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146B1 -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146B1
KR100996146B1 KR1020100071200A KR20100071200A KR100996146B1 KR 100996146 B1 KR100996146 B1 KR 100996146B1 KR 1020100071200 A KR1020100071200 A KR 1020100071200A KR 20100071200 A KR20100071200 A KR 20100071200A KR 100996146 B1 KR100996146 B1 KR 10099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connector
pin
control unit
housing
displace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암형 커넥터를 실장시, 암형 커넥터 후방에 돌출되는 핀이 커넥터 내부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개방되어 암형 커넥터의 단자가 수용되는 전방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형성되는 후방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수용부와 후방수용부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며, 일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암형 커넥터의 핀과 접촉하여 핀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핀 지지블록; 상기 후방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핀 지지블록 일단에 나사산 결합함으로써, 해당 핀 지지블록의 길이방향 이동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변위조절부에 삽입되어, 해당 변위조절부의 원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길이방향 이동은 구속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를 제공하여, 암형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시, 핀 지지블록이 핀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외부 힘에 의해 핀이 암형 커넥터 내부로 들어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FIX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CENTER CONTACT FIN OF FEMAIL CONNECTOR}
본 발명은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CB)에 암형 커넥터를 실장시, 암형 커넥터 후방에 돌출되는 핀이 커넥터 내부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독립적으로 소자 상호간을 연결하거나, 케이블과 함께 사용되어 소자간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한 커넥터 구조는 일반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수형 커넥터와 이러한 수형 커넥터를 수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암형 컨텍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중, 고유 임피던스를 갖는 N 타입의 RF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암.수형 모두 내부에 도체로 구성되는 핀이 형성되고 이를 테프론(Teflon)소재의 절연체가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N 타입의 RF 커넥터 중 암형 커넥터는 전방에 수형 커넥터가 삽입되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핀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급전회로망이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PCB)에 후방으로 돌출된 핀이 납땝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이처럼 암형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시, 핀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테프론(Teflon) 소재의 절연체에 유격이 발생하여, 핀이 인쇄회로기판(PCB)에 고정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움직여서 암형 커넥터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때문에, 임시로 핀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하고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 실장 작업시마다, 각각 수행되는 임시적인 핀의 고정작업으로 인하여 고정된 핀의 높이가 각각 상이하여 각 커넥터 마다 핀의 높이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암형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시, 암형 커넥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높이로 핀이 실장될 수 있도록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작업자의 간편의 조작으로 달성할 수 있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면, 일측은 개방되어 암형 커넥터의 단자가 수용되는 전방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형성되는 후방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수용부와 후방수용부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며, 일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암형 커넥터의 핀과 접촉하여 핀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핀 지지블록; 상기 후방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핀 지지블록 일단에 나사산 결합함으로써, 해당 핀 지지블록의 길이방향 이동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변위조절부에 삽입되어, 해당 변위조절부의 원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길이방향 이동은 구속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에는, 해당 하우징 외측에서 상기 후방수용부로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수용부는,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다각 구조로 외형을 이루는 핸들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변위조절부의 단부에는 요입형성되어 회전조작기구들이 삽입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 회전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위조절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요입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록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은 봉재(棒材)형상 일 수 있고, 상기 변위조절부에 삽입되는 고정블록의 단부는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는, 암형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시, 핀 지지블록이 핀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외부 힘에 의해 핀이 암형 커넥터 내부로 들어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 암형 커넥터의 입력단자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실장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드라이버등과 같은 간단하고 흔한 회전공구를 사용하여 핀 지지블록의 길이방향 이동변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변위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핀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를 사용하면, 작업자가 매번 직접 핀을 고정하여 수행하는 암형 커넥터 실장작업에 비하여, 핀의 높이를 균일하게 하여 암형 커넥터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고정홀 및 고정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회전조작부 및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고정홀 및 고정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회전조작부 및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핀 지지블록(120)과 변위조절부(130)와 고정블록(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은 후술될 핀 지지블록(120)과 변위조절부(130)와 고정블록(140)을 포함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암형 커넥터(S)의 입력단자와 결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우징(100)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즉, 암형 커넥터의 입력단자를 대향하는 측면은 개방되어 오목하게 요입형성되는 전방수용부(111)가 구비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오목하게 요입형성되는 후방수용부(112)가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방수용부(111)는 암형 커넥터(S)의 입력단자가 수용되는 곳으로, 전방수용부(111)의 측벽 내측에는 나사산(111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11a)은 암형 커넥터(S)의 입력단자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한다.
