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87B1 - Pop-up device - Google Patents
Pop-up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787B1 KR100993787B1 KR1020080045399A KR20080045399A KR100993787B1 KR 100993787 B1 KR100993787 B1 KR 100993787B1 KR 1020080045399 A KR1020080045399 A KR 1020080045399A KR 20080045399 A KR20080045399 A KR 20080045399A KR 100993787 B1 KR100993787 B1 KR 1009937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p
- button
- lock
- state
- armre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센터 콘솔박스나 리어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암레스트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팝업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mechanism for raising or lowering an armrest installed in a center console box or a rear console box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팝업상태에서 블럭 형태의 무빙블럭이 발휘하는 안정적인 지지구조 및 버튼과 연동되면서 무빙블럭을 면접촉 방식으로 걸어주는 로크의 견고한 록킹구조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팝업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특히 안정적인 지지구조 및 견고한 록킹구조의 확보에 따른 경량화, 비용절감,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팝업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ew type of pop-up system including a stable support structure exhibited by a block-type moving block in a pop-up state and a robust locking structure of a lock that walks the moving block in a surface contact manner while interlocking with a butt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p-up mechanism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can reduce the weight, reduce the cost, and improve the assembly work by securing a stable supporting structure and a rigid locking structure.
콘솔박스, 암레스트, 팝업기구, 링크기구 Console box, armrest, popup mechanism, link mechanism
Description
본 발명은 팝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센터 콘솔박스나 리어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암레스트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팝업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p-up mechanism for raising or lowering the arm rest installed in the center console box or the rear console box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콘솔박스가 마련되어 있고,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공간을 개폐하며 보통의 경우 운전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In general, a console box with a space inside is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for storing small items,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box opens and closes the space, and in general, an armrest that the driver can put his arm on is provided. It is installed.
이때의 암레스트는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The armrest at this time serves to assist the driver to drive in a comfortable position.
이러한 콘솔박스의 암레스트는 자동차 생산시 가장 표준에 해당하는 높이와 크기로 설계되기 때문에 다양한 운전자의 신체구조에 모두 대응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일부 운전자에게는 암레스트의 높이와 위치가 맞지 않아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Since the armrest of such a console box is designed with the height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most standard in automobile production, it cannot cope with all the various body structures of the driver, and this causes inconvenience to some drivers because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armrest are not correct. Can cause.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콘솔박스의 암레스트에 버튼조작에 의해서 상승 및 하강 동작하는 팝업기구를 설치하고, 암레스트의 높이를 적절히 높여서 사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technique of installing a popup mechanism that moves up and down by button operation on an arm rest of a console box and appropriately raising the height of the arm rest has been proposed.
종래의 팝업기구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솔박스의 덮개(100)를 기체로 하고, 이 기체 위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기도부재(110a),(110b)를 기도(起倒)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기도부재(110a),(11b)의 상단부에 암레스트(1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기도부재(110a),(110b)의 덮개(100)측 연결부위에는 비틀림 스프링(130)을 설치하여 기도부재(110a),(110b)를기립방향으로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기도부재(110a),(110b)의 기립상태 또는 도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록크편(140)과 훅(150)을 각각 암레스트(120)측과 덮개(100)측에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conventional pop-up mechanism,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airway member (110a), 110b, which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이에 따라, 암레스트(120)를 사용할 경우에는 앞쪽의 버튼(160)을 눌러서 훅(150)과의 걸림을 해제하면 기도부재(110a),(110b)가 비틀림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기립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암레스트(120)가 상승하고 이와 함께 로크편(140)이 한쪽 기도부재(110b)측에 록킹되면서 암레스트(120)의 팝업상태가 고정된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using the
반대로, 암레스트(120)의 미사용시에는 버튼(160)의 조작으로 로크편(140)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암레스트(120)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가볍게 누르면, 기도부재(110a),(110b)가 접혀짐과 동시에 암레스트(120)측이 훅(150)에 걸려지므 로, 암레스트(120)를 절첩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팝업기구는 구성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기도부재에 의해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기도부재와 덮개, 기도부재와 암레스트를 연결하는 회동축을 금속 샤프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은 경량화를 저해하고, 비용증가, 조립작업의 복잡성을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p-up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has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and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is also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by the airway member, so that the airway member, the cover, the airway member, and the armrest can withstand the load. A metal shaft must be used for the connecting shaft to connect, which causes a reduction in weight, causes an increase in cost, complexity of assembly work, and the like.
