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498B1 -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498B1
KR100996498B1 KR1020080072533A KR20080072533A KR100996498B1 KR 100996498 B1 KR100996498 B1 KR 100996498B1 KR 1020080072533 A KR1020080072533 A KR 1020080072533A KR 20080072533 A KR20080072533 A KR 20080072533A KR 100996498 B1 KR100996498 B1 KR 100996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lant growth
plant
p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56A (ko
Inventor
민정민
Original Assignee
민정민
농업회사법인 청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정민, 농업회사법인 청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민정민
Priority to KR102008007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3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탄, 갈탄, 이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 규장암 1 내지 50 중량부; 제올라이트 30 내지 60 중량부; 일라이트 30 내지 60 중량부; 석탄재, 연탄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 및 사문석, 견운모,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필수 미량 원소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서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자연상에 존재하는 천연광물을 이용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식물, 활성제, 광물, 미네랄, 석탄재, 연탄재

Description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A PROMOTER FOR GROWING PLANTS, AND A GROWING METHOD OF A PLAT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식물 생육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 생육 활성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농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료는 N:P2O5:K2O의 성분비가 다양한 복합비료이고, 그 외에 질산칼륨, 유안, 황안 등의 비료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유안, 황안은 값이 싸지만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시키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사용이 기피되고 있다.
이들 비료들은 시비하고 난 후, 비가 한번 오면 유효성분들이 쉽게 유실되어 자주 시비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 공고특허 제97-7097호에서는 제지 슬러지, 석탄회, 완숙퇴비, 도시하수슬러지, 시멘트 슬러지, 복합비료 및 폴리아크릴계 점도증가제 또는 폴리 비닐계 점도증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점도증가제 중에서 선택된 점도증가제로 이루어진 인공 배양토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96-22407호에서는 흡습성이 높고 가용성 규산이 풍부한 산업폐기물인 석탄회와 인분 및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97-21037호에서는 가축배설물과 여러가지 유기질 비료재료를 수분조절제인 톱밥, 왕겨, 대패밥, 수피 등과 함께 분말상태인 석탄회를 배합하여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99-31558호에서는 농업용 비료의 제조에 있어서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 배출되는 폐기물인 석탄회와 유기질 폐기물을 혼합, 발효처리하여 양호한 유·무기질 복합비료를 생산함은 물론 다량의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정화에 일익하는 석탄회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단순히 석탄회를 유기비료의 담지제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여전히 토양 산성화와 유효성분 유실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 비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천연 미네랄 성분의 식물 생육 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탄, 갈탄, 이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 규장암 1 내지 50 중량부; 제올라이트 30 내지 60 중량부; 일라이트 30 내지 60 중량부; 석탄재, 연탄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 및 사문석, 견운모,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물 생육 활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액을 식물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부위에 분사, 또는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에 포함되는 각 성분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토탄(土炭, peat)은 수생식물, 이끼류, 습지대의 풀 등이 지표 근처에 퇴적하여 생화학적으로 탄화한 것으로서, 이탄이라고도 하며, 땅 속에 묻힌 기간이 오래되지 않아 탄화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석탄으로, 목재와 갈탄의 중간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석탄과는 구별된다. 보통 유기물을 함유하며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띤다. 지층의 강한 압력을 받지 않으므로 다공질이며, 공극률은 60∼85%이다. 