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36B1 - 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136B1
KR100995136B1 KR1020080135451A KR20080135451A KR100995136B1 KR 100995136 B1 KR100995136 B1 KR 100995136B1 KR 1020080135451 A KR1020080135451 A KR 1020080135451A KR 20080135451 A KR20080135451 A KR 20080135451A KR 100995136 B1 KR100995136 B1 KR 10099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ponent
correction
residual
estim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3047A (en
Inventor
안승혁
Original Assignee
(주)카이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로넷 filed Critical (주)카이로넷
Publication of KR2009007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2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line impe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1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hard decisions only; arrangements for tracking or suppressing unwanted low frequency components, e.g. removal of dc off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직류 성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직류 성분 보정 장치는, 초기값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을 보정하고,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보정부와, 제1 보정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ADC와,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ADC로부터 출력된 변환된 제1 보정 신호와 기준 신호로부터 제1 보정 신호의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하는 직류 성분 추정부와, 추출된 잔류 직류 성분에 기초하여 변환된 제1 보정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을 보정하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한다.A DC component correction device is provided.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 DC component from a received signal based on an initial value, outputting a first correction signal, an ADC for analog-to-digital converting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 DC component estim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signal, extracting the residual DC component of the first correction signal from the converted first correction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output from the ADC, and converting the first DC component based on the extracted residual DC component And a second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DC component from the correction signal.

DC 오프셋, 직류 성분 DC offset, direct current component

Description

직류 성분 보정 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DC component correction device {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

본 발명은 직류 성분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을 추정하고 제거할 수 있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capable of estimating and removing a DC component from a received signal at a receive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신기는 기본적으로 높은 주파수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기저대역까지 하향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신 신호는 다수의 회로들, 예컨대 믹서, 증폭기 등의 다수의 회로들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회로들 각각에서 발생하는 미스매치(mismatch) 및/또는 신호 누설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신호의 왜곡 현상이 발생한다.A receiver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ically performs an operation of down-converting an RF signal received at a high frequency to baseband. In this process, the received signal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circuits such as a mixer, an amplifier, and the like, and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due to mismatch and / or signal leakage occurring in each of the circuits. Phenomenon occurs.

대표적인 수신 신호의 왜곡 현상으로는 직류 오프셋(DC offset)이 있다. 직류 오프셋은 수신 신호에 직류 성분이 추가되는 현상으로, 예컨대 수신 신호 간의 셀프 믹싱(self-mixing) 또는 누설된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의 재유입 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직류 오프셋은 수신 신호의 레벨을 변화시켜 상기 수신 신호를 왜곡한다.Typical distortion of the received signal is a DC offset. The DC offset is a phenomenon in which a DC component is added to a received signal, and may be generated by, for example, self-mixing between received signals or re-inflow of a leaked local oscillator signal. This DC offset changes th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to distort the received signal.

종래에는 상술한 직류 오프셋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의 평균값에 기초 하여 직류 오프셋을 추정하고,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된 직류 오프셋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estimating a DC offset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a received signal and removing the estimated DC offset from the received signal has been used to remove the above-described DC offset.

그러나, 종래의 직류 오프셋 제거 방법은 수신 신호의 직류 성분을 모두 제거하기 때문에 수신 신호의 손실, 예컨대 수신 신호의 직류 성분에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C offset removing method removes all the DC components of the received signal, loss of the received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ata signal is included in th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may cause loss of the data sign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 손실 없이 수신 신호의 직류 성분만을 제거할 수 있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C component correction device that can remove only th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without data los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성분 보정 장치는, 초기값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을 보정하고,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보정부,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정 신호로부터 추정된 채널 값과 주파수 오프셋 값을 상기 제1 신호에 믹싱하여 기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보정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보정 신호의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하는 직류 성분 추정부 및 추출된 상기 잔류 직류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신호의 상기 잔류 직류 성분을 보정하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한다.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DC component from the received signal based on the initial value, and outputs the first correc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 firs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signal, a channel signal estimated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a frequency offset value are mixed with the first signal to generate a reference signal, and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A DC component estimator for extracting the residual DC component of the correction signal and a second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residual DC component of the first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extracted residual DC component.