또한,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의 기도부재에 의해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의 방향에 따라서는 기도부재를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큰 힘이 걸리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기도부재를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록킹 부위 등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이와 관련한 부품들, 특히 요입구조로 걸려지는 로크편이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ad is supported by the airway member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a large force may be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way member is rotat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load. In the state,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locking part, and the related parts, in particular, a lock piece that is caught by the concave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of being easily broke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팝업상태에서 블럭형태의 무빙블럭이 발휘하는 안정적인 지지구조 및 버튼과 연동되면서 무빙블럭을 면접촉 방식으로 걸어주는 로크의 견고한 록킹구조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팝업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특히 안정적인 지지구조 및 견고한 록킹구조의 확보에 따른 경량화, 비용절감,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팝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 stable supporting structure exhibited by a block-type moving block in a pop-up state and a locking mechanism of lock locking the moving block in a surface contact manner while interlocking with a button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pop-up system to includ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pop-up mechanism that can be reduced in weight, cost reduction, and assembly workability by securing a stable support structure and a rigid locking structure. The purpos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팝업기구는 콘솔박스의 덮개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하단부가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전후 한쌍의 무빙블럭과, 암레스트측과 결합되고 무빙블럭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무빙블럭을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따라 전후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하부 플레이트에 있는 훅에 걸려지면서 절첩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버튼, 상기 버튼과 연동되면서 상부 플레이트상에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무빙블럭의 회동방향에 대향하여 무빙블럭의 상단부 후면을 면접촉 형태로 걸어주면서 팝업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로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p-up mechanism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installed on the cover side of the console box, a pair of front and rear moving block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armrest side and are movable. An upper plat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lock,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moving block in one direction, and a button that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upper plate and is held in a hook on the lower plate to maintain a folded state. And, interlocked with the butto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to move up and down structure and includes a lock for maintaining a pop-up state while walking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moving block in the form of a contact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ving block. It features.
여기서, 상기 로크는 버튼의 주위에 끼워져 걸쳐지는 형태로 지지되면서 버 튼에 있는 경사면과의 접촉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ock is preferably supported so as to be sandwiched around the button to move up and down by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n the button.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로크의 한쪽면과 접하면서 로크의 위아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plat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guide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ock while contacting one side of the lock.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팝업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popup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팝업상태에서 좌우 일체형의 블럭형태로 이루어진 무빙블럭이 견고한 자세로 하중을 받쳐줄 수 있으므로, 하중의 방향에 따라서 무빙블럭을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큰 힘이 걸리는 경우에도 팝업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First, in the pop-up state, the moving block made of the left and right integral blocks can support the load in a solid posture, so that the pop-up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rotating the moving block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
둘째, 팝업상태의 록킹 및 해제를 위한 로크의 경우, 버튼과 연동되어 위아래로 동작하면서 면접촉 방식으로 무빙블록을 걸어주거나 놓아줄 수 있으므로, 팝업상태에서의 하중에 의해 큰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파손되는 등의 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Second, in the case of the lock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pop-up state, the moving block can be hung or released by the surface contact method while operating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button. Concerns such as being completely eliminated.
결국, 위와 같은 점들이 팝업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음은 물론, 팝업기구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선정이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 비용절감, 조립작업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bove points can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p-up mechanism, and can increase the selection and design freedom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p-up mechanis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reduce the cost, and improve the assembly workability. You can expect the effec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기구의 절첩상태와 팝업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olded state and a pop-up state of the pop-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팝업기구는 콘솔박스의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사이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측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 위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전후 한쌍의 무빙블럭(11a),(11b)과, 상기 무빙블럭(11a),(11b)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12)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op-up mechanism is assembled between the cover of the console box and the armres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the
상기 하부 플레이트(10)는 대략 평판형상의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판의 상면에는 4개의 축홀더(19a), 1개의 훅(14), 2곳의 블럭 수용부(20)가 형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축홀더(19a)는 기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기판의 모퉁이 4곳에 각각 위치되며, 무빙블럭(11a),(11b)의 회동 중심축이 되는 핀(22)을 끼울 수 있는 부분이다. 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훅(14)은 선단부가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10)에 조립되어 있는 버튼(15)을 걸어주는 부분이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블럭 수용부(20)는 절첩상태로 쓰러지는 무빙블럭(11a),(11b)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절첩시 팝업기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한쌍의 무빙블럭(11a),(11b) 중 앞쪽에 위치되는 무빙블럭(11a)은 하부 플레이트(10)의 전단부와 상부 플레이트(12)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방 무빙블럭이고, 뒷쪽에 위치되는 무빙블럭(11b)은 하부 플레이트(10)의 후단부와 상부 플레이 트(12)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무빙블럭이다. The moving
상기 무빙블럭(11a),(11b)은 대략 사각의 블럭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블럭체의 상하단 양측부에는 각각 한쌍의 돌출편(21)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의 돌출편(21)이 하부 플레이트(10)에 있는 축홀더(19a) 및 후술하는 상부 플레이트(12)의 축홀더(19b)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핀(22)이 일체 결합되므로서, 무빙블럭(11a),(11b)의 링크구조가 완성된다. The moving
또한, 상기 무빙블럭(11a),(11b)의 하부 플레이트(10)측 핀결합부위에는 스프링(13), 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이 부착되며, 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무빙블럭(11a),(11b)은 항상 전방으로 회동하려는 힘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
상기 상부 플레이트(12)는 대략 평판형상의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판의 하면에는 모퉁이 4곳에 위치되는 4개의 축홀더(19b)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무빙블럭(11a),(11b)측과 핀구조로 결합된다. The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에는 폭 중간선상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버튼(15)을 수용하는 슬라이드 홈부(23)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버튼(15)은 슬라이드 홈부(23) 내에서 안내를 받으며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버튼(15)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12)의 슬라이드 홈부(23) 내에 나란하게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일체 설치된다. The
여기서, 상기 버튼(15)은 후단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력지지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항상 전방쪽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을 갖는다. Here, the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튼의 경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어느 정도 인출된 후에는 탈거방지를 위한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fter the button is drawn to some extent by the force of the spring, the locking state for preventing the removal may be maintained.