재료에 따라 침적토탄·섬유질토탄·목질토탄 등으로 나뉜다. 토탄은 흡습, 흡수, 흡취성(吸臭性)이 좋아서, 토지 개량제, 미생물활동촉진제 등 농업용도와 탈취제, 방부제 등의 의약용, 가정·공업용 연료, 비료, 사료제조원료로 쓰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토탄은 식물에게 필요한 다양한 양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약산성으로 항균성을 가져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번식 억제에도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갈탄(褐炭, lignite)은 석탄을 탄화도(炭化度)에 의해 구분했을 때 탄화도가 가장 낮은 범위의 석탄을 말한다. 석탄을 탄화도에 의해 구분하면 무연탄, 역청탄, 아역청탄, 및 갈탄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갈탄은 탄소성분이 약 70%가량 함유되어 있어 탄화도가 가장 낮다. 갈탄은 갈색 및 암갈색을 띠며 자연상태에서 35∼70%의 수분을 함유하고 마르면 풍화(風化)되기 쉽다. 현재 갈탄은 노천탄광에 발전소를 직접 연결시켜 전력을 일으키는 발전소용으로 주로 쓰이고 있으나, 고정탄소(수분, 휘발분 및 회분을 뺀 나머지) 함량이 적고, 물기에 젖기 쉬우며, 건조되면 가루화 되기 쉬운 특성 때문에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이탄은 5 천년에서 1만년전의 얕은 늪, 호수의 수초, 수서 미생물이 고사해서 어느 정도 부식이 된 상태로 퇴적되어 오늘에 이른 유기체를 말한다. 서울대학교에서 분석한 이탄의 성분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이탄에 포함된 유기물 함량은 74.24 중량%이며, 유기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중 이탄 1kg당 포함되는 무기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성분 K Fe Ca Mg Zn Mn Na
함량
(mg/kg)
38445.13 6196.70 3200.88 1557.32 116.66 128.94 692.17
상기 표 1의 결과는 어디까지나, 특정 이탄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서,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이탄의 성분은 상기 표 1의 결과와 상이한 결과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이탄의 성분이 상기 분석결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탄은 서서히 분해되면서 식물의 필요한 영양원소를 방출하며, 토양의 염분 완화 기능을 하고, 토양의 중금속 오염 정화작용을 하며, 토양의 완충능력을 증가시켜 토양의 산/알칼리 반응을 완화한다. 또한, 토양에 유리한 미생물 활동을 제공하여 토양 내에 유익한 미생물이 병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며, 농약 혹은 천연적인 독성물질의 분해작용을 촉진한다. 아울러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토양개량제(이탄)는 작물을 재배하기 전에 시용하고 토양과 잘 혼합시킨 후에 질소비료를 주고 작물을 재배합니다. 이렇게 해야 앞에서 말씀드린 물리성 개량 효과(토질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토탄, 갈탄, 이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서 우수한 식물 생육 활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장암(硅長岩, felsite)은 검정·암록·회색을 제외한 색깔로, 조밀하고 미립자로 이루어진 화산암으로서, 이런 종류의 암석은 용해된 바위 또는 마그마가 식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큰 수정이 만들어질 시간이 없을 때 형성된다. 규장암의 주된 구성요소는 석영·장석 등과 갈라진 틈이 있는 화산성 유리이며, 풍화하여 고령토(고토화)로 되기 쉬우며, 식물의 줄기와 잎을 빳빳하게 하고, 규화세포를 형성하여 도열병 등의 병해나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며, 질소의 과잉흡수를 억제하고, 내도복성을 강화하고 경엽의 수광태세를 좋게 하여 탄소동화작용을 촉진하고 이로 인하여 등숙률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규장암이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서 적절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서는 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5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이온교환성을 지닌 규산질로서, 통상 제올라이트라고 말할 때에는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제올라이트 뿐만 아니라, 인공적으로 합성한 인조제올라이트도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제올라이트의 특성으로는 이온 교환체로서의 용도를 가지며, 골격구조의 공공(空孔)의 크기를 다양하게 바꿈으로써, 크기에 따른 분자를 선택해서 흡착하는 흡착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올라이트 A (미국의 린데사에서 린데시브 4A로 시판)는 Na12[Al12Si12O48]·NaAlO2·29H2O로서 약 0.4㎚의 공공을 가지며, N2, O2, CH4, H2O, NH3 등의 분자를 흡착한다. 제올라이트의 칼슘염인 제올라이트 5A는 Ca4Na4[Al12Si12O48]로서 약 0.5㎚의 공공이 있으며 C14까지의 n-파라핀, n-올레핀, n-알코올을 흡착하지만 곁사슬이 있는 유기분자는 흡착하지 않는다.
이 밖에 테트라메틸암모늄염으로 만든 제올라이트 NA (Na4{(CH3)4N}3[Al7Si17O48]·21H2O) 등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올라이트는 반드시 상기의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신생대 3기의 화산회가 열수에 의한 속성작용을 받아 생성된 광물로 물분자가 결정수 형태로 구조 중에 존재하는 함수 알루미나 규산염 광물이다. 제올라이트는 그리스어의 '비등하는 돌' 이란 뜻에서 유래된 명칭이며, 급히 가열하면 거품이 나서 끓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제올라이트의 결정수는 물분자로 있기 때문에 가열에 따라 탈수돼도 구조는 파괴되지 않고 물분자가 있던 곳은 공간으로 남아 마치 스펀지와 같이 되며, 다시 그 사이에 수분이나 가스를 흡착하여 원상으로 복귀하는 특성이 있다.
