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42B1 -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5142B1 KR100995142B1 KR1020080131690A KR20080131690A KR100995142B1 KR 100995142 B1 KR100995142 B1 KR 100995142B1 KR 1020080131690 A KR1020080131690 A KR 1020080131690A KR 20080131690 A KR20080131690 A KR 20080131690A KR 100995142 B1 KR100995142 B1 KR 1009951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pattern
- layer
- spacer
- hard mas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3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59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G03F7/70466—Multiple exposures, e.g. combination of fine and coarse exposures, double patterning or multiple exposures for printing a single fe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의 컨택홀 형성방법은,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이용하여 기판 위의 절연막 위에 제1 개구부를 갖는 하드마스크막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드마스크막패턴의 측면에 스페이서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스페이서막의 일부 및 하드마스크막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식각마스크로 노출된 하드마스크막패턴 및 절연막을 제1 식각하여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1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스페이서막의 일부 및 스페이서막 사이의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식각마스크로 노출된 절연막을 제2 식각하여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하드마스크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forming a contact hole in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hard mask film pattern having a first opening on an insulating film on a substrate by using a first photoresist film pattern, and forming a spacer film on a side of the hard mask film pattern.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exposing a portion of the spacer film and a portion of the hard mask film pattern; forming a hard mask film pattern and an insulating film expos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and the spacer film as an etch mask; Forming a first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insulating film by first etching the metal, remov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and exposing a portion of the spacer film and the insulating film between the spacer film.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pattern and the spacer layer by etch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The comprises the step of removing the second step of forming a contact hole, and a third step of removing the photoresist film patterns, and the hard mask pattern and the spacer film.
포토리소그라피, 컨택홀, 스페이서 Photolithography, Contact Hole, Spac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소자의 컨택홀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s in a semiconductor device.
반도체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디자인룰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컨택홀의 크기도 또한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점점 미세한 크기의 컨택홀 형성이 요구되고 있지만 현재 그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그 원인들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리소그라피 공정기술의 한계 또한 하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A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increases, the design rules decrease, and the size of the contact holes also decreases. Therefore, the formation of contact holes of finer size is required, but there is a limit to meet the demand. There are many possible causes, and the limitation of lithography process technology is also a major cause.
예컨대 컨택홀 형성을 위해서는, 먼저 컨택홀을 형성하고자 하는 절연막 위에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형성하여야 한다.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은 절연막 표면 중에서 컨택홀이 형성될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후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한 식각으로 절연막의 노출부분을 식각함으로써, 절연막을 관통하여 아래의 하부막을 일부 노출시키는 컨택홀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의 개구부 크기에 따라 컨택홀의 크기 또한 결정된다. 그런데 미세한 크기의 컨택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의 개구부 크기도 미세하게 만들어야 한다.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의 형성은,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하고, 포토마스크 및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을 이용한 노광을 수행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고, 그리고 현상공정을 통해 포토레지스트막의 특성이 변화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의 개구부를 원하는 정도의 미세한 크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포토레지스트막에 대해 원하는 크기만큼 노광이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노광될 영역이 미세해질수록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해상력 한계 등의 원인으로 노광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form a contact hole, first, a photoresist film pattern must be formed on an insulating film on which a contact hole is to be formed.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has an opening that exposes a portion where a contact hole is to be formed in the insulating film surface. Thereafter, the expose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s etched by etching using the photoresist layer pattern as an etch mask, thereby forming a contact hole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to partially expose the lower layer. Therefore, the size of the contact hole is also determined by the opening size of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However, in order to form a contact hole having a fine size, the opening size of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must also be made fine. The formation of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may be performed by coating a photoresist film, performing exposure using a photomask and photolithography technique to partially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photoresist film, and removing portions where the properties of the photoresist film are changed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This is done through the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opening of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to the desired minute size, the exposure should be precisely performed by the desired size with respect to the photoresist film. However, as the area to be exposed becomes finer, exposure is not precisely performed due to the limitation of resolution of photolithography technology.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을 사용하여 최대한 작은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막패턴에 대한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 포토레지스트막이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의 개구부 노출측면에 리플로우되고, 이에 따라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의 개구부 크기는 작아진다. 다른 예로서, 포토레지스트막패턴에 반응물질을 코팅하고, 반응물질과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반응시켜 개구부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or example, a photoresist pattern may be overcome by using a photolithography technique to form a photoresist pattern having the smallest opening and performing a reflow process on the photoresist pattern. By the reflow process, the photoresist film is reflowed on the exposed side of the opening of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whereby the opening size of the photoresist film pattern is reduced. As another example, a method of reducing a size of an opening by coating a reactant on a photoresist layer pattern and reacting the reactant with the photoresist layer pattern has also been proposed.