상기 직류 성분 추정부는, 상기 동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값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 상기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값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채널 값을 믹싱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주파수 오프셋 값을 믹싱하여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1 보정 신호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하는 직류 성분 추출부를 포함한다.The DC component estimator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output the first signal, a channel estimator configured to estimate the channel value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 frequency offset estimator for estimating a frequency offset value, a first mixer for mixing the first signal and the channel value to output a second signal, and a second signal for mixing the second signal and the frequency offset value to output a reference signal And a direct current component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the residual direct current component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mixer and the first correction signal.

상기 직류 성분 추정부는 추출된 상기 잔류 직류 성분을 일정 시간 동안 누산하여 평균하는 누산부를 더 포함한다. The DC component estimating unit further includes an accumulating unit which accumulates and averages the extracted residual DC component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성분 보정 장치는, 수신 신호의 직류 성분을 1차 보정하고, 1차 보정된 신호로부터 잔류 직류 성분을 추정하여 2차로 직류 성분을 보정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직류 성분에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경우에도 수신 신호의 품질을 보존하며, 데이터 성분의 손실 없이 수신 신호의 직류 성분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is firstly corrected, the residual DC component is estimated from the first corrected signal, and the DC component is secondly corrected to thereby correct th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Even when included,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preserved, and only th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can be removed without losing data component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류 성분 추정부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C component estimat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성분 보정 장치(100)는 제1 보정부(110), ADC(analog-digital converter; 120), 직류 성분 추정부(130) 및 제2 보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성분 보정 장치(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예컨대 OFDm 수신기에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rrector 110, an analog-digital converter (ADC) 120, a DC component estimator 130, and a second beam. It may include the government 140.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receiv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n OFDm receiver.

직류 성분 보정 장치(100)는 외부, 예컨대 수신기가 수신한 신호, 예컨대 송신기(미도시)로부터 출력되어 수신기가 수신한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을 보정하여 직류 성분이 제거된 신호(Y)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100 is a signal Y from which a DC component has been removed by correcting a DC component of a signal received by an external receiver, for example, a receiver (not shown) received by the receiver. You can output

예컨대, 수신 신호(Y0)는 [수학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ption signal Y0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Equation 1].

[수학식1][Equation 1]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1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1

여기서, Nused는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k는 부반송파의 인덱스, hk는 채널 값, Ck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데이터, △f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 △fc는 주파수 오프셋 값, DC는 직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DC는 DC 오프셋의 동위상 값과 직교 위상 값의 합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Where Nused is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k is the index of the subcarrier, hk is the channel value, Ck is the data of each subcarrier, Δf is the frequency interval of each subcarrier, fc is the frequency offset value, and DC is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It may mean. For example, DC can also be expressed as the sum of the in-phase and quadrature values of the DC offset.

수신 신호(Y0)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100)의 제1 보정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보정부(110)는 초기 값(CNT)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Y0)를 1차 보정하고, [수학식2]와 같은 제1 보정 신호(Y1)를 출력할 수 있다.The received signal Y0 may be input to the first corrector 110 of the DC component corrector 100. The first corrector 110 may first correct the received signal Y0 based on the initial value CNT, and output the first corrected signal Y1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수학식2]&Quot; (2) "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2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2

여기서, Nused는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k는 부반송파의 인덱스, hk는 채널 값, Ck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데이터, △f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 △fc는 주파수 오프셋 값, DC'는 잔류 직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Where Nused is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k is the index of the subcarrier, hk is the channel value, Ck is the data of each subcarrier, Δf is the frequency interval of each subcarrier, Δfc is the frequency offset value, and DC 'remains. It may mean a direct current component.

