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504B1 - 입체 영상용 안경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504B1
KR100995504B1 KR1020100053544A KR20100053544A KR100995504B1 KR 100995504 B1 KR100995504 B1 KR 100995504B1 KR 1020100053544 A KR1020100053544 A KR 1020100053544A KR 20100053544 A KR20100053544 A KR 20100053544A KR 100995504 B1 KR100995504 B1 KR 10099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lens
signal
perio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작품오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작품오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작품오늘
Priority to KR102010005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입체 영상용 안경은 오른쪽 액정 렌즈, 왼쪽 액정 렌즈, 동조 신호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는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액정 렌즈는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투과시킨다. 상기 동조 신호 수신부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송출되는 동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주기에서 턴온(Turn-On)되고 제2 에서 턴오프(Turn-Off)되는 오른쪽 제어 신호를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로 전송한다. 상기 동조 신호는 제1 및 제2 주기가 반복된다.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주기에서 오른쪽 영상이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주기에서 턴오프되고 제2 주기에서 턴온되는 왼쪽 제어신호를 상기 왼쪽 액정 렌즈로 전송한다.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주기에서 왼쪽 영상이 출력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용 안경{3D VISION GLASSES}
개시된 기술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입체 영상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용 안경은 관람자의 양쪽 눈에 각각 다른 영상을 보이게 하여서 영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용 안경은 2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면 해당 영상을 분리하여 관람자의 오른쪽 눈 또는 왼쪽 눈으로 보낼 수 있다. 입체 영상용 안경의 종류에는 수동형 및 능동형이 있으며 수동형에는 청적 안경 및 편광 안경이 있고 능동형에는 셔터 안경이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입체 영상용 안경은 오른쪽 액정 렌즈, 왼쪽 액정 렌즈, 동조 신호 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는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액정 렌즈는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투과시킨다. 상기 동조 신호 수신부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송출되는 동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주기에서 턴오프(Turn-Off)되고 제2 주기에서 턴온(Turn-On)되는 오른쪽 제어 신호를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로 전송한다. 상기 동조 신호는 제1 및 제2 주기가 반복된다.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주기에서 오른쪽 영상이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주기에서 턴온되고 제2 주기에서 턴오프되는 왼쪽 제어신호를 상기 왼쪽 액정 렌즈로 전송한다.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주기에서 왼쪽 영상이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 전압을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사이에 제1 스위칭 회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왼쪽 액정 렌즈 사이에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회로부를 턴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및 제2 주기의 신호에 상응하는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회로부를 턴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또는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오프시간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회로부의 턴오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또는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오프시간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동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재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이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이 작동되기 위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 성분 및 이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용 안경(100)은 오른쪽 액정 렌즈(110), 왼쪽 액정 렌즈(120) 및 동조 신호 수신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 왼쪽 액정 렌즈(120) 및 동조 신호 수신부(130)는 안경 프레임(140)에 설치된다. 안경 프레임(140)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는 동작 전압의 인가 여부에 상응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정 렌즈(liquid lens)는 투명전극 사이에 액정이 충진되어 구성되고 양측의 투명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투과되는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액정 렌즈의 구동 방식은 TN(Twisted Nematic) 방식, VA(Vertical Alignment) 방식 및 IPS(In Place Switching)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N 방식의 액정 렌즈는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차단시킬 수 있고, 동작 전압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VA 방식의 액정 렌즈는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투과시킬 수 있고, 전압이 차단되면 빛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동조 신호 수신부(130)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송출되는 동조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부에 동조 신호 송신부를 설치하고, 설치된 동조 신호 송신부를 통해 동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조 신호는 적외선의 펄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용 안경(100)은 제어부(210), 제1 스위칭 회로부(220), 제2 스위칭 회로부(230) 및 발진 회로부(24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10), 제1 스위칭 회로부(220), 제2 스위칭 회로부(230) 및 발진 회로부(240)는 기판에 모듈화되어 도 1의 안경 프레임(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각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화된 기판은 안경 프레임(140)의 중앙부인 동조 신호 수신부(13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모듈화된 기판이 중앙부에 설치되면 각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좌우대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대칭구조로 전기적 연결관계가 구성되면 제어부(210)가 동조 신호에 기초하여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있다.