그러나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컨택홀들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리플로우되는 포토레지스트막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컨택홀들의 간격이 좁은 부분에서 리플로우되는 포토레지스트막의 양보다 컨택홀들의 간격이 넓은 부 분에서 리플로우되는 포토레지스트막의 양이 더 많다. 따라서 컨택홀들의 간격이 좁은 부분에서의 개구부의 크기보다 컨택홀들의 간격이 넓은 부분에서의 개구부의 크기가 더 작아지며, 결과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컨택홀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응물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응물질에서 유발되는 디펙(defect)으로 인해 반도체소자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reflow process is used, the amount of the photoresist film to be reflowed may be changed when the contact holes are not uniformly spaced. That is, the amount of the photoresist film reflow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ntact holes are wider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the photoresist layer that is reflow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ntact holes are narrow. Therefore, the size of the openings in the portions where the contact holes are wid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s in the portions where the spaces of the contact holes are narrow,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orm contact holes of uniform size. In the case of using a reactant, st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be reduced due to defects caused by the reacta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컨택홀들 사이의 간격 차이에 무관하게 크기가 균일하고 디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반도체소자의 컨택홀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contact hole in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overcomes limitations of photolithography technology and is uniform in size and does not cause defects regardless of the gap between contact holes. .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컨택홀 형성방법은,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이용하여 기판 위의 절연막 위에 제1 개구부를 갖는 하드마스크막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드마스크막패턴의 측면에 스페이서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스페이서막의 일부 및 하드마스크막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식각마스크로 노출된 하드마스크막패턴 및 절연막을 제1 식각하여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1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스페이서막의 일부 및 스페이서막 사이의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식각마스크로 노출된 절연막을 제2 식각하여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하드마스크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hole in a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forming a hard mask layer pattern having a first opening on an insulating layer on a substrate by using a first photoresist layer pattern, Forming a spacer film,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exposing a portion of the spacer film and a portion of the hard mask film pattern, and a hard mask film pattern expos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and the spacer film as an etch mask. And etching the insulating film to form a first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insulating film, removing the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and exposing the insulating film between the spacer film and a portion of the spacer film. Forming an pattern, and etching the insulating film exposing the third photoresist layer pattern and the spacer layer as an etch mask for the second time to form an insulating layer. The through and removing a second step of forming a contact hole, and a third step of removing the photoresist film patterns, and the hard mask pattern and the spacer film.
일 예에서, 하드마스크막패턴은 산화막을 사용하여 형성한다.In one example, the hard mask film pattern is formed using an oxide film.
일 예에서, 하드마스크막패턴은 라인 형태로 형성한다.In one example, the hard mask film pattern is formed in a line shape.
일 예에서, 스페이서막은 제1 식각시 식각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절연막 및 하드마스크막패턴과 충분한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절연막 및 하드마스크막패턴은 산화막으로 형성하고, 스페이서막은 금속막 및 질화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막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pacer laye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and a material layer having a sufficient etching selectivity with an insulating mask and a hard mask layer pattern to be used as an etching mask during the first etching. In this case, the insulating film and the hard mask film pattern may be formed of an oxide film, and the spacer film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film and a nitride film.
일 예에서, 스페이서막은 제2 식각시 식각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절연막과 충분한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절연막은 산화막으로 형성하고, 스페이서막은 금속막 및 질화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막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pacer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layer having a sufficient etching selectivity with the insulating layer to be used as an etching mask during the second etching. In this case, the insulating film may be formed of an oxide film, and the spacer film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film and a nitride film.
일 예에서, 스페이서막은 이중막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 경우 이중막 구조의 스페이서막은 금속막 및 질화막의 적층구조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pacer film is formed to have a double film structure. In this case, the double layer spacer film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of a metal film and a nitride film.
