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083B1 -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083B1
KR100993083B1 KR1020080059070A KR20080059070A KR100993083B1 KR 100993083 B1 KR100993083 B1 KR 100993083B1 KR 1020080059070 A KR1020080059070 A KR 1020080059070A KR 20080059070 A KR20080059070 A KR 20080059070A KR 100993083 B1 KR100993083 B1 KR 10099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unit
sig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880A (ko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0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18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B2201/70722HSDPA/HSUP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신호의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각 무선통신부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파악하고, 수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무선통신부를 동작시킴으로써 핸드 오버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지역 또는 전파 환경에 따라 이동통신형 모뎀, 무선인터넷형 모뎀을 차별적으로 동작시키고 자동으로 핸드 오버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끊김 현상없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별도의 핸드 오버용 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와이브로, HSDPA, CDMA, 핸드 오버

Description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Mobile device of multi-mode type}
실시예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는 WCDMA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기술로서 현재의 모바일 데이터 통신 환경이 최대 7배 정도 빨라질 수 있으므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모바일 영상전화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는 OFDM 방식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기술로서 휴대인터넷의 기술표준을 의미한다.
즉, 와이브로는 무선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HSDPA는 이동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두 가지 기술은 모두 무선이동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지역에 따라 와이브로 모뎀 또는 HSDPA 모뎀을 교대로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종래의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가령 듀얼 모드 모뎀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기계적 스위치를 이용하여 두가지 모뎀을 선택하도록 한다.
가령, 와이브로를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서비스 지역을 벗어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기계적 스위치의 선택 경로를 와이브로 모뎀으로부터 HSDPA 모뎀 측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과 HSDPA 서비스 지역 사이의 핸드 오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기계적 스위치 방식을 통하여 핸드 오버를 처리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에 끊김 현상이 발생되거나, 일일이 서비스 지역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다.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통신 규격을 가지는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지역에 따라 자동으로 핸드 오버를 처리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한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신호의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각 무선통신부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파악하고, 수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무선통신부를 동작시킴으로써 핸드 오버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한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비스 지역 또는 전파 환경에 따라 이동통신형 모뎀, 무선인터넷형 모뎀을 차별적으로 동작시키고 자동으로 핸드 오버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끊김 현상없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핸드 오버용 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수의 네트워크 중 통신 환경이 최적인 네트워크를 선별적으로 이용 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항시 최대 속도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핵심적인 구성부만을 언급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스위칭부(120), 제1 무선통신부(130), 제2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는 제1 안테나(132), 제1 RF처리부(134), 제2 베이스밴드부(136), 제1 RSSI회로(13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는 제2 안테나(142), 제2 RF처리부(144), 제2 베이스밴드부(146), 제2 RSSI회로(148)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통신부(130, 140)는 2개로 구비된 것으로 하였으나,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정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HSDPA 모뎀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는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통신 규정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브로 모뎀으로 동작된다.
상기 제1 RF처리부(134)와 상기 제2 RF처리부(144)는 각각 상기 제1 안테나(132)와 상기 제2 안테나(142)로부터 수신된 HSDPA RF신호 및 와이브로 RF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1 베이스밴드부(136)와 상기 제2 베이스밴드부(146)는 각각 HSDPA RF신호 및 와이브로 RF신호를 베이스밴드신호 상태로 처리한다.
상기 제1 RSSI회로(138)와 상기 제2 RSSI회로(148)는 수신신호의 전력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하, 상기 제1 RSSI회로(138)의 감지신호를 "제1 감지신호"라 하고, 상기 제2 RSSI회로(148)의 감지신호를 "제2 감지신호"라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와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의 수신 상태를 파악하고, 수신 상태가 양호한 무선통신부(130, 140)를 동작시킴으로써 핸드 오버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가령,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수도권 지역에서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다가, 수도권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의 수신 상태가 나빠짐을 파악하고, 제1 무선통신부(130)로 통신 기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핸드 오버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부(12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 경로를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로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핸드 오버를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핸드 오버를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100) 중 제1 무선통신부(13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제1 RF처리부(134)는 LNA(Low Noise Amplifier; 저잡음증폭기)(134a), 결합기(Coupler)(134b), BPF(Band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13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밴드부(136)는 발룬(Baloon)회로부(136a), 제1믹서(136b), 제2믹서(136c), 제1LPF(Low Pass Filter; 저대역통과필터)(136d), 제2LPF(136e), 제1분기부(136f), 제2분기부(136g), 제1BA(Baseband Amplifier; 기저대역증폭기)(136h), 제2BA(136i)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LNA(134a)는 제1 안테나(13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잡음 성분을 억제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BPF(134c)는 HSDPA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제1 베이스밴드부(136)로 전달한다.
상기 결합기(134b)는 상기 LNA(134a)와 상기 BPF(134c)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커플링시키고, 커플링된 신호를 상기 제1 RSSI회로(138)로 전달하는데, 상기 결합기(134b)로는 결합커패시터(coupling capacitor) 또는 방향성 결합 기(directional coupl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령, 결합커패시터는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가 구비됨으로써 원래의 RF신호에 손실을 주지 않으면서 수신 신호를 상기 제1 RSSI회로(138)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성 결합기는 4개의 포트를 가지는 도파관이 이용되는데, 입력포트와 통과포트는 상기 LNA(134a)와 상기 BPF(134c)와 각각 연결되고, 출력포트는 커패시터를 통하여 상기 제1 LSSI회로(138)와 연결되며, 격리(Isolation)포트는 저항을 통하여 접지단과 연결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베이스밴드부(13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룬회로부(136a)는 상기 제1 RF처리부(134)로부터 전달된 수신 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시킨다. 여기서, "발룬(Balun)"이란 "Balance-Unbalance"의 줄임말로서, Balanced Signal 을 Unbalanced Signal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해주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기 발룬회로부(136a)는 출력단이 각각 상기 제1믹서(136b)와 상기 제2믹서(136c)로 연결되는데, 같은 전송 대역을 사용하는 I신호와 Q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한측을 GND로 만들고 다른 측으로 신호를 몰아 I신호 또는 Q신호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발룬회로부(136a)는 선로 조합, 럼프드 소자, 공진도파관 방식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믹서(136b)와 상기 제2믹서(136c)는 분리된 I신호 및 Q신호에 소정 의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가령, 코사인, 사인 신호)를 곱산하여, I신호 및 Q신호에 위상차를 만든다.
또한, 상기 제1LPF(136d) 및 상기 제2LPF(136e)는 위상차가 생긴 I신호 및 Q신호를 주파수 필터링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 중에서 소정 대역 이하의 주파수 신호만을 추출함으로써 신호 처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상기 제1분기부(136f) 및 제2분기부(136g)는 필터링된 I신호와 Q신호를 상기 제1 RSSI회로(138)와 상기 BA(136h, 136i)의 양방향으로 분기시키는데, 즉 분기된 신호중 한측의 I신호 및 Q신호는 상기 제1 RSSI회로(138)로 전달하고, 타측의 I신호 및 Q신호는 각각 상기 제1BA(136h)와 상기 제2BA(136i)로 전달한다.
상기 제1BA(136h)와 상기 제2BA(136i)는 각각 I신호와 Q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가능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상기 제1 RSSI회로(138)는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회로로서, 보통 전파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잡음 성분이 섞여서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불규칙적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회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 RSSI회로(138)는 상기 제1 RF처리부(134) 또는 제1 베이스밴드부(136)로부터 수신신호를 커플링받을 수 있으며, 커플링된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DC 성분의 전계 강도 측정치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계 강도 측정치, 즉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커널을 구비하여 각 구성부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인터럽트를 처리하며, 요청 처리시간 및 연산 순위를 부여하여 각 구성부가 순차적 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해석하고, 응용 프로그램 계층 상에서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회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무선통신부들(130, 14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120)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부(12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서비스 지역에 따라 가장 양호하게 동작하는 무선통신부(130, 140) 측으로 신호경로를 스위칭시킨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 무선통신부(140)의 구성 및 동작 역시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0)와 유사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중 제1 무선통신부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Claims (7)

