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174B1 -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174B1
KR100993174B1 KR1020070138074A KR20070138074A KR100993174B1 KR 100993174 B1 KR100993174 B1 KR 100993174B1 KR 1020070138074 A KR1020070138074 A KR 1020070138074A KR 20070138074 A KR20070138074 A KR 20070138074A KR 100993174 B1 KR100993174 B1 KR 10099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ide
guide
sleeve
un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171A (ko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102007013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 본체와 슬라이드 본체에 샤프트 방식의 슬라이드 모듈을 탑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은 고정부 본체와 슬라이드 본체의 사이에 설치하는데 샤프트 끝단은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슬리브는 고정부 본체에 조립된다. 이때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 풀림의 기능을 샤프트를 통하여 전달함으로써 샤프트에 고정된 슬라이드 본체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슬라이드 본체의 탄성적 열림과 닫힘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 MP3, PMP, NOTE BOOK 등 휴대형 전자기기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바디 두께 경감 및 갭 최소화, 슬라이드 이동거리 연장, 슬라이드 설치 구조의 단순화로 생산성, 디자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샤프트, 슬리브, 로타, 스프링,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Description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shaft type slide module}
본 발명은 고정부 본체와 슬라이드 본체에 샤프트 방식의 슬라이드 모듈을 탑재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본체를 열고 닫을 때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스프링 압축, 풀림의 순서를 번갈아 가면서 작동하여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 슬라이딩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힌지 방식 슬라이드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방식으로 서로 적층되어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부 본체와 슬라이드 본체 사이에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배치함으로서 슬라이드 본체를 열고 닫을 때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스프링 압축, 풀림의 순서를 번갈아 가면서 작동하여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슬라이딩 방식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힌지 방식 슬라이드는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제한적인 특성과 문제점을 가지 고 있다.
종래의 힌지 방식 슬라이드는 힌지가 슬라이드 본체의 하부 면과 고정부 본체의 상부면 사이 중간부에 설치되고 힌지 방식 모듈이 차지하는 절대적 공간, 설치 및 작동을 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힌지 방식으로는 박형화할 수 있는 데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점을 내재할 수 밖에 없으며, 슬라이드 본체와 고정부 본체 사이의 중간부에는 PCB, LCD 등 주요한 부품의 배치, 조립 등에 장애요인이 발생되고, 슬라이드 본체와 고정부 본체를 지지하면서 열리고 닫히게 하는 가이드나 지지를 할 수 있는 구조가 별도로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힌지 방식 슬라이드는 스프링 힌지의 지지점의 간격 및 스프링의 탄성 한계 등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거리가 결정되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정된 공간으로 슬라이드 이동거리가 제한되므로 폴더 방식과 같이 일체형 키패드(문자 및 기능)의 설치가 곤란하여 문자 키패드와 기능 키패드를 분리 설치하게 되고, 슬라이드 본체에 기능 키패드가 설치되므로 LCD 설치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이동형 전자기기의 제품 설계, 부품제조 및 조립상 공정에서 복잡하게 되어 제조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슬라이드 힌지와 작동부 공간 때문에 슬라이드 본체가 열리게 되면 슬라이드 본체와 고정부 본체의 공간이 뜨게 되고 공간 사이로 설치된 힌지 및 안내봉이나 가이드 등이 보이게 되어 제품 디자인에 문제점이 내재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힌지가 무선 정보 단말기나 무선 핸드폰에 적용된 종래 예로 대한민국 공개 특허 번호 10-2006-0117578 슬라이드 힌지 및 이에 적용되는 스프링부재에 관한 것이 있는데 이를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내지 도3은, 스프링 부재가 단일개만 적용된 슬라이드 힌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 본체인 고정바디(300)와 슬라이드 본체인 슬라이드 바디(400)와 스프링 부재(5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형 슬라이드 방식에서는 제품의 중간부에 작동 공간부(300a)가 요입 형성된다. 작동 공간부(300a)는 스프링 부재(500)의 외경, 스프링 부재의 작동 시 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변형량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걸림 지지부(503a)의 설치 공간, 고정바디(300)에 형성된 걸림공(301)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걸림공(301)에 도5의 스프링의 일측 지지부(501)가 벤딩되어 설치되는 공간 등이 준비가 되어야 되기 때문에 절대적인 공간이 필요하므로 제품의 박형화에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중앙부에 힌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 공간부(300a)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PCB, LCD, 문자판 등 주요부품이 배치 및 조립하는데 장애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1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500)를 슬라이드 힌지로 이용하게 되면 슬라이드가 이동되는 거리가 힌지의 스프링 지지 점의 간격, 스프링의 구조 및 탄성 한계 등에 따라 결정되므로 힌지 방식 슬라이드 모듈은 이동거리 연장에 한계가 발생되어 고정부 본체의 개방되는 거리가 제한되어 폴더형과 같이 통합된 키패드(문자 및 기능)의 설치가 곤란하여 주로 문자 키패드만 설치가 되고 기능 키패드는 분리하여 슬라이드 바디(400)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LCD 사이즈를 키우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 밖 에 없었다.