일 예에서,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은 하드마스크막패턴의 측면에 인접하는 스페이서막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스페이서막에 인접하는 하드마스크막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한다.In one example, the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spacer film adjacent to the side of the hard mask film pattern and to expose a portion of the hard mask film pattern adjacent to the spacer film.
일 예에서,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 및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은 홀 형태로 형성한다.In one example, the second photoresist film pattern and the third photoresist film pattern are formed in a hole shape.
일 예에서, 스페이서막의 두께는, 인접하는 스페이서막 사이에서 노출되는 절연막의 폭이 제1 컨택홀의 폭과 동일하도록 설정한다.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pacer film is set such that the width of the insulating film exposed between adjacent spacer films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contact hole.
일 예에서, 하드마스크막패턴 및 스페이서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MP)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In one example, removing the hard mask film pattern and the spacer film is perform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본 발명에 따르면,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한계에 의한 최소 크기의 컨택홀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한 컨택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vantage of forming a fine contact hole of a smaller size than the minimum size of the contact hole due to the limitation of photolithography technology.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위에 하부막(102)을 형성한다. 기판(100)은 실리콘기판일 수 있으나, 절연막 위 실리콘(SOI; 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도 있다. 하부막(102)은 컨택을 통해 상부막(미도시)과 연결될 막으로서, 통상적으로 폴리실리콘막과 같은 도전막으로 이루어진다. 비록 도면상에는 하부막(102)이 기판(100)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판(100)과 하부막(102) 사이에 다른 막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하부막(102) 위에 절연막(104)을 형성한다. 절연막(104)은 컨택홀이 형성될 막으로서, 산화막과 같은 통상의 층간절연(ILD; InterLayer Dielectric)막일 수 있다. 절연막(104) 위에 하드마스크막(106)을 형성한다. 하드마스크막(106)은 산화막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막(106) 위에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110)을 형성한다.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110)은 하드마스크막(106)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12)를 갖는다. 비록 도 1에서 나타나지는 않지만,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110)은 개구부(112)의 폭(W1)만큼 이격된 라인(line)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택홀 3개가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개구부(112)의 폭(W1)을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1, a
도 2를 참조하면,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도 1의 110)을 식각마스크로 한 식각으로 하드마스크막(도 1의 106)의 노출부분을 식각한다. 이 식각에 의해 절연막(104)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08)를 갖는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이 형성된다.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을 형성한 후에는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110)을 제거한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로서, 도 3의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은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110)과 동일하게 개구부(108)의 폭(W2)만큼 이격된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의 개구부(108)의 폭(W2)은 제1 포토레지스트막패턴(110)의 개구부(112)의 폭(W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의 개구부(108)에 의해 3개의 컨택홀이 형성될 절연막(104) 표면이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2, an exposed portion of the hard mask film 106 (in FIG. 1) is etched by etching the first photoresist film pattern 110 (in FIG. 1) as an etching mask. This etching forms a hard
도 4를 참조하면, 절연막(104)의 노출 표면 및 하드마스크막패턴(107) 위에 스페이서용 물질막(210/220)을 형성한다. 스페이서용 물질막(210/220)은, 비록 단일막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스페이서용 물질막(210) 및 제2 스페이서용 물질막(220)의 이중막으로 형성한다. 제1 스페이서용 물질막(210) 및 제2 스페이서용 물질막(220)은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절연막(104)과의 식각선택비가 충분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일 예로,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절연막(104)을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 스페이서용 물질막(210)은 금속막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스페이서용 물질막(220)은 질화막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spacer material film 210/220 is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용 물질막(210) 및 제2 스페이서용 물질막(220)에 대한 블랑켓 식각(blanket etch)을 수행한다. 블랑켓 식각은, 예컨대 에치백(etchback)과 같은 이방성 식각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블랑켓 식각에 의해 하드마스크막패턴(107) 상부 표면 위와 절연막(104)의 일부 노출 표면 위의 제1 스페이서용 물질막(210) 및 제2 스페이서용 물질막(220)은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하드마스크막패턴(107) 표면에 제1 스페이서(211) 및 제2 스페이서(221)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막(200)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로서, 도 6의 선 Ⅴ-Ⅴ'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이 갖는 개구부(108)의 폭(W2)에 비하여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스페이서막(200)에 의해 노출되는 절연막(104)의 폭(W3)은 좁아진다. 좁아지는 크기는 폭(W2)에서 스페이서막(200) 두께의 2배를 뺀 크기이다. 따라서 스페이서막(200)의 두께에 의해 절연막(104)의 노출면 폭(W3)이 결정된다. 아래 설명될 바와 같이,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스페이서막(200)에 의해 노출되는 절연막(104)의 노출면은 제1 컨택홀이 형성될 영역이다.Referring to FIG. 5, a blanket etch is performed on the first spacer material film 210 and the second
