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647B1 - 콘텍트 렌즈 세척기 - Google Patents

콘텍트 렌즈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647B1
KR100994647B1 KR1020080070258A KR20080070258A KR100994647B1 KR 100994647 B1 KR100994647 B1 KR 100994647B1 KR 1020080070258 A KR1020080070258 A KR 1020080070258A KR 20080070258 A KR20080070258 A KR 20080070258A KR 100994647 B1 KR100994647 B1 KR 10099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aphragm
lens
contact lens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395A (ko
Inventor
김동석
Original Assignee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6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콘택트 렌즈 세척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콘택트 렌즈 세척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수납함안착홀을 통하여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진동판과, 진동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진동판이 케이스 내부에서 진동작동하도록 하는 진동작동부와, 진동작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수납함안착홀을 통하여 진동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되는 세척용기에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택트 렌즈, 눈, 안경, 세척기

Description

콘텍트 렌즈 세척기{Contact lens washer}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진동판이 구비된 바이브레이터(vibrator)와, 컨텍트 렌즈와 세척액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진동체에 올려 놓여지는 세척용기로서의 렌즈수납함으로 구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액 대신 보존액을 주입하여 렌즈수납함을 렌즈 보관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택트 렌즈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외부 사물을 보기 위한 감각기관인 눈의 시력은, 유전적인 요인이나 외부환경의 영향에 의해 쉽게 떨어지기도 하는데, 시력이 떨어진 눈으로도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양 쪽 귀에 걸린 상태에서 안면을 가로지르는 테(frame)에 한 쌍의 렌즈를 눈의 위치로 고정시킨 안경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도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과 같이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었으나, 귀에 걸은 상태로 착용하는 안경은 안경이 흘러내리는 등 그 자체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온도가 낮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였을 때, 즉 겨울철 추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실내로 들어갔을 경우, 우기 시와 같이 습도가 높을 때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는 등의 경우 등에는 렌즈 표면에 습기가 응축되기 때문에 안경을 벗어 렌즈의 응축수를 닦아내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뜨거운 음식을 먹는 경우에는 렌즈에 차는 습기 때문에 렌즈를 반복하여 계속 닦으면서 음식을 먹거나, 안경을 벗은 상태로 음식을 먹어야만 불편함이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안경의 불편함을 해결함은 물론,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으면서도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와 같이 사물을 뚜렷이 볼 수 있도록 각막 표면에 직접 접촉시킨 상태로 착용하는 콘택트 렌즈가 개발되었다.
상기 콘택트 렌즈는, 부정난시(不定亂視)를 교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유리로 만들졌는데, 초기의 콘택트 렌즈는 불편하고 오래 착용할 수 없었으나, 각막의 굴곡을 측정하는 광학기구가 개발된 이후 현대적인 콘택트 렌즈가 만들어질 수 있었으며, 유리가 아닌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 렌즈는 일반적으로 안경보다 더욱 우수한 시력교정 효과와 함께 주변부 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안경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상생활도 편리한 이점이 있으나, 각막에 접촉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안경보다도 오히려 눈에 더욱 해로울 수가 있다.
