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828B1 - 전력 절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절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828B1
KR100994828B1 KR1020090115985A KR20090115985A KR100994828B1 KR 100994828 B1 KR100994828 B1 KR 100994828B1 KR 1020090115985 A KR1020090115985 A KR 1020090115985A KR 20090115985 A KR20090115985 A KR 20090115985A KR 100994828 B1 KR100994828 B1 KR 10099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e
client terminal
power saving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강용
Original Assignee
(주) 유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드림 filed Critical (주) 유드림
Priority to KR102009011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산출된 전력 절감 정책을 각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을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절감, 정책, 비지/아이들,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전력 절감 시스템 {Power Sav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산출된 전력 절감 정책을 각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을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원은 다양하며 각 에너지원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전기를 생산한다는 것은 어떠한 에너지원을 사용하든지 필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것은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지구 환경을 보존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기 사용량을 꼭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도록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정보 산업의 발전과 함께 컴퓨터가 폭발적으로 보급되었고 컴퓨터가 없이는 업무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컴퓨터는 정보 사회에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전력 사용량이 전체 전력 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고 점차적으로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의 사용 패턴을 살펴보면 실제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기 위해 장시간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절전 시스템이 도입되었지만, 상기와 같은 절전 시스템은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 바로 대기모드 또는 종료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의 동작행태에 대한 고려없이 일률적으로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에 대기모드 또는 종료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모드 전환 후 사용모드로 전환시 지나치게 오랜시간이 소요되므로 빈번한 모드 전환이 오히려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컴퓨터 전력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산출된 전력 절감 정책을 각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을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 절감 시스템에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절감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에 따른 전력을 절감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별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여 제공하되,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반영한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는 전력 관리 서버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고, 동작상태를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관리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에이전트 관리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여 생성하는 정책 제공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로그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이전트 관리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정책 제공부로부터 생성된 전력 절감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정책 제공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에이전트와 상기 에이전트 모듈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부와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비지(busy)/아이들(idle) 상태 정보(비지/아이들 전환 횟수, 아이들 지속시간 포함), 클라이언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은 전력모드를 아이들 지속시간에 따라 컴퓨터 잠금모드, 모니터 차단 모드,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로 구분하여 설정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들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전력모드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관리 에이전트는 상기 전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요청 및 전력 절감 정책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클라이언트 단말의 비지(busy)/아이들(idle)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시 전력모드별 지속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상기 카운터 모듈의 카운트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의 전력모드를 변환하는 모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에이전트로부터 판단된 전력모드가 컴퓨터 잠금모드인 경우 컴퓨터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모니터 차단 모드인 경우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인 경우 하드디스크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모드인 경우 메모리를 제외한 모든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최대 절전모드인 경우 단말 전체 전원을 차단하여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절전 모드 전환시 현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대기모드 전환을 방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경우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모드로 전환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이전트가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 모드 전환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기모드로 전환됨을 통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적절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대기모드로 강제 전환하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때 관리자 설정에 따라 대기모드로 강제 전환되거나 전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책 제공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모드(컴퓨터 잠금모드, 모니터 차단 모드,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를 아이들 지속 기준 시간에 따라 설정하여 전력 절감 정책을 생성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된 동작 상태 정보 중 평균 아이들 횟수(C)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를 산출 하고, 평균 아이들 횟수(C)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를 분석하여 상기 각 전력모드의 아이들 지속 기준 시간을 조절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책 제공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작 상태 정보로부터 평균 아이들 횟수(c) 및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을 산출하는 패턴 분석모듈과 상기 평균 아이들 횟수(c) 및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을 고려하여 전력 절감 정책에 적용될 각 전력모드별 기준 아이들 지속시간을 산출하는 정책 산출모듈과 상기 각 전력모드별 기준 아이들 지속시간에 따라 전력 절감 정책을 생서아는 정책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절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산출된 전력 절감 정책을 각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을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함으로써 작업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별 전력 절감 정책을 제공하는 전력 관리 서버(20)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서버(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클라이언트 단말에 차별적인 전력 절감 정책을 제공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실행할 에이전트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에 따른 비지(busy)/아이들(idle) 상태 정보(비지/아이들 전환 횟수, 아이들 지속시간 포함),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비지 상태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팬타블렛 등 모든 입력수단)를 통한 입력이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아이들 상태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모든 응용 파일(문서, 동영상,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은 전력모드를 아이들 지속시간에 따라 컴퓨터 잠금모드, 모니터 차단 모드,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로 구 분하여 설정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들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전력모드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정책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관리 서버(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에이전트 관리부(210)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여 생성하는 정책 제공부(220)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로그 정보,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에이전트(110)와 상기 에이전트 모듈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부(130)와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태 감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유/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단말(ex, 컴퓨터, 노트북, 와이브로 단말, 이동 통신단말 등)이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대기모드 전환을 방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경우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모드로 전환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이전트가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 모드 전환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기모드로 전환됨을 통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적절한 절차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대기모드로 강제 전환하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때 관리자 설정에 따라 대기모드로 강제 전환되거나 전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절감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력 절감 정책 산출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정책은 전력모드가 컴퓨터 잠금모드(S1), 모니터 차단 모드(S2),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S3), 대기모드(S4) 및 최대 절전모드(S5)로 5개로 구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전력 관리 서버의 정책 제공부는 상기 전력모드 별로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들(idle) 지속시간에 따라 구분하여 전력 절감 정책을 생성한다.