또한, 상기 버튼(15)에는 대략 길이중간쯤에 홀(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하부 플레이트(10)의 훅(14)과 걸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훅(14)이 홀(24)을 관통하여 홀 주변의 윗면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버튼(15) 및 상부 플레이트(12)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전체의 절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또한, 상기 버튼(15)의 상면에는 앞쪽에서 뒷쪽으로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경사면(17)은 접촉을 통해 후술하는 로크(16)를 위아래로 움직여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중에 따른 고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이고 견고한 팝업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로크(16)를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이를 위하여, 상기 로크(16)는 대략 가운데가 비어 있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2)에 있는 슬라이드 홈부(23) 내에 폭방향으로 위치되면서 버튼(15)의 주위에 끼워져 걸쳐지는 형태, 즉 버튼(15)이 로크(16)의 가운데 비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상기 로크(16)는 버튼(15)의 전후 이동시 그 경사면(17)과 접촉하면서 위로 들려지거나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는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로크(16)는 동작시 그 한쪽면이 상부 플레이트(1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18)에 접하면서 안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상하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위와 같이 설치되는 로크(16)는 슬라이드 홈부(23)의 내벽면과 접하면서 위아래로 움질 수 있고, 아래쪽으로 내려온 위치에서는 무빙블럭(11a)의 회동방향에 대향하여 무빙블럭(11a)의 상단부 후면을 면접촉 형태로 걸어줄 수 있다. The
이렇게 로크(16)의 한쪽면과 무빙블럭(11a)의 한쪽면이 면대면 접촉방식으로 무빙블럭(11a)이 절첩상태를 위해 회동하려는 방향에 대해 맞걸리는 구조의 록킹구조가 이루어짐으로써, 하중에 의해 로크(16)측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손의 우려없이 안정적인 팝업상태 유지를 위한 록킹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Thus, one side of the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팝업기구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p-up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기구의 절첩상태 및 팝업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the folded state and the pop-up state of the pop-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팝업기구는 콘솔박스의 덮개와 그 위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사이에 조립되는 것이다. The pop-up mechanism is assembled between the cover of the console box and the arm rest installed thereon.
즉, 하부 플레이트(10)를 덮개 위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부 플레이트(12) 위에 암레스트를 부착함으로써 덮개와 암레스트 사이에 조립되는 것이다. That is, by fixing the
그리고,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빙블럭(11a),(11b)이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부 플레이트(10) 위에 쓰러진 접철상태에서 훅(14)이 버튼(15)의 홀(24)에 걸어 맞춰져서 록킹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이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2)를 상승시켜서 암레스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버튼(15)을 누른다. In this state, when using the armrest by raising the
이와 같이 하면 버튼(15)은 뒷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이와 동시에 버튼(15)의 홀(24) 일측에 걸려있던 훅(14)이 벗어나면서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In this way, the
따라서, 상기 무빙블럭(11a),(11b)이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전방측으로 회동되므로서,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12) 전체가 링크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상승함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moving
그리고, 무빙블럭(11a),(11b)이 소정 각도까지 회동되었을 때, 블럭의 하단면이 하부 플레이트(10)의 상면에 닿음으로써 무빙블럭(11a),(11b)의 회동이 정지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팝업상태가 된다. Then, when the moving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15)측에서 아래로 내려와 있는 로크(16)가 전방 무빙블럭(11a)의 상단부 후면을 걸어주게 되므로서, 위의 팝업상태가 고정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2)를 팝업시켜서 암레스트로 사용할 경우, 본 실시예의 팝업기구에서는 팝업된 상태에서의 상부 플레이트(12)에 걸리는 대부분이 하중이 서로 맞닿는 무빙블럭(11a),(11b)의 블럭체 하단면과 하부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양쪽 무빙블럭(11a),(11b)이나 로크(16)의 걸림부위 등에 큰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고, 설령 무빙블럭(11a),(11b)이 접철되려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로크(16)와 무빙블럭(11a)이 면접촉 방식으로 걸려있기 때문에 로크 등이 파손되는 일이 없다. In this way, when the
또한, 도 4에 나타낸 팝업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2)를 하강시켜 도 3의 절첩상태로 되돌릴 경우에는 버튼(15)을 눌러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16)를 위로 올려주면 로크(16)와 무빙블럭(11a) 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서 팝업상태에서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In addition, when lowering the
이 상태에서 암레스트를 약간 뒷쪽으로 밀면서 아래로 살짝 누르면 무빙블럭(11a),(11b)이 후방측으로 쓰러짐과 동시에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12)가 아래로 내려가고, 이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12)에 있는 훅(14)이 버튼(15)의 홀(24) 내에 진입한 후 홀 가장자리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절첩상태가 고정된다. In this state, the armrest is slightly pushed to the rear and slightly pressed downward to move the moving
