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532B1 -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532B1
KR100994532B1 KR1020090056675A KR20090056675A KR100994532B1 KR 100994532 B1 KR100994532 B1 KR 100994532B1 KR 1020090056675 A KR1020090056675 A KR 1020090056675A KR 20090056675 A KR20090056675 A KR 20090056675A KR 100994532 B1 KR100994532 B1 KR 10099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upled
unit
geotherma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규상
박일문
김정엽
신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벽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벽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열원수공급유니트에 의하여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실내유니트의 제1열교환부로 순환되어 실내유니트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다른 지열냉온수에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기공급유니트의 제2열교환부로 순환되어 상기 외기공급유니트로 흡입된 신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외기공급유니트에서 열교환된 신외기가 상기 실내유니트로 공급되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실내로 배출되어지게 구성된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공급유니트는 지면속으로 매설된 제1집열튜브에 제1공급파이프와 제1배출파이프로 연결된 제1지열교환부가 제1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케이싱의 상부로 제1열교환부에 제2공급파이프와 제2배출파이프로 연결된 열원수교환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배출파이프에 제1지열순환펌프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배출파이프에 열원수순환펌프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내유니트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제2케이싱의 내부로 제1열교환부 후방에 제1송풍기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2케이싱의 외부에 신외기공급부가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열원수공급유니트, 지열교환부, 실내유니트, 신외기공급부, 순환펌프

Description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Ventilation-Integrated HVAC System using Ground Heat Source}
본 발명은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실내유니트로 순환되어 실내유니트로 흡입된 이물질이 제거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다른 지열냉온수에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기공급유니트로 순환되어 외기유니트로 흡입된 이물질이 제거된 신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된 신외기가 실내유니트로 공급되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실내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것을 공기조화(기)라 한다.
공기조화기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실내 공기와 접하고 있는 증발기 코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공기 중의 열을 빼앗고, 차가워진 공기가 포화 점에 도달하면 수분이 증발기 코일에 구비되어 있는 열교환핀에 응축되어지고, 수분이 응축된 물은 열교환핀에서 떨어져 밖으로 배출되어지고, 차갑고 건조한 냉각된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어 냉방을 하게 된다.
이때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로 들어가서 외부 공기와 접하고 있는 응축 코일을 통해 압축되어 액체상태로 다시 응축되는 과정에서 흡수한 열이 방출되어지며, 방출된 더운 공기는 밖으로 배출되어지고, 액체상태의 냉매는 냉각작용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 증발기 코일로 다시 순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공기조화기 중 일부에는 복수개의 코일이 구비되어 동절기에 냉매의 흐름을 바꾸어 즉, 내부코일이 냉매를 응축하여 실내를 난방하게 되는 열 펌프(heat pump)가 제안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냉,난방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되었을 경우,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해 외부로 부터 주기적으로 일정한 량의 외기가 도입됨과 동시에 도입되는 외기량 만큼 실내에서 배출되는 환기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됨과 동시에 냉,난방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절기 냉방의 경우, 실내 온도 보다 외기 온도가 높음에 따라 환기 과정에서 온도가 낮은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온도가 높은 외기가 실내로 들어옴으로써, 실내 온도를 더 낮추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계속적인 가동이 필요하게 되고, 동절기 난방의 경우, 실내 온도 보다 실외 온도가 더 낮음으로써, 외기가 실내로 들어옴과 동시에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냉방시와 동일하게 공기조화기의 계속적인 가동이 소요됨에 따라 냉,난방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 이상의 에 너지가 소비되어 많은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기후가 급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냉,난방에 소요되는 운전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여 기후 환경보호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냉,난방시 일정량의 외기가 공급되어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원수공급유니트(100)에 의하여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실내유니트(200)의 제1열교환부(220)로 순환되어 실내유니트(200)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다른 지열냉온수에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기공급유니트(300)의 제2열교환부(320)로 순환되어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로 흡입된 신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에서 열교환된 신외기가 상기 실내유니트(200)로 공급되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실내로 배출되어지게 구성된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공급유니트(100)는 지면속으로 매설된 제1집열튜브(120)에 제1공급파이프(140a)와 제1배출파이프(140b)로 연결된 제1지열교환부(130)가 제1케이싱(110)의 하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케이싱(110)의 상부로 제1열교환부(220)에 제2공급파이프(160a)와 제2배출파이프(160b)로 연결된 열원수교환부(15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배출파이프(140b)에 제1지열순환펌프(P1)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배출파이프(160b)에 열원수순환펌프(P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내유니트(200)는 흡입구(211)와 배출구(212)를 갖는 제2케이싱(210)의 내부로 제1열교환부(220) 후방에 제1송풍기(23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2케이싱(230)의 외부에 신외기공급부(24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실내유니트로 순환되어 실내유니트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다른 지열냉온수에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기공급유니트로 순환되어 외기공급유니트로 흡입된 신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된 신외기가 실내유니트로 공급되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실내로 배출되어지게 함으로써, 냉,난방에 소요되는 운전비용을 줄여 경제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여 기후가 급변화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환경보호를 더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냉,난방시 