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979B1 -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979B1
KR100996979B1 KR1020100035784A KR20100035784A KR100996979B1 KR 100996979 B1 KR100996979 B1 KR 100996979B1 KR 1020100035784 A KR1020100035784 A KR 1020100035784A KR 20100035784 A KR20100035784 A KR 20100035784A KR 100996979 B1 KR100996979 B1 KR 10099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eactor
magnetic block
powder magnetic
block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조
백석민
신기엽
Original Assignee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8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규소강판 코아를 이용하는 리액터는 소음이 크고 사이즈가 크며, 무정전 전원장치와 같은 고조파에 적합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적층시켜 코아부를 설계하고, 코일을 감아서 코일부를 구성한 후, 코일부 사이에 절연재를 삽입 후 상기 분말자성 블록 코아를 삽입 적층시킨 후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규소강판으로 제작된 리액터에서는 불가능했던 고조파에서도 매우 작은 손실을 가지고, 파우더 코아에서 불가능한 대용량화를 막대 코아를 적층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해결하였으며, 제조공정도 대폭 줄여서 경쟁력 있는 리액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Magnetic powder block core rea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기ㆍ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리액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리액터를 분말자성코아를 이용하여 리액터를 제작함으로써, 15KHz~20KHz 까지 주파수를 높일 수 있으며 소음 및 발열이 매우 작은 고효율의 분말자성코아를 이용한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정전전원장치에서 사용되는 리액터는 규소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1은 종래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규소강판 코아 리액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사진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E형 규소강판을 적층시킨 E형 코아(10)와, 상기 E형 코아(10)의 중앙부에 절연지(30a)에 의해 절연되게 출력 특성에 따라 권회시킨 코일(30)과, 코일(30)의 상하면에 삽입 시켜 코아와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40)과, 상기 코일(30) 및 절연판(40)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E형 코아(10)에 부착 고정하는 I형 코아(20)와, E형 코아(10)와 I형 코아(20)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리액터의 브라켓을 이루는 복수의 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리액터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구소강판을 적층시켜 E형 코아(10)와 I형 코아(20)를 만들고, 절연지(30a) 또는 절연 테이프에 의해 내외측면이 코아와 절연될 수 있도록 코일(30)을 감하여 E형 코아(10)에 삽입하되, 절연판(40)을 상하면에 개재하여 I형 코아(20)를 부착시켜 브라켓(50)으로 고정시켜 리액터를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부품의 특성이 개선되고 고속스위칭이 가능한 소자들이 출현함으로써 고주파에 대응하는 리액터 재질에 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일반적인 규소강판으로는 철손이 너무나 커서 고주파에 대응하는 리액터를 설계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해 졌다.
일부 규소강판 두께를 0.1mm 이하로 하는 초박형철에 규소를 도포한 코아가 제작되어 상용화 시키는 경우는 있으나 초박형으로 제작할 경우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한 규소강판의 적층횟수의 증가와 규소강판의 접착, 필요로 하는 강판의 절단등의 공정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규소강판으로 제작되는 리액터는 철손에 의한 발열이 크기 때문에 내부 순환냉각에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충분한 직류중첩특성을 얻기 위한 갭은 누설자속을 증대 시켜 주변회로에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고주파에 대응하지 못하는 재료이므로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내로 스위칭을 하여 소음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 되었으며, 코아의 절단면을 갭으로 사용하므로 진동에 의한 떨림현상을 방지하기위한 구조적인 보완이 필요하며, 실제 리액터의 갭 떨림현상이 산업현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규소강판의 적층방식의 리액터의 한계성 때문에 많은 업체에서 파우더 코아로 제작을 시도하였지만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원형코아를 이용한 제품들이 주로 생산하기 때문에 중,대용량에 적응하기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정전전원장치에 적용하는 규소강판으로 제작되는 리액터는 통상 5~7K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컨버터와 인버터에서 전력변환시 발생될 수 있는 직류 성분의 교류와 직류중첩시 그에 대한 자속의 누설을 위해서 갭(GAP)을 사용한다. 