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43B1 -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43B1
KR100996243B1 KR1020090008237A KR20090008237A KR100996243B1 KR 100996243 B1 KR100996243 B1 KR 100996243B1 KR 1020090008237 A KR1020090008237 A KR 1020090008237A KR 20090008237 A KR20090008237 A KR 20090008237A KR 100996243 B1 KR100996243 B1 KR 10099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user
information
health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138A (ko
Inventor
도희찬
Original Assignee
도희찬
(주)유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희찬, (주)유리정보 filed Critical 도희찬
Priority to KR102009000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 진단대상자로부터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사람의 다양한 신체 및 식습관, 혈압, 혈당, 체지방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건강 진단대상자의 자동으로 건강체력 평가 및 건강 관리 방법을 안내하여 맞춤형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측정 순서가 지정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측정 순서를 알려주어서 사용자에 대해 각기 담당하는 신체 기능을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측정 순서에 맞게 근거리 통신부을 통해 전송하는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와;
신체 기능의 측정을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에 의해 구별하여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 순서를 지정하며, 측정 순서를 지정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순서에 맞게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통합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사용자별 측정 데이터를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인체, 측정, 시스템, 자가, 건강, 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 데이터

Description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Self system for measuring human body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 진단대상자로부터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사람의 다양한 신체 및 식습관, 혈압, 혈당, 체지방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건강 진단대상자의 자동으로 건강체력 평가 및 건강 관리 방법을 안내하여 맞춤형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적인 풍요로움에 따라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는데 반하여 각종 질병도 빠르게 증가되는 추세인 바, 교통수단의 발전 등으로 인한 운동 부족, 패스트푸드나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의 음식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비만이나 당뇨병 등의 각종 성인병이 꾸준히 증가되는 상황이고, 환경 파괴나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 호르몬에 의한 질병이나 바이러스성 질병이 가파르게 증가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각종 질병의 빠른 증가 추세에 따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게 증가되고 있는 상황인 바, 최근에는 질병의 예방 및 건강의 증진을 위해 다양한 운동 요법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각종 건강식품 및 식이 요법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의료적인 방법에 의한 질병의 예방을 위해 각종 신체 기능 측정 기기가 구비되어 있는 병원이나 의료 기관을 사용자가 직접 방문하여 신체 기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기 건강 진단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정기적인 건강 진단 서비스는 다양한 신체 기능 측정 기기를 통해 측정된 신체 기능의 측정 결과를 의료진이 분석하여 건강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행해지는 정기 건강 진단 서비스가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사용자가 시간을 할애하고 직접 해당 기관을 방문하여 장시간동안 각종 신체 기능들을 측정해야 하는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현재는 혈압기나 혈당기 등과 같이 의료진의 도움 없이 신체 기능을 측정하여 질병 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중/저가의 측정 기기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혈압기나 혈당기 등과 같은 측정 기기들은 사용자의 부분적인 신체 기능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각 부분별 측정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체 기능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어렵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의 종합적인 신체 기능 측정을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병원이나 의료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서 장시간동안 측정에 응해야 한다는 불리함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신체 기능을 다양하게 측정할 다수의 측정 기기들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다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구분하여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측정하고, 각각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효율적으로 취합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측정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효율적인 측정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양한 신체 기능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종합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되는 다양한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주기적인 측정에 따른 개인의 건강관리를 체크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개인의 건강관리가 저장된 통합건강관리서버를 통해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되어 건강상태를 관리해 주는 개인의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통해 개인이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작동의 간소화와 편리성을 주며, 빠른 시간내에 건강상태의 빠른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도록 하며,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의 측정방법에 따른 정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개인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측정 순서가 지정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측정 순서를 알려주어서 사용자에 대해 각기 담당하는 신체 기능을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측정 순서에 맞 게 근거리 통신부을 통해 전송하는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와;