그리고 힌지 방식의 슬라이드 자체로는 고정 바디(30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400)를 상하 이동시키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힌지외에 직선안내(350) 수단을 고정바디(3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좌우 양측에 안내봉(351)이 삽입되는 삽입공(352a)을 갖는 슬라이드부(352)를 형성 할 수 있도록 준비하거나 이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다른 안내 수단 수단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동용 전자기기 설계, 부품제조, 조립 등이 복잡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밖에는 없었으며, 슬라이드 바디(400)가 열리게 되면 작동 공간부(300a) 때문에 고정 바디(300)와 슬라이드 바디(400) 사이에 갭이 발생하고, 직선안내(350)인 안내봉(351), 슬라이드부(352)가 노출되어 상기 갭 사이로 슬라이드 힌지(500) 부품이 보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서로 적층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부 본체와 슬라이드 본체 사이에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제품의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중간부에는 슬라이드 장치를 제거함으로서 힌지 방식 슬라이드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제품을 설계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최대화하여 고정부 본체의 열리는 공간을 최대 활용하여 문자와 기능키 패드 통합 또는 문자판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이동용 전자기기 제품의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중간부에는 슬라이드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중간부의 효율적인 사용 및 슬라이드 본체에 길이 방향으로 좌 우에 배치된 안내봉이나 안내 지지대 제거 등으로 이동용 전자기기의 설계, 부품제조, 조립 등 생산 원가절감을 실현 할 수있으며, 고정부 본체와 슬라이드 본체의 갭 발생 최소화, 슬라이드 본체의 뒷면의 단순화로 외관을 소비자 중심적으로 디자인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단방향 고정부 본체에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적층 배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샤프트 방식 슬 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을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단방향 샤프트, 단방향 슬리브, 코일 스프링 및 로타로 구성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 압축유지 및 풀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듈의 샤프트 양쪽 끝단이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단방향 슬리브는 평행하게 단방향 고정부 본체와 결합되어져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코일 스프링의 압축, 압축유지, 풀림의 힘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어나게 함으로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탄성적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해서 위로 1/2 전진시키면 두 개중 하나의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 유지가 되며, 1/2에서 2/2 전진 시키면 하나의 모듈에서는 압축이 완료되고 나머지 모듈에서는 압축이 풀릴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닫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한 동작의 반대로 코일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방향 고정부 본체에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적층 배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을 일정 간 격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양방향 샤프트, 양방향 슬리브, 코일 스프링 및 로타로 구성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 압축유지 및 풀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 양쪽 끝단이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양방향 슬리브는 평행하게 양방향 고정부 본체와 결합되어져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코일 스프링의 압축, 풀림의 힘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어나게 함으로서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탄성적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해서 위로 1/2 전진시키면 양쪽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상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동시에 일어나고, 1/2에서 2/2 전진 시키면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하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동시에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닫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한 동작의 반대로 코일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고정부 본체에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가 적층 배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과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방식 슬라이드 모듈은 가이드 샤프트 및 가이드 슬리브로 구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샤프트 양쪽 끝단이 양방향 및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양방향 슬리브와 가이드 슬리브는 평행하게 가이드 샤프트 고정부 본체와 결합되어져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코일 스프링의 압축, 풀림의 힘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어나게 함으로서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본체를 탄성적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해서 위로 1/2를 전진시키면 한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상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일어나고, 1/2에서 2/2 전진 시키면 한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하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때 한 개의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모듈은 스프링의 압축 및 풀림의 역할이 없고 가장자리 한쪽 부분을 지지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본체를 닫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한 동작의 반대로 코일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본체 및 고정부 본체의 좌, 우 가장자리부에 설치할 수 있어 중간부의 슬라이드 설치부 및 작동 공간부를 제거함으로서 근본적으로 소형 전자기 기의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 본체의 이동거리를 최대화하여 슬라이드 본체에 탑재되는 LCD의 사이즈 적용시 유연성을 확대함과 동시에 고정부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키보드의 공간을 최대화하여 분리된 문자판 및 기능키 패드의 통합이나 문자판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슬라이드 본체와 고정부 본체를 지지하면서 열리고 닫히게 하는 별도의 가이드장치가 필요 없도록 하였으며, 슬라이드 본체와 고정부 본체 사이에 갭의 최소화로 틈새 제거 등으로 휴대형 전자기기 제품의 디자인 향상,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부품절감, 통합화, 조립공정 단순화 등으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구조 및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은, 고정부 본체(300)와 슬라이드 본체(400) 사이에 설치되고, 그 구성은 샤프트(510), 슬리브(520), 로타(540) 및 코일 스프링(5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510)는 슬라이드 본체(400)에 슬리브(520)는 고정부 본체(300)의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고정부 본체(300)를 기준으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과 풀림의 힘을 이용하여 탄성적으 로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5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본체(400)에 고정되어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안내할 수 있도록 샤프트(510) 형상으로 되어있고,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과 풀림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로타(540)를 안내 및 락킹하기 위한 직선 가이드 홈(511a), 회전 가이드 홈(511b), 락킹홈(511c)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슬리브(5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 본체(300)에 고정되어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코일 스프링(530)을 내면에서 안내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과 풀림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로타(540)를 안내하기 위하여 회전, 직선, 락킹 지지부 등으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상기 로타(54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과 풀림의 스위치 역할을 하기 위하여 내외부 회전 가이드부(541b, 542b), 내외부 직선 가이드부(541a, 542a), 내외부 락킹 지지부(541c, 542c) 등으로 이뤄져 있고, 코일 스프링(530)은 슬라이드 본체(400)를 열거나 닫을 때 미는 힘을 스프링의 압축, 풀림으로 변환하여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도 유사함을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원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도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6 은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도, 도7a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7b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7c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7d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아래에서 