이러한 갭을 사용함으로써 누설자속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 발열문제가 발생하고 규소강판은 와류손 및 히스테리시스손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종래의 리액터는 고주파에서 철손이 매우 커 가청주파수 이상으로 스위칭을 하지 못하였던 문제와 저 주파수에서도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고, 누설 리액턴스로 인한 주변장치에 노이즈를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사용하여 리액터를 구성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이용한 리액터는 고조파 특성이 우수하고 소형, 경량화를 이루며 제조도 용이한 무정전전원장치용 리액터를 개발하여 기존의 규소강판으로 제작된 리액터에서는 불가능했던 고조파에서도 매우 작은 손실을 가지고, 파우더 코아에서 불가능한 대용량화를 막대 코아를 적층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해결하였으며, 제조공정도 대폭 줄여서 경쟁력 있는 리액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분말자성코아는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자기 손실을 갖는 금속분말을 사용하여 에어갭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만든 자성코아로서, 코아내에 균일하게 분포된 작은 에어갭이 존재하므로 누설자속이 거의 없고 높은 DC전류를 흘려도 쉽게 포화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성의 분말자성 코아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블록코아로 제작하고, 리액터의 특성 및 용량에 의거하여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가로, 가로세로, 복합배열로 적층시켜 구성되는 코아부와; 상기 코아부를 감싸고서 절연시키는 절연부와; 설계된 리액터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절연부에 의해 감싸진 코아에 코일을 권회시키거나, 설계된 턴수로 권회시켜 절연지로 감싼 코일 뭉치를 상기 코아부에 설치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가 설치된 코아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아부와 상기 코일부의 구조를 유지하고 외부 장착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분말자성 블록 코아를 적층하여 필요로 하는 리액턴스 값을 얻음과 동시에 고조파에서도 손실이 작고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분말자성 블록 코아를 가로 세로로 알맞게 적층하고 블록 코아를 절연시킨 후 필요한 권선을 감아서 제작하는 형태이다.
분말자성 블록 코아의 상하부의 클램프는 제작된 리액터를 쉽게 적층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 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재질이 철(Fe) 90 ~ 95%, 실리콘(Si) 10 ~ 5% 의 분말을 압축 성형하여 막대형상의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제작하는 분말자성 블록코아 제조단계와;
제작하고자 하는 리액터의 용량에 의거하여 분말자성 블록코아의 수와 적층 형태를 설계하여 코아부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의 적층형태에 따른 코아부 형상에 의거하여 코일의 턴수 및 형태를 설계하여 코일부의 형상을 결정하는 리액터 설계단계와;
상기 리액터 설계단계에서 설계된 코일부를 독립적으로 제작하는 코일부 제작단계와;
상기 코일부에 상기 설계된 분말자성 블록코아의 적층 형태에 따른 코아부를 감싸기 위한 절연재를 삽입 배치하는 절연재 배치단계와;
상기 절연재에 의해 상기 코일부와 절연되게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상기 설계된 형태에 따라 적층하여 코아부를 조립하고 절연재로 상하면 마감처리하는 코아부 조립단계와;
상기 절연재로 감싸진 상기 코아부의 상하 양측면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상하 클램프를 상하부에 조립하여 상하 클램프간에 볼트 너트를 이용해 고정결합하여 조립하는 클램프 조립단계를 수행하여 리액터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계단계에서 금속분말 자성 블록코아의 리액턴스 값은 자속이 흐르는 자로의 길이와 자속이 흘러갈 수 있는 코아의 단면적, 그리고 여기에 감겨있는 권선의 권선수로 필요한 리액턴스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말자성 블록 코아의 고유 리액턴스 값에 권선된 권수의 자승을 곱하면 필요로 하는 리액턴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코아의 평균 자로와 단면적에 대한 상수도 함께 포함되어 계산되어 진다.
