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84B1 -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84B1
KR100995084B1 KR1020080106990A KR20080106990A KR100995084B1 KR 100995084 B1 KR100995084 B1 KR 100995084B1 KR 1020080106990 A KR1020080106990 A KR 1020080106990A KR 20080106990 A KR20080106990 A KR 20080106990A KR 100995084 B1 KR100995084 B1 KR 100995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electric
measurement
remote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017A (ko
Inventor
조광윤
윤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84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장의 영향이 큰 지역으로 사람이 접근하지 않고 원격으로 안전하게 전자기장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측정 시간 및 위치의 제어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기장, 원격 측정, 인체노출

Description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EASUREMENT OF ELECTROMAGNATIC FIEL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EASUREMENT CONTROL}
본 발명은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으로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정 지역에 설치된 무선 기지국 또는 고전압 전력선에서는 강력한 전자기파가 방출된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전자기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 또는 고전압 전력선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전자기장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이기도 한다.
전자기장의 인체노출 문제는 어느 한 국가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국제 사회의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국제 전기 표준화 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 전기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등 관련 국제기구는 전자기장의 인체노출 기준에 적합한 국제 표준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IEC 또는 ITU가 규정한 국제 표준은 인체의 전자기장에 대한 노출을 측정할 때,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높이를 규격하고 있다. 이 국제 표준은 동일한 지표상의 위치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세 측정 위치를 규정한다.
한편, 국제 비전리 방사 보호 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ICNIRP)는 인체의 전자기장에 대한 노출을 측정할 때,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시간에 대한 권고 규격을 마련하고 있다. ICNIRP의 권고 규격은 6분의 노출시간 동안 전자기장을 측정한 값의 평균치로 노출량을 나타내도록 규정한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의 규격을 ICNIRP의 권고 규격에 따르도록 규정하지만, 미국은 30분의 노출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측정 규격을 사용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기장의 측정에 대한 국제 규격을 따르면 측정 위치 및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처리해야 한다. 또한, 한 측정 위치에서 최소 6분 이상 움직이지 않고 전자기장을 측정해야 하고, 높이를 바꾸어 다시 6분 이상 움직이지 않고 전자기장을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고, 전자기장의 영향이 큰 지역에서는 사람이 직접 측정을 수행하기가 위험하다. 종래에는 사람이 접근하여 측정하기가 위험한 경우, 인체의 전자기장에 대한 노출량을 산출하기 위해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노출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산출된 노출량은 실제 측정값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의 접근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장시간 동안 측정을 수행하 기 곤란한 장소에서는 전자기장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기장의 영향이 큰 지역으로 사람이 접근하지 않고 원격으로 안전하게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장을 측정함에 있어서, 국제 기구의 권고 규격에 부합하는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측정 시간 및 위치의 제어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는 단 계, 및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측정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따라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 명령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원격 통신부,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하는 원격 측정 제어부, 및 측정 시간 및 위치의 제어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통신부로 전달하는 원격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측정 제어부, 제어 명령을 원격 측정 장치로 송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제어 명령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장의 영향이 큰 지역으로 사람이 접근하지 않고 원격으로 안전하게 전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고, 전자기장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장을 측정함에 있어서, 국제 기구의 권고 규격에 부합하는 측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은 제어 명령 수신 단계(102), 측정 시간 및 위치 제어 단계(104), 전기장 또는 자기장 측정 단계(106), 및 측정 데이터 송신 단계(108)를 포함한다.
우선,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102)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측정 위치와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측정을 제어하는 장치를 통틀어 일컫는다.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어 명령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104)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이 측정 시간과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측정 시간 = 6분), (측정 위치 = 위도 37.6°, 경도 127.0°, 높이 1.5m)와 같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또는 프로브를 측정 위치 정보에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측정 시간 정보에 따라 6분 동안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설정한다.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한 후, 이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106)한다. 그리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108)한다. 측정 데이터의 송신은 인터넷 접속 또는 이동통신 접속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측정을 수행하는 사람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보내고,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직접 측정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측정자는 설정한 시간 동안 원격지에서 안전하게 전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정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측정 위치는 IEC/TC106, ITU-T K.52 및 K.61 규격에서 규정하는 국제 표준으로서, 사람의 키 높이에 따라 3단계로 구분되는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측정 위치에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a)는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자기장에 대한 인체노출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IEC/TC106/154CDV)를 도시한다. 사람의 키 높이를 h(m)라고 할 때, 높이에 따라 a1, a2, a3의 세 단계로 구분된 측정 위치를 규정한다. 이때, 측정 위치 a1, a2, a3 각각의 높이는 a1=h(m), a2=2/3h(m), a3=1/3h(m)이고, 지표상의 위치는 동일하다.
도 2(b)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전자기장에 대한 인체노출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IEC/TC106/145CD)를 도시한다. 사람의 키 높이를 h(m)라고 할 때, 높이에 따라 b1, b2, b3의 세 단계로 구분된 측정 위치를 규정한다. 이때, 측정 위치 b1, b2, b3 각각의 높이는 b1=1.7(m), b2=1.5(m), b3=1.1(m)이고, 지표상의 위치는 동일하다.