본 도면), 도7e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상태를 나타낸 도면(아래에서 본 도면), 도7f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아래에서 본 도면), 도8은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단면도, 도9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도, 도10a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0b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0c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1은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도, 도12a는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2b는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2c는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3은 단방향 고정부 본체 도면, 도14는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 도면, 도15는 단방향 샤프트 도면, 도16은 단방향 슬리브 도면, 도17은 양방향 고정부 본체 도면, 도18은 양방향 슬라이드 본 체 도면, 도19는 양방향 샤프트 도면, 도20은 양방향 슬리브 도면, 도21은 가이드 고정부 본체 도면, 도22는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 도면, 도23은 가이드 샤프트 도면, 도24는 가이드 슬리브 도면, 도25는 로타 도면, 도26은 스프링 도면, 도27a는 샤프트 전진에 따라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로 전진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도면, 도27b는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인입구를 통과하면서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는 도면, 도27c는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면서 로타가 회전을 하는 도면, 도27d는 로타가 회전을 완료하고 로타의 외부가이드 직선부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를 접촉하는 도면, 도27e는 로타의 외부가이드 직선부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를 접촉후 스프링의 탄성으로 로타가 후진하면서 슬리브에 완전히 락킹되어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 완료되는 도면, 도28a는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스프링을 압축 유지하면서 슬리브에 락킹된 상태 도면, 도28b는 로타가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회전하면서 슬리브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상태 도면, 도28c는 로타가 슬리브로부터 락킹이 해제되고 샤프트에 고정되면서 샤프트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도면, 도29a는 샤프트 전진에 따라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로 전진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도면, 도29b는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인입구를 통과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도면, 도29c는 로타의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외부 가이드 회전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도면, 도29d는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면서 로타가 샤프트에서 락킹 가이드부에서 락킹이 해제되면서 로타가 회전을 하는 도면, 도29e는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가 샤프트의 직선가이드 홈부에 위치하면서 슬리브에 완전히 락킹되어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 완료되는 도면, 도30a는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내부 가이드부가 샤프트의 직선가이드 홈부에 위치하면서 슬리브에 완전히 락킹되어 코일 스프링을 압축 유지 하면서 슬리브에 락킹된 상태 도면, 도30b는 로타가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홈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슬리브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상태 도면, 도30c는 로타가 슬리브로부터 락킹이 해제되고 샤프트에 고정되면서 샤프트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도면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각 슬라이드 부재 구성의 특징 및 슬라이딩 방식에 있어서의 공통된 특징을 설명한다. 각각의 실시 예에서 같은 구성이라도 식별 번호를 달리 부여하였으므로 공통적인 특징 설명에 있어서 번호 부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거리는 고정부 본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길이와 슬라이드 본체에 설치되는 샤프트에서 슬리브의 활주 가능한 길이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슬리브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이 완료 되었을 때 내면에서 압축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슬라이드 이동거리는 슬라이드 본체에 설치되는 샤프트에서 슬리브가 활주 가능한 길이에서 슬리브 길이를 뺀 길이가 슬라이드 이동거리가 되고, 따라서 고정부 본체의 길이의 가감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거리가 비례적으로 가감될 수 있게 된다. 보통은 슬리브의 길이는 샤프트에서 슬리브가 활주 가능한 길이의 약 30~40% 정도이며 이때 슬라이드 이 동거리는 샤프트에서 슬리브가 활주 가능한 길이의 약 60~70% 정도가 되는 게 특징이나, 상황에 따라서 슬리브의 길이 조정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가감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이동거리는 폴더 타입과 같이 문자키 패드와 기능키 패드의 통합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박형화가 가능하고, 슬라이드 본체에 설치되는 LCD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스프링 탄력에 의하여 상하 이동 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드가 일어나는 곳은 샤프트, 코일 스프링, 로타 및 슬리브 사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갭이 거의 발생치 않고 슬라이드 본체와 고정부 본체 사이에 별도의 갭이 필요하지 않아 상기에 기술된 박형화가 가능하며, 슬라이드 본체의 뒷면의 구조도 간단하다.
상기 슬라이드 본체는 직사각형 판상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상, 하부 양 끝단부에는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본체도 직사각형 판상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코일 스프링과 샤프트를 안내하는 슬리브가 조립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에서 샤프트는 슬라이드 본체를 견고히 지지하면서 슬리브 및 로타와 락킹, 락킹 해제 등 동작을 위하여 스프링의 압축이나 풀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샤프트에는 로타의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하는 직선 가이드 홈부와 회전 가이드 홈부가 있으며, 로타를 샤프트에서 지지하기 위한 락킹 지지홈이 있고, 슬라이드 본체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 끝단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는 원통부 내면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안내하고 압축된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부, 직선 가이드부, 락킹 지지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타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나 풀림의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샤프트를 안내하거나, 락킹, 락킹해제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 내부 가이드 직선부, 회전부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고, 슬리브와 락킹, 락킹해제를 하기 위한 외부 가이드 직선부, 회전부, 락킹 지지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에서 스프링의 외경은 슬리브에 가이드되고, 내경은 샤프트에 가이드 되며, 끝단부는 로타에 지지되어 압축이나 풀림이 탄성적으로 샤프트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코일의 스프링 상수에 맞도록 제작되어 슬라이드 모듈을 열거나 닫기 위해 가하는 힘을 스프링의 압축과 풀림 힘으로 발생하게 하여 슬라이드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3가지 형태의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적용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 예 1은 단방향 고정부 본체(300),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 두 개의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이 적용되고, 실시 예 2는 두 개의 양방향 고정부 본체(d300),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이 적용되고, 실시 예 3은 가이드 고정부 본체(g300),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g400), 한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 한 개의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g500)이 적용된다.
그리고, 동작 메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을 다음과 같이 각각 4단계로 나눠서 설명하고자 한다.
1단계: 슬라이드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1/2 여는 단계
2단계: 슬라이드 본체가1/2 열린 상태에서 완전히 여는 단계
3단계: 슬라이드 본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1/2 닫는 단계
4단계: 슬라이드 본체가 1/2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닫는 단계
[실시 예 1: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도6 내지 8, 도 13 내지 도 16, 도 25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구성은, 전단방향 고정부 본체(300),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단방향 고정부 본체(300)와 슬라이드 본체(400) 좌측과 우측 끝단부에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이 세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좌측과 우측의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의 배치 방향은 서로 다르게 하여 설치하며, 좌측과 우측 샤프트의 가이드홈 끝단부(511d)와 실린더 끝단부(512a)는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의 상부 지지공(401)과 하부 지지공(402) 에 조립된다.