도 7을 참조하면,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을 형성하는데, 이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은 개구부(121)를 갖는다. 개구부(121)는 하드마스크막패턴(200)의 일부 표면과 스페이서막(2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일정한 폭(W4)을 갖는다.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은 제1 컨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시 식각마스크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이 갖는 개구부(121)는 라인 형태가 아닌 홀(hole) 형태가 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로서, 도 8에서 선 ⅤⅡ-Ⅴ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의 개구부(121)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개구 부(121)를 통해서는 스페이서막(200)의 일부, 특히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의 측면에 인접한 부분이 노출되고, 또한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의 일부 표면, 특히 스페이서막(200)에 인접한 부분의 표면이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7, a second
도 9를 참조하면,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 및 스페이서막(200)을 식각마스크로 하부막(102) 표면이 노출되도록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절연막(104)의 노출부분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 식각에 의해 절연막(104)을 관통하여 하부막(102)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홀(301)이 형성된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막(200)은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절연막(104)과의 충분한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의 노출부분에 대한 식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페이서막(200)은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과 함께 식각마스크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드마스크막패턴(107)의 제거로 인해 노출되는 절연막(104)에 대한 식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여전히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02)과 함께 식각마스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1 컨택홀(301)을 형성한 후에는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을 제거한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로서, 도 10의 선 ⅠⅩ-ⅠⅩ'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의 개구부(121)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들 중에서 스페이서막(200)이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하부막(102)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홀(301)이 만들어진다. 제1 컨택홀(301)의 폭(W5)은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의 개구부(121) 폭(W4)보다 좁다. 좁아지는 정도는 스페이서막(120)의 노출되는 폭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2 포 토레지스트막패턴(120)의 개구부(121) 폭(W4)이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한계에 근접하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갖더라도, 보다 좁은 폭(W5)의 제1 컨택홀(30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exposed portions of the hard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컨택홀(301)을 형성한 후에, 제1 컨택홀(301) 사이에 제2 컨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을 형성한다.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은 스페이서막(200)의 일부, 특히 스페이서막(200)의 바깥 부분과, 스페이서막(200) 사이에서 노출되는 절연막(104)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31)를 갖는다. 또한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은 제1 컨택홀(301) 내부를 채우면서 모두 덮는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로서, 도 12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11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은 제2 컨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시 식각마스크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이 갖는 개구부(131)도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과 마찬가지로 라인 형태가 아닌 홀(hole) 형태가 되도록 한다.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의 개구부(130)에 의해 양 측면으로 스페이서막(200)의 일부가 노출되고, 스페이서막(200) 사이에 하부의 절연막(104)이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11, after forming the
도 13을 참조하면,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 및 스페이서막(200)을 식각마스크로 하부막(102) 표면이 노출되도록 절연막(104)의 노출부분을 식각한다. 이 식각에 의해 절연막(104)을 관통하여 하부막(102)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2 컨택홀(302)이 형성된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막(200)은 절연막(104)과의 충분한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절연막(104)의 노출부분에 대한 식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과 함께 식각마스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2 컨택홀(302)을 형성한 후에는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20)을 제거한다. 도 14은 도 13의 평면도로서, 도 14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13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의 개구부(131)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들 중에서 스페이서막(200)이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하부막(102)을 노출시키는 제2 컨택홀(302)이 만들어진다. 제2 컨택홀(302)의 폭(W7)은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의 개구부(131) 폭(W6)보다 좁다. 좁아지는 정도는 스페이서막(120)의 노출되는 폭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1 컨택홀(3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130)의 개구부(131) 폭(W6)이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한계에 근접하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갖더라도, 보다 좁은 폭(W7)의 제2 컨택홀(30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컨택홀(302)의 폭(W7)은 스페이서막(200)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제2 컨택홀(302)의 폭(W7)은 스페이서막(200)에 의해 노출되는 절연막(104)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스페이서막(200)이 더 두꺼운 경우 노출되는 절연막(104)의 폭도 좁아지며, 따라서 보다 좁은 폭의 제2 컨택홀(302)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스페이서막(200)이 더 얇은 경우 노출되는 절연막(104)의 폭도 넓어지며, 따라서 다소 넓은 폭의 제2 컨택홀(30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컨택홀(301)의 폭(도 9 및 도 10의 W5)과 제2 컨택홀(302)의 폭(W7)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스페이서막(20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3, the exposed portion of the insulating