상기한 것과 같이 블록 코아로 제작된 리액터는 제조공정의 간소화 소형경량화를 이루어 무정전전원장치의 전체 무게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코아의 손실이 작아서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주파에서 손실이 작으므로 가청주파수를 넘어선 스위칭으로 사용자가 소음에서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말자성 블록 코아는 코아 자체가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어 진동에 매우 강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분말자성 블록 코아를 사용한 리액터는 직류 중첩특성이 매우 뛰어난 소자를 사용하므로 직류가 중첩되었을 때 코아의 투자율 감소로 인한 리액턴스 값의 변화가 작으며 코아 내부에 고르게 분포된 갭에 의해서 누설자속이 거의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규소강판 코아 리액터의 분해도.
도 2는 종래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규소강판 코아 리액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규소강판 코아 리액터의 사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의 사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적층한 코아부 및 그 코아부를 이용한 리액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코아부 및 리액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무정전전원장치의 컨버터 및 인버터에 사용하는 리액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의 사진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코아 리액터는, 재질이 철(Fe) 90 ~ 95%, 실리콘(Si) 10 ~ 5% 의 분말을 에어갭이 포함하는 막대형상의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로서 제작하고,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적층하여 리액터의 코아부(110)를 제작하고 그 코아부(110)에 절연재(120)를 감싸고, 권선을 감아서 코일부(130)를 구성하며, 코아부(110)와 코일부(130)를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140)로 조여서 고정 구성한다.
분말자성 블록 코아(11)의 종류는 가로 * 세로 * 높이를 가지는 사각 기둥형태로 그 크기는 80mm*30mm*20mm, 80mm*30mm*15mm, 70mm*30mm*20mm, 70mm*30mm*15mm, 60mm*30mm*20mm, 60mm*30mm*15mm, 50mm*30mm*20mm, 50mm*30mm*15mm,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종류의 분말자성 블록코아(11)를 구성한 이유는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 분말자성 블록 코아를 적층시켜 그 용량을 맞추기 위해 적합하도록 다양한 용량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어, 두께가 2개의 블록코아의 적층 높이이고, 한변의 길이가 하나의 블록코아의 가로+세로로 이루어진 사각형 형상으로 퍼즐 조립식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이즈를 다르게 제작한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서 가로, 세로, 높이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자성 블록 코아(11)는 철 분말에 실리콘을 코팅하여 직류중첩특성을 극대화한 것으로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리액터의 특징을 매우 만족시키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말자성 블록 코아를 적층한 코아부 및 그 코아부를 이용한 리액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코아부 및 리액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재질이 철(Fe) 90 ~ 95%, 실리콘(Si) 10 ~ 5% 의 분말을 에어갭이 포함하는 막대형상으로 압축 성형하여 분말자성 블록코아(11)로서 제작하고,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11)를 적층하여 리액터의 코아부(110)를 구성하는데, 도 6의 예시와 같이, 분말자성 블록코아(11)를 앞뒤 2단 배열로 정사각형 형태의 코아부(1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적층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 리액턴스를 계산하여 블록코아의 적층 형태나 적층 수를 결정한다.
본 발명과 같이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적층하여 코아부(110)를 구성하는 경우, 리액터의 설계 용량에 따라 권선을 감아서 코일부(130)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코일부(130)를 배치한 후 코일부(130)와 절연시킬 수 있도록 절연재(120)를 삽입 설치한 후, 그 절연재(120) 속에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삽입 적층한 후, 상기 절연재(120)로 마감 처리하며, 이후, 상하부에 클램프(140)를 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리액터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코아부(110)가 여러개의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적층시켜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먼저 리액터의 용량에 의거하여 분말자성 블록코아(111)의 적층 형태 및 그 수를 계산하고, 코일부(130)의 턴수를 계산하여 설계작업을 한다. 이후 설계된 수치에 따라 코일부(130)를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코일 뭉치를 만든다. 물론 코일부(130)는 절연테이프를 감아서 코일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기적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코일부(130)를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에 절연재(120)를 사이에 끼우고, 막대형상으로 제작된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삽입 적층하여 코아부(110)를 구성하고, 이후 클램프(140)로 고정시켜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140)는 상하 클램프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조립된 분말자성 블록 코아의 전후좌우면을 삽입 지지하는 지지리브(141)가 포함되고, 상하 클램프 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42)가 형성되어 고정부(142)를 통해 상하 볼트 너트로 고정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규소강판으로 제작된 코아를 사용하는 경우 코아에 직접 코일을 감아야 되지만, 본 발명은 코일만 먼저 별도로 감아서 코일부를 구성한 후 그 속에 막대형상의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삽입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코일을 감는 작업이 자동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 공정이 매우 간편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좋아진다.