일정량의 외기가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이 제공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실내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실내유니트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수공급유니트(100), 실내유니트(200) 및 외기공급유니트(300)가 각각 구조물(500)의 외부와 내측 하부 및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구조물(500)의 내부 공간을 냉,난방하는 과정에서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임과 동시에 일정량의 외기가 같이 공급되어지도록 하여 쾌적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열원수공급유니트(100)에 의하여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실내유니트(200)의 제1열교환부(220)로 순환되어 실내유니트(200)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지고, 다른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기공급유니트(300)의 제2열교환부(320)로 순환되어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로 흡입된 신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에서 열교환된 신외기가 상기 실내유니트(200)로 공급되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실 내로 배출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중 상기 열원수공급유니트(100)는 지면속으로부터 집열된 지열냉,온수가 제1지열교환부(130) 및 열원수교환부(150)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열원수가 실내유니트(2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부(22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실내유니트(200)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원수공급유니트(100)는 구조물(500)의 저층에 설치된 것으로 지면속으로 매설된 제1집열튜브(120)에 제1공급파이프(140a)와 제1배출파이프(140b)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제1공급파이프(140a)와 제1배출파이프(140b)에 제1케이싱(11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지열교환부(130)가 연결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제2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부(220)에 제2공급파이프(160a)와 제2배출파이프(160b)로 연결된 열원수교환부(150)가 설치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배출파이프(140b)에는 제1지열순환펌프(P1)가 결합되어 지열냉,온수가 계속적으로 순환되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배출파이프(160b)에는 열원수순환펌프(P2)가 결합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열원수가 계속적으로 순환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유니트(200)는 구조물(500)의 각층에 각각 설치되어 흡입된 외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어지도록 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제1열교환부(22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냉,온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온기가 실내로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를 통해 공급된 신외기와 같이 배출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실내유니트(200)는 흡입구(211)와 배출구(212)를 갖는 제2케이싱(210)의 내부로 설치된 제1열교환부(220) 후방에 제1송풍기(23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2케이싱(210)의 외부에 신외기공급부(24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케이싱(210)의 흡입구(211) 내측에는 이물질이 제거되어지는 제1필터부(250)와 외기가 흡입,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음패널부(26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송풍기(230)는 제2케이싱(210)의 내측에 미리 고정된 지지프레임(231)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송풍기(230)의 토출측에는 송풍가이드(270)가 결합되어 제1송풍기(23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여 신외기공급부(240)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270)는 받침패널(271)의 상부 양측에 경사패널(271a) (271a')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경사패널(271a)(271a')의 후방으로 형성된 제1관통홀(272a)에 오리피스노즐(273)이 결합된 가이드격벽(272)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노즐(273)의 끝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2관통홀(281)이 형성된 배출격벽(280)이 제2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오리피스노즐(273)을 통해 제2관통홀(281)로 유입 또는 토출되어지는 과정에서 그 주변의 신외기가 같이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홀(281)에는 배출가이드(290)의 플랜지(291)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외기공급부(240)는 가이드격벽(272)과 배출격벽(280) 사이로 위치된 제2케이싱(210)에 제3관통홀(241)을 형성하여 공급관(24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공급관(242)의 입구측에 솔레노이드(243-1)가 결합된 디스크패널(243-2)로 이루어진 댐퍼(243)가 결합되어 실외기의 공급량이 조절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242)에는 외기공급유니트(300)를 구성하는 제3케이싱(310)의 신외기배출구(312)에 결합된 덕트(245)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덕트(245)의 타측이 신외기배출구(312)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는 구조물(500)의 외부로부터 흡입된 외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어지고, 이물질이 제거된 흡입된 신외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실내유니트(200)의 신외기공급부(240)로 공급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는 신외기흡입구(311)와 신외기배출구(312)를 갖는 제3케이싱(310) 내부인 흡입구측으로 제2필터부(330)가 결합되어지고, 지면속으로 매설된 제2집열튜브(340)의 제3공급파이프(341)와 제3배출파이프(342)로 연결된 제2열교환부(320)가 상기 제2필터부(330)의 후방 하측으로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열교환부(320)는 제2지열교환부(321)에 제2열교환코일(322)이 근접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열교환코일(322)의 후방에 제2송풍기(350)가 결합되어 지고, 상기 제3배출파이프(342)에 제2지열순환펌프(P3)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에 의하여 구조물의 내부가 냉,난방되어지는 과정 및 냉,난방되어지는 과정에서 신외기가 흡입되어지는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절기 냉방의 경우, 실내유니트(200)의 제1송풍기(230)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외기가 흡입구(211)를 통해 흡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제1필터부(250)에 의하여 외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어지고, 이물질이 제거되어진 외기는 이어 방음패널부(260) 및 제1열교환부(220)를 경유한 후 제1송풍기(230)를 통해 송풍가이드(270)의 경사패널(271a)(271a') 사이를 지나고, 이어 오리피스노즐(273)과 제2관통홀(281) 및 배출가이드(29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열원수공급유니트(100)의 제1지열순환펌프(P1)에 의하여 제1집열튜브(120)내에 있는 지열냉,온수가 지열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온보다 더 온도가 낮아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되고, 온도가 낮아진 지열냉수가 제1공급파이프(140a), 제1지열교환부(130), 제1배출파이프(140b), 제1지열순환펌프(P1) 및 제1집열튜브(120)를 순환화는 과정에서 제1지열교환부(130)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된다.
