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877B1 -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877B1
KR100996877B1 KR1020080085870A KR20080085870A KR100996877B1 KR 100996877 B1 KR100996877 B1 KR 100996877B1 KR 1020080085870 A KR1020080085870 A KR 1020080085870A KR 20080085870 A KR20080085870 A KR 20080085870A KR 100996877 B1 KR100996877 B1 KR 10099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ir pollution
region
environment index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747A (ko
Inventor
홍두일
Original Assignee
홍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두일 filed Critical 홍두일
Priority to KR102008008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8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거주지 및 사용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알려주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국의 각지역에 설치되어 해당지역의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복수의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에서 측정된 대기오염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지역별로 대기환경지수(CAI)를 산출하는 공개서버; 및 상기 공개서버에서 산출된 대기환경지수(CAI)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지역별로 코드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대기환경지수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역, 도착지역 및 출발지역과 도착지역 사이에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가 설치된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상이한 색상과 표정을 가진 캐릭터로 TV 또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셋톱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오염, 대기환경지수, 셋톱박스

Description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IR POLLUTION LEVEL}
본 발명은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을 여행하거나 업무상 방문해야될 때, 미리 방문지역의 대기 오염도를 알아보고 여행 목적지를 변경하거나 업무상 방문을 연기하는 등의 이후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별 대기 오염도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거나, 교통현황을 제공하는 전광판 등에서 해당지역의 대기 오염도를 제공하며, 또는 일기예보 등에서 대기오염도에 보통 때와는 다른 현저한 변화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만 그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상술한 인터넷을 통한 지역별 대기 오염도, 오존경보 및 미세먼지경보에 의한 대기오염경보상황 발생정보의 제공은 고객이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 하여 회원가입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전광판 및 일기예보를 통한 대기 오염도에 관한 정보의 제공은 쌍방향이 아닌 일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알고자하는 지역에 대한 대기 오염도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거주지 및 사용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알려주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국의 각지역에 설치되어 해당지역의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복수의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에서 측정된 대기오염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지역별로 대기환경지수(CAI)를 산출하는 공개서버; 및 상기 공개서버에서 산출된 대기환경지수(CAI)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지역별로 코드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대기환경지수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역, 도착지역 및 출발지역과 도착지역 사이에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가 설치된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상이한 색상과 표정을 가진 캐릭터로 TV 또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셋톱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은 이용자가 거주지 또는 특정 지역을 여행하거나 업무상 방문해야될 때, 미리 방문지역의 대기 오염도를 알아보고 여행 목적지를 변경하거나 업무상 방문을 연기하는 등의 조치를 미리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대기 오염도를 알아보고 대기 오염 도가 심각한 경우,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실외 활동에 주의 기울일 수 있도록 유도하기도 하며, 실외에 빨래를 건조시키는 것을 삼가하도록 하는 등 생활상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은 공개서버(100), 네트워크 통신망(200), 셋톱 박스(300) 및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개서버(100)는 전국에 설치된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에서 매시간 측정되는 대기오염 정보를 수신하여 대기환경지수(CAI:Comprehensive Air-Quality Index)를 시간별 또는 측정소별로 산출한다.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에서 측정되는 것으로서, 대기환경기준으로 설정된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 질소(NO2), 오존(O3) 및 미세먼지(PM10)의 수치는 상기 공개서버(100)가 대기오염물질별 인체영향과 체감 오염도를 반영하여 통합 대기환경지수를 6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대기환경지수는 대기중의 오염도를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내실정에 맞게 대기오염물질별 인체영향과 체감 오염도를 고려한 통합 대기환경지수이다.