그리고 콘텍트 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렌즈의 표면에 인체에서 분비되는 지방질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 시력교정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세 균이 번식함으로써 각막 질한 등을 초래할 수도 있는 바, 저녁에 콘택트 렌즈를 빼서 세척한 후 생리식염수나 보존액에 담가둔 다음, 다음 날 아침에 다시 생리식염수로 렌즈를 헹구어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를 사용 시 눈의 건강을 위해서는 콘택트 렌즈의 세척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초기에는 콘택트 렌즈에 세척액을 떨어뜨린 후 손가락으로 살살 닦아 내었으나, 손에 의해 콘택트 렌즈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직접 렌즈를 닦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 렌즈 세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2001-92892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247에 "휴대용 콘택트 렌즈 세척장치"와 "콘택트 렌즈 세척장치"가 각각 게시되어 있는데, 상기 두 발명의 장치는 초음파 진동자가 부착된 세척용기에 렌즈와 세척액을 넣은 후 진동자로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렌즈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상기 두 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세척하기 때문에 세척효율은 우수할 수 있으나, 충전배터리, 트랜스, 진동자 및 진동자를 작동시키기 위한 발진기 등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될 뿐 아니라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국내 실용신안공보 실1991-6837호와 실1996-4231호에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좌우요동장치" 및 "콘택트 렌즈 세척기"가 각각 게시되어 있는데, 두 실용신안의 장치는 모터와 기어 등을 이용한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렌즈를 세척하는 구조로서, 기어 결합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에 의해 기어의 치합상태가 느슨해지면서 진동의 세기가 약해지거나, 작동불량이 초래될 수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바와 같이 종래의 콘택트 렌즈 세척기는 단지 세척기만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용도상의 한계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콘택트 렌즈 세척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렌즈 세척에 필요한 진동을 일으키되, 기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조가 간단한 콘택트 렌즈 세척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렌즈를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세척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척용기로서의 렌즈수납함을 렌즈를 보관하는 보관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렌즈 세척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안착홀을 통하여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진동판과, 진동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진동판이 케이스 내부에서 진동 작동하도록 하는 진동작동부와, 진동작동부 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수납함안착홀을 통하여 진동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되는 세척용기에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는,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이 관통형성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저면에는 진동흡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판의 저면과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서로 1:1 대향하는 상하 고정구 다수가 돌출 구비되어 탄성부재가 상하고정구에 각각 삽입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 고정구의 전체 길이는, 탄성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판의 상면에는, 렌즈수납함이 놓여지는 하향 볼록한 수납함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작동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관과, 작동관 내부에 구비되는 편심추와, 편심추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편심추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원부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진동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가 수납되는 전원공급함과, 전원공급함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케이스 외부에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렌즈수납함은 각각 하나씩의 렌즈가 수납되는 세척용기 한 쌍이 브리지에 의해 한 몸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용기의 내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세척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축에 연결된 편심추의 편심회전하고, 편심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는 바,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해져 내구성이 향상되면서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모터와의 기계적 결합구조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마모 등에 진동의 세기가 사용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세척기는, 콘택트 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되는 렌즈수납함과 바이브레이터로 분리 구성되는 바, 콘택트 렌즈를 세척하지 않을 때에는 렌즈수납함만을 콘택트 렌즈 보관용 케이스로 분리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 자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렌즈수납함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진동판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진동판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진동판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세척기(100)는 바이브레이터와 렌즈수납함(170)으로 이루어진다.
바이브레이터는 렌즈가 잠긴 세척액을 흔들어 주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112)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탄성부재(140)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수납함안착홀(112)을 통하여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진동판(130)과, 진동판(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진동판(130)이 케이스(110) 내부에서 진동 작동하도록 하는 진동작동부(150)와, 진동작동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60)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케이스(115)와, 하부케이스(115)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112)이 관통형성된 상부케이스(111)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납함안착홀(112)은 진동판(130)의 진동시 진동판(130)이 수납함안착홀(112)을 통하여 케이스(1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수납함안착홀(112)의 평단면적이 진동판(130)의 평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5)의 저면에는 진동흡수재(120)가 구비된다.
진동흡수재(120)는 실린콘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과 유연성을 가진 동시에 적절한 마찰계수를 가짐으로써, 진동 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세척기(100)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는 소재가 적절하다.
이때, 진동흡수재(120)의 하부는 세척기(100)가 바닥에서 이격된 경우에도 흡착기 등과 같이 하향 경사지는 편 또는 판상으로서, 다수의 소형 진동흡수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크기가 큰 하나의 진동흡수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진동판(130)은 케이스(110) 내부에서 자유롭게 진동 가능토록 케이스(110)에 내장되는데 진동판(130)의 저면과 하부케이스 바닥면 사이에 탄성부재(140)가 개재되어 구성된다.