도 1과 함께 설명된 위치 제어 단계(104)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위치를 높이에 따라 n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측정 위치는 지표면과 평행하게 제어되어 지표상의 측정 지점이 결정될 수 있고, 동일한 지표상의 위치에서 높이에 따라 제어되어 측정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측정 위치가 높이에 따라 n단계(n은 양의 정수)로 제어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측정 규격 IEC/TC106, ITU-T K.52 및 K.61을 충족하는 전자기장 측정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은 제어 명령 송신 단계(302), 측정 데이터 수신 단계(304), 데이터 처리 단계(306), 및 데이터 출력 단계(308)를 포함한다.
우선,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측정 장치로 송신(302)한다. 제어 명령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 를 포함한다. 원격 측정 장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곳과 떨어진 지역의 실제 측정 위치에 위치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전자기장의 측정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틀어 일컫는다. 원격 측정 장치가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면,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304)한다. 수신된 데이터를 실제 측정값으로 변환하거나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로 환산하는 처리(306)를 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308)한다.
데이터 수신 단계(304)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지표상의 위치는 동일하고 높이에 따라 n단계로 제어된 측정 위치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들의 세트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 단계(306)는 각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공간 평균치를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한다. 특히, 측정된 데이터가 하나의 측정 주파수에 대한 전기장 강도일 경우에 이러한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Figure 112008075477754-pat00001
수학식 1에서 S는 전력밀도를 나타낸다. 전력밀도 S는 전기장 강도 E의 제곱을 자유공간 임피던스 120π(≒377Ω)으로 나눈 것이므로, 전력밀도에 대한 기준을 적용할 경우에는 전기장 강도의 제곱에 대비되는 것으로 산출한다.
만약 측정된 데이터가 하나의 측정 주파수에 대한 전기장 강도가 아니고, 여러 주파수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각 측정점의 전기장 강도나 전력 밀도 로 측정 결과를 나타낼 수 없다. 그 이유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노출량에 대한 기준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합산된 전기장 강도의 값으로 단순히 노출량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데이터 처리 단계(306)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기준값에 대한 수신 데이터의 평균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노출지수
Figure 112008075477754-pat00002
를 산출한다. 즉, 각 주파수 대역별 기준값에 대한 측정 데이터의 비율을 이용하여 노출지수
Figure 112008075477754-pat00003
를 산출한다. 노출지수
Figure 112008075477754-pat00004
는 노출량 기준에 규정된 주파수 대역별 전력 밀도 기준치와 해당 주파수에서 측정된 전기장 강도의 비율을 제곱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합한 값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노출지수가 1보다 작거나 같으면 노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50kHz 내지 4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면, 노출지수
Figure 112008075477754-pat00005
는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8075477754-pat00006
EAVE1은 150kHz 내지 1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전기장 강도의 평균값이고, EAVE2는 10MHz 내지 4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전기장 강도의 평균값이다. 한편, Er1은 150kHz 내지 1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전기장 강도의 기준값이고, Er2는 10MHz 내지 40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전기장 강도의 기준값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 처리 단계(306)는 인체의 전자기장에 대한 노출 량을 파악하는데 적합하도록 전자기장을 측정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 및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400)와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유무선 통신망의 예로서, 인터넷 망, 이동통신 망 등을 들 수 있다.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400)는 원격 통신부(402), 원격 측정 제어부(404), 및 원격 측정부(406)를 포함하고,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는 측정 제어부(412), 통신부(414), 및 데이터 처리부(416)를 포함한다.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400)는 도 1과 함께 설명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이고,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는 도 3과 함께 설명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따라서, 두 장치(400, 410)는 각각 앞서 설명된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두 장치(400, 410)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400)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와 떨어져 있는 측정 위치에 위치하여, 실질적인 측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원격 통신부(402)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와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통신한다. 원격 통신부(402)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410)로부터 수신하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41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원격 측정 제어부(404)는 원격 통신부(402)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한다. 원격 측정부(406)는 제어된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원격 통신부(402)로 전달한다.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는 실제 측정 위치와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400)로 하여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측정 제어부(412)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 명령은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414)는 측정 제어부(412)가 생성한 제어 명령을 원격 측정 장치(400)로 송신하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 측정 장치(400)로부터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부(416)는 통신부(414)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 및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500)는 원격 측정 장치(400)보다 GPS 수신부(507) 및 온습도 측정부(50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원격 측정부(506)에는 프로브(520)가 연결된다.
원격 통신부(502), 원격 측정부(506), 및 원격 측정 제어부(504)는 도 4에 설명된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모두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다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측정 제어부(504)는 GPS 수신부(507)에서 수신되는 현재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측정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원격 측정 제어부(504)는 GPS 수신부(507)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측정 환경에 대한 기록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측정 데이터에 포함하여 원격 통신부(502)로 전달한다. 또한, 온습도 측정부(508)는 측정 위치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 및 습도를 측정 데이터에 포함한다.