제1 보정부(110)는 미리 설정된 사전 튜닝(tuning) 값, 수신 신호(Y0)의 평균에 기초하여 도출된 보정 값 또는 후술될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제공된 직류 성분 보정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초기 값(CNT)으로 이용하여 수신 신호(Y0)를 1차 보정하고 제1 보정 신호(Y1)를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correcto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et tuning value, a correction value deriv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received signal Y0, or a DC component correction value provided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e value of as an initial value CNT, the received signal Y0 may be firstly corrected and the first correction signal Y1 may be output.

제1 보정 신호(Y1)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 ADC)(120)로 입력될 수 있으며, ADC(120)는 제1 보정 신호(Y1)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제2 보정 신호(Y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보정 신호(Y2)는 제1 보정 신호(Y1)가 변환된 신호이며, 제1 보정 신호(Y1)와 동일하도록 [수학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first correction signal Y1 may be input to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120, and the ADC 120 may analog-digital convert the first correction signal Y1 to perform a second correction signal ( Y2) can be output.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is a signal obtained by converting the first correction signal Y1, and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3 to be the same as the first correction signal Y1.

[수학식3]&Quot; (3) "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3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3

여기서, Nused는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hk는 채널 값, Ck는 각각의 부반 송파의 데이터, △f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 △fc는 주파수 오프셋 값, DC'는 잔류 직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Where Nused is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hk is the channel value, Ck is the data of each subcarrier, Δf is the frequency interval of each subcarrier, Δfc is the frequency offset value, and DC 'is the residual DC component. Can be.

제2 보정 신호(Y2)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잔류 직류 성분(△D1, △D2)을 추출할 수 있다.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추출된 잔류 직류 성분(△D1, △D2)은 제2 보정부(140)로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may be input to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and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may extract residual DC components ΔD1 and ΔD2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Can be. The residual DC components ΔD1 and ΔD2 extracted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orrector 140.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외부로부터 동기 정보(SI), 예컨대 수신 신호(Y0)의 동기 정보와 동일한 동기 정보(SI)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동기 정보(SI)에 따라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잔류 직류 성분(△D1, △D2)을 추출할 수 있다.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may receiv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for example, the sa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as that of the reception signal Y0 from the outside, and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 The residual direct current components DELTA D1 and DELTA D2 can be extracted from Y2).

도 2를 참조하면,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신호 생성부(131), 채널 추정부(132), IFFT 부(133),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134), 직류 성분 추출부(135) 및 누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131, a channel estimator 132, an IFFT unit 133, a frequency offset estimator 134, a DC component extractor 135, and An accumulator 136 may be included.

신호 생성부(13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동기 정보(SI)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Y0)와 실질적으로 동기되는 제1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신호 생성부(131)는 동기 정보(SI)에 기초하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 예컨대 채널 값, 주파수 오프셋, 직류 성분 등과 같은 어떠한 왜곡도 발생되지 않은 제1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수학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131 may generate the first signal S1 substantially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signal Y0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input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signal generator 131 may be a signal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for example, a first signal in which no distortion such as a channel value, a frequency offset, a DC component, or the like is generated. (S1) can be generated. The first signal S1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4 below.

[수학식4]&Quot; (4) "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4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4

여기서, Nused는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k는 부반송파의 인덱스, Ck'은 제1 신호 각각의 부반송파의 데이터, △f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Here, Nused may be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k may be an index of subcarriers, Ck 'may be data of subcarriers of each first signal, and Δf may mean a frequency interval of each subcarrier.

신호 생성부(131)는 예컨대 송신기의 신호 발생부(미도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131 may have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for example, a signal generator (not shown) of the transmitter.

채널 추정부(132)는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채널 값(hk')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채널 값(hk')은 제1 믹서(137)에 의하여 제1 신호(S1)와 믹싱될 수 있다. The channel estimator 132 may estimate the channel value hk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and the estimated channel value hk' is obtained by the first mixer 137 by the first signal S1. Can be mixed with.