제올라이트는 결정형의 미세다공질로 물과 비료를 잘 보관할 수 있으며, 점차력이 좋아 땅을 부드럽게 하며, 피트모스ㆍ바크ㆍ코코피트 같은 재료들과 섞어 배양토(상토,배토)의 원료로도 쓰일 수 있다. 제올라이트 비료는 통상적으로 양이온치환용량(CEC)이 100g당 80me이상이며, 최대 수분함유율 12 중량% 이하이고, 분말도는 850 ㎛ 체에 90%이상인 특징이 있으나, 이는 제올라이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한 예일 뿐,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가 반드시 상기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인체와 동물, 식물에 무독성이며, 산과 알카리 등 화학 물질에도 안정한 특성 때문에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제올라이트가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서 산과 알카리 등 화학 물질에도 안정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30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6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올라이트에는 알루미늄 철 마그네슘 인산 등 여러 가지 미량요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온조절작용으로 토양의 산성화를 중화시키며 산소를 발생시켜 뿌리 썩음을 방지한다. 뿌리의 활착이 양호하고 보수력과 통기성이 좋아 물관리가 용이하다. 뿌리와 벌브가 건실하게 자라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게 만들어준다. 오랜기간 사용하면 기공에 오염물질이 끼어 역할이 약해지므로 다른 배양토와 혼합해 쓴다.
상기 일라이트(illite)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서, 화학조성식으로는 (K, H3O)Al2(Si, Al)4O10(H2O, OH)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부성분은 Fe3 +, Fe2 +, Mg이고 단사정계에 속한다. 백운모와 화학조성이 매우 비슷하지만 층간(層間)의 알칼리 이온이 부족하고, 이 때문에 그 부족함을 히드로늄 이온이 보충하고 있다. 일라이트는 미세한 백색운모의 총칭으로 사용되며, 화학조성상뿐 아니라 결정학적 성질이 다른 것을 함유할 수 있다. 주로 셰일, 산성화산암, 화성쇄설암 기원의 변질암 속이나 이질(泥質) 퇴적암 속에 널리 분포하며, 다른 점토광물보다 점착력이 낮고, 중금속 흡착, 유독가스 흡착,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 특성이 뛰어나다. 또한, 염류집적으로 인한 연작피해 방지 토양의 통기성 향상으로 뿌리활력 증강 작물의 절간을 짧게 해 수확량의 안전화 유도하고, 용존산소량 증가로 토양의 지력 향상과, 작물의 수확량 증대 및 당도 향상, 병충해 발생 억제와, 토양의 산성화를 중성(알카리성)으로 되돌리고, 유익한 미생물 증식으로 토양의 안정화 유지 하는 등의 작물의 안전하게 성장하는 데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일라이트가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서 위와 같은 효과를 적절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30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6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게르마늄 함유 토양비료 시비 분석결과 >

시료명
시료A 시료B

상추
큰잎: 1.34ppb 작은잎: 5.55ppb

고추
청초: 19.62ppb 홍초: 38.06ppb

상기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의뢰하여 원소분석기기로 시험검사한 결과임.
상기 석탄재 및 연탄재는 석탄 및 연탄을 태우고 남은 재를 말하며, 연탄재를 성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성분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TiO2 MnO P2O5 Ig.