제어부(210)는 동조 신호 수신부(130)로 수신된 동조 신호에 기초하여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로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부(220)는 제어부(210)와 오른쪽 액정 렌즈(11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칭 회로부(230)는 제어부(210)와 왼쪽 액정 렌즈(1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회로부(220) 및 제2 스위칭 회로부(230)는 제어부(210)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차단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에서 제1 스위칭 회로부(220)로 셧다운(shutdown) 신호를 인가하면 제어 신호와는 무관하게 오른쪽 액정 렌즈(110)가 빛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송되고, 제1 스위칭 회로부(220) 및 제2 스위칭 회로부(230)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셧다운 신호는 제1 스위칭 회로부(220)의 상부 및 제2 스위칭 회로부(230)의 하부로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 및 셧다운 신호는 독립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셧다운 신호가 제어 신호에 우선할 수 있다.
발진 회로부(240)는 동조 신호에 상응한 주파수를 갖는 발진 신호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조 신호가 240㎐이면 발진 회로부(240)는 240㎐, 480㎐ 또는 720㎐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진 신호가 480㎐인 경우 제어부(210)는 입력된 발진 신호 중 홀수번째 입력 신호 또는 짝수번째 입력 신호에 상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조 신호는 제1 및 제2 주기의 신호가 반복되도록 생성될 수 있고, 발진 회로부(240)는 동조 신호의 제1 및 제2 주기의 신호에 상응하는 발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셧다운(Shutdow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이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동조 신호의 제1 주기(Step_1)에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른쪽 영상을 출력하면, 제어부(21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를 통과 상태로 전환하고, 왼쪽 액정 렌즈(12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동조 신호의 제1 주기(Step_1)에서 제2 주기(Step_2)로 전환되는 시점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 영상을 오른쪽 영상에서 왼쪽 영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므로, 제어부(21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동조 신호의 제2 주기(Step_2)에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왼쪽 영상을 출력하면, 제어부(21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왼쪽 액정 렌즈(120)를 통과 상태로 전환한다.
동조 신호의 제2 주기(Step_2)에서 제1 주기(Step_1)로 전환되는 시점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 영상을 왼쪽 영상에서 오른쪽 영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므로, 제어부(21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동조 신호의 제1 및 제2 주기가 반복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반복되는 동조 신호의 제1 및 제2 주기에 상응하여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개시된 기술은 제1 주기(Step_1) 및 제2 주기(Step_2)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모두 차단하여, 입체 영상의 선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오른쪽 및 왼쪽 영상의 중복 및 상호 간섭에 따른 선명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이 작동되기 위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동조 신호(Sync_signal)는 각 주기에서 펄스 신호로 입력될 수 있고, 제어부(210)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로 전송되는 오른쪽 제어 신호(R_signal)는 동조 신호의 제1 주기(Step_1)에서 턴오프(Turn-Off)되고 제2 주기(Step_2)에서 턴온(Turn-On)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에서 왼쪽 액정 렌즈(120)로 전송되는 왼쪽 제어 신호(L_signal)는 동조 신호의 제1 주기(Step_1)에서 턴온되고 제2 주기(Step_2)에서 턴오프될 수 있다.