구체적으로, 채널 추정부(132)는 ADC(120)로부터 출력된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채널 값(hk')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채널 값(hk')은 제1 믹서(137)에 의해 제1 신호(S1)와 믹싱될 수 있으며, 제1 믹서(137)는 믹싱된 신호, 예컨대 제2 신호(S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신호(S2)는 [수학식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detail, the channel estimator 132 may estimate the channel value hk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output from the ADC 120. The estimated channel value hk 'may be mixed with the first signal S1 by the first mixer 137, and the first mixer 137 may output the mixed signal, for example, the second signal S2. Can be. The second signal S2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5 below.

[수학식5][Equation 5]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5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5

여기서, Nused는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k는 부반송파의 인덱스, hk'은 추 정된 채널 값, Ck'은 제1 신호 각각의 부반송파의 데이터, △f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Here, Nused may be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k may be an index of subcarriers, hk 'may be an estimated channel value, Ck' may be data of subcarriers of each first signal, and Δf may mean a frequency interval of each subcarrier. .

IFFT부(133)는 제1 믹서(137)로부터 출력된 제2 신호(S2)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제3 신호(S3)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의 신호 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OFDM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시간 영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 즉 제1 신호(S1)에 추정된 채널 값(hk')을 믹싱하고, 이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IFFT 변환시킬 수 있다. IFFT부(133)는 수신기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The IFFT unit 133 may output a third signal S3 by performing an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n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first mixer 137.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S1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31 of the receiver may be a signal in a frequency domain. In practice, however, an OFDM receiver can receive signals in the time domain from the transmitt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imated channel value hk 'may be mixed with a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that is, the first signal S1, and IFFT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in the time domain. The IFFT unit 133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ceiver.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134)는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주파수 오프셋 값(△fc')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fc')은 제2 믹서(138)에 의하여 제3 신호(S3)와 믹싱될 수 있다.The frequency offset estimator 134 may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value Δfc ′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and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Δfc ′ may be calculated by the second mixer 138. It can be mixed with three signals S3.

구체적으로,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134)는 ADC(120)로부터 출력된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주파수 오프셋 값(△fc')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fc')은 제2 믹서(138)에 의해 제3 신호(S3)와 믹싱될 수 있으며, 제2 믹서(138)는 믹싱된 신호, 예컨대 기준 신호(Sref)를 출력할 수 있다. 기준 신호(Sref)는 [수학식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신호(Sref)는 앞서 설명된 제1 보정부(110)의 입력 신호, 즉 수신 신호(Y0)와 직류 성분(DC offset) 차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In detail, the frequency offset estimator 134 may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value? Fc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output from the ADC 120.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Δfc ′ may be mixed with the third signal S3 by the second mixer 138, and the second mixer 138 outputs the mixed signal, eg, the reference signal Sref. can do. The reference signal Sref may be expressed as shown in [Equation 6]. Here, the reference signal Sref may be the same signal excep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Y0 and the DC component.

[수학식6][Equation 6]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6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6

여기서, Nused는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k는 부반송파의 인덱스, hk'은 추정된 채널 값, Ck'은 제1 신호 각각의 부반송파의 데이터, △f는 각각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 △fc'은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을 의미할 수 있다.Where Nused is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k is the index of subcarriers, hk 'is the estimated channel value, Ck' is the data of each subcarrier of the first signal, Δf is the frequency interval of each subcarrier, and Δfc 'is It may mean an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직류 성분 추출부(135)는 제2 믹서(138)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신호(Sref)와 ADC(120)로부터 출력된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D2), 예컨대 제2 보정 신호(Y2)의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D2)을 추출할 수 있다.The DC component extracting unit 135 may generate a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ΔD2, for example, from the reference signal Sref output from the second mixer 138 and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output from the ADC 120. The residual DC component? D1 or? D2 of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can be extracted.

구체적으로, 직류 성분 추출부(135)는 기준 신호(Sref)와 제2 보정 신호(Y2)의 차이 값, 예컨대 제2 보정 신호(Y2)에서 기준 신호(Sref)를 감산한 값을 추출하여 제2 보정 신호(Y1)의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D2)을 추출할 수 있다.In detail, the DC component extractor 135 extract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Sref and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for exampl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signal Sref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The residual DC component? D1 or? D2 of the two correction signals Y1 can be extracted.

