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371B1 -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371B1
KR100994371B1 KR1020080098449A KR20080098449A KR100994371B1 KR 100994371 B1 KR100994371 B1 KR 100994371B1 KR 1020080098449 A KR1020080098449 A KR 1020080098449A KR 20080098449 A KR20080098449 A KR 20080098449A KR 100994371 B1 KR100994371 B1 KR 10099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ludge
drying
variab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475A (ko
Inventor
박영철
맹석주
이주석
Original Assignee
삼창엔텍 주식회사
삼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158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43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창엔텍 주식회사, 삼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창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식건조기에 내장되면서 건조부에 유입슬러지를 박막형태로 도포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3)을 갖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로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20);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상기 건조부(20)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를 갖는 회전부(30) 및;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회전부(30)로 안내하는 유도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상기 블레이드(32c)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50)가 장착되어;
상기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가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가변되면서 공급량에 따른 건조기 내부의 슬러지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내부에 걸쳐 균일하게 건조되면서 진행되도록 한 것이다.
박막식건조기, 몸체부, 건조부, 회전부, 유도부, 가변장치,

Description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Sludge Drying Machine having adjustable blade}
본 발명은 박막식건조기에 구성되어 유입슬러지를 박막형태로 도포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레이드를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도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나 폐수처리장의 각종 수처리공정에서 불가피하게 산업폐기물인 슬러지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슬러지는 분리된 오물침사 또는 침전된 슬러지 또는 잉여활성 슬러지 또는 부식토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함유하면서 덩어리나 죽 모양 또는 고체 모양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정수 및 폐수처리의 공정뿐만 아니라 하수구나 하수처리장이나 정화조나 공장이나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응집제를 포함한 화학적 첨가제의 투여 증가로 인하여 슬러지의 생성량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슬러지의 처리에 따른 각종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따라서, 하.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침전물 중 잉여 유기성침전물의 대부분은 안전하고 무해한 물질로 바꾸는 소화과정을 거치게 되며, 특히 활성잉여슬러지 또는 소화된 슬러지의 경우 수분을 제거하여 감량하고 소각 열효율을 상승시키는 보조연료나 퇴비 등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원 출원인은 각종 슬러지를 건조하여 보조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슬러지에 직접 열원을 공급하여 건조하는 "패들식 건조기"(등록번호: 제813467호) 및 슬러지를 박막형태로 도포하여 건조하는 "박막식건조기"(출원번호: 10-2008-96202호)를 제안한 바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박막식건조기(1)는, 몸체부(10)의 내벽면에 장착되어 슬러지에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20)와, 상기 건조부(2)의 내벽면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도포체(32)를 갖는 회전부(30)와, 상기 회전부(30)의 작동방향으로 슬러지를 안내하는 유도부(4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도포체(32)는, 모터(31)에 의해 축회전하는 로터(32a)와, 상기 로터(32a)의 둘레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서포트(32b) 및, 상기 서포트(32b)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건조부(20)의 벽면을 향해 상기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박막식건조기(1)는, 상기 몸체부(10)의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가 상기 유도부(40)의 회전과정에서 회전부(30)로 유도되고, 상기 블레이드(32c)에 의해 상기 건조부(20)의 내벽면에 박막형태로 도포된 후, 상기 건조부(20)의 열원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포체(32)의 블레이드(32c)는, 상기 서포트(32b)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된 상태로서, 예컨대 상기 몸체부(10)에 공급되는 슬러지량이 많아져 상기 블레이드(32c)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손상되어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도포체(32)의 블레이드(32c)가 손상되는 경우 상기 슬러지의 도포효율이 저하되어 슬러지의 건조에 따른 처리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수리 및 유지보수에 따른 각종 작업하중 및 부대비용이 증대되어 운용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에 공급되는 슬러지에 의해 상기 건조부(20)가 손상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20)의 열원이 누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건조부(20)의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하중 및 각종 부대비용이 증대되어 운용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도포효율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향해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공간에 수용되면서 외부동력에 의해 축회전함은 물론 그 둘레면에 상기 건조부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둘레면에 상기 건조공간에 수용되는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실시예는;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향해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수용되면서 외부동력에 의해 축회전함은 물론 그 둘레면에 상기 건조부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부 및;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회전부의 작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둘레면에 상기 건조공간에 수용되는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셋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가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가변되면서 공급량에 따른 건조기 내부의 슬러지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내부에 걸쳐 균일하게 건조되면서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가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가변되면서 도포작업을 수행하므로, 상기 건조기에 다량의 슬러지가 공급되더라도 도포작업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가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가변되면서 도포작업을 수행하므로, 상기 블레이드 및 건조부의 수명이 연장되어 상기 건조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구성을 예시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측면도이며,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3)을 갖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향해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20) 및;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외부동력에 의해 축회전함은 물론 그 둘레면에 상기 건조부(20)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를 갖는 회전 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50)가 장착된다.
먼저, 본 실시예1에 의한 박막식건조기(1)는 하.폐수처리장 등에 발생하는 슬러지 또는 식품, 농수산물, 약품, 각종 부산물 또는 화학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리 등을 건조하여 감량하는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상기한 모든 재처리 물질들을 통칭하여 "슬러지"라 칭한다.