한편, 본 발명의 팝업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자동차의 콘솔박스 위에 구성되는 암레스트의 승강장치로서 매우 적절하게 채용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팝업기구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의자류의 팔걸이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와 이 하부 플레이트에 부착된 부품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에 그 상대적 위치관계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로서 매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p-up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as a lifting device of the arm rest formed on the console box of the vehicle as in the above embodiment, but the use of the pop-up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need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part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according to the armrest of the chair and the stat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기구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pop-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기구의 팝업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p-up state of the pop-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기구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pop-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팍업기구의 팝업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pop-up state of the pack 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기구에서 로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 in the pop-up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 팝업기구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conventional pop-up mechanism
도 7은 종래 팝업기수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conventional pop-up nos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부 플레이트 11a,11b : 무빙블럭10:
12 : 상부 플레이트 13 : 스프링12: upper plate 13: spring
14 : 훅 15 : 버튼14 hook 15: button
16 : 로크 17 : 경사면16: lock 17: slope
18 : 가이드부 19a,19b : 축홀더18: guide
20 : 블럭 수용부 21 : 돌출편20: block receiving portion 21: protrusion
22 : 핀 23 : 슬라이드 홈부22: pin 23: slide groove
24 : 홀24: hal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399A KR100993787B1 (en) | 2008-05-16 | 2008-05-16 | Pop-up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399A KR100993787B1 (en) | 2008-05-16 | 2008-05-16 | Pop-up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388A KR20090119388A (en) | 2009-11-19 |
KR100993787B1 true KR100993787B1 (en) | 2010-11-12 |
Family
ID=4160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5399A KR100993787B1 (en) | 2008-05-16 | 2008-05-16 | Pop-up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3787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4930A (en) | 1998-12-21 | 2000-07-04 | Nissan Motor Co Ltd | Pop-up structure |
-
2008
- 2008-05-16 KR KR1020080045399A patent/KR10099378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4930A (en) | 1998-12-21 | 2000-07-04 | Nissan Motor Co Ltd | Pop-up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388A (en) | 2009-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14304B2 (en) | Console Box | |
US7651180B2 (en) |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position of a dishware basket which can be pulled out from the rinsing container of a dishwasher | |
US20210078462A1 (en) | Unlocking device with pause function | |
WO2005113286A1 (en) | A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 |
US7914077B2 (en) | Single motion load bearing release handle | |
US20050206282A1 (en) | Shelf lift system | |
GB2433027A (en) | Telescopic support leg | |
CN103625256B (en) | Sliding top system | |
JP5784120B2 (en) | Vehicle seat fixing device and vehicle seat | |
KR20050044940A (en) | Locking device of removable vehicle seat | |
CN218488408U (en) | Robot | |
CN112519646B (en) | Infant safety seat and seat base | |
CN110572976A (en) | Slide rail mechanism and bracket device thereof | |
KR100993787B1 (en) | Pop-up device | |
JP4787972B2 (en) | table | |
JP3106501U (en) | Folding chair for wall mounting | |
JP5746597B2 (en) | Portable toilet armrest structure | |
US10640013B2 (en) | Seat for vehicles | |
KR102236181B1 (en) | Extensible Lift-up Covering Shelf | |
KR101172138B1 (en) | Structure of console arm rest | |
JP5578668B2 (en) | Chair | |
JP4382463B2 (en) | Folding door support device and folding door suspension method | |
KR200406618Y1 (en) | Simplified handcart | |
JP4784802B2 (en) | Sliding folding sheet that can be raised | |
JPH0710989Y2 (en) | Shopping c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