상기 모드 별로 적용되는 아이들(idle) 지속시간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의 통계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별로 최적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모드 중 컴퓨터 잠금모드(S1), 모니터 차단 모드(S2),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S3)는 컴퓨터를 활성화(active) 상태로 복구하는 부하나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기준 아이들 지속시간을 고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대기모드(S4) 및 최대 절전모드(S5)의 경우 컴퓨터를 활성화 상태로 복구하고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기준 아이들 지속시간을 고정된 값으로 설정하기 보다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평균 아이들 횟수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을 체크하여 가변적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정책 산출에 대한 예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S1 내지 S3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고정된 값으로 설정하되 S4, S5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평균 아이들 횟수(C)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먼저, S1 내지 S3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각각 5분, 1분, 1분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상기 아이들 지속시간은 관리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되거나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을 기준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들을 판단하고, 아이들의 횟수와 실제 아이들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아이들 횟수(C)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를 산출한다.
이어서, 기준 아이들 횟수와 기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을 설정하고, 실제 평균 아이들 횟수 및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아이들 횟수를 5로 설정하고, 기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하였다.
클라이언트 단말이 평균 아이들 횟수가 많지만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이 짧을 경우 즉, 아이들이 빈번히 발생하지만 지속시간은 짧은 경우 S4, S5에 대한 기준 아이들 지속시간을 짧게 설정할 경우 컴퓨터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만드는 시간과 컴퓨터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시간으로 인한 업무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S4, S5의 기준 지속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평균 아이들 횟수가 적지만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이 긴 경우 즉, 아이들 발생 빈도는 낮지만 지속시간은 긴 경우 S4, S5에 대한 기준 아이들 지속시간을 길게 설정할 경우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어려우므로 S4, S5의 기준 지속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하게 S4, S5의 아이들 기준 지속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 아이들 횟수(C)가 기준 아이들 횟수(5)에 따라 4가지 스텝으로 구분하였다.
<제 1스텝 : 평균 아이들 횟수(C)가 기준 아이들 횟수(5)를 초과하고,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이 30분을 초과하는 경우>
이 경우 S4, S5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S4 = 10 - P/30 - C,
S5 = 20 - P/30 - C
<제 2스텝 : 평균 아이들 횟수(C)가 기준 아이들 횟수(5)를 초과하고,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이 30분 미만인 경우>
이 경우 S4, S5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S4 = 30 - P/10 - C,
S5 = 40 - P/10 - C
<제 3스텝 : 평균 아이들 횟수(C)가 기준 아이들 횟수(5) 미만이고,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이 30분을 초과하는 경우>
이 경우 S4, S5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S4 = 20 - P/30 - C,
S5 = 30 - P/30 - C
<제 4스텝 : 평균 아이들 횟수(C)가 기준 아이들 횟수(5) 미만이고,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이 30분 미만인 경우>
이 경우 S4, S5의 아이들 지속시간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S4 = 40 - P/10 - C,
S5 = 50 - P/10 - C
상기와 같이 S4, S5의 아이들 지속시간을 설정할 경우 효율적인 전력 절감 뿐만 아니라, 작업 방해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전력 절감 정책이 산출되면 해당 클라이어트 단말에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전송하여 전력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 관리 에이전트가 전력 관리 서버의 에이전트 관리부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에이전트 관리부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전력 절감 정책을 전송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수신하면 전력 관리 에이전트가 수신된 전력 절감 정책을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실행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 관리 에이전트는 전력 절감 정책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사용 상태 모니터링 및 비지(busy)/아이들(idle) 상태 모니터링하여 동작 정보를 전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클라이언트 단말이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되면 전력 관리 에이전트의 카운터 모듈이 S1 타이머를 설정하여 아이들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고 전력 절감 정책에 의해 설정된 S1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1)까지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S1모드(컴퓨터 잠금 모드)로 전력모드가 변경되어 제 3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도록 잠금 상태로 변경됨과 동시에 상기 카운터 모듈이 리셋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 모듈은 S2 타이머 모드를 설정하여 처음부터 다시 아이들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고 전력 절감 정책에 의해 설정된 S2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2)까지 잠금 해제가 없는 경우 S2모드(모니터 차단모드)로 전력모드가 변경되어 전력 관리부가 모니터의 전원을 차담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카운터 모듈이 리셋된다.