신체 기능의 측정을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에 의해 구별하여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 순서를 지정하며, 측정 순서를 지정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순서에 맞게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통합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사용자별 측정 데이터를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에서 측정되는 신체 기능은 혈압, 혈당, 키, 몸무게, 체지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체 기능의 측정을 소망하는 사용자에 의해 측정 관리 장치에서 각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측정 관리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건강 관리 서버에 각 사용자 ID의 등록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서 각 사용자별로 사용자 ID가 미리 등록되어, 상기 측정 관리 장치에 사용자 ID의 등록 여부와, 사용자 ID에 대해 측정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측정 디바이스에서 현재 서열의 신체 기능을 측정할 측정 대상 ID를 지정하는 측정 대상 ID 표시 정보와,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현재 측정할 디바이스를 지정해 주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표시 정보,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신체 기능을 측정해야할 전체 측정 디바이스의 목록과 측정치 및, 측정 완료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디바이스 측정현황 표시정보를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하는 단계; 및
측정 서열에 따라 순서적으로 측정되는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통합건강관리서버로 수신받아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되어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상태를 출력하기 전에 식습관평가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사람의 다양한 신체 기능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유/무선 서버를 통해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제공하여 개인별로 건강 상태를 통합 분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측정 관리 장치에서 각 사용자별로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 순서를 지정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여 주거나, 측정 순서가 정해진 사용자 정보를 각 측정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각 측정 디바이스에서 각 사용자별 측정 순서 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병원이나 의료 기관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사람의 신체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신체 기능의 측정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측정 순서가 지정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측정 순서를 알려주어서 사용자에 대해 각기 담당하는 신체 기능을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측정 순서에 맞게 근거리 통신부을 통해 전송하는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와;
신체 기능의 측정을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에 의해 구별하여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 순서를 지정하며, 측정 순서를 지정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순서에 맞게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통합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사용자별 측정 데이터를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은,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와, 모니 터와 연결되어 있는 통합건강관리서버,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는 예컨대 혈압, 혈당, 체지방 등과 같이 각기 담당하는 신체 기능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각 송수신부를 구비하여 각각 측정한 신체 기능 데이터를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는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각자의 신체 기능을 측정할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를 입력받아서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ID의 등록 여부와, 입력된 ID에 대해서 측정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종류를 파악하고, 각 사용자 ID별로 신체 기능을 측정할 디바이스를 지정하여 모니터를 통해 확인 표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하여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취합하고서, 그 취합된 각 사용자 ID별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서 신체 기능의 측정을 위해 입력되는 사용자 ID는, 해당 입력부를 통해 각 사용자의 인적 사항과, 신체 특징과 병력, 정신 상태 분석을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자신의 고유 ID를 설정함에 의해, 인적 사항과 설문지 데이터 및 고유 ID 설정 데이터를 입력 정보를 통해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온라인 또는 직접입력으로 등록함으로써, 신체 기능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ID로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ID의 등록은 오프라인 상에서 통합건강관리서버의 관리자를 통해서 인적 사항과 설문지의 작성, 고유 ID의 설정을 진행하여 등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부와, 입력부, 모니터부, 통합건강관리서 버,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가 인체측정시스템내에 측정 디바이스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에 각각 구비된 송수신부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터블 또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각 송수신부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ID의 등록을 위한 인적 사항 및 설문지 내용의 작성를 위한 키입력과, 측정 디바이스를 통한 신체 측정을 위해 사용자 ID를 키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 키버튼을 갖추고 있다.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는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에 대해 각각 고유하게 지정된 디바이스 코드가 저장되어 있고, 신체 측정 대상으로 입력된 사용자 ID와, 각 사용자 ID별로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되는 신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가 입력되면,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ID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정식 등록된 사용자 ID별로 측정 가능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받아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각 측정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함과 더불어, 사용자 ID별로 신체를 측정할 디바이스를 미리 설정된 측정 서열 정보에 따라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하고, 화면 표시된 측정 순서에 대응하는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였다가,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의 건강측정결과를 취합 및 건강상태를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서 신체 기능 측정이 모두 완료되면, 전체적인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프린트를 통해 상기 건강 관리대상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측정 디바이스가 내/외장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은 특정 사용자 ID에 대해 복수의 측정 디바이스를 