다음, 제1지열교환부(130)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원수교환부(150)가 같이 연동되어지게 됨에 따라 열원수순환펌프(P2)에 의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원수가 제2공급파이프(160a), 제1열교환부(220), 제2배출파이프(160b) 및 열원수교환부(150)를 순환하게 됨에 따라 제1열교환부(220)를 통과하는 외기가 냉각되어 실내를 냉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외기공급유니트(300)의 제2송풍기(350)가 구동되어짐과 동시에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신외기가 신외기흡입구(311)의 제2필터링부(330)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 이물질이 제거된 신외기가 제2열교환부(3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되어지게 되고, 냉각된 신외기는 제2송풍기(350)의 토출력으로 신외기배출구(312) 및 덕트(245)를 통해 신내유니트(200)에 구비된 실외기공급부(240)를 경유하여 제2케이싱(210)의 내부로 공급되어지게 됨에 따라 신외기가 제1송풍기(230)에서 공급되어지고 있는 냉각된 공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배출가이드(29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어지게 됨에 따라 실내공간을 냉방하는 가운데 적정량의 외기가 같이 공급되어 항상 쾌적한 실내 공간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냉각된 신외기가 덕트(245)를 통해 신외기공급부(240)로 공급되어지는 과정에서 공급관(242)에 구비된 솔레노이드(243-1)의 작동에 따라 디스크패널(243-2)이 연동되어 공급관(242)의 유로가 가변되어지게 됨에 따라 신외기의 공급량이 조절되어지게 된다.
다음, 신외기공급부(240)로 공급되어지는 신외기는 제2집열튜브(340)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낮아진 지열냉수가 제3공급파이프(341), 제2지열교환부(321), 제3배출파이프(342), 제2지열순환펌프(P3)를 통해 계속적으로 순환되어지는 가운데 제2지열교환부(321) 및 제2열교환코일(322)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신외기흡입구(311)를 통해 흡입된 신외기가 냉각되어지게 됨으로써, 신외기공급부(240)를 통해 실내유니트(200)의 내부로 공급되어지는 신외기의 온도가 낮음에 따라 냉방과정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절기 난방의 경우, 열원수공급유니트(100)의 제1집열튜브(120)와 외기공급유니트(300)의 제2집열튜브(340)에 의하여 상온 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실내를 난방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실내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실내유니트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열원수공급유니트 110:제1케이싱
120:제1집열튜브 130:제1지열교환부
140a:제1공급파이프 140b:제1배출파이프
150:열원수교환부 160a:제2공급파이프
160b:제2배출파이프 200:실내유니트
210:제2케이싱 211:흡입구
212:배출구 220:제1열교환부
230:제1송풍기 240:신외기공급부
300:외기공급유니트 320:제2열교환부
P1:제1지열순환펌프 P2:열원수순환펌프

Claims (4)

  1. 열원수공급유니트(100)에 의하여 지열냉온수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실내유니트(200)의 제1열교환부(220)로 순환되어 실내유니트(200)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다른 지열냉온수에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기공급유니트(300)의 제2열교환부(320)로 순환되어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로 흡입된 신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에서 열교환된 신외기가 상기 실내유니트(200)로 공급되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실내로 배출되어지게 구성된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공급유니트(100)는 지면속으로 매설된 제1집열튜브(120)에 제1공급파이프(140a)와 제1배출파이프(140b)로 연결된 제1지열교환부(130)가 제1케이싱(110)의 하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케이싱(110)의 상부로 제1열교환부(220)에 제2공급파이프(160a)와 제2배출파이프(160b)로 연결된 열원수교환부(15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배출파이프(140b)에 제1지열순환펌프(P1)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배출파이프(160b)에 열원수순환펌프(P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내유니트(200)는 흡입구(211)와 배출구(212)를 갖는 제2케이싱(210)의 내부로 제1열교환부(220) 후방에 제1송풍기(23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2케이싱(210)의 외부에 신외기공급부(24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200)는 제2케이싱(210)의 흡입구(211) 내측에 제1필터부(250)와 방음패널부(26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송풍기(230)는 지지프레임(231)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송풍기(230)의 토출측에 송풍가이드(27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송풍가이드(270)는 받침패널(271)의 상부 양측에 