이때 샤프트의 가이드홈 끝단부(511d)와 슬라이드 본체(400)는 둥근 사각 지지공(401a)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작동시 힘을 받거나 외부적인 충격을 받아도 단방향 샤프트(510)가 고정된 위치에서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단방향 슬리브(510)는 단방향 고정부 본체(300)에 각각 평행하게 조립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500)에 의하여 단방향 고정부 본체(300)와 슬라이드 본체(400)가 서로 조립 및 연결되게 된다. 이때 로타(530)는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511)와 슬리브의 가이드부(522)에 의해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 풀림을 작동하기 위해 닫고 여는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은 방향만 틀리게 하여 설치하면 되는데, 이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왼쪽에 설치되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A 모듈이라 하고 오른쪽에 설치되는 것은 B 모듈이라 .명칭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메커니즘을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1-1단계 : A모듈이 스프링 풀림에서 스프링 압축 완료되는 단계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단방향 고정부 본체(300)를 고정하고 힘을 가하여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를 밀어 올리게 되면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에 고정되어 있는 단방향 A 모듈 및 B 모듈의 단방향 샤프트(510)가 동시에 전진하게 되고, A 모듈의 경우 코일 스프링(530)이 풀린 상태에서 단방향 샤프트(510)가 전진함에 따라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51c)에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타(54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530)은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에 지지되어 있는데 단방향 샤프트(510)에 고정된 로타(540)가 코일 스프링(530)을 밀어 주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530)은 압축이 되고, 계속적으로 단방향 샤프트(510)가 전진하게 되면 로타(540)가 단방향 슬리브의 로타 인입구(522a)를 통하여 단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522)에 삽입되고 삽입된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542b)가 단방향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522b)를 만나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 회전의 힘을 받아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와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의 락킹이 풀리고 로타는 계속 회전하게 되며,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를 만나게 되면서 로타(540)의 회전이 완료된다.
이때, 압축된 코일 스프링(530)은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로타(540)의 하부 인입구(544)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때 로타(540)는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의 힘을 받아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단방향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와 접촉하고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은 완료하게 되고, 이때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벗어나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1-2단계: B모듈의 스프링 압축이 유지되는 단계
상기 1단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B 모듈은A 모듈과는 반대로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가 락킹된 상태로서 코일 스프링(530)은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로타의 하부 인입구(544)사이에 압축 되어 있고,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닫힌 상태에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를 상승시키게 되면 단방향 샤프트(510)는 상기와 같이 로타(540)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단방향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b)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을 타고 전진하게 된다.
2단계
2-1 단계 : A모듈의 스프링 압축이 유지되는 단계
상기 1단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A 모듈의 경우,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완료되고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벗어나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한 상태에서 B 모듈의 코일 스프링(530)이 풀리게 되어 탄성적인 힘에 의해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가 로타의 내부 가이드 직선부(541a)를 타 고 자동 상승하게 된다.
2-2 단계 : B모듈의 압축된 스프링이 풀리는 단계
상기 1단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의 락킹이 풀리면서 코일 스프링(530)이 풀리는 상태가 된다.
이때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단방향 샤프트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단방향 샤프트(510)에 락킹된 로타의 상부 인입구(543)의 단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단방향 샤프트(510)는 락킹된 로타(540)에 의해서 탄성의 힘을 받는 단계에서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를 기준으로 스프링의 풀리는 힘이 로타(540)의 단면부에 전달되고 전달된 힘은 단방향 샤프트(510)로 전달되어 샤프트가 상승하게 되므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완전히 열리게 된다.
3단계
3-1단계 : A모듈의 압축된 스프링이 유지되는 단계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에 힘을 가하여 1/2 닫게하는 과정인데 상기에 기술한 1-2단계의 과정과 동일하다. 즉, 단방향 고정부 본체(300)를 고정하고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에 힘을 가하게 되면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하강하게 되고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에 고정되어진 모듈 A, B의 단방향 샤프트(51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모듈 A의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가 락킹된 상태로서 코일 스프링(530)은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로타의 하부 인입구(544)사이에 압축 되어 있고,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열려져 있는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를 하강시키게 되면 단방향 샤프트(510)는 상기와 같이 로타(540)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b)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을 타고 전진하게 되고, 코일 스프링(530)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3-2단계 : B모듈의 스프링이 압축되는 단계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에 하강하는 힘을 가하여 1/2 닫는 과정인데 1-1단계 동일하다. A모듈의 경우 코일 스프링(530)이 풀린 상태에서 단방향 샤프트(510)가 하강함에 따라 단방향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51c)에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타(5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530)은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에 지지되어 있는데 단방향 샤프트(510)에 고정된 로타(540)가 코일 스프링(530)을 밀어 주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530)은 압축이 일어나고 계속적으로 단방향 샤프트(510)가 하강하게 되면 로타(540)가 단방향 슬리브의 로타 인입구(522a)를 통하여 단방향 슬리브 의 로타 가이드부(522)에 삽입되고 삽입된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542b)가 단방향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522b)를 만나서 회전을 하게 된다.
동시에 이 회전의 힘을 받아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와 단방향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락킹이 풀리고 로타는 계속 회전하게 되며,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단방향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를 만나게 되면서 로타(540)의 회전이 완료된다.