분말 자성 블록코아를 필요로 하는 적층을 쌓고 그 둘레에 권선을 감아서 리액터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리액터는 외철형 변압기와 동일한 구조로 분말자성 블록코아의 양쪽에 필요로 하는 권선을 감고 각각의 권선을 직렬로 연결하여 필요로 하는 리액턴스 값을 얻을 수 있다.
금속분말 자성 블록코아의 리액턴스 값은 자속이 흐르는 자로의 길이와 자속이 흘러갈 수 있는 코아의 단면적, 그리고 여기에 감겨있는 권선의 권선수로 필요한 리액턴스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말자성 블록 코아의 고유 리액턴스 값에 권선된 권수의 자승을 곱하면 필요로 하는 리액턴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코아의 평균 자로와 단면적에 대한 상수도 함께 포함되어 계산되어 진다.
종래의 규소강판으로 제작된 리액터에 비하여 분말자성 블록코아로 제작된 리액터는 15KHz~20KHz 까지 주파수를 높일 수 있으며 소음 및 발열이 매우 작기 때문에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15KHz 이상으로 주파수를 높이려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 방식의 10KHz이하의 방식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변 사용자들의 신경을 자극하여 스트레스가 발생하므로 별도의 분리된 공간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독립된 공간의 필요와 장비의 관리가 소홀 할 수밖에 없고 추가 전기공사 범위가 새로이 발생하였다. 동일한 용량에서 규소강판으로 제작되는 리액터와 분말자성 블록코아로 제작되는 리액터를 비교해보면 그 크기 및 무게가 1/3이하로 작아지며 손실도 매우 작아진다.
무정전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리액터는 종래에 규소강판을 적층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 이유는 철심을 적층하면 고주파에서 와류손 및 철손이 줄어들어 소형화를 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사용주파수가 점점 올라감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하였기에 규소강판에 규소함유량을 높이는 방법과 철판의 두께를 극단적으로 얇게 만들어서 주파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제작비가 많이 들고 대용량으로 만들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코아는 소음이 발생하고 직류중첩특성을 높이기 위한 갭을 주는 관계로 누설자속이 발생하여 국부 발열 및 주변기기에 노이즈 영향을 주고,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서 많은 코아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이유로 소형 경량화를 이루기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분말자성코아에 종래의 규소강판의 규소함량인 3~5% 정도보다 약 2배가량 높은 7%정도의 함유를 하고 금속분말을 실리콘으로 절연 코팅하여 성형 압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분말자성코아는 코아 내부에 갭(GAP)이 고르게 분포되어 누설자속이 거의 없으며, 직류중첩특성도 매우 우수하여 고주파에서도 손실이 작아 소형 경량화를 시킬 수 있다.
종래의 규소강판으로 제작된 리액터는 사각형의 규소강판을 필요로 하는 두께 만큼 적층하여 사용을 하고 그 적층된 코아에 권선을 감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권선은 필요로 하는 전류용량에 충분한 두께를 사용하며 고주파를 대응하기 위해서 커지는 코아에 비례하여 사용되는 권선의 무게도 동일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권선에서 발생하는 동선의 손실은 권선의 단면적에는 반비례하고 길이에는 비례하여 커지므로 코아가 커지면서 동손도 함께 증가한다.