상기 대기환경지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08062164551-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IP는 대상 오염물질의 대기지수 점수이고, CP는 대상오염물질의 대기 중 농도이고, BPHI는 특정 구간에 대한 대상 오염물질의 최대 오염도이고, BPLO는 특정 구간에 대한 대상 오염물질의 최대 오염도이고, IHI는 BPHI에 해당하는 지수 값(구간 최대 지수 값)이고, ILO는 BPLO에 해당하는 지수 값(구간 최소 지수 값)이다.
지수 A B C D E F
지수구분 좋음 보통 민감군 영향 나쁨 매우 나쁨 위험
점수
구분 값
ILO 0 51 101 151 251 351
IHI 50 100 150 250 350 500
농도구분 BPLO BPHI BPLO BPHI BPLO BPHI BPLO BPHI BPLO BPHI BPLO BPHI
SO2(ppm) 1hr 0 0.02 0.021 0.05 0.051 0.1 0.101 0.15 0.151 0.4 0.401 1
NO2(ppm) 1hr 0 0.03 0.031 0.06 0.061 0.15 0.151 0.2 0.201 0.6 0.601 2
CO(ppm) 1hr 0 2 2.01 9 9.01 12 12.01 15 15.01 30 30.01 50
O3(ppm) 1hr 0 0.04 0.041 0.08 0.081 0.12 0.121 0.3 0.301 0.5 0.501 0.6
PM10(ug/m3) 24hr 0 30 31 80 81 120 121 200 201 300 301 600
상기 표에 기재된 통합 대기환경지수의 수치는 0에서 500까지의 지수를 6단계로 나누어 점수가 커질수록 대기상태가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200)는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 셋톱 박스(300) 및 공개서버(1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공중전화망(PS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케이블 전용선 등을 포함하며 인터넷 등의 통신이 가능하다.
다수개의 상기 셋톱박스(300)는 각 가정의 TV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공개서버(100)로부터 송신되는 대기환경지수를 수신한다.
상기 셋톱박스(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310), 메모리부(320), 제어부(330), 영상 출력부(340), 사용자 입력부(350), 경로 탐색기(360), 시간 측정부(370) 및 데이터 베이스부(3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는 맵DB(381), CAI 다운DB(382), 지역코드DB(383) 및 캐릭터DB(384)를 포함한다.
상기 셋톱박스(300)의 수신부(310)는 상기 공개서버(100)가 각지역마다 설치된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들로부터 대기오염도를 수신하여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한 대기환경지수를 수신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플래시형 메모리로서, 최근 사용자의 작업정보 등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다음 작업시 신속하게 이전작업 내용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 출력부(340)는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대기환경지수를 TV이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영상 출력부(340)는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맵DB(381)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캐릭터DB(384)에 저장된 캐릭터와 대기환경지수를 매칭시켜 출력한다.
즉,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서울 서초구의 대기환경지수를 수신하고, 수신한 해당 지역의 대기환경지수가 `위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영상 출력부(340)는 상기 캐릭터DB(384)에서 표정 등으로`위험`상태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상기 대기환경지수와 함께 맵의 서울 서초구 지역에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50)는 사용자가 대기환경지수를 알고자 하는 지역의 명칭을 입력하거나 기타의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경로 탐색기(36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이 포함된 지도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맵DB(381)로부터 탐색한다.
상기 시간 측정부(370)는 상기 수신부(310)가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대기환경지수의 수신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대기환경지수의 수신시간은 상기 제어부(330)에 의해 상기 대기환경지수와 함께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CAI 다운DB(38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30)는 먼저,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대기환경지수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CAI 다운DB(382)에 저장하기도 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하는 각종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입력신호가 실행되도록 하기도 하며, 상기 영상 출력부(34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등 상술한 구성들간의 제어를 담당한다.
번호 시/군 측정소코드 측정소명 위치
1









경기도
100
수원시
10
100101 신풍동 신풍동 123-6
2 100102 인계동 인계동1111(수원시청)
3 100103 우만동

*
*
*
*
*
*
*
*
*
*
*
*
*
4 100104 영통동
5 100105 천천동
6 100106 고색동
7 성남시
20
100201 단대동
8 100202 정자1동
9 100203 수내동
10 100204 복정동
11 100205 하대원동
12
*
*
*
*
*
*
13
14
15
16
17
18
19
20 화성시
17
100171 남양동 남양동 1340
21 100172 향남면 향남면 행정리287-1