여기서,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D2)은 [수학식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residual direct current component (ΔD1 or ΔD2)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Equation 7].

[수학식7][Equation 7]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7
Figure 112008089789261-pat00007

여기서, N은 사용된 부반송파의 개수, DC'은 잔류 직류 성분을 의미할 수 있 다.Here, N may mean the number of used subcarriers, DC 'may mean a residual DC component.

이때, 감산 결과가 양(+)의 값이면, 직류 성분 추출부(135)는 제1 잔류 직류 성분(△D1), 예컨대 양(+)의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 감산 결과가 음(-)의 값이면, 직류 성분 추출부(135)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 예컨대 음(-)의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result of the subtraction is a positive value, the DC component extractor 135 may extract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for example, a positive DC component. If the result of the subtraction is a negative value, the DC component extraction unit 135 may extract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for example, a negative DC component.

추출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은 누산부(136)로 제공될 수 있으며, 누산부(136)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을 누산하고, 이를 평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은 제2 보정부(140)로 제공될 수 있다.The extracted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may be provided to the accumulator 136, and the accumulator 136 may provide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 for a predetermined time. D1) or the second residual direct current component ΔD2 may be accumulated, averaged, and output. The output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orrector 140.

또,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을 제1 보정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제1 보정부(110)는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으로부터 초기 값(CNT)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미세 조정된 초기 값(CNT)은 제1 보정부(110)의 다음 프레임 동작에서 수신 신호(Y0)를 1차 보정하는 1차 보정 레벨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may provide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to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and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May finely adjust the initial value CNT from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The finely adjusted initial value CNT may be used as a first correction level for firstly correcting the received signal Y0 in the next frame operation of the first corrector 110.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출력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에 기초하여 제2 보정 신호(Y2)의 잔류 직류 성분을 보정할 수 있다. The second corrector 140 may perform the residual direct current of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based on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output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The component can be corrected.

예를 들어,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제1 잔류 직류 성분(△D1)이 출력되면, 제1 보정부(110)에서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이 일부만 제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is output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ion unit 130,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outputs th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Y0 in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It can be determined that only a part is removed.

따라서 제2 보정부(140)는 ADC(120)로부터 출력된 제2 보정 신호(Y2)에서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출력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을 감산하는 2차 보정을 수행하여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performs a second correction that subtracts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D1 output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output from the ADC 120. In this case, all DC components of the received signal Y0 may be removed.

또한,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이 출력되면, 제1 보정부(110)에서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 전체가 제거되어 직류 성분에 포함된 데이터 성분이 손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is output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ion unit 130,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removes the entire DC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Y0 from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ata component included in the DC component is lost.

따라서 제2 보정부(140)는 ADC(120)로부터 출력된 제2 보정 신호(Y2)에서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출력된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을 가산하는 2차 보정을 수행하여 수신 신호(Y0)의 1차 보정에서 손실된 직류 성분에 포함된 데이터 성분을 복구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performs a second correction that adds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output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to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output from the ADC 120. The data component included in the DC component lost in the first correction of the received signal Y0 may be recovered.

즉,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출력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을 제2 보정 신호(Y2)에 가산 또는 감산하는 2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Y0)로부터 직류 성분만이 제거된 신호(Y)를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adds or adds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output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ion unit 130 to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The second correction may be performed to subtract and output a signal Y from which only a DC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received signal Y0.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더불어 도 1 및 도 2가 함께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3은 본 발명의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4는 시점에 따른 본 발명의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동작 구간도이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operation section diagram of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viewpoi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신기에 수신된 수신 신호(Y0)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100)의 제1 보정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신호(Y0)는 수신기의 다수의 회로들, 예컨대 증폭기, 필터, 및 믹서 등에 의해 채널, 주파수 및 직류 성분 등으로 왜곡된 형태일 수 있다.1 to 4, the received signal Y0 received by the receiver may be input to the first corrector 110 of the DC component corrector 100. Here, the received signal Y0 may be distorted in channel, frequency, and DC components by a plurality of circuits of the receiver, for example, an amplifier, a filter, and a mixer.