경사패널(271a)(271a')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경사패널(271a)(271a')의 후방으로 형성된 제1관통홀(272a)에 오리피스노즐(273)이 결합된 가이드격벽(27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오리피스노즐(273)의 끝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2관통홀(281)이 형성된 배출격벽(280)이 제2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2관통홀(281)에 배출가이드(290)의 플랜지(291)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외기공급부(240)는 가이드격벽(272)과 배출격벽(280) 사이의 제2케이싱(210)에 제3관통홀(241)을 형성하여 공급관(24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공급관(242)의 입구측에 솔레노이드(243-1)가 결합된 디스크패널(243-2)로 이루어진 댐퍼(243)가 결합되어 신외기의 공급량이 조절되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242)에 덕트(245)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덕트(245)의 타측이 외기공급유니트(300)의 신외기배출구(312)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유니트(300)는 신외기흡입구(311)와 신외기배출구(312)를 갖는 제3케이싱(310) 내부의 흡입구측으로 제2필터부(330)가 결합되어지고, 지면속으로 매설된 제2집열튜브(340)에 제3공급파이프(341)와 제3배출파이프(342)로 연결된 제2열교환부(320)가 상기 제2필터부(330)의 후방 하측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열교환부(320)는 제2지열교환부(321)에 제2열교환코일(322)이 근접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열교환코일(322)의 후방에 제2송풍기(35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배출파이프(342)에 제2지열순환펌프(P3)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KR1020090056675A 2009-06-24 2009-06-24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KR10099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675A KR100994532B1 (ko) 2009-06-24 2009-06-24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675A KR100994532B1 (ko) 2009-06-24 2009-06-24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532B1 true KR100994532B1 (ko) 2010-11-15

Family

ID=4340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675A KR100994532B1 (ko) 2009-06-24 2009-06-24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5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80B1 (ko) 2006-11-13 2007-05-11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소음저감형 공기조화기
KR100876426B1 (ko) 2008-05-08 2008-12-29 에스씨종합건설(주) 지열을 이용한 실내 냉난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80B1 (ko) 2006-11-13 2007-05-11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소음저감형 공기조화기
KR100876426B1 (ko) 2008-05-08 2008-12-29 에스씨종합건설(주) 지열을 이용한 실내 냉난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2947B (zh) 用于风机盘管和热回收新风空调机组的热泵系统
CN106705224B (zh) 一种多层次热回收组合式空气处理器及其空气处理方法
CN202692282U (zh) 双冷源热泵全热回收调湿控温新风机组及其控制方式
KR10090760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KR20110119499A (ko) 폐열을 이용한 히트펌프식 환기장치
CN104864529B (zh) 一种地铁站机房型蒸发冷凝直膨冷风型通风空调系统
KR101029571B1 (ko) 지열 및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히트펌프 공기 조화기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CN102748824A (zh) 通讯机房空调热管一体机的排热装置
WO2020244207A1 (zh) 空调系统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102167073B1 (ko) 열회수형 결로방지장치가 장착된 지열시스템
KR100929875B1 (ko)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공기 조화기
KR100728590B1 (ko) 절전형 고효율 히트펌프 환기장치
KR101844581B1 (ko)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CN206669914U (zh) 一种一体式地铁空调机组
CN215832055U (zh) 一种室内空气处理系统
CN102809193A (zh) 热回收空调机
KR100994532B1 (ko) 지열원을 이용한 환기병용형 냉,난방 시스템
KR20110083335A (ko) 냉난방제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CN201527040U (zh) 分体式空调的室外机
CN104296262B (zh) 一种用于卫生间的换气除湿全热回收式冷暖风一体机
CN107238190A (zh) 一种空调
CN205090532U (zh) 水盘管驱动侧吸风顶出风变风量垂直向上风幕
KR10090760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