으므로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은 신선한 살균된 생리식염수로 소독이나 세척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용기 내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에 대규모의 설비를 필요로 하였던 고온 고압의 멸균 과정을, 소비자 레벨에서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하여 발생되는 산화체로 간단히 물을 멸균시킴으로써, 곧바로 멸균된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코안이나 상처난 부위에 분무함으로써 간편하게 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방부제가 함유되거나 오염된 살균된 생리식염수로 소독을 행하여 부작용을 겪을 위험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만으로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이 때, 음전극부와 양전극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음극 돌기와 전극 돌기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음극 돌기와 양극 돌기 사이에서 보다 격렬한 전기 분해로 산화체를 짧은 시간에 다량으로 생성함에 따라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단시간 내에 살균할 수 있으며, 전하가 각각의 전극 돌기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은 용량의 전원 공급부를 가지고도 충분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음용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종의 물에 적당한 농도를 갖는 소금 용액을 적당량 혼합하여 약 0.5% 내지 5%의 농도를 갖는 식염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도포 부위에 따라 다양한 농도를 갖는 살균 식 염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그 크기를 작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휴대용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 분무 장치에 사용되는 소금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금 용액이나 소금 덩이리가 포장 용기에 담겨져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용액 캡슐 및 소금 포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기 내의 물을 살균하는 데 필요한 식염수를 휴대하지 않고, 그 대신 작은 크기의 캡슐이나 포대만을 휴대함으로써, 어느 곳에서든지 간편히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하여 상처 부위나 코 안쪽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살균된 생리식염수는 입안을 소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수돗물, 지하수, 정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과 소금을 섞어 식염수를 제조하는 식염수 제조 단계와;
    상기 식염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화체를 생성시켜 상기 식염수를 살균시키는 살균 단계와;
    살균된 상기 식염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단계는 상기 식염수 내에 서로 바라보도록 배열된 음전극부와 양전극부로 이루어진 전극부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에는 서로 바라보도록 돌출 형성된 다수의 음극 돌기와 양극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 분무 방법.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 제조 단계는 염도가 0.5% 내지 5%로 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 분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 제조 단계는 염도가 0.9%의 생리식염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 분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 제조 단계는 상기 식염수가 0.5% 내지 5%의 염도의 식염수가 되도록 만드는 양의 약용 소금이 포장된 소금 포대나 소금 용액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물과 상기 소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 분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수 제조 단계는 상기 식염수가 약0.9%의 염도의 생리식염수가 되도록 만드는 양의 약용 소금이 포장된 소금 포대나 소금 용액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물과 상기 소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 분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단계는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한 직후 곧바로 코안에 분 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단계는 상기 살균된 식염수를 제조한 직후 곧바로 상처난 부위에 분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단계는 상기 살균된 생리식염수를 제조한 직후 곧바로 염증이 있는 점막에 분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11.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은 배터리에 의해 상기 전극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휴대용 살균된 식염수의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12.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은 배터리에 의해 상기 전극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휴대용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KR1020060081414A 2006-08-28 2006-08-28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KR10099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414A KR100997011B1 (ko) 2006-08-28 2006-08-28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414A KR100997011B1 (ko) 2006-08-28 2006-08-28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185A Division KR100651122B1 (ko) 2005-04-26 2005-06-20 휴대용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분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500A KR20060133500A (ko) 2006-12-26
KR100997011B1 true KR100997011B1 (ko) 2010-11-25

Family

ID=3781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414A KR100997011B1 (ko) 2006-08-28 2006-08-28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83A (ko) 2019-12-16 2021-06-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코 및 귀 세척용 주사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602B1 (ko) * 2009-11-30 2012-12-26 (주)경우이앤씨 유통식 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분사장치
CN102138568B (zh) * 2011-03-15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卫生装备研究所 等渗消毒清洗液的制备方法及设备
CN111636072A (zh) * 2020-06-24 2020-09-08 东莞市艾尚莱福五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便携消毒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724Y1 (ko) 2003-01-28 2003-05-22 이천열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724Y1 (ko) 2003-01-28 2003-05-22 이천열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83A (ko) 2019-12-16 2021-06-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코 및 귀 세척용 주사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500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122B1 (ko) 휴대용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분무 장치
JP2008539063A (ja) 殺菌水製造装置、殺菌水噴霧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塩カプセル
US7008523B2 (en) Electrolytic cell for surface and point of use disinfection
AU2004224430C1 (en) Electrolytic cell for surface and point of use disinfection
CN101208270B (zh) 制备灭菌水的装置以及用于制备灭菌盐溶液的便携装置
JP2008539461A (ja) 生理食塩水の製造方法、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器、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塩カプセル
KR100997011B1 (ko) 살균된 식염수의 분무 방법
JP2010530794A (ja) 低濃度の残留塩素を含有する医療用殺菌生理食塩水の製造方法
JP2002102856A (ja) 電解水供給装置
KR100789325B1 (ko) 차아염소산의 성분비가 높은 살균수의 제조 장치
KR100945188B1 (ko) 저농도의 잔류 염소를 함유한 의료용 살균 생리식염수의제조 방법
KR100697546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KR100649349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의 세척 방법
JP2005313096A (ja) 携帯用電解水生成器
TWI399343B (zh) 無菌生理食鹽水之製造方法及其可攜式裝置
KR100492969B1 (ko)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발생하는 전기분해조
KR20090084798A (ko) 저농도의 잔류 염소를 함유한 의료용 살균 생리식염수의 제조 방법
JP2002102855A (ja) 電解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