이때, 탄성부재(140)는 진동판(130)의 저면과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서로 1:1 대향하는 상하고정구(142a,142b)가 다수개 돌출되어 탄성부재(140)가 각각의 상하고정구(142a,142b)에 결합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140)가 복수의 기둥형 또는 관체형으로 이루어져 진동판(130)을 자유롭게 진동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고정구(142a,142b)의 전체 길이는 탄성부재(140)의 길이보다 짧 아야 한다
또한, 탄성부재(140)는 경질재료로 만들어지나 탄성력을 가진 코일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진동판(130)은 유연한 끈으로 상부케이스(111)에 매달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단순한 설계 변경에 불과하며 진동판(130)이 진동가능한 연결구조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진동판(130)의 상면에는 렌즈수납함(170)이 놓여지는 하향 볼록한 수납함안착홈(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납함안착홈(132) 내부에 렌즈수납함(170)의 하부가 놓여짐으로써, 진동판(130)의 진동시에도 렌즈수납함(170)이 진동판(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진동작동부(150)는 진동판(130)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관(152)과, 작동관(152) 내부에 구비되는 편심추(154)와, 편심추(154)와 회전축(157)에 의해 연결되어 편심추(154)를 회전시키는 모터(156)로 구성된다.
진동판(130)을 흔들어 주기 위한 모터(156)의 회전축(157)에는 편심추(154)가 결합되는데, 편심추(154)는 정상적인 원판형상에서 일부가 제거된 구조로서, 모터(156)의 회전축(157)에 대하여 편심추(154)의 무게중심은 편심된 상태가 되는 바 편심추(154)가 작동관(152)의 내주면에 접촉을 반복하면서 진동판(130)에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원부(160)는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고 진동작동부(150)에 전 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163)가 수납되는 전원공급함(162)과, 전원공급함(162)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케이스(110) 외부에 형성된 스위치(165)로 구성된다.
또한, 렌즈수납함(170)은 렌즈와 세척액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뚜껑을 갖는 한 쌍의 세척용기(172)와 한 쌍의 세척용기를 서로 고정연결하는 브리지(174)로 구성된다.
그리고, 세척용기(172) 내면에는 다수의 돌기(17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렌즈수납함(170)에 렌즈와 세척액을 넣은 후 렌즈수납함(170)을 진동판(130)에 올려 놓는다.
이후, 스위치(165)를 온(On)시키면, 전원공급함(162)의 전원이 모터(156)에 전달되어 모터(156)의 회전축(157)이 회전하고 회전축(157)에 결합된 편심추(154)가 회전하게 된다.
편심추(154)의 회전에 의해 편심추(154)의 외측면이 작동관(152)의 내면에 접촉을 반복하면서 진동판(130)을 진동시키게 된다.
이때, 진동판(130)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됨으로 하부케이스(115)의 바닥에서 이격된 진동판(130)은 케이스(110) 내부에서 자유롭게 흔들릴 수 있게 되고, 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된 렌즈수납함(170)이 진동판(130)의 진동에 의해 렌즈를 세척하게 된다.
진동판(130)의 상면에는 하향 볼록한 수납함안착홈(132)이 형성되고, 수납함안착홈(132)에 렌즈수납함(170)을 안착함으로써, 전동판(130)의 진동시에도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진동판(130)의 진동 시 상부케이스(111)의 수납함안착홀(112)의 평단면적이 진동판(130)의 평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진동판(130) 또한 케이스(1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110)는 내부에 내장된 진동판(130)의 진동과 함께 진동되게 되는데, 케이스(110)를 통하여 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진동흡수재(120)가 흡수하여 세척기(100)와 바닥 사이의 반복적인 충돌, 세척기(100)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세척용기(172)에는 세척액이 채워지는데 세척용기(172) 내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세척액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렌즈를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렌즈의 세척이 끝나면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진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타이머를 내장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만 모터(156)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렌즈수납함(170)에 세척액 대신 보존액을 주입하여 렌즈수납함(170)을 렌즈 보관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렌즈수납함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진동판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진동판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세척기의 진동판 작동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콘택트 렌즈 세척기 110 : 케이스
111 : 상부케이스 112 : 수납함안착홀
115 : 하부케이스 120 : 진동흡수재
130 : 진동판 132 : 수납함안착홈
140 : 탄성부재 142a,142b : 상,하고정구
150 : 진동작동부 152 : 작동관
154 : 편심추 156 : 모터
157 : 회전축 160 : 전원부
162 : 전원공급함 163 : 건전지
165 : 스위치 170 : 렌지수납함
172 : 세척용기 173 : 돌기
174 : 브리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안착홀을 통하여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진동작동하도록 하는 진동작동부;
    상기 진동작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수납함안착홀을 통하여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되는 세척용기에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수납함안착홀이 관통형성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는, 상기 렌즈수납함이 놓여지는 하향 볼록한 수납함안착홈이 포함되며,