통한 신체 기능 측정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중에서 현재 신체 기능을 측정할 측정 대상 ID를 지정하는 측정 대상 ID 표시 정보와,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현재 측정할 디바이스를 지정해 주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표시정보,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신체 기능을 측정해야할 전체 측정 디바이스의 목록과 측정치 및, 측정 완료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디바이스 측정현황 표시 정보를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측정 대상 ID 표시 정보를 보고 자신이 현제 신체 기능을 측정할 순서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메시지 표시 정보를 보고 자신이 현재 소정 신체 기능을 측정할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디바이스 측정현황 표시 정보를 보고 각 측정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신이 측정한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는 개인별 기능 및 시스템 구성을 갖는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개인별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ID 등록 여부 확인 요청에 의해 기등록된 사용자 ID의 등록 확인 정보와, 사용자 ID에 대해 측정 가능한 측정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ID에 대한 측정 가능한 측정 디바이스의 정보는, 각 사용자의 성별, 연령, 개인의 신체 특징, 거주지역, 질병력, 이전의 측정 이력 정보 등을 토대로 각 사용자마다 구분적으로 측정 디바이스를 적용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남자나 여자 어린이의 경우에는 태아 상태의 측정 디바이스로 측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측정 가능 디바이스로서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ID에 대한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면, 각 사용자 ID별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고, 그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건강 분석 및 평가 정보, 통계 정보, 분류 군 정보, 그 분류군 정보에 따라 지정되는 맞춤형 건강 관리 프로그램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를 통해 등록된 모든 사용자 ID의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누적 저장하고, 그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생성되는 건강 분석 및 평가 정보, 통계 정보, 분류군 정보, 그 분류군 정보에 따라 지정되는 맞춤형 건강관리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 즉, 혈압, 혈당, 체지방 등에 대한 측정 데이터는,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서 관리되어 출력에 대한 결과 통보를 위해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된다.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와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하는 건강정보 통합 분석 및 평가,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건강 정보의 누적 관리,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 관리, 건강 분류군 중에서 위험군에 속한 사용자에 대한 위험경고표시, 통합 건강 정보의 운영 관리를 수행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공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를 통해서 신체 측정을 원하는 사용자의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게 되고(단계 S 1),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ID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 ID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 2).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서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 ID가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입력부에 나타내게 되며(S 3), 등록된 사용자 ID이면 그 등록 여부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측정이 가능한 측정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ID의 등록여부 정보 및, 측정 가능한 측정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 중에서 유효하게 등록된 사용자 ID가 측정 가능한 측정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을 진행하여 각 디바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 4).
상기 단계 S 4에서는 상기 사용자 ID가 측정 가능한 측정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활성화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면, 상기 측정 디바이스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측정 서열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측정되는 대상 ID에 대한 측정대상 ID 표시 정보와, 상기 측정 서열 정보에서 정해진 서열에 따라 측정 디바이스로 신체 기능을 순서적으로 측정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 표시 정보, 전체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치 및 측정 완료 상태를 안내하는 디바이스 측정현황 표시 정보를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된 정보를 보고 현재 측정할 측정 디바이스를 알아내어 해당되는 신체 기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ID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대상 ID의 순서를 소정의 규칙(예컨대 ID의 입력 순서)에 따라 설정하고, 각 사용자 ID별로 순차적으로 신체 기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되, 각 사용자 ID의 측정할 디바이스에 대한 측정 서열정보를 기초로 측정 디바이스의 신체 기능 측정을 순서적으로 안내한다.
또한, 단계 S 4는 상기 측정 다비이스는 상기 모니터 상에서 메시지 표시 정보를 통해 안내하는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해당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해당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오류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오류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 상에 해당 측정 디바이스로의 재측정을 요구하는 안내 메시지가 화면 표시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단계 S 4의 판단 결과로 상기 모니터의 메시지 표시 정보를 통해 측정을 안내한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전체 사용자 ID에 대해 전체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각자의 신체 측정을 위해 입력되는 전체 사용자 ID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 4에서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지만, 전체 사용자 ID별로 전체 측정 디바이스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측정 관리 장치 코드와, 각 사용자 ID별로 측정된 각 측정 유형별 측정 데이터를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한다(단계 S 5).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받은 각 사용자 ID별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를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고, 상기 신체 기능 측정 데이터와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된 측정 데이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인별로 맞춤형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생성하게 된다(단계 S 6).