만일, 상기 S2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2) 전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컴퓨터 잠금이 해제된 경우 상기 컴퓨터 잠금 모드가 해제된다.
이어서, 상기 카운터 모듈은 S3 타이머 모드를 설정하여 처음부터 다시 아이들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고 전력 절감 정책에 의해 설정된 S3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3)까지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S3모드(하드 디스크 끄기)로 전력모드가 변경되어 전력 관리부가 하드 디스크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다시 카운터 모듈이 리셋 된다.
만일, 상기 S3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3) 전에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잠금 모드 단계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 모듈은 S4 타이머 모드를 설정하여 처음부터 다시 아이들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고 전력 절감 정책에 의해 설정된 S4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4)까지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S4모드(절전모드)로 전력모드가 변경되어 전력 관리부가 메모리 전원을 제외한 모든 장치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다시 카운터 모듈이 리셋된다.
만일, 상기 S4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4) 전에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잠금 모드 단계로 변환된다.
사용자가 절전모드에서 사용모드로 전환했을 때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이 복구하지만 복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자동 저장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 전에 어플리케이션의 편집 내용이 자동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통신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됨을 통지하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저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카운터 모듈은 S5 타이머 모드를 설정하여 처음부터 다시 아이들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고 전력 절감 정책에 의해 설정된 S5 모드의 아이들 지 속시간(T5)까지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S5모드(최대 절전모드)로 전력모드가 변경되어 전력 관리부가 전체 전원을 차단하여 종료한다.
만일, 상기 S5 모드의 아이들 지속시간(T5) 전에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잠금 모드 단계로 변환된다.
이때 컴퓨터의 현재 상태, 즉 사용자가 실행한 모든 프로그램 상태 및 편집 상태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이로 인해 컴퓨터를 다시 켜게 되면 컴퓨터가 종료되기 전 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또한, 전력 관리 에이전트는 상기와 같은 전력 절감 정책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상태감시부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 상태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사용 현황, 즉 사용시간, 응용 프로그램 이름, 문서 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에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컴퓨터의 비지(busy)/아이들(idle) 패턴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시간과 비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에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정책 산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에 따른 전력을 절감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별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여 제공하되,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의 비지(busy)/아이들(idle) 상태 정보(비지/아이들 전환 횟수, 아이들 지속시간 포함), 클라이언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반영한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는 전력 관리 서버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고, 동작상태를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에이전트 관리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절감 정책을 산출하여 생성하는 정책 제공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로그 정보,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에이전트와;
    상기 에이전트 모듈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부와;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은
    전력모드를 아이들 지속시간에 따라 컴퓨터 잠금모드, 모니터 차단 모드, 하 드디스크 차단 모드,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로 구분하여 설정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들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전력모드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에이전트는
    상기 전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요청 및 전력 절감 정책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클라이언트 단말의 비지(busy)/아이들(idle)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시 전력모드별 지속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상기 카운터 모듈의 카운트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의 전력모드를 변환하는 모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에이전트로부터 판단된 전력모드가 컴퓨터 잠금모드인 경우 컴퓨터 잠 금상태로 전환하고, 모니터 차단 모드인 경우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인 경우 하드디스크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모드인 경우 메모리를 제외한 모든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최대 절전모드인 경우 단말 전체 전원을 차단하여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절전 모드 전환시 현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단말은 대기모드 전환을 방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경우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모드로 전환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이전트가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 대기 모드 전환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기모드로 전환됨을 통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적절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대기모드로 강제 전환하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때 관리자 설정에 따라 대기모드로 강제 전환되거나 전환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제공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모드(컴퓨터 잠금모드, 모니터 차단 모드, 하드디스크 차단 모드,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를 아이들 지속 기준 시간에 따라 설정하여 전력 절감 정책을 생성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된 동작 상태 정보 중 평균 아이들 횟수(C)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를 산출하고, 평균 아이들 횟수(C)와 평균 아이들 지속시간(P)를 분석하여 상기 각 전력모드의 아이들 지속 기준 시간을 조절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시스템.