이에 비해 분말자성코아로 제작된 리액터를 살펴보면 코아의 적층이 종래 규소강판보다 적기 때문에 동일한 단면적의 권선을 사용하여도 권선의 총 길이가 작아지므로 여기에 비례하여 동손도 작아진다.
110 : 코아부 111 : 분말자성 블록코아
120 : 절연재 130 : 코일부
140 : 클램프 141 : 지지리브
142 : 고정부

Claims (4)

  1. 재질이 철(Fe) 90 ~ 95%, 실리콘(Si) 10 ~ 5% 의 분말을 압축 성형하여 막대형상의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로서 제작하고,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 블록 조립 형성하는 코아부(110)와; 리액터의 설계 용량 및 상기 코아부(110)의 형상에 따라 소정 턴수로 권선을 감아서 형성하는 코일부(130)와; 상기 코일부(130)와 코아부(110)가 접하는 면에 삽입설치되는 절연재(120)와; 상기 코일부(130)에 절연재(120)를 삽입후,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설계된 코아부(110)의 형태로 적층하고 상기 절연재(120)로 감싸서 마감한후 상하부에서 지지하여 조립 고정하는 클램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는,
    가로*세로*높이의 규격이,
    80mm*30mm*20mm, 80mm*30mm*15mm, 70mm*30mm*20mm, 70mm*30mm*15mm, 60mm*30mm*20mm, 60mm*30mm*15mm, 50mm*30mm*20mm, 50mm*30mm*15mm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코아부(110)의 형상은,
    두께가 2개의 블록코아의 적층 높이이고, 한변의 길이가 하나의 블록코아의 가로+세로로 이루어진 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 코아 리액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가 분리된 외철형 변압기 구성인 경우, 2개의 코일부를 직렬연결하여 필요로하는 리액턴스 값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 코아 리액터.
  4. 재질이 철(Fe) 90 ~ 95%, 실리콘(Si) 10 ~ 5% 의 분말을 압축 성형하여 막대형상의 분말자성 블록코아(111)를 80mm*30mm*20mm, 80mm*30mm*15mm, 70mm*30mm*20mm, 70mm*30mm*15mm, 60mm*30mm*20mm, 60mm*30mm*15mm, 50mm*30mm*20mm, 50mm*30mm*15mm 중 어느 하나의 크기로 제작하는 분말자성 블록코아 제조단계와;
    제작하고자 하는 리액터의 용량에 의거하여 상기 서로다른 크기의 분말자성 블록코아중 어느 한 종류를 선택하여 두께가 2개의 블록코아의 적층 높이이고, 한변의 길이가 하나의 블록코아의 가로+세로로 이루어진 사각형 형상으로 설계하여 코아부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의 적층형태에 따른 코아부 형상에 의거하여 코일의 턴수 및 형태를 설계하여 코일부의 형상을 결정하는 리액터 설계단계와;
    상기 리액터 설계단계에서 설계된 코일부를 독립적으로 제작하는 코일부 제작단계와;
    상기 코일부에 상기 설계된 분말자성 블록코아의 적층 형태에 따른 코아부를 감싸기 위한 절연재를 삽입 배치하는 절연재 배치단계와;
    상기 절연재에 의해 상기 코일부와 절연되게 상기 분말자성 블록코아를 상기 설계된 형태에 따라 적층하여 코아부를 조립하고 절연재로 상하면 마감처리하는 코아부 조립단계와;
    상기 절연재로 감싸진 상기 코아부의 상하부의 전후좌우면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고정부가 형성된 상하 클램프를 상하부에 조립하여 상하 클램프 간에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결합하여 조립하는 클램프 조립단계를 수행하여 리액터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 코아 리액터 제조방법.