이때 압축된 코일 스프링(530)은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로타의 하부 인입구(544)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때 로타(540)는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의 힘을 받아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단방향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와 접촉하고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은 완료하게 되고, 이때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단방향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벗어나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4단계
4-1단계 : A모듈의 압축된 스프링이 풀리는 단계
상기 2-2단계와 동일한 단계로서 3-1단계에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을 하강시키게 되면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의 락킹이 풀리면서 코일 스프링(530)이 풀리게 되고, 이때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샤프트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단방향 슬리브 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샤프트(510)에 락킹된 로타의 상부 인입구(543)의 단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단방향 샤프트(510)는 락킹된 로타(540)에 의해서 탄성의 힘을 받는 단계에서 단방향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를 기준으로 코일 스프링(530)의 풀리는 힘이 로타(샤프트 고정부가 샤프트의 로킹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음)의 단면부에 전달되고 전달된 힘은 단방향 샤프트(510)로 전달되어 단방향 샤프트(51)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400)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4-2단계 : B모듈의 압축된 스프링이 유지되는 단계
상기 2-1단계와 동일한 단계로서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단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완료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벗어나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한 상태에서 B 모듈의 코일 스프링(530)이 풀림으로서 탄성적인 힘에 의해 단방향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은 로타의 내부 가이드 직선부(541a)를 타고 자동 하강하게 된다.
전술한 단계에서 상기 로타(540)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에 상기 샤프트(510)와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로타(540)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에 상기 슬리브(520)와의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510)의 락킹 지지홈(511c)에 상기 로타(540)와 락킹 및 락킹 해 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520)의 락킹 지지홈에 상기 로타와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여유 각(α각)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2: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이하, 도 9, 도 10, 도 17 내지 도 20,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구조 및 동작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슬라이드 본체 사이의 좌, 우 측 끝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양방향 슬라이드 모듈(d500)이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스프링의 압축, 풀림이 좌, 우 측에 설치된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에 동시에 구동시켜 휴대형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첨부의 도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양방향 고정부 본체(d300),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 두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로 이루어진다.
즉, 양방향 고정부 본체(d300)와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 좌측과 우측 끝단부에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좌측과 우측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홈 끝단부(511d)는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의 둥근 사각 지지공(401a)에 조립되기 때문에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작동 시 힘을 받거나 외부적인 충격을 받아도 양방향 샤프트(510a)가 고정된 위치에서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양방향 슬리브(520a)는 양방향 고정부 본체(d300)에 각각 평행하게 조립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슬라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에 의하여 양방향 고정부 본체(300a)와 슬라이드 본체(400)가 서로 조립 및 연결되게 된다. 이때 로타(530)는 양방향 샤프트의 상부(510b)와 하부(510c)의 락킹 지지부(522d)를 지지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 풀림 작동하기 위한 닫고 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의 작동순서는 좌, 우측에 설치되는 모듈의 작동 특성이 같기 때문에 모듈 1개만 설명하기로 한다.
1단계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의 로타(540)가 양방향 슬리브 로타 가이드부 상부(d522U)에 락킹되어 있고 샤프트에 고정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L)의 로타(540)가 전진하여 슬리브에 락킹되어 탄성적으로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단계이다.
1-1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L)의 작동 현황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양방향 고정부 본체(d300)를 고정하고 힘을 가하여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를 밀어 올리게 되면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에 고정되어 있는 좌, 우측 양방향 샤프트(d510)가 동시에 전진하게 되고,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L)의 경우 코일 스프링(530)이 풀린 상태에서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1L)가 전진함에 따라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51c)에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고정된 로타(54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530)은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0L)의 락킹 지지홈(511c)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로타(54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1L)의 락킹 지지홈(511c)에 고정된 하부의 로타(540)가 코일 스프링(530)을 밀어주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530)은 압축이 일어나게 된다.
계속적으로 양방향 샤프트(d510)가 전진하게 되면 하부의 로타(540)가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하부(d522L)의 로타 인입구(522a)를 통하여 하부의 로타(540)가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522)에 삽입되고, 삽입된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542b)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522b)를 만나서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회전의 힘을 받아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와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의 락킹이 풀리고 로타(540)는 계속 회전하게 되며,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를 만나게 되면서 로타(540)의 회전이 완료된다.
이어서,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와 접촉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을 받아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은 양방향 슬리브의 원통부 내면(d521b)에 위치하면서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하부(d522L)에 락킹된 하부 로타(540)와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상부(d520U)에 락킹된 상부 로타(540) 사이에서 압축을 완료하게 된다.
1-2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 작동 현황
상기 1-1 단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본체(d40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는 하부(d500L)와 반대로 상부 로타의 외부락킹 지지부(542c)와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가 락킹된 상태로서 코일 스프링(530)은 상부,하부 로타(540) 사이에서 풀려져 있고, 상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상승시키면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는 상기와 같이 로타(540)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를 타고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코일 스프링(530)은 양방향 슬리브의 원통부 내면(d521b)에 위치하면서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상부(d522U)에 락킹된 상부 로타(540)와 로타 가이드 하부(d522L)와 락킹된 하부 로타(540) 사이에서 압축을 완료하게 된다.
2단계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가 압축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로타(540)가 양방향 슬리브의 가이드 홈부 상부(d510U)에서 락킹이 해제되면서 압축된 코일 스프링(530)이 풀리는 힘으로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탄성적으로 완전히 열리는 단계이다.
2-1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L)의 작동 현황
상기 1-1 단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의 하부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양방향 슬리브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1L)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완료되고,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벗어나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2-2에 기술되어 있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에 락킹되었던 코일 스프링(530)이 풀림으로서 탄성적인 힘에 의해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직선부(541a)를 타고 양방향 샤프트(d510)는 자동 상승하게 된다.
2-2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 작동 현황
상기 1-2 단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 슬라이드 모듈(d500)의 상부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상부(d522U)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어져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완료되어져 있다가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상부(d511U)가 상승하게 되면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홈(511b)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와 만나게 된다.
이때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 홈(511b)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회전부(541b)를 만나고 상부 로타(540)의 회전이 일어나게 되면서,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42d)의 락킹이 풀리게 된다.