  1. 무선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신호의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각 무선통신부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파악하고, 수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무선통신부를 동작시킴으로써 핸드 오버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정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통신부; 및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통신 규정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부는
    각각 수신신호의 전력 세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나머지 무선통신부 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의 연결 경로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무선통신부와의 연결 경로가 스위칭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RF처리부;
    상기 RF 수신신호를 베이스밴드신호로 처리하는 베이스밴드부;
    상기 RF처리부 또는 상기 베이스밴드부로부터 커플링된 수신신호의 전력 세기를 감지하는 RSSI 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80059070A 2008-06-23 2008-06-23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99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070A KR100993083B1 (ko) 2008-06-23 2008-06-23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070A KR100993083B1 (ko) 2008-06-23 2008-06-23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880A KR20090132880A (ko) 2009-12-31
KR100993083B1 true KR100993083B1 (ko) 2010-11-08

Family

ID=4169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070A KR100993083B1 (ko) 2008-06-23 2008-06-23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207A (zh) * 2011-09-23 2012-04-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终端拓频装置及其应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61B1 (ko) * 2006-12-0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 검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61B1 (ko) * 2006-12-0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 검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880A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4175B2 (ja) 干渉キャンセル回路を有するマルチモード無線
US7106816B2 (en)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protocols in a wireless device
US7734311B2 (en) Multimod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884242B1 (ko) 주파수 변환 없이 고감도 선택적 수신기로서 사용되기 위한 대수 검출 증폭기 시스템
KR101132628B1 (ko) 안테나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바일 단말기 및 통신 방법
MXPA97006076A (en) Autoverification transceiver
JP2012105334A (ja) 無線通信のためのダイバーシティー受信機
KR20020005720A (ko) 공유 기능 블록 cdma 및 gsm 통신 송수신기용시스템 및 처리과정
JP2007221758A (ja) 電話信号除去回路、デジタル放送受信回路及び携帯用デジタル放送受信器
JP2004320367A (ja) アレイアンテナ送受信装置
JP3934162B2 (ja) 通信システム中の装置
CN103227762A (zh) 可重配置的宽带接收器
KR101715403B1 (ko) 다중모드 무선모뎀
JP3816356B2 (ja) 無線送信機
KR100993083B1 (ko) 다중 모드형 이동통신단말기
TW200820487A (en)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system
US9654150B2 (en) Module with duplexers coupled to diplexer
US20160254828A1 (en) High-frequency front end circuit
CN104518818A (zh) 一种用于无线系统的多波段收发信机
US10148310B2 (en) Antenna VSWR RF duplexer
KR101077335B1 (ko) 와이브로 시스템의 안테나 선택장치
JP5473746B2 (ja) 通信装置
KR1003848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밴드 트랜시버
JP4035455B2 (ja) 可搬型受信装置
JP4107980B2 (ja) ワイヤレス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