또한, 박막식건조기(1)는 몸체부(10)에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를 상기 회전부(30)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건조부(20)에 박막형태로 도포하고 건조시킴은 물론 상기 가변장치(50)에 의해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각도를 세팅하는 구성임을 첨언한다.
또한, 본 실시예1에 의한 몸체부(10)와 건조부(20)와 회전부(30)의 경우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박막식건조기"(도 1 내지 3 참조)에서 유도부(4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회전부(30)는,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상기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a)와, 상기 로터(32a)의 둘레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된 다수개의 가변장치(50) 및, 상기 가변장치(50)에 설치되면서 상기 건조부(20)의 벽면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변장치(50)는,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32c)가 축회전하는 힌 지축(51)과, 상기 힌지축(51)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 및, 상기 힌지축(51)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각도를 제어하는 제1,2스토퍼(53,54)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변장치(50)는,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짝수열 또는 홀수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힌지축(51)은,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의 지지수단 및 회동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장착하여, 상기 블레이드(32c)의 배치간격을 규칙적으로 세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스토퍼(53,54)는,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각도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32c)의 회전반경 일측부에 장착된 제1스토퍼(53)와, 상기 제1스토퍼(53)의 측부에 장착된 제2스토퍼(54)로 구성되며, 특히 제1,2스토퍼(53,54)를 상기 블레이드(32c)가 45±5°로 회동회도록 세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52)은, 상기 블레이드(32c)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슬러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여 흡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51)의 둘레면에 장착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막식건조기(1)를 구성하려는 경우,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가변장치(50)를 장착하고, 상기 가변장치(50)의 힌지축(51)에 상기 블레이드(32c)를 설치한다.
만일, 박막식건조기(1)의 작동스위치를 켜면, 일단 상기 몸체부(10)의 건조공간(13)으로 낙하되는 슬러지가 상기 회전부(30)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건조부(20)으로 벽면으로 도포되어 건조된 후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30)의 블레이드(32c)는 상기 건조공간(13)에 낙하되는 슬러지의 이송량에 따라, 상기 가변장치(50)의 제1,2스토퍼(53,54)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슬러지의 도포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32c)는 상기 힌지축(51)을 따라 상기 제1스토퍼(53)와 제2스토퍼(54)의 사이를 이동하며, 특히 블레이드(32c)에 가해지는 상기 슬러지의 하중은 스프링(52)에 의해 완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건조공간(13)에 규정량 이상의 슬러지가 공급되더라도 상기 가변장치(50)에 의해 블레이드(32c)가 가변되면서 도포작업을 수행하므로 슬러지건조에 따른 작업생산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측면도이며, 도 5내지 도 7은 본 발 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3)을 갖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향해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20);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외부동력에 의해 축회전함은 물론 그 둘레면에 상기 건조부(20)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를 갖는 회전부(30) 및;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회전부(30)의 작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유도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50)가 장착된다.
먼저, 본 실시예2에 의한 박막식건조기(1)는 하.폐수처리장 등에 발생하는 슬러지 또는 식품, 농수산물, 약품, 각종 부산물 또는 화학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리 등을 건조하여 감량하는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상기한 모든 재처리 물질들을 통칭하여 "슬러지"라 칭한다.
또한, 박막식건조기(1)는 몸체부(10)에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를 상기 유도부(40)와 회전부(30)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건조부(20)에 박막형태로 도포하고 건조시킴은 물론 상기 가변장치(50)에 의해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각도를 세팅하는 구성임을 첨언한다.
또한, 본 실시예2에 의한 몸체부(10)와 건조부(20)와 회전부(30)와 유도부(40)의 경우,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박막식건조기"의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회전부(30)는,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상기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a)와, 상기 로터(32a)의 둘레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된 다수개의 가변장치(50) 및, 상기 가변장치(50)에 설치되면서 상기 건조부(20)의 벽면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변장치(50)는,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공간을 제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32c)가 축회전하는 힌지축(51)과, 상기 힌지축(51)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 및, 상기 힌지축(51)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각도를 제어하는 제1,2스토퍼(53,54)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변장치(50)는,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짝수열 또는 홀수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힌지축(51)은,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의 지지수단 및 회동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장착하여, 상기 블레이드(32c)의 배치간격을 규칙적으로 세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스토퍼(53,54)는,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각도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32c)의 회전반경 일측부에 장착된 제1스토퍼(53)와, 상기 제1스토퍼(53)의 측부에 장착된 제2스토퍼(54)로 구성되며, 특히 제1,2스토퍼(53,54) 를 상기 블레이드(32c)가 45±5°로 회동회도록 세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52)은, 상기 블레이드(32c)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슬러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여 흡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51)의 둘레면에 장착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막식건조기(1)를 구성하려는 경우,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가변장치(50)를 장착하고, 상기 가변장치(50)의 힌지축(51)에 상기 블레이드(32c)를 설치한다.
만일, 박막식건조기(1)의 작동스위치를 켜면, 일단 상기 몸체부(10)의 건조공간(13)으로 낙하되는 슬러지가 상기 회전부(30)와 유도부(40)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건조부(20)으로 벽면으로 도포되어 건조된 후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30)의 블레이드(32c)는 상기 건조공간(13)에 낙하되는 슬러지의 이송량에 따라, 상기 가변장치(50)의 제1,2스토퍼(53,54)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슬러지의 도포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32c)는 상기 힌지축(51)을 따라 상기 제1스토퍼(53)와 제2스토퍼(54)의 사이를 이동하며, 특히 블레이드(32c)에 가해지는 상기 슬러지의 하중은 스프링(52)에 의해 완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건조공간(13)에 규정량 이상의 슬러지가 공급되더라도 상기 가변장치(50)에 의해 블레이드(32c)가 가변되면서 도포작업을 수행하 므로 슬러지건조에 따른 작업생산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식건조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식건조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식건조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박막식건조기 10 : 몸체부
20 : 건조부 30 : 회전부
32c : 블레이드 40 : 유도부
50 : 가변장치 51 : 힌지축
52 : 스프링 53,54 : 제1,2스토퍼