이때 상부 로타(540)는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상부(d522U)와 분리되고,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하부(d522L)에 락킹된 하부 로타(540)와 상부 로타(540) 사이에 있는 코일 스프링(530)이 탄성의 힘을 받게 되고, 양방향 슬라이드 모듈의 상부(d500U)에 락킹되었던 코일 스프링(530)이 풀림으로서 탄성적인 힘에 의해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직선부(541a)를 타고 슬라이드 본체가 자동 상승하면서 완전히 열리게 된다.
3단계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의 로타(540)가 양방향 슬리브의 가이드 홈부 상부(d520U)에 락킹되어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에 고정된 상부 로타(540)가 하강하게 되면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하부(d522L)에 락킹되면서 탄성적으로 코일 스프링(530)을 압축시키는 단계이다.
3-1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의 작동 현황
이 단계는 전술하였던 1-2단계와 동일하다.
즉,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는 하부 로타의 외부락킹 지지부(542c)와 양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가 락킹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530)은 상부, 하부 로타(540) 사이에서 풀려져 있고, 하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열린 상태에서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를 하강시키면 양방향 샤프트의 하부(510b)는 하부 로타(540)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가 하강하면서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를 타고 하강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530)은 슬리브의 원통부 내면(521b)에 위치하면서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하부(d522L)와 락킹된 하부 로타(540)와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상부(d522U)와 락킹된 상부 로타(540) 사이에서 압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1단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L)는 상부(500b)와 반대로 상부 로타의 외부락킹 지지부(542c)와 양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가 락킹된 상태로서 코일 스프링(530)은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523)와 로타의 하부 인입구(544)사이에 압축되어 있고,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하게 된다.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상승시키게 되면 양방향 샤프트(d510)는 상기와 같이 로타(540)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b)은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을 타고 전진하게 된다.
양방향 샤프트(d510)가 계속 전진하다가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홈(511b)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와 만나게 되면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홈(511b)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회전부(541b)를 만나면서 양방향 샤프트(d510)와 양방향 슬리브(d520)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타(540)만 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가 락킹이 풀리면서 코일 스프링(530)이 풀리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부 로타(540)는 회전을 하면서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샤프트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고 하부 로타(540)는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상부(d522U)에 락킹되면서 상부와 하부 로타(540)의 상부 인입구(543)의 단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부 샤프트(510a)는 락킹된 로타(540)에 의해서 스프링(530)이 압축이 된다.
3-2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 작동 현황
이단계는 1-1단계와 동일하다.
즉,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양방향 고정부 본체(d300)를 고정하고 힘을 가하여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를 밀어 내리게 되면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에 고정되어 있는 좌, 우측 양방향 샤프트(d510)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상부(d500U)의 경우 코일 스프링(530)이 풀린 상태에서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상부(d511U)가 하강함에 따라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51c)에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가 고정된 상부 로타(5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530)은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0L)의 락킹 지지홈(511c)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로타(54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상부(d511U)의 락킹 지지홈(511c)에 고정된 상부의 로타(540)가 코일 스프링(530)을 밀어주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530)은 압축이 일어나고 계속적으로 양방향 샤프트(d510)가 하강하게 되면 상부의 로타(540)가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상부(d520U)의 로타 인입구(522a)를 통하여 상부의 로타(540)가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 상부(d522U)에 삽입된다.
삽입된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542b)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522b)를 만나서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회전의 힘을 받아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와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의 락킹이 풀리고 로타(540)는 계속 회전하게 되며,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를 만나게 되면서 로타(540)의 회전이 완료되면서, 로타의 외부 가이드 직선부(542a)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522c)와 접촉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을 받아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고 코일 스프링(530)은 슬리브의 원통부 내면(521b)에 위치하면서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상부(d520U)에 락킹된 상부 로타(540)와 로타 가이드 상부(d520L)에 락킹된 하부 로타(540) 사이에서 압축을 완료하게 된다.
4단계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 압축 완료된 상태에서 하부 로타(540)가 양방향 슬리브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0L)에서 락킹이 해제되면서 압축된 코일 스프링(530)의 풀리는 힘으로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g400)가 탄성적으로 완전히 열리는 단계이다.
4-1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하부 작동 현황
이단계는 2-2 단계와 동일하다.
즉, 양방향 슬라이드 모듈(d500)의 하부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슬리 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어져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완료된 후 양방향 샤프트의 가이드 홈부 하부(d511L)가 상승하게 되면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홈(511b)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와 만나게 된다.
이때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 홈(511b)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회전부(541b)를 만나 하부 로타(540)의 회전이 일어나게 되면서,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와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42d)의 락킹이 풀리게 된다.
그리고, 하부 로타(540)는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하부(d522L)와 분리되고,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541C)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양방향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 상부(d522U)에 락킹된 상부 로타(540)와 하부 로타(540) 사이에 코일 스프링(530)의 탄성의 힘을 받게 되고,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하부(d500L)에 락킹되었던 코일 스프링(530)이 풀림으로서 탄성적인 힘에 의해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직선부(541a)를 타고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d400)가 자동 상승하면서 완전히 열리게 된다.
4-2단계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d500U) 작동 현황
이단계는 2-1 단계의 동일하다.
즉,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에서 상부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542c)는 양방향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522d)에 락킹되면서 코일 스프링(530)의 압축이 완료되고,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541)는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511c)에서 벗어나 직선 가이드 홈(511b)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4-1에 기술되어 있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d500L)에 락킹되었던 코일 스프링(530)이 풀림으로서 탄성적인 힘에 의해 샤프트의 직선 가이드홈(511a)이 로타의 내부 가이드 직선부(541a)를 타고 양방향 샤프트(d510)는 자동 상승하게 된다.