제1 보정부(110)는 수신 신호(Y0)를 초기 값(CNT)에 기초하여 1차 보정할 수 있다(S10). 제1 보정부(110)는 미리 설정된 사전 튜닝 값, 수신 신호의 평균에 기초하여 도출된 보정 값, 또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추출된 직류 성분 보정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초기 값(CNT)으로 하여 수신 신호(Y0)를 1차 보정하고, 제1 보정 신호(Y1)를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corrector 110 may first correct the received signal Y0 based on the initial value CNT (S10). The first corrector 110 may set at least one of a preset tuning value, a correction value derived based on an average of the received signal, or a DC component correction value extracted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By doing so, the received signal Y0 can be firstly corrected and the first corrected signal Y1 can be output.

한편, 직류 성분 보정 장치(100)는 수신 신호(Y0)로부터 동기 정보(SI)가 추출되는 시점, 예컨대 시간 축(t) 상의 A 시점까지는 제1 보정부(110)의 동작으로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1차 보정만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10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Y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rrecting unit 110 up to a point in time whe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ignal Y0, for example, the A point on the time axis t. Only the first order correction to remove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of

ADC(120)는 제1 보정부(110)로부터 출력된 제1 보정 신호(Y1)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제2 보정 신호(Y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보정 신호(Y2)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 제공될 수 있다.The ADC 120 may analog-digital convert the first correction signal Y1 output from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and output a second correction signal Y2.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may be provided to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시간 축(t) 상의 A 시점에서 동기 정보(SI)를 획득하고, 동기 정보(SI)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Sref)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 신호(Sref)로부터 제2 보정 신호(Y2)의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D2)을 추출할 수 있다(S20).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obtains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at time A on the time axis t,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Sref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and generates the generated reference signal Sref. The residual DC component? D1 or? D2 of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can be extracted from the step S20.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수신 신호(Y0)로부터 동기 정보(SI)를 획득할 수 있다. 동기 정보(SI)는 수신 신호(Y0)의 프리엠블(preamble) 구간에서 추출될 수 있다.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may obtai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from the received signal Y0.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may be extracted in a preamble section of the received signal Y0.

동기 정보(SI)는 신호 생성부(131)로 제공되고, 신호 생성부(131)는 동기 정보(SI)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Y0)와 실질적으로 동기되는 제1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S21).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is provided to the signal generator 131, and the signal generator 131 generates a first signal S1 substantially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signal Y0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I. It may be (S21).

채널 추정부(132)는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채널 값(hk')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채널 값(hk')은 제1 믹서(137)에 의해 제1 신호(S1)와 믹싱될 수 있다. 제1 믹서(137)는 믹싱된 제2 신호(S2)를 출력할 수 있다(S22).The channel estimator 132 may estimate the channel value hk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and the estimated channel value hk' is obtained by the first mixer 137 by the first signal S1. Can be mixed with. The first mixer 137 may output the mixed second signal S2 (S22).

제2 신호(S2)는 IFFT부(133)에 의해 IFFT 변환되고, 제3 신호(S3)로 출력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S2 may be IFFT-converted by the IFFT unit 133 and output as the third signal S3.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134)는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주파수 오프셋 값(△fc')을 추정할 수 있으며, 제2 믹서(138)는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fc')과 IFFT된 제2 신호, 즉 제3 신호(S3)를 믹싱하여 기준 신호(Sref)를 생성할 수 있다(S23).The frequency offset estimator 134 may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value? Fc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and the second mixer 138 may IFFT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Fc'. The reference signal Sref may be generated by mixing the second signal, that is, the third signal S3 (S23).

직류 성분 추출부(135)는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기준 신호(Sref)를 감산하여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을 추출할 수 있다(S24). 여기서 제1 잔류 직류 성분(△D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의 값을 가지는 잔류 직류 성분이고,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은 음(-)의 값을 가지는 잔류 직류 성분일 수 있다.The DC component extractor 135 may extract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signal Sref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S24). ). He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is a residual DC component having a positive value, and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has a residual DC component having a negative value. Can be.