여기서,’전방’이라함은 도 1의 우측방향을 뜻하는 것으로, 암형 커넥터(S)의 입력단자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고, ‘후방’이라 함은 상술한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 즉, 도 1의 좌측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기 후방수용부(112)는 후술될 변위조절부(120)가 수용되는 곳으로,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때문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부에는 전방수용부(111)와 후방수용부(112)를 관통하여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관통부(113)가 구비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하우징(100) 외측에서 후방수용부(112)로 관통하는 고정홀(11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14)에는 후술될 고정블록(140)이 삽입되어 관통한다.
상기 고정홀(114)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될 고정블록(140)이 나산산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흘(114)은 하우징(100)에 2개가 대칭하여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그 개수에 제한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고정흘(1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다각 구조로 외형을 이루는 핸들부(115)가 형성된다.
도 3에서는 단면의 외형이 육각 형태를 가지는 핸들부(115)를 도시한다.
상기 핸들부(115)는 렌치등의 공구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로, 공구로부터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해 다각 구조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핸들부(115)의 회전조작에 의해, 하우징(100)은 암형 커넥터(S)의 입력단자에 체결 및 해제된다.
다음으로, 핀 지지블록(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핀 지지블록(120)은 상술한 관통부(113)를 관통하여 암형 커넥터(S)의 핀(F)과 길이방향으로 접촉하여 핀(F)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핀 지지블록(120)은 봉(棒) 형상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고, 관통부(113)를 관통하여 후방수용부(112)쪽으로 돌출된 핀 지지블록(12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통부(113)를 관통하여 전방수용부(111)쪽으로 돌출된 핀 지지블록(120)의 타단은 암형 커넥터(S)의 핀(F)과 길이방향으로 대향하여 접촉한다.
이때, 상기 핀 지지블록(120)의 지름은 암형 커넥터(S)의 핀(F)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핀(F)을 지지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핀 지지블록(120)은 후술될 변위조절부(130)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변위조절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변위조절부(130)는 상술한 후방수용부(112)에 수용되어 핀 지지블록(120)의 길이방향 직선이동 변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변위조절부(130)는 후방수용부(11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후방수용부(112)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진다.
상기 변위조절부(130)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되, 도 1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후방수용부(112)에 수용되도록,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소경부와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대경부로 구성되며, 상술한 후방수용부(112)의 단턱부(116)에 대경부가 걸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변위조절부(130)의 소경부에는 핀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이로써, 핀 지지블록(120)의 일단과 변위조절부(130)는 나사산 결합하여, 변위조절부(130)가 후방수용부(112)안에서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핀 지지블록(120)이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상기 변위조절부(130)의 대경부쪽 후단면에는 요입 형성된 회전조작부(131)가 구비된다. 도 3에서는 변위조절부(130)의 후단면을 가로지르는 일자형태로 회전조작부(131)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회전조작부(131)로 실시 가능하다.
작업자는 상기 회전조작부(131)에 드라이버와 같은 회전공구를 삽입하여 변위조절부(130)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 변위조절부(130)의 소경부쪽 외주면에는 상술한 고정블록(140)이 삽입되는 고정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32)은 변위조절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정면에서 바라볼 때, 환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32)은 변위조절부(1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곡률지는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술될 고정블록(140)이 삽입되어도, 후방수용부(112)에서 변위조절부(130)가 원주방향으로 원할하게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고정블록(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블록(140)은 후방수용부(112)에서 변위조절부(130)의 원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길이방향 이동은 구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고정블록(140)은 봉(棒) 형상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상술한 하우징(100)의 고정홀(114)을 관통하여 변위조절부(130)의 고정홈(132)에 삽입 개재된다.
이러한 고정블록(14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100)의 고정홀(114)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산산이 형성되어, 하우징(100)과 나사산결합하며, 고정블록(140)의 회전조작에 따라, 고정블록(140)이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가 고정블록(140)을 회전조작하면, 고정블록(140)은 고정홀(114)을 관통하여 고정홈(132)에 삽입 및 분리된다.
상기 고정블록(140)이 고정홀(114)을 관통하여 고정홈(132)에 삽입되면, 고정블록(140)은 환형으로 요입 형성된 고정홈(13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변위조절부(130)의 원주방향 회전조작은 허용되지만, 고정홈(13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는 구속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변위조절부(130)의 길이방향 직선이동은 제한된다.