loss
함량
(중량%)
57.3 27.4 6.5 1.2 1.1 3.6 0.3 1.5 0.1 0.2 0.8
상기 표 2의 결과는 어디까지나, 특정 연탄재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서, 당 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연탄재의 성분은 상기 표 2의 결과와 상이한 결과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연탄재의 성분이 상기 분석결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석탄재 및 연탄재 내에는 상당량의 게르마늄이나 셀레늄 광물질이 함유되어 작물에 이로운 균을 응집시켜 뿌리를 통해 영양분의 흡수력을 증강시키고, 식물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하고, 열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게르마늄 광물질을 살포한 후 토양을 검사한 결과 토착병 감소, 지렁이와 미생물이 많이 서식해 수세가 왕성하여 농약의 살포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석탄재, 연탄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서 뿌리를 통해 영양분의 흡수력을 증강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올라이트와 일라이트는 우수한 흡착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게르마늄이나 셀레늄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제올라이트와 일라이트에 게르마늄이나 셀레늄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석탄재 및 연탄재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석탄재, 또는 연탄재 등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포함될 수 있는 게르마늄 및 셀레늄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보다 나은 식물 생육 활성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체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 0.1 ppm 내지 1000 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문석(蛇紋石 serpentine)은 사문암을 구성하는 함수 마그네슘층상 규산염광물로서, 화학조성식 상으로는 Mg6Si4O10(OH)8로 나타낼 수 있고, 부성분은 철·니켈이며, 결정계는 단사정계·사방정계이다. 다형(多形, polymorph)과 다형(多型, polytype)이 많이 있으나, 주된 것은 안티고라이트(葉蛇紋石), 리저다이트, 크리소타일(纖維蛇紋石)의 3종이다. 사문석은 초염기성암이 열수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다른 암석 가운데서도 마그네슘규산염광물의 분해로 인해서 쉽게 생긴다. 부드럽고, 절단·연마가 쉬우므로 색이 아름다운 것은 장식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으며, 산화 마그네슘(MgO)이 풍부하고 원적외선선의 방사기능을 갖는 것으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토양 개량제의 특성 때문에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생명력의 원천인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칼슘, 철분, 규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식물의 생육활성에 효과가 있다.
상기 견운모(絹雲母 sericite)는 칼륨을 함유하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 백운모의 미세종으로서, 화학조성식 상으로는 K0-1(Al, Si3O10)·2H2O+nH2O (상기 n은 정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 흰색 또는 회색이나 드물게 담록색을 띠는 것도 있으며, 소량의 크롬과 철을 함유하여 녹색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저온열수작용(低溫熱水作用)으로 생성되나 열수성(熱水性) 금속광상에 수반되어 산출되는 것도 많으며, 저변성도(低變成度)의 결정편암(結晶片岩) 즉 견운모편암의 주요한 구성광물로 산출된다. 대개는 좋은 품질은 도자기 원료로 이용되며 내화물 혼합재, 용접봉의 플럭스 원료 등에 쓰이지만, 점토질성의 미립토로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을 개선하여 식물의 뿌리를 각종 미네랄을 흡수하고, 미생물이 살기 좋은 토질로 변형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견운모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항균 및 탈취 효과, 세포 활성화, 신진대사 촉진, 토양개선, 미생물 생장 촉진 효과를 가진 광석으로 옛날부터 질병을 치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사문석, 견운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내에서 위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5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는 필요에 따라서 한약 찌꺼기, 음식물 찌꺼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약 찌꺼기라 함은 인체에 특별한 효과가 있는 풀뿌리나 열매, 나무껍질 따위를 달이거나 하는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남은 잔재를 말하는 것으로서, 어떤 하나의 한약 종류로만 한정됨 없이 통상의 한의원에서 다루는 모든 한약 재료의 찌꺼기를 의미한다. 상기 한약 찌꺼기는 한약의 종류와 상관 없이 식물의 생육 활성에 유리한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이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경우에는 보다 우수한 식물 생육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식물 찌꺼기라 함은 일상생활에서 배출하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음식물 찌꺼기 처리 시설을 거쳐 배출된 분말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음식물 찌꺼기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쇄, 및 미생물 처리 공정 등을 포함하는 처리공정에 따라 처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유기물의 함량은 대략 20~95 중량% 정도이며, 평균값은 83 중량% 정도로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질소함량도 0.7~7 중량%의 범위로 평균 3.3 중량% 정도의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인산과 칼륨의 평균 함량도 각각 1.2 중량%와 0.4 중량% 정도로 높고, 특히 퇴비원료로도 많이 쓰이는 돈분 퇴비와 비교하여 볼 때 질소와 인산의 비율이 비교적 좋다. 