*
*
*
*
*
*
*
*





강원도
600
N-3
N-2
N-1
N
한편,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지역코드 DB(383)는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가 설치된 측정소의 지역코드가 데이트 베이스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위의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역코드 DB(383)에 저정된 측정소코드는 경기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등 각도를 백의 단위로, 시나 군은 십의 단위로, 그 이하의 동이나 면은 일의 단위로 넘버링되고, 넘버링된 도, 시 및 동의 숫자가 서로 조합되어 측정소 코드가 생성되게 된다.
위의 표2를 참고하면 경기도는 `100`으로 넘버링되고, 경기도의 수원시는 `10`으로 넘버링되며, 신풍동이 `1`로 넘버링되어, 해당숫자가 조합됨에 따라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가 설치된 신풍동의 지역코드는 `100101`로 확정되게 된다.
상기 맵DB(381)는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같이 전국각지의 맵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CAI 다운DB(382)는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들로부터 대기오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개서버(100)에 의해 산출된 대기환경지수를 상기 수신부(310)가 실시간으로 수신하면 이를 저장한다.
상기 캐릭터DB(384)는 사용자가 알고자 하여 입력한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지역의 대기환경지수에 따라 `좋음`, `보통`, `민감군 영향`, `나쁨`, `매우나쁨` 및 `위험`을 나타내는 상이한 색상과 표정을 가진 캐릭터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 박스에 의한 지역별 대기오염도를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셋톱박스(300)의 수신부(310)가 상기 공개서버(100)로부터 대기 지역별 시간별 산출된 대기환경지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이후,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대기환경지수를 상기 셋톱박스(300)의 제어부(330)가 CAI 다운DB(382)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대기환경지수를 상기 지역코드DB(383)에 저장된 지역코드와 매칭시켜(S20) 상기 CAI 다운DB(382)에 저장한다(S30).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역코드와 대기환경지수를 매칭시켜 저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대기환경지수를 알아보기 위해 입력한 지역을 수신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300)는 지역코드로 보다 신속하게 해당 지역에 대기환경지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환경지수의 CAI 다운DB(382)로의 저장단계에서는 셋톱박스(300)의 시간 측정부(370)가 측정한 대기환경지수의 수신시간을 함께 저장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환경지수의 수신시간을 함께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지역과 시간대를 입력함에 따라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셋톱박스(300)는 사용자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지역을 방문하기 위해 입력하는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의 명칭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
이때, 사용자는 방문지역의 명칭을 직접입력할 수도 있고, 지역코드를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 지역코드를 직접입력하여 해당지역의 대기환경지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셋톱박스(300)의 경로 탐색기(360)가 상기 `S40`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맵DB(381)에서 탐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
상기 경로 탐색기(360)는 상기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의 탐색시,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가 설치된 지역을 경로로 탐색한다.
상기 셋톱박스(300)의 영상 출력부(340)는 상기 경로 탐색기(360)가 상기 맵DB(381)에서 탐색한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이 표시된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맵을 배경화면으로 상기 CAI 다운DB(382)에 저장된 대기환경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0).
상기 영상 출력부(340)는 상기 대기환경지수를 표시할 때 대기환경지수의 상태가 좋고 나쁨에 따라 각기 다른 표정의 캐릭터를 함께 출력하여 그 지역의 대기상태를 더욱 사실적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의 셋톱박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Claims (7)