도 15를 참조하면,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스페이서막(200)을 제거한다. 일 예에서, 하드마스크막패턴(107) 및 스페이서막(200)의 제거는 평탄화, 예컨대 화학적기계적폴리싱(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로서, 도 16의 선 ⅩⅤ-ⅩⅤ'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 15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절연막(104)을 관통하여 하부막(102)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홀(301) 및 제2 컨택홀(302)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컨택홀(301)은 폭(W5)을 갖고, 제2 컨택홀(302)의 폭(W7)을 갖는다. 제1 컨택홀(301)의 폭(W5)과 제2 컨택홀(302)의 폭(W7)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앞서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컨택홀(301)의 폭(W5)과 제2 컨택홀(302)의 폭(W7)은 각각 제2 포토레지스트막패턴(도 9의 120)의 개구부(도 9의 121) 폭(W4) 및 제3 포토레지스트막패턴(도 13의 130)의 개구부(도 13의 131) 폭(W6)보다 작으며, 따라서 제1 컨택홀(301) 및 제2 컨택홀(302)은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의 한계로 인한 최소 크기의 컨택홀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15, the hard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컨택홀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1 to 16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for forming a contact hole in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1690A KR100995142B1 (en) | 2008-12-22 | 2008-12-22 |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1690A KR100995142B1 (en) | 2008-12-22 | 2008-12-22 |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3103A KR20100073103A (en) | 2010-07-01 |
KR100995142B1 true KR100995142B1 (en) | 2010-11-18 |
Family
ID=4263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16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5142B1 (en) | 2008-12-22 | 2008-12-22 |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514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93155B2 (en) | 2014-08-20 | 2017-10-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66890B2 (en) * | 2016-05-23 | 2019-07-30 | Tokyo Electron Limited | Method for patterning a substrate using a layer with multiple material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3295A (en) | 1997-11-10 | 1999-06-18 | Samsung Electron Co Ltd |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 in semiconductor device |
-
2008
- 2008-12-22 KR KR1020080131690A patent/KR1009951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3295A (en) | 1997-11-10 | 1999-06-18 | Samsung Electron Co Ltd |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 in semiconductor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93155B2 (en) | 2014-08-20 | 2017-10-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3103A (en) | 201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7835B1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TWI426344B (en) | Method of forming a hard mask and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 |
US7842601B2 (en) | Method of forming small pitch pattern using double spacers | |
KR100829606B1 (en) | How to form a fine pattern | |
KR20030096563A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US6335560B1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ark section and a dummy pattern | |
KR101095828B1 (en) |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0810895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0568452B1 (en)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alignment key and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ed thereby. | |
JP3958199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KR100995142B1 (en) |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US20080061338A1 (en) | Method for Processing a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Component, and Structure in a Semiconductor Component | |
KR10072614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US20020106901A1 (en) |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high-density contacts | |
KR100940275B1 (en) | Gate pattern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US6191041B1 (en) |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0715600B1 (en) | Micro pattern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KR20100042925A (en) |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damascene process | |
US6835653B1 (en) | Method of forming adjacent holes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 |
KR100946023B1 (en) | Alignment Key of Semiconductor Device and Formation Method | |
JP2001298081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84324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KR970000693B1 (en) | How to secure overlap margin of semiconductor device | |
US20050142872A1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for semiconductor device | |
US7642191B2 (en) |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