한편, 입체 영상용 안경(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관람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움직이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체 영상용 안경(100) 간의 동조가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동조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영상에 중첩 및/또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입체 영상용 안경(100)을 통과하는 빛의 광량이 감소하여 관람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도 1의 입체 영상용 안경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 성분 및 이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오차 성분은 제어부(210)에서 출력된 오른쪽 제어 신호(R_signal)가 오른쪽 액정 렌즈(110)로 입력되기까지의 제1 타임 딜레이(Δt1), 제어부(210)에서 출력된 왼쪽 제어 신호(L_signal)가 왼쪽 액정 렌즈(120)로 입력되기까지의 제2 타임 딜레이(Δt2),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셧다운 신호(Shutdown_signal)의 동작 오차(Δe) 및 동조 신호의 제3 타임 딜레이(Δt3)를 포함할 수 있다. 오차 성분은 입체 영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타임 딜레이가 "Δt4"일 경우 제2 주기(Step_2)에서 오른쪽 영상과 왼쪽 영상이 오버랩(OL1)될 수 있고, 제2 타임 딜레이가 "Δt5"일 경우 제1 주기(Step_1)에서 왼쪽 영상과 오른쪽 영상이 오버랩(OL2)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랩되는 시점의 영상은 셧다운 신호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임 딜레이 및 제2 타임 딜레이가 각각 "Δt4", "Δt5"일 경우, 셧다운 신호(Shutdown_signal)에 의해 보정되어 실제 오른쪽 액정 렌즈(110)의 오프시간(통과 상태 시간)은 "T1"이고, 왼쪽 액정 렌즈(110)의 오프시간은 "T2"이다. 오프시간에는 빛이 액정 렌즈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임 딜레이 및/또는 제2 타임 딜레이가 발생하더라도 입체 영상의 선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셧다운 신호(Shutdown_signal)에 의해 제1 주기(Step_1) 및 제2 주기(Step_2)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오른쪽 액정 렌즈(110) 및 왼쪽 액정 렌즈(120)를 모두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서, 셧다운 신호(Shutdown_signal)의 동작 오차(Δe)가 큰 경우 오른쪽 액정 렌즈(110)의 오프시간(T3)이 짧아질 수 있다. 오프시간(T3)이 짧아지면 입체 영상용 안경(100)을 통과하는 광량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광량 저하는 도 6의 제1 타임 딜레이 및/또는 제2 타임 딜레이에 의해 오프시간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도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오른쪽 액정 렌즈(110)의 오프시간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1 스위칭 회로부(220)를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서 턴오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부(220)가 턴오프되면 오른쪽 액정 렌즈(110)의 오프시간이 "T3"에서 "T4"로 증가되어 충분한 광량을 얻을 수 있다. 왼쪽 액정 렌즈(120)의 경우에도 상응할 수 있다. 임계시간은 영상 관람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최소 광량을 얻기 위한 액정 렌즈의 오프시간일 수 있다.
도 8에서, 동조 신호(Sync_signal)에서 타임 딜레이(Δt3)가 발생한 경우, 왼쪽 제어 신호(L_signal)에서도 타임 딜레이(Δt7)가 발생될 수 있으며, 동조 신호(Sync_signal)의 제1 주기(Step_1)에서 동조된 셧다운 신호(Shutdown_signal)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경우에도 왼쪽 액정 렌즈(120)의 오프시간(T5)이 임계시간보다 짧아질 수 있다. 제어부(210)는 왼쪽 액정 렌즈(120)의 오프시간(T5)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 동조 신호(Sync_signal)를 기초로 왼쪽 액정 렌즈(120)의 동작을 재동기화 할 수 있다. 제어부(210)가 왼쪽 제어 신호(L_signal) 및 셧다운 신호(Shutdown_signal)를 재동기하여 생성하면, 왼쪽 액정 렌즈(120)의 오프시간이 "T5"에서 "T6"로 증가되어 충분한 광량을 얻을 수 있다. 오른쪽 액정 렌즈(110)의 경우에도 상응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영상의 선명도 확보와 광량 확보는 임계시간의 설정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선명도 확보를 보다 우선하는 경우 임계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고, 영상의 광량 확보를 보다 우선하는 경우 임계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임계시간은 관람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실내에서 관람할 경우 선명도 확보를 보다 중요시 할 수 있고, 밝은 실내에서 관람할 경우 광량 확보를 보다 중요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체 영상용 안경(100)에 광량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부(210)가 광량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광량에 기초하여 실내 환경(밝기의 정도)을 판단한 후 임계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은 선명한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오른쪽 영상과 왼쪽 영상이 전환되는 시점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모두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른쪽 영상의 잔상이 남은 상태에서 왼쪽 영상이 보여지거나 왼쪽 영상의 잔상이 남은 상태에서 오른쪽 영상이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용 안경은 관람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입체 영상용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관람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움직이더라도 정상 작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입체 영상용 안경은 셔터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광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용 