또한, 중금속 함량이 있어서도 다른 퇴비원료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에 이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식물 생육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음식물 찌꺼기와 관련하여 기재된 수치는 음식물 찌꺼기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한 예일 뿐, 본 발명의 음식물 찌꺼기가 반드시 상기 기재된 수치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에 포함되는 한약 찌꺼기 또는 음식물 찌꺼기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첨가에 따른 최소한도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사용량 대비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는 앞서 기재된 각 성분들을 혼합 분쇄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토양의 특성이나 식물의 특성에 따라 입자의 크기 등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혼합 분쇄 후에 150 내지 1000 메쉬의 망으로 입자를 걸러 필요에 따라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는 분말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식물의 재배에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를 물에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액을 식물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부위에 분사, 또는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방법에 따라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물과 식물 생육 활성제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특정한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작업의 용이성이나 효과 측면에서는 물 1 톤당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100 g 내지 10 kg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반드시 상기의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말상이나 페이스트상의 그 제형 자체로서 토양과 혼합시키거나, 식물에 뿌려주는 방식 등, 당업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범위에서 상기 기재된 방식과 다른 용이한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필수 미량 원소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서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자연상에 존재하는 천연광물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토탄 10 중량부, 규장암 20 중량부; 제올라이트 30 중량부; 일라이트 30 중량부; 석탄재 10 중량부; 및 사문석 20 중량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및 혼합하고, 150 메쉬의 망으로 걸러 식물 생육 활성제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갈탄 10 중량부, 규장암 20 중량부; 제올라이트 50 중량부; 일라이트 50 중량부; 연탄재 10 중량부; 및 견운모 20 중량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및 혼합하고, 300 메쉬의 망으로 걸러 식물 생육 활성제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탄 20 중량부, 규장암 5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 중량부; 일라이트 40 중량부; 연탄재 20 중량부; 및 견운모 50 중량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및 혼합하고, 500 메쉬의 망으로 걸러 식물 생육 활성제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토탄 및 갈탄의 혼합물 (중량비 1:1) 20 중량부, 규장암 50 중량부; 제올라이트 60 중량부; 일라이트 60 중량부; 석탄재 및 연탄재의 혼합물(중량비 1:1) 10 중량부; 및 사문석 및 견운모의 혼합물 (중량비 1:1) 50 중량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및 혼합하고, 700 메쉬의 망으로 걸러 식물 생육 활성제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토탄, 갈탄 및 이탄의 혼합물 (중량비 1:1:1) 10 중량부, 규장암 20 중량부; 제올라이트 20 중량부; 일라이트 20 중량부; 석탄재 20 중량부; 및 사문석 20 중량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및 혼합하고, 1000 메쉬의 망으로 거른 후, 여기에 다시 한약 찌꺼기(시중 한의원에서 입수) 1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분쇄 및 혼합하여 식물 생육 활성제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토탄, 갈탄 및 이탄의 혼합물 (중량비 1:1:1) 30 중량부, 규장암 50 중량부; 제올라이트 20 중량부; 일라이트 20 중량부; 석탄재 및 연탄재의 혼합물 (중량비 1:1) 20 중량부; 및 사문석 20 중량부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및 혼합하고, 1000 메쉬의 망으로 거른 후, 여기에 다시 음식물 찌꺼기 (음식물 처리 시설에서 입수) 1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분쇄 및 혼합하여 식물 생육 활성제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 생육 활성제는 토양에서 식물이 각종 미네랄을 흡수하고 미 생물이 살기 좋은 토질로 변형시키며, 결국 산성화된 토질을 알칼리화시켜 지력을 높여 줌으로써 별도의 비료를 뿌리지 않아도 되는 것이고, 이는 상기와 같은 유용한 미네랄이 많은 토양활성제를 사용하므로 토양에 부족한 성분을 보충하여 식물 생육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농업 및 임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토탄, 갈탄, 이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
    규장암 1 내지 50 중량부;
    제올라이트 30 내지 60 중량부;
    일라이트 30 내지 60 중량부;
    석탄재, 연탄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 및
    사문석, 견운모,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석탄재, 또는 연탄재 중 어느 하나 또 그 이상이 게르마늄 또는 셀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식물 생육 활성제.
  2. 제1항에 있어서, 한약 찌꺼기, 음식물 찌꺼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식물 생육 활성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또는 셀레늄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함량이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전체에 대하여 0.1 ppm 내지 1000 ppm인 식물 생육 활성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식물 생육 활성제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액을 식물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부위에 분사, 또는 분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또는 셀레늄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함량이 상기 식물 생육 활성제 전체에 대하여 0.1 ppm 내지 1000 ppm인 식물 재배 방법.