또, 직류 성분 추정부(130)는 추출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 류 직류 성분(△D2)에 기초하여 제1 보정부(110)의 초기 값(CNT)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S40).In addition,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adjusts the initial value CNT of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based on the extracted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Can be adjusted (S40).

예컨대 시간 축(t) 상의 B 시점에서 미세 조정된 제1 보정부(110)의 초기 값(CNT)은 수신기의 다음 프레임 동작에서 수신 신호(Y0)의 1차 보정 레벨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itial value CNT of the first compensator 110 finely adjusted at the time B on the time axis t may be used as the first correction level of the reception signal Y0 in the next frame operation of the receiver.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추출된 제1 잔류 직류 성분(△D1) 또는 제2 잔류 직류 성분(△D2)에 기초하여 제2 보정 신호(Y1)의 잔류 직류 성분을 2차 보정할 수 있다(S30).The second corrector 140 may perform the residual direct current of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1 based on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or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extracted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ion unit 130. The component may be second-corrected (S30).

예컨대,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추출된 잔류 직류 성분이 제1 잔류 직류 성분(△D1)이면, 제1 보정부(110)로부터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이 일부만 제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정 신호(Y2)로부터 제1 잔류 직류 성분(△D1)을 감산하여 나머지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2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sidual DC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is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may direct-current the received signal Y0 from the first correction unit 110. It can be determined that only some of the components have been removed. In addition, a second correction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remaining DC component by subtracting the first residual DC component ΔD1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2.

또, 제2 보정부(140)는 직류 성분 추정부(130)로부터 추출된 잔류 직류 성분이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이면, 제1 보정부(110)로부터 수신 신호(Y0)의 직류 성분 전체, 예컨대 일부 데이터 성분이 포함된 직류 성분 전체가 제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정 신호(Y1)로부터 제2 잔류 직류 성분(△D2)의 절대값만큼을 가산하여 손실된 데이터 성분을 복구하는 2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rrector 140 may generate a direct current of the received signal Y0 from the first corrector 110 when the residual DC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DC component estimator 130 is the second residual DC component ΔD2. It may be determined that all of the components, such as all of the direct current components including some data components, are removed. Second-order correction may be performed to recover the lost data component by add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second residual direct current component ΔD2 from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1.

이로써, 제2 보정부(140)는 수신 신호(Y0)로부터 직류 성분만을 보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수신 신호(Y0)의 데이터 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수신 신 호(Y0)의 품질을 보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correction unit 140 may correct only the DC component from the received signal Y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loss of data components of the received signal Y0, thereby preserving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Y0. can do.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C component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류 성분 추정부의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C component estimator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시점에 따른 본 발명의 직류 성분 보정 장치의 동작 구간도이다.4 is an operation interval diagram of the DC component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viewpoint.

Claims (9)