Claims (12)

  1.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3)을 갖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향해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20);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외부동력에 의해 축회전함은 물론 그 둘레면에 상기 건조부(20)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를 갖는 회전부(30); 및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상기 건조공간(13)내의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50);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장치(50)는,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32c)가 축회전하는 힌지축(51)과, 상기 힌지축(51)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 및, 상기 힌지축(51)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각도를 제어하는 제1,2스토퍼(53,54)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2c)는,
    상기 제1,2스토퍼(53,54)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45±5°의 각도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치(50)는,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짝수열 또는 홀수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7. 슬러지가 수용되는 건조공간(13)을 갖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벽에 장착되면서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향해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부(20);
    상기 건조공간(13)에 수용되면서 외부동력에 의해 축회전함은 물론 그 둘레면에 상기 건조부(20)에 슬러지를 도포하는 블레이드(32c)를 갖는 회전부(30);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회전부(30)의 작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유도부(40); 및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공간(13)내의 슬러지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2c)의 세팅각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가변장치(50);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장치(50)는,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32c)가 축회전하는 힌지축(51)과, 상기 힌지축(51)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 및, 상기 힌지축(51)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2c)의 가변각도를 제어하는 제1,2스토퍼(53,54)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2c)는,
    상기 제1,2스토퍼(53,54)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45±5°의 각도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치(50)는,
    상기 회전부(30)의 둘레면에 짝수열 또는 홀수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KR1020080098449A 2008-10-08 2008-10-08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KR10099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449A KR100994371B1 (ko) 2008-10-08 2008-10-08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449A KR100994371B1 (ko) 2008-10-08 2008-10-08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475A KR20100039475A (ko) 2010-04-16
KR100994371B1 true KR100994371B1 (ko) 2010-11-16

Family

ID=4221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449A KR100994371B1 (ko) 2008-10-08 2008-10-08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3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063A (ja) * 1999-08-31 2001-03-16 Toshiba Corp 遠心薄膜乾燥機
JP2001066062A (ja) * 1999-08-23 2001-03-16 Toshiba Corp 遠心薄膜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062A (ja) * 1999-08-23 2001-03-16 Toshiba Corp 遠心薄膜乾燥機
JP2001066063A (ja) * 1999-08-31 2001-03-16 Toshiba Corp 遠心薄膜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475A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420A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N200998841Y (zh) 钢丝除锈装置
KR101585455B1 (ko) 액체 방사성 폐기물의 증발건조 처리장치
KR101046492B1 (ko) 오니 건조 장치
KR100994371B1 (ko) 가변형 블레이드를 갖는 박막식건조기
KR100794850B1 (ko) 차속 조정이 가능한 고액 분리기
CN210237323U (zh) 河水污水污泥处理装置
KR101429108B1 (ko) 건설 오니 및 잔골재의 탈수 건조장치
KR100747604B1 (ko) 건조기의 건조통 회전장치
CN103609762B (zh) 一种茶叶回潮机
KR200394610Y1 (ko) 슬러지 분배기
KR101801670B1 (ko) 건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슬러지 건조 시스템
CN210980561U (zh) 一种环保工程用的离心脱水装置
KR101351279B1 (ko) 슬러지 이송건조장치
CN214327521U (zh) 一种污泥处理用带式压滤机均匀布料装置
KR101063806B1 (ko) 박막식건조기의 상하분리식 개폐장치
KR20100036811A (ko) 유입슬러지 유도기구를 갖는 박막식 건조기
KR20150022318A (ko) 스크류형 슬러지 탈수장치
CN203598924U (zh) 一种磁泥分离器
KR101170677B1 (ko) 함수율 조절이 가능한 패들식 슬러지건조기
CN217350894U (zh) 一种具有废水再利用功能的废水处理装置
KR20100057407A (ko) 슬러지의 혼합 성형장치
KR101120669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1473252B1 (ko) 하수 및 가축분뇨 찌꺼기의 맷돌형 건조장치
CN213950931U (zh) 一种污泥干化池水位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