KR1020080072533A 2008-07-25 2008-07-25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KR10099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533A KR100996498B1 (ko) 2008-07-25 2008-07-25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533A KR100996498B1 (ko) 2008-07-25 2008-07-25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56A KR20100011356A (ko) 2010-02-03
KR100996498B1 true KR100996498B1 (ko) 2010-11-25

Family

ID=4208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533A KR100996498B1 (ko) 2008-07-25 2008-07-25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55B1 (ko) 2011-02-24 2013-06-27 김채만 기능성 상토 제조방법
KR101754717B1 (ko) 2016-07-21 2017-07-06 최상일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1893216B1 (ko) * 2015-10-13 2018-08-29 이돈복 광물을 이용한 잔디 생육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4906A (ko) 2017-10-23 2019-05-02 (주) 웰그로 펠렛 타입의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6547A (zh) * 2015-07-27 2015-09-23 蒋文兰 蛇纹石尾矿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CN105110869A (zh) * 2015-07-27 2015-12-02 蒋文兰 石灰残渣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CN104926552A (zh) * 2015-07-27 2015-09-23 蒋文兰 磷石膏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CN104926548A (zh) * 2015-07-27 2015-09-23 蒋文兰 高岭土尾矿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CN105110874A (zh) * 2015-07-27 2015-12-02 蒋文兰 火山碎屑岩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CN105110873A (zh) * 2015-07-27 2015-12-02 蒋文兰 海泡石尾矿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CN105110876A (zh) * 2015-07-27 2015-12-02 蒋文兰 海泡石炭化营养土的生产方法
KR102006756B1 (ko) * 2017-05-22 2019-08-02 박승구 유황성분이 풍부한 광물을 포함하는 식물성장촉진용 첨가제
KR102135464B1 (ko) * 2020-01-23 2020-07-17 주식회사 하이테크글로벌 활성 액상 미네랄의 제조방법
KR102605307B1 (ko) * 2021-07-01 2023-11-23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55B1 (ko) 2011-02-24 2013-06-27 김채만 기능성 상토 제조방법
KR101893216B1 (ko) * 2015-10-13 2018-08-29 이돈복 광물을 이용한 잔디 생육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4717B1 (ko) 2016-07-21 2017-07-06 최상일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KR20190044906A (ko) 2017-10-23 2019-05-02 (주) 웰그로 펠렛 타입의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56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498B1 (ko) 식물 생육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KR101933147B1 (ko)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이용한 상토 조성물, 토양개량제, 유기질비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8276B1 (ko) 바이오차를 활용한 유기 탄소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3146B1 (ko) 바이오차를 이용한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U2008281561B2 (en) Charcoals
KR20190018184A (ko) 바이오차를 이용한 입상형 토양개량제 및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47979A1 (zh) 一种铁硅硫多元素复合生物炭土壤重金属调理剂的制备方法
KR102032335B1 (ko) 발전소 저회 및 비회 가공물을 이용한 생육보조 기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CA2874890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CN107827599A (zh) 粉煤灰盐碱地绿化植树土壤调理剂
CN104803773A (zh) 一种中药渣生物质炭基复合肥及其制备方法
KR101277855B1 (ko) 기능성 상토 제조방법
JPH04104736A (ja) フライアッシュ含有植物用培地材
KR101925909B1 (ko)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JP5205588B2 (ja) 人工ゼオライトを含む培養土改良材及び培養土
KR101168754B1 (ko) 광물을 이용한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130072B (zh) 活性炭残渣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KR102056285B1 (ko) 탄닌 저감 방식의 코코피트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코피트를 포함하는 식물처리제
KR20110021084A (ko) 토양개선제의 제조방법
JP2005089615A (ja) 腐植酸液の製造方法
CN111943778A (zh) 一种有机农业酸性土壤钾调理剂
KR102418221B1 (ko) 도시 환경 정비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지목 또는 교체목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이오차를 활용한 탄소 저장 및 순환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96099B1 (ko) 임해지, 쓰레기매립지, 척박지, 골프장 조성지의토양개량을 위한 배합토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209B1 (ko) 친환경 절개지사면 녹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721683A (zh) 生活垃圾盐碱地绿化植树土壤调理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