[실시 예 3: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이하, 도 11, 도 12,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본체 사이의 좌, 우 측 끝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 한 개를 장착하고, 가이드만 할 수 있는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g500)을 각각 평행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d500)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실시 예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의 압축, 풀림의 기능에 의하여 한쪽만 지지하면서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g400)를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다. 작동원리는 실시 예2 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로터 형상 및 샤프트와 슬리브의 슬라이딩 방식 가이드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어렵지 않게 응용할 수 있는 가이드 방식도 본 발명의 범주 내임은 자명하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프링 부재가 단일 개만 적용된 슬라이드 힌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1 및 도3에 표시된 슬라이드 힌지의 단면도
도5는 종래 발명에 의한 스프링 부재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도
도7a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7b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7c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7d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아래에서 본 도면)
도7e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상태를 나타낸 도면(아래에서 본 도면)
도7f는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아래에서 본 도면)
도8은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단면도
도9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도
도10a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0b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0c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1은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도
도12a는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2b는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1/2 열리거나 닫혀져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2c는 양방향  및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가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위에서 본 도면)
도13은 단방향 고정부 본체 도면
도14는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 도면
도15는 단방향 샤프트 도면
도16은 단방향 슬리브 도면
도17은 양방향 고정부 본체 도면
도18은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 도면
도19는 양방향 샤프트 도면
도20은 양방향 슬리브 도면
도21은 가이드 고정부 본체 도면
도22는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 도면
도23은 가이드 샤프트 도면
도24는 가이드 슬리브 도면
도25는 로타 도면
도26은 스프링 도면
도27a는 샤프트 전진에 따라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로 전진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도면
도27b는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인입구를 통과하면서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는 도면
도27c는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면서 로타가 회전을 하는 도면
도27d는 로타가 회전을 완료하고 로타의 외부가이드 직선부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를 접촉하는 도면
도27e는 로타의 외부가이드 직선부가 슬리브의 직선 가이드부를 접촉후 스프링의 탄성으로 로타가 후진하면서 슬리브에 완전히 락킹되어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 완료되는 도면
도28a는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스프링을 압축 유지하면서 슬리브에 락킹된 상태 도면
도28b는 로타가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회전하면서 슬리브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상태 도면
도28c는 로타가 슬리브로부터 락킹이 해제되고 샤프트에 고정되면서 샤프트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도면
도29a는 샤프트 전진에 따라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로 전진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도면
도29b는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인입구를 통과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도면
도29c는 로타의 샤프트에 락킹된 상태에서 외부 가이드 회전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도면
도29d는 로타의 외부 가이드 회전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면서 로타가 샤프트에서 락킹 가이드부에서 락킹이 해제되면서 로타가 회전을 하는 도면
도29e는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가 샤프트의 직선가이드 홈부에 위치하면서 슬리브에 완전히 락킹되어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 완료되는 도면
도30a는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내부 가이드부가 샤프트의 직선가이드 홈부에 위치하면서 슬리브에 완전히 락킹되어 코일 스프링을 압축 유지 하면서 슬리브에 락킹된 상태 도면
도30b는 로타가 샤프트 후진에 따라 로타가 샤프트의 회전 가이드홈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슬리브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상태 도면
도30c는 로타가 슬리브로부터 락킹이 해제되고 샤프트에 고정되면서 샤프트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단방향 고정부 본체 d300 : 양방향 고정부 본체
g300 : 가이드 고정부 본체 400 :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
d400 :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 g400 : 기이드 슬라이드 본체
401a : 타원 사각형 지지공 401b : 원통 지지공
500 :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d500 :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d500U :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상부
d500L :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하부
g500 :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
510 : 단방향 샤프트 d510 : 양방향 샤프트
g510 : 가이드 샤프트 511 : 가이드 홈부
d511U: 가이드 홈부 상부 d511L: 가이드 홈부 하부
511a : 직선 가이드 홈 511b : 회전 가이드 홈
511c : 락킹 지지홈 511d : 가이드 홈 끝단부
512 : 실린더 부 512a : 실린더 끝단부
g512 : 실린더 부(가이드 샤프트) g512a : 실린더 끝단부(가이드 샤프트)
520 : 단방향 슬리브 d520 : 양방향 슬리브
g520 : 가이드 슬리브 521a : 원통부 외면(단방향 슬리브)
521b : 원통부 내면(단방향 슬리브) d521a : 원통부 외면(양방향 슬리브)
d521b : 원통부 내면(양방향 슬리브) g521a : 원통부 외면(가이드 슬리브)
g521b : 원통부 내면(가이드 슬리브) 522 : 로타 가이드부 (단방향 슬리브)
d522 : 로타 가이드부(양방향 슬리브)
d522U : 로타 가이드부 상부(양방향 슬리브)
d522L : 로타 가이드부 하부(양방향 슬리브)
522 : 로타 가이드부(가이드 슬리브) 522a : 로타 인입구
522b : 회전 가이드부 522c : 직선 가이드부
522d : 락킹 지지부 522e : 로타 가이드 끝단부
523 : 스프링 지지부 524 : 샤프트 가이드부
524a : 샤프트 가이드 끝단부 530 : 코일 스프링
531a : 코링 스프링 끝단부 540 : 로타
541 : 내부 가이드부 541a : 내부 가이드 직선부
541b : 내부 가이드 회전부 541c : 내부 락킹 지지부
542 : 외부 가이드부 542a : 외부 가이드 직선부
542b : 외부 가이드 회전부 542c : 외부 락킹 지지부
543 : 상부 인입구 544 : 하부 인입구

Claims (27)

  1. 단방향 고정부 본체에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적층 배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모듈을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단방향 샤프트, 단방향 슬리브, 코일 스프링 및 로타로 구성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 압축유지 및 풀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샤프트 양쪽 끝단이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단방향 슬리브는 평행하게 단방향 고정부 본체와 결합되어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코일 스프링의 압축, 압축유지, 풀림의 힘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어나게 함으로서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탄성적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3. 양방향 고정부 본체에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적층 배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모듈을 일정 간격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양방향 샤프트, 양방향 슬리브, 코일 스프링 및 로타로 구성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 압축유지 및 풀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양쪽 끝단이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양방향 슬리브는 평행하게 양방향 고정부 본체와 결합되어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코일 스프링의 압축, 풀림의 힘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어나게 함으로서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탄성적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5. 