KR1020090115985A 2009-11-27 2009-11-27 전력 절감 시스템 KR100994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985A KR100994828B1 (ko) 2009-11-27 2009-11-27 전력 절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985A KR100994828B1 (ko) 2009-11-27 2009-11-27 전력 절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828B1 true KR100994828B1 (ko) 2010-11-17

Family

ID=4340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985A KR100994828B1 (ko) 2009-11-27 2009-11-27 전력 절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8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55B1 (ko) 2011-02-17 2012-07-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의 불량 유저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7806A (ko) * 2013-12-09 2015-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하 특성에 따른 시스템 전력 캐핑 장치
KR20170042985A (ko) * 2015-10-12 201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제어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1828845B1 (ko) * 2017-04-18 2018-02-14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안전 정책 관리 방법
KR20180131903A (ko) * 2017-06-01 2018-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관리에 기반한 에너지 안전재해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9045198A1 (ko) * 2017-09-04 2019-03-07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사용 밀집 지역용 융합형 안전 관리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55B1 (ko) 2011-02-17 2012-07-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의 불량 유저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7806A (ko) * 2013-12-09 2015-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하 특성에 따른 시스템 전력 캐핑 장치
KR101849369B1 (ko) * 2013-12-09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하 특성에 따른 시스템 전력 캐핑 장치
KR20170042985A (ko) * 2015-10-12 201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제어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2488673B1 (ko) * 2015-10-12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로의 진입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제어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1828845B1 (ko) * 2017-04-18 2018-02-14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안전 정책 관리 방법
WO2018194192A1 (ko) * 2017-04-18 2018-10-25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안전 정책 관리 방법
KR20180131903A (ko) * 2017-06-01 2018-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관리에 기반한 에너지 안전재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51126B1 (ko) * 2017-06-01 202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관리에 기반한 에너지 안전재해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9045198A1 (ko) * 2017-09-04 2019-03-07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사용 밀집 지역용 융합형 안전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828B1 (ko) 전력 절감 시스템
Dhiman et al. Dynamic power management using machine learning
KR101519082B1 (ko) 슬리프 프로세서
US8001407B2 (en) Server configured for managing power and performance
US9760409B2 (en) Dynamically modifying a power/performance tradeoff based on a processor utilization
JP5496518B2 (ja) 集中電力管理方法、装置側エージェント、集中電力管理コントローラ及び集中電源管理システム
Leverich et al. On the energy (in) efficiency of hadoop clusters
Anand et al. Self-tuning wireless network power management
Irani et al. Algorithmic problems in power management
US8176341B2 (en) Platform power management based on latency guidance
CN102695998B (zh) 用于在虚拟化系统中控制中央处理单元功率的系统和方法
US9261933B2 (en) Integrating energy budgets for power management
WO2016041468A1 (zh) 一种唤醒方法、装置及终端
US201401570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power level of an electronic device
US7334138B2 (en) Windows-driven power management for peripheral devices in a computer system
JP2010146546A (ja) クラスタシステムに対する遠隔電源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1625080B (zh) 一种服务器节能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411344B2 (en) Energy saving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US20140282587A1 (en) Multi-core binary translation task processing
CN104412669A (zh) 用于在休眠模式与唤醒之间对装置进行切换的方法
TWI482009B (zh) 伺服器節能管理系統及方法
Nguyen et al. Prediction-based energy policy for mobile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in a cloud environment
US82811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usage based on power-management information from a power grid
KR101082347B1 (ko) 사용자 패턴에 따른 절전 관리 시스템
KR101087429B1 (ko)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