KR1020100035784A 2010-04-19 2010-04-19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84A KR100996979B1 (ko) 2010-04-19 2010-04-19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84A KR100996979B1 (ko) 2010-04-19 2010-04-19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979B1 true KR100996979B1 (ko) 2010-11-26

Family

ID=4341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84A KR100996979B1 (ko) 2010-04-19 2010-04-19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9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95Y1 (ko) 2010-12-27 2012-04-12 삼정전기공업 주식회사 직열 리액터의 코어 고정장치
KR101423178B1 (ko) * 2012-12-26 2014-07-28 (주)창성 방열구조를 갖는 인덕터
KR101615067B1 (ko) 2015-04-15 2016-04-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의 obc용 인덕터 조립체
CN110515015A (zh) * 2019-10-21 2019-11-29 贵州鑫湄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型磁传感器及其加工工艺
WO2022059823A1 (ko) 2020-09-18 2022-03-24 (주)티에스이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860A (ja) 1998-05-15 1999-11-30 Tamura Seisakusho Co Ltd ブロックコア
JP2001068352A (ja) 1999-08-24 2001-03-16 Tamura Seisakusho Co Ltd リアクター
KR100564035B1 (ko) * 2003-10-24 2006-04-04 (주)창성 연자성 금속분말을 이용한 코아 제조용 단위블록 및 이를이용한 대전류 직류중첩특성이 우수한 코아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860A (ja) 1998-05-15 1999-11-30 Tamura Seisakusho Co Ltd ブロックコア
JP2001068352A (ja) 1999-08-24 2001-03-16 Tamura Seisakusho Co Ltd リアクター
KR100564035B1 (ko) * 2003-10-24 2006-04-04 (주)창성 연자성 금속분말을 이용한 코아 제조용 단위블록 및 이를이용한 대전류 직류중첩특성이 우수한 코아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95Y1 (ko) 2010-12-27 2012-04-12 삼정전기공업 주식회사 직열 리액터의 코어 고정장치
KR101423178B1 (ko) * 2012-12-26 2014-07-28 (주)창성 방열구조를 갖는 인덕터
KR101615067B1 (ko) 2015-04-15 2016-04-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의 obc용 인덕터 조립체
CN110515015A (zh) * 2019-10-21 2019-11-29 贵州鑫湄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型磁传感器及其加工工艺
WO2022059823A1 (ko) 2020-09-18 2022-03-24 (주)티에스이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KR20220037758A (ko) 2020-09-18 2022-03-25 (주)티에스이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979B1 (ko) 무정전전원장치용 분말자성 블록코아 리액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4033830A1 (ja) 電力変換装置
EP2498266A2 (en) Reactor and power converter using the same
CN107369534B (zh) 一种三相立体叠铁芯变压器
CN105632712A (zh) 一种高频高压大功率整流变压器
CN206864283U (zh) 一种非晶合金变压器的抗短路结构
KR101506698B1 (ko) 변압기용 철심 권선 조립체
JP2013128057A (ja) スコット結線変圧器
CN103426610A (zh) 铁硅铝磁心电抗器
CN102479604A (zh) 一种单相隔离整流变压器
EP3330980B1 (en) Semi-hybrid transformer core
JP5177231B2 (ja) アーク溶接機に用いる変圧器およびアーク溶接機に用いる変圧器の組み立て方法
JP2009117442A (ja) 複合リアクトル
CN210692308U (zh) 一种电力电容滤波电抗器
JP7143235B2 (ja) 静止誘導電器用鉄心
JP7365120B2 (ja) 静止誘導機器
CN208141971U (zh) 低损耗、低噪声,抗突发短路的配电变压器
CN207183055U (zh) 大漏感变压器
CN206331879U (zh) 一种中频变压器
CN205211545U (zh) 一种供电系统中抗谐波变压器
US11190159B2 (en) Noise filter
JP2006100513A (ja) リアクトル
CN203787245U (zh) 一种改良的ups电源电感
CN215377153U (zh) 一种具有异形压粉磁心的电感
CN209561151U (zh) 铁芯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