    상기 세척용기의 내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세척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진동흡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저면과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서로 1:1 대향하는 상하 고정구 다수가 돌출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상하고정구에 각각 삽입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고정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작동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관;
    상기 작동관 내부에 구비되는 편심추; 및
    상기 편심추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편심추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가 수납되는 전원공급함;
    상기 전원공급함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상기 케이스 외부에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수납함은 각각 하나씩의 렌즈가 수납되는 세척용기 한 쌍이 브리지에 의해 한 몸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10. 삭제
KR1020080070258A 2008-07-18 2008-07-18 콘텍트 렌즈 세척기 KR10099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58A KR100994647B1 (ko) 2008-07-18 2008-07-18 콘텍트 렌즈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58A KR100994647B1 (ko) 2008-07-18 2008-07-18 콘텍트 렌즈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95A KR20100009395A (ko) 2010-01-27
KR100994647B1 true KR100994647B1 (ko) 2010-11-16

Family

ID=4181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258A KR100994647B1 (ko) 2008-07-18 2008-07-18 콘텍트 렌즈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6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29B1 (ko) 2012-09-28 2014-04-21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방진형 지지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KR101419817B1 (ko) * 2012-12-28 2014-07-15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자유형 마운트가 구비되는 진동세척기
KR101419815B1 (ko) * 2012-09-28 2014-07-15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방진구조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KR101458388B1 (ko) * 2013-02-12 2014-11-05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자유형 마운트가 구비되는 진동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01Y1 (ko) * 2011-06-24 2011-09-20 박상진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
KR102357060B1 (ko) * 2021-11-22 2022-02-08 이연준 휴대용 콘택트 렌즈 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981Y1 (ko) * 2006-11-14 2008-05-16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콘텍트렌즈 세척액 유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981Y1 (ko) * 2006-11-14 2008-05-16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콘텍트렌즈 세척액 유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29B1 (ko) 2012-09-28 2014-04-21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방진형 지지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KR101419815B1 (ko) * 2012-09-28 2014-07-15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방진구조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세척기
KR101419817B1 (ko) * 2012-12-28 2014-07-15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자유형 마운트가 구비되는 진동세척기
KR101458388B1 (ko) * 2013-02-12 2014-11-05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자유형 마운트가 구비되는 진동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95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647B1 (ko) 콘텍트 렌즈 세척기
ES2855990T3 (es) Dispositivo motorizado para el cuidado de la piel
CN102186446B (zh) 电动式刷子装置
TWM367032U (en) Dual shockwave cleaning machine
CN103269656A (zh) 口腔护理器具
US20180264875A1 (en) Cosmetic Brush Cleaner and Dryer
KR200439981Y1 (ko) 콘텍트렌즈 세척액 유동장치
WO2000000304A1 (en) Self-contained fully automatic apparatus for cleaning eyeglasses
KR200455701Y1 (ko)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
CN210181328U (zh) 一种角膜接触镜清洗装置
KR20140078306A (ko) 콘택트렌즈 세척기
US6193806B1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 impulse for cleaning soft contact lens
CN111830735A (zh) 一种角膜接触镜清洗装置
US11839905B2 (en) Vibrating base assembly for cleaning contact lenses
JP200906941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保存容器
KR20130106150A (ko)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KR101880359B1 (ko) 봉투 거치대
KR100436076B1 (ko) 콘택트렌즈 세척장치
KR20210021853A (ko) 휴대용 젖병 초음파 세척기
KR20120048939A (ko) 안경 세척 방법 및 세척기
CN207323693U (zh) 一种具有振动按摩功能的水槽腰靠及水槽组件
JP201921963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器
US8211237B2 (en) Cleaning contact lenses via sonication
CN216956564U (zh) 眼镜清洗器
JP4577976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保存容器および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