  1. 사용자 거주지 및 사용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알려주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국의 각지역에 설치되어 해당지역의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복수의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에서 측정된 대기오염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지역별로 대기환경지수(CAI)를 산출하는 공개서버(100); 및
    상기 공개서버(100)에서 산출된 대기환경지수(CAI)를 네트워크 통신망(200)을 통해 수신받아 지역별로 코드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대기환경지수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역, 도착지역 및 출발지역과 도착지역 사이에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가 설치된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상이한 색상과 표정을 가진 캐릭터로 TV 또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셋톱박스(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300)는
    상기 공개서버(100)에서 산출된 지역별 대기환경지수를 수신하는 수신부(310);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대기환경지수를 코드화하여 데이터 베이스부(380)에 저장하는 제어부(330);
    사용자가 출발하는 출발지역과 방문하고자하는 도착지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350);
    상기 사용자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된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을 상기 제어부(330)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로부터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기(360); 및
    상기 경로 탐색기(360)에서 탐색된 지역이 포함된 맵을 배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맵 위에 해당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수치, 문구 또는 캐릭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는
    전국 각지의 지역을 지도로서 데이터화되어 저장된 맵DB(381)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가 설치된 지역을 코드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지역코드 DB(383);
    상시 수신부(310)가 수신한 대기환경지수가 상기 지역코드 DB(383)에 저장된 지역코드와 매칭되어 저장하고 있는 CAI 다운DB(382); 및
    상기 대기환경지수의 상태에 따라 해당 대기환경지수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상이한 표정을 가진 복수의 캐릭터가 저장된 캐릭터DB(3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4. 사용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지역별 대기오염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셋톱박스(300)의 수신부(310)가 공개서버(100)로부터 지역별 대기환경지수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셋톱박스(300)의 제어부(330)가 상기 수신부(310)에 의해 수신된 대기환경지수를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CAI 다운DB(382)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셋톱박스(300)의 제어부(330)가 사용자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출발지역과 도착지역 또는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의 지역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셋톱박스(300)의 경로 탐색기(360)가 상기 (d) 단계에서 수신한 출발지역과 도착지역 또는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의 지역코드를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맵DB(381)로부터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f) 상기 셋톱박스(300)의 영상 출력부(340)가 상기 (e)단계에서 경로 탐색기(360)에 의해 탐색된 경로의 맵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CAI 다운DB(382)에 저장된 출발지역, 도착지역 및 출발지역과 도착지역 사이에 상기 대기오염 측정 단말기(400)가 설치된 지역의 대기환경지수를 상이한 색상과 표정을 가진 캐릭터로 상기 경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b)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수신부(310)에 의해 수신된 대기환경지수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80)의 지역코드DB(383)에 기저장된 지역코드와 매칭시키는 단계; 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80085870A 2008-09-01 2008-09-01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99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70A KR100996877B1 (ko) 2008-09-01 2008-09-01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70A KR100996877B1 (ko) 2008-09-01 2008-09-01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47A KR20100026747A (ko) 2010-03-10
KR100996877B1 true KR100996877B1 (ko) 2010-11-26

Family

ID=4217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870A KR100996877B1 (ko) 2008-09-01 2008-09-01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953B1 (ko) * 2010-11-22 2011-02-23 (주)크레노바 공기 성분 측정 장치가 장착된 기기와 그 기기에서의 사이버 생물 육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517332B1 (ko) * 2014-11-25 2015-05-04 백승현 공기정보 제공 시스템
CN105548478A (zh) * 2015-12-23 2016-05-04 四川长虹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室内空气质量监测系统及其方法
KR101869801B1 (ko) * 2017-07-07 2018-06-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의 야외활동을 위한 생활환경 안전 지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97769B1 (ko) * 2017-08-10 2018-09-12 울산과학기술원 대기 오염 모니터링 방법 및 대기 오염 모니터링 서버
JP7038331B2 (ja) * 2018-02-27 2022-03-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汚染表示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47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877B1 (ko) 지역별 대기오염도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US8855912B2 (en) Travel route evaluation system and travel route evaluation program
US9769102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2590118B1 (en) Posted message providing system,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028328B1 (ko) 관심 지점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046861A1 (en) System for displaying points of interest
JP7023690B2 (ja) 道路維持管理システム、道路維持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039791A1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US20090088967A1 (en) Systems, technique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assessments
MXPA06001086A (es) Aparato y metodo para grabar datos de inspeccion.
JP4461190B1 (ja) 電子機器及びナビゲーション画像表示方法
CN104075729A (zh) 一种电子地图显示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619062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397975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422765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広告配信方法
JP4347829B2 (ja) 情報登録装置、プログラム、情報登録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903565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2563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iveability and health index
Steiniger et al. Foundations of LBS
US20150149931A1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2000511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5920140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端末装置
Tsuchiya et al. Route-choice support system for passengers in the face of unexpected disturbance of train operations
Teng et al. Parking difficulty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technologies and costs
JP20181813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