가이드 고정부 본체에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가 적층 배치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 드 모듈과 가이드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방식 슬라이드 모듈은 가이드 샤프트 및 가이드 슬리브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샤프트 양쪽 끝단이 양방향 및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에 고정되고 양방향 슬리브와 가이드 슬리브는 평행하게 가이드 샤프트 고정부 본체와 결합되어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코일 스프링의 압축, 풀림의 힘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어나게 함으로서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본체를 탄성적으로 열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7.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해서 위로 1/2 전진시키면 두 개중 하나의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 유지가 되며, 1/2에서 2/2 전진 시키면 하나의 모듈에서는 압축이 완료되고 나머지 모듈에서는 압축이 풀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닫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한 동작의 반대로 코일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단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8. 제 3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해서 위로 1/2 전진시키면 양쪽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상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동시에 일어나고, 1/2에서 2/2 전진 시키면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하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동시에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를 닫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한 동작의 반대로 코일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9. 제 5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해서 위로 1/2를 전진시키면 한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상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일어나고, 1/2에서 2/2 전진 시키면 한 개의 양방향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의 하부에서는 코일 스프링 압축이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때 한 개의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모듈은 스프링의 압축 및 풀림의 역할이 없고 가장자리 한쪽 부분을 지지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 슬라이드 본체를 닫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 본체를 열기 위한 동작의 반대로 코일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 슬라이드 본체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끝단부에 샤프트 가이드 홈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끝단부에 로타 가이드 홈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는 내부 가이드부 및 외부 가이드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양쪽 끝 단 중에서 한쪽 방향에만 가이드 홈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양쪽 끝 단 중에서 양쪽 방향 두 곳에 가이드 홈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쪽 끝 단 중에서 한쪽 방향에만 로타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쪽 끝 단 중에서 양쪽 방향 두 곳에 로타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가이드 홈부는 로타를 직선안내 할 수 있도록 한 로타 직선 가이드 홈과, 로타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 가이드 홈 및 로타를 락킹 할 수 있도록 한 로타 락킹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로타 가이드부는 로타가 인입 할 수 있는 로타 인입구와, 로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가이드부와, 로타가 회전 후 락킹 할 수 있도록 직선 안내하는 직선 가이드부 및 로타를 락킹 할 수 있는 락킹 지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의 내부 가이드부는 샤프트가 직선 활주 할 수 있도록 한 내부 가이드 직선부와, 락킹을 위해 로타가 샤프트에서 회전 할 수 있도록 한 내부 가이드 회전부 및 로타가 샤프트에 락킹을 하기 위한 락킹 지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의 외부 가이드부는 로타가 슬리브의 인입구로 삽입 및 회전 후 슬리브에 락킹을 안내 할 수 있는 외부 가이드 직선부와, 로타가 슬리브의 회전 가이드부를 접촉하여 회전 할 수 있도록 한 외부 가이드 회전부 및 코일 스프링을 압축 한 후 로타가 슬리브에 락킹 할 수 있도록 한 외부 락킹 지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있어서 로타와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의 락킹 지지홈에 여유 각(α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에 있어서 샤프트와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로타의 내부 락킹 지지부에 여유 각(α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3.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있어서 로타와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락킹 지지부에 여유 각(α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에 있어서 슬리브와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로타의 외부 락킹 지지부에 여유 각(α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5.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슬라이드 본체에 설치되는 구조에서 단방향 샤프트와 양방향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둥근 사각 지지공과 샤프트의 가이드 홈 끝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단방향 슬리브의 원통부 내면과 스프링 끝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슬리브의 스프링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7. 삭제
KR1020070138074A 2007-12-27 2007-12-27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KR10099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074A KR100993174B1 (ko) 2007-12-27 2007-12-27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074A KR100993174B1 (ko) 2007-12-27 2007-12-27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171A KR20090070171A (ko) 2009-07-01
KR100993174B1 true KR100993174B1 (ko) 2010-11-10

Family

ID=4132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074A KR100993174B1 (ko) 2007-12-27 2007-12-27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902A1 (en) * 2008-12-19 2010-07-08 Jeong Bae Kim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shaft type slide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00B1 (ko) 2004-05-10 2004-10-07 유덕 장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00B1 (ko) 2004-05-10 2004-10-07 유덕 장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171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8785B (zh)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148883A (zh) 以磁性元件自动定位的手持式装置
KR100993174B1 (ko) 샤프트 방식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
US200901705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EP2410718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1652045B (zh) 滑盖型便携式电子装置
CN215499055U (zh) 连接结构及活动机构
KR100716446B1 (ko)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80067458A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CN110645261B (zh) 一种转动机构和电子设备
CN101737421A (zh)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0544563C (zh) 铰链结构
US20080259535A1 (en) Sliding open/closed device
CN101730976A (zh) 双滑动器组件
KR10113133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01588698A (zh) 滑动机构及应用该滑动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EP2290917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656703Y (zh) 铰链结构
CN101304645A (zh) 滑动式开合装置
WO2010076902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shaft type slide module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CN218734384U (zh) 一种用于手持设备的锁扣结构
KR100967382B1 (ko) 힌지 모듈
KR20090090800A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 및 그의 슬라이드 방법
KR20100008805A (ko)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