프로브(520)는 전자기파를 수신한다.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하나의 측정값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등방성 프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에는 프로브(520) 대신에 주파수 선택성이 좋은 측정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510)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4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입출력 장치(530)가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510)와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530)는 측정 수행자로부터 측정에 필요한 입력을 받고,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해준다. 데이터 처리부(516)는 측정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검색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전자기장의 강도가 센 지역의 전자기장을 원격으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원인 제공자인 전력 공급 사업자, 무선통신 사업자, 군 관계자 등과 피해 지역 주민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장치 및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전자기장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 치(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에 기술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메모리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정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 및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 및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Claims (10)

  1. 원격으로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지역에서 인체에 노출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상기 소정 지역과 이격된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측정 시간 및 위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가 전자기장의 인체 노출 측정에 대한 국제 표준 규격에 충족하도록,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위치를 높이에 따라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2. 삭제
  3. 원격으로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지역에서 인체에 노출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상기 소정 지역과 이격된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측정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가 전자기장의 인체 노출 측정에 대한 국제 표준 규격에 충족하도록,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위치를 높이에 따라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함을 제어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지표상의 위치는 동일하고 높이가 다른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공간 평균치를 산출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기준값에 대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의 비율을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노출지수를 산출하는, 원 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6. 원격으로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지역에서 인체에 노출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상기 소정 지역과 이격된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원격 통신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를 제어하는 원격 측정 제어부; 및
    상기 측정 시간 및 위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통신부로 전달하는 원격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측정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가 전자기장의 인체 노출 측정에 대한 국제 표준 규격에 충족하도록,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위치를 높이에 따라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장치.
  7. 삭제
  8. 원격으로 전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지역에서 인체에 노출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상기 소정 지역과 이격된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측정 제어부;
    상기 제어 명령을 원격 측정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측정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데이터가 전자기장의 인체 노출 측정에 대한 국제 표준 규격에 충족하도록,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시,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측정 위치를 높이에 따라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측정함을 제어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지표상의 위치는 동일하고 높이가 다른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공간 평균치를 산출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기준값에 대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의 비율을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노출지수를 산출하는,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장치.
KR1020080106990A 2008-10-30 2008-10-30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099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90A KR100995084B1 (ko) 2008-10-30 2008-10-30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90A KR100995084B1 (ko) 2008-10-30 2008-10-30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17A KR20100048017A (ko) 2010-05-11
KR100995084B1 true KR100995084B1 (ko) 2010-11-18

Family

ID=4227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990A Active KR100995084B1 (ko) 2008-10-30 2008-10-30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733A (ja) * 1999-03-02 2000-09-14 Nec Corp 地上デジタル放送の電波特性測定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733A (ja) * 1999-03-02 2000-09-14 Nec Corp 地上デジタル放送の電波特性測定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17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6182B (zh) 通信电缆接头屏蔽罩屏蔽效能测量的装置及方法
CN104849592A (zh) 一种射电望远镜宽带电磁屏蔽效能检测系统及检测方法
Nedelcu et al. Evaluation of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in the vicinity of mobile phone base stations
KR100995084B1 (ko) 원격 전자기장 측정 방법 및 장치, 원격 전자기장 측정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35271B1 (ko) 기지국 전자파의 인체 노출량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Hwang et al. Shield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with wide dynamic range for a small enclosure in a nested reverberation chamber
CN204613328U (zh) 一种射电望远镜宽带电磁屏蔽效能检测系统
CN105808800A (zh) 一种电子设备机柜泄露辐射仿真预测方法
CN109388867B (zh) 一种高压直流换流站电磁辐射干扰的评估方法与装置
Elechi et 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Specific Absorption Rate of GSM Signal in Port Harcourt, Nigeria
Liao et al. Estimation of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 signal leakage into power generation facilities: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Fenton et al. Some aspects of benchmarking high frequency radiated emissions from wireline communications systems in the near and far fields
Stratakis et al. On the spatial averaging of multiple narrowband electromagnetic field measurements: Methods and uncertainty estimation
Hamid et al.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from GSM base stations
Cannuli et al. A study of monitoring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pollution in urban areas
Ekata et al. Model for monitoring GSM base station radiation safety in Nigeria
Kurnaz et al. Distribution fitting for long term electric field strength measurements
KR100443551B1 (ko) 자유공간 측정 결과를 이용한 접지면상 복사 전계 추출 방법
Roje et al. Safety aspects of the GSM base station radiation concerning human health
Cooper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at radio transmitter sites
Phaiboon et al. Modeling and analysis the effect of radio-frequency fields in hospitals to the medical equipment
Borsero et al. A Boundary Element estimate of radiated emissions produced by unknown sources
Kouveliotis et al. Correlation between SAR, SWR and distance of a mobile terminal antenna in front of a human phantom: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idation
Park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ite-VSWR Method For Radiated Emission Test Sites Above 18 GHz
Hussin et al. Electromagnetic field (EMF) and radio frequency (RF) radiation assessment on telecommunication tower and ground station at national planetarium national space a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