또한, 상기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즉,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건강상태의 결과를 정보를 출력하기 전(前)의 프린터를 통해 진단결과가 출력되기 전(前)을 말하는 것으로 모니터에 식습관평가를 위한 설문지가 표시되어 설문지 작성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설문지의 정보를 다시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저장되어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측정 데이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인별로 맞춤형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생성하게 된다(단계 S 7).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식화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의 모니터에 측정방법 순서에 따른 화면구성도.

Claims (4)

  1. 측정 순서가 지정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측정 순서를 알려주어서 사용자에 대해 각기 담당하는 신체 기능을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측정 순서에 맞게 근거리 통신부을 통해 전송하는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와;
    신체 기능의 측정을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에 의해 구별하여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 순서를 지정하며, 측정 순서를 지정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순서에 맞게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통합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통합건강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사용자별 측정 데이터를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에서 측정되는 신체 기능은 혈압, 혈당, 키, 몸무게, 체지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3. 신체 기능의 측정을 소망하는 사용자에 의해 측정 관리 장치에서 각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측정 관리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건강 관리 서버에 각 사용자 ID의 등록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통합 건강 관리 서버에서 각 사용자별로 사용자 ID가 미리 등록되어, 상기 측정 관리 장치에 사용자 ID의 등록 여부와, 사용자 ID에 대해 측정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측정 디바이스에서 현재 서열의 신체 기능을 측정할 측정 대상 ID를 지정하는 측정 대상 ID 표시 정보와,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현재 측정할 디바이스를 지정해 주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표시 정보, 해당 사용자 ID에 대해 신체 기능을 측정해야할 전체 측정 디바이스의 목록과 측정치 및, 측정 완료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디바이스 측정현황 표시정보를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하는 단계; 및
    측정 서열에 따라 순서적으로 측정되는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통합건강관리서버로 수신받아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는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인체측정시스템의 측정 방법.
  4. 삭제
KR1020090008237A 2009-02-03 2009-02-03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10099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237A KR100996243B1 (ko) 2009-02-03 2009-02-03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237A KR100996243B1 (ko) 2009-02-03 2009-02-03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38A KR20100089138A (ko) 2010-08-12
KR100996243B1 true KR100996243B1 (ko) 2010-11-23

Family

ID=4275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237A KR100996243B1 (ko) 2009-02-03 2009-02-03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2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38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9104B2 (en) Heart age assessment
RU2507576C2 (ru) Система получе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данных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обследования
KR100755974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CN110832602B (zh) 利用软件进行健康状态判定的装置、及健康状态判定方法
KR20120076615A (ko)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CN105659239A (zh) 评估无线传感器与被监测患者之间的关联的系统和方法
CN104768460A (zh) 用于测量肺容量和耐力的系统和方法
US10872694B2 (en) Software, health cond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health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EP2458518A2 (en) Remote healthcare system and healthcare method using the same
WO2013136611A1 (ja) 生体情報表示方法、生体情報表示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693861B1 (ko)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측정 디바이스의 신체 측정 시스템및 그 방법과 신체 측정 디바이스
WO2021044520A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JP2018175840A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JP2016194821A (ja) 保険契約支援装置、保険契約支援方法、および保険契約支援プログラム
US201300356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health screening form
JP7076967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WO2021140670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KR20140090448A (ko) 의료 관리 서버 및 그것의 의료 관리 방법
KR100996243B1 (ko) 자가 인체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101873811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원격 상담 방법 및 장치
KR100735474B1 (ko)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210467338U (zh) 一种健康监测一体机
TW201827013A (zh) 生理參數監測系統
JP2016194820A (ja) 保険データ提供装置、保険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保険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JP2020010852A (ja) 宿泊施設における生体データ取得システム、生体データ取得方法、及び、生体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