안경을 투과하는 광량이 저하되면 일부 기능을 해제하여 신속하게 광량을 확보한 다음 해제된 기능을 재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빛을 차단 또는 투과하며 동작 전압이 공급된 경우 빛을 차단시키는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송출되는 동조 신호를 수신하는 동조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동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및 제2 주기가 반복되는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주기에서 턴오프(Turn-Off)되고 제2 주기에서 턴온(Turn-On)되는 오른쪽 제어 신호를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로 전송하며,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주기에서 턴온되고 제2 주기에서 턴오프되는 왼쪽 제어신호를 상기 왼쪽 액정 렌즈로 전송하고,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시간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동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을 재동기화하며,
    상기 제1 주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른쪽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주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왼쪽 영상이 출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왼쪽 액정 렌즈의 동작 전압을 차단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사이에 제1 스위칭 회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왼쪽 액정 렌즈 사이에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회로부를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 신호의 제1 및 제2 주기의 신호에 상응하는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회로부를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쪽 액정 렌즈 및 상기 왼쪽 액정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시간이 임계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주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회로부의 턴오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용 안경.
  5. 삭제
KR1020100053544A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용 안경 KR10099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44A KR100995504B1 (ko)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44A KR100995504B1 (ko)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504B1 true KR100995504B1 (ko) 2010-11-19

Family

ID=4340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44A KR100995504B1 (ko) 2010-06-07 2010-06-07 입체 영상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5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451A (ja) * 1998-06-15 2000-01-07 Idemitsu Kosan Co Ltd 立体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451A (ja) * 1998-06-15 2000-01-07 Idemitsu Kosan Co Ltd 立体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7600B (zh) 3d图像信号的处理方法和装置、显示面板及液晶显示器
US20120169778A1 (en) 3d glasses with adjusting device for allowing user to adjust degrees of crosstalk and brightness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thereof
US20140125890A1 (en)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control chip thereof
JP5400902B2 (ja) 制御装置、表示装置、眼鏡装置及び映像システム
US9122069B2 (en) 2D/3D polarized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072810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WO2012105251A1 (ja) 映像を表示する表示装置、映像の視聴を補助する眼鏡装置、表示装置及び眼鏡装置を備える映像システム及び映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TWI459355B (zh) 液晶顯示裝置
KR100995504B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20110061476A (ko) 입체안경,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H0990292A (ja) 液晶シャッタ眼鏡
KR100995505B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201500319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JP2011259338A (ja) シャッター式メガネ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563944B1 (ko) 명암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JP2010283653A (ja) 映像表示システム、眼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KR20110065205A (ko)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JP5563611B2 (ja) シャッターレリーズタイミング調整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KR101246659B1 (ko) 적외선 신호를 이용한 액정 셔터 안경의 듀티비 조절 방법
KR20120018667A (ko) 투과율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WO2012035734A1 (ja) 立体映像視聴用眼鏡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91985B1 (ko) 편광방식과 엑티브 방식을 혼용한 다중 입체 영상 제공장치
KR20120073457A (ko) 액정 셔터 안경
KR101331572B1 (ko) 다중 입체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30012808A (ko) 모듈 교환 슬롯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