이때, 고정홈(132)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고정블록(140)의 단부는 고정홈(132)의 바닥면의 형상과 대응하게 둥근 형태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변위조절부(130)의 원주방향 회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암형 커넥터(S)를 인쇄회로기판(PCB)를 실장할 시에,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S)의 후방에 돌출되어 있는 핀(F)에 길이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핀(F)을 둘러싸고 있는 테프론(Teflon) 소재의 절연체와 핀(F)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할 수 있고, 절연체가 핀(F)을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핀(F)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이렇게 핀(F)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핀 지지블록(120)이 핀(F)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00)을 회전조작하여 암형 커넥터(S)의 압력단자를 하우징(100)의 전방수용부(111)에 나사산 결합시킨다.
하우징(100)과 암형 커넥터(S) 입력단자를 결합할 시, 변위조절부(130)를 정/역회전조작하여, 핀 지지블록(12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핀(F)과 핀 지지블록(120)의 대향되는 길이방향 이격거리에 여유를 두고, 하우징(100)과 암형 커넥터(S) 입력단자의 결합이 종료되었을 때, 변위조절부(130)를 다시 역/정 회전조작하여 핀 지지블록(120)이 핀(F)에 접촉하도록 핀 지지블록(1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로써, 핀 지지블록(120)의 종단부가 핀(F)과 접촉하게 되고, 핀 지지블록(120)은 변위조절부(1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핀(F)은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본 실시예의 작동 관계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는 각각의 암형 커넥터(S)의 핀(F)의 높이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하우징 111: 전방수용부
112: 후방수용부 113: 관통부
114: 고정홀 115: 핸들부
116: 단턱부 120: 핀 지지블록
130: 변위조절부 131: 회전조작부
132: 고정홈 140: 고정블록
S: 암형 커넥터

Claims (8)

  1. 일측은 개방되어 암형 커넥터의 단자가 수용되는 전방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형성되는 후방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수용부와 후방수용부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며, 일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암형 커넥터의 핀과 접촉하여 핀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핀 지지블록;
    상기 후방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핀 지지블록 일단에 나사산 결합함으로써, 해당 핀 지지블록의 길이방향 이동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부;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변위조절부에 삽입되어, 해당 변위조절부의 원주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길이방향 이동은 구속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해당 하우징 외측에서 상기 후방수용부로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수용부는,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다각 구조로 외형을 이루는 핸들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조절부의 단부에는 요입형성되어 회전조작기구들이 삽입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 회전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조절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요입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록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봉재(棒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조절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블록의 단부는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KR1020100071200A 2010-07-23 2010-07-23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KR10099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00A KR100996146B1 (ko) 2010-07-23 2010-07-23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00A KR100996146B1 (ko) 2010-07-23 2010-07-23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146B1 true KR100996146B1 (ko) 2010-11-23

Family

ID=4341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200A KR100996146B1 (ko) 2010-07-23 2010-07-23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9504A (zh) * 2014-09-30 2015-01-28 洛阳隆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镶嵌在印刷电路板上的导电螺母连接件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20A (ja) 2000-12-14 2002-06-28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コンタクトコネクタ
KR100939879B1 (ko) 2006-09-19 2010-01-29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20A (ja) 2000-12-14 2002-06-28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コンタクトコネクタ
KR100939879B1 (ko) 2006-09-19 2010-01-29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9504A (zh) * 2014-09-30 2015-01-28 洛阳隆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镶嵌在印刷电路板上的导电螺母连接件及使用方法
CN104319504B (zh) * 2014-09-30 2018-03-02 洛阳隆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镶嵌在印刷电路板上的导电螺母连接件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978B2 (en) Connector for pre-fabricated electric cables, having semi-enclosed contact chambers
EP1589619B1 (en) Connector
US7857643B2 (en) XLR cable connector
CN102082354B (zh) 带有夹紧元件的电缆夹紧装置
EP1630905A2 (en) Multiphase connector
US1021811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a cable fixing arrangement
JP2010015988A (ja) ケーブルジャケット保持性を有するカップリングナット
JP5936625B2 (ja) 電気的な差込みコネクタの接触接続装置
US7377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fastening device
JP6792354B2 (ja) コネクタ
WO201508304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736659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0996146B1 (ko) 암형 커넥터 핀 고정장치
DK3020093T3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EP3076484B1 (en) Electrical connector
AU2020325929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00197168A1 (en) Multi-Position Coaxial Connector System
KR100900000B1 (ko) 전기접속용 소형 컨넥터
US10367297B2 (en) Integrated securing guide pi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419397B2 (en) 360 degree rotatable plug
CN105406211A (zh) 一种接线部件及连接器
KR200496820Y1 (ko) 알에프 커넥터
CN218828183U (zh) 一种可快速固定连接线的连接器
JP5054504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20180000786U (ko) 휴대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