초기값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을 보정하고,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보정부; A first corrector configured to correct a DC component from a received signal based on an initial value and output a first corrected signal;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정 신호로부터 추정된 채널 값과 주파수 오프셋 값을 상기 제1 신호에 믹싱하여 기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보정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보정 신호의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하는 직류 성분 추정부; 및A firs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a reference signal is generated by mixing the channel value estimated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the frequency offset value with the first signal, and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A DC component estimator for extracting a residual DC component of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추출된 상기 잔류 직류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신호의 상기 잔류 직류 성분을 보정하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a second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residual DC component of the first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extracted residual DC compon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성분 추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C component estimator, 상기 동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부;A signal generator which receives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first signal; 상기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값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A channel estimator estimating the channel value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상기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값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 A frequency offset estimator for estimating the frequency offset value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채널 값을 믹싱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 A first mixer for mixing the first signal and the channel value to output a second signal;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주파수 오프셋 값을 믹싱하여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및A second mixer for mixing the second signal and the frequency offset value to output a reference signal; And 상기 제1 보정 신호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잔류 직류 성분을 추출하는 직류 성분 추출부를 포함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a DC component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extract the residual DC component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류 성분 추정부는 추출된 상기 잔류 직류 성분을 일정 시간 동안 누산하여 평균하는 누산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The DC component estimator further includes an accumulator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average the extracted residual DC component for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신호는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인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the first signal is the same signal as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보정부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일부 데이터 성분이 포함된 직류 성분의 전체가 제거된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고,The first correction unit outputs a first correction signal from which the entirety of the DC component including some data components is removed from the received signal. 상기 제2 보정부는 상기 잔류 직류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신호로부터 제거된 상기 데이터 성분을 보정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the second corrector corrects the data component removed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residual direct current compon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보정부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직류 성분의 일부가 제거된 제1 보정 신호를 출력하고,The first correction unit outputs a first correction signal from which a part of the DC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received signal. 상기 제2 보정부는 상기 잔류 직류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신호의 나머지 상기 직류 성분을 보정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the second correcting unit corrects the remaining DC components of the first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residual DC componen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정보는 상기 수신 신호의 프리엠블(preamble)구간으로부터 추출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a preamble section of the received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류 성분 추정부는 상기 잔류 직류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값을 미세 조정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the DC component estimating unit finely adjusts the initial value based on the residual DC componen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보정부는 상기 미세 조정된 초기 값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의 보정 레벨을 조정하는 직류 성분 보정 장치.And the first corrector adjusts a correction level of a next frame based on the finely adjusted initial value.
KR1020080135451A 2007-12-29 2008-12-29 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 KR1009951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41128 2007-12-29
KR1020070141128 2007-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47A KR20090073047A (en) 2009-07-02
KR100995136B1 true KR100995136B1 (en) 2010-11-18

Family

ID=4133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451A KR100995136B1 (en) 2007-12-29 2008-12-29 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1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5224B2 (en) 2010-12-18 2014-12-23 Caterpillar Inc. Rocker shaft shi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1525A1 (en) 2003-08-26 2005-05-26 Bas Dries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DC offset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20060269003A1 (en) 2005-05-31 2006-11-30 Hammerschmidt Joachim S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domain compensation of DC offset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JP2007088983A (en) 2005-09-26 2007-04-05 Sharp Corp Ofdm reception circui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1525A1 (en) 2003-08-26 2005-05-26 Bas Dries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DC offset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20060269003A1 (en) 2005-05-31 2006-11-30 Hammerschmidt Joachim S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domain compensation of DC offset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JP2007088983A (en) 2005-09-26 2007-04-05 Sharp Corp Ofdm reception circui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47A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045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signal removal in a low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
JP5651990B2 (en) Digital coherent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KR101884492B1 (en) Controllable frequency offset for inphase and quadrature (iq) imbalance estimation
JP6506975B2 (en) Direct conversion receiver
KR20010040073A (en) Phase error estimation method for a demodulator in an hdtv receiver
US20090122918A1 (en) Methods for Compensating for I/Q Imbalance in OFDM Systems
US201202817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q mismatch calibration and compensation for wideband communication receivers
KR100487328B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carrier
EP2894823B1 (en) Coefficient estimation for digital IQ calibration
TW201832530A (en) Circuit, method, and receiver apparatus for performing iq mismatch compensation
JP4304210B2 (en) Phase error correction circuit
US88178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hase tracking within an ADC-based tuner
KR100519333B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carrier
KR100995136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DC offset
KR100845416B1 (en) Frequency correction with symmetrical phase adjustment in each OFDM symbol
WO2011013365A1 (en) Symbol rate detector and receiver device
JP2014068116A (en) Compens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760793B1 (en) Correction of quadrature and gain errors in homodyne receives
KR20030071045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carrier
KR100487332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lock in digital TV
US11063618B2 (en) IQ mismatch estimation with pre-distortion
JP669990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orthogonal error measuring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KR100275703B1 (en) Phase tracking circuit and phase detecting method
KR101023253B1 (en) Apparatus for rejecting image in receiver
Piyawanno et al. Spectrum-based Frequency Offset Estimation for Coherent Re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