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099B1 - 진동모터의 로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의 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099B1
KR100992099B1 KR1020080050528A KR20080050528A KR100992099B1 KR 100992099 B1 KR100992099 B1 KR 100992099B1 KR 1020080050528 A KR1020080050528 A KR 1020080050528A KR 20080050528 A KR20080050528 A KR 20080050528A KR 100992099 B1 KR100992099 B1 KR 10099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tor
vibration motor
rotor yok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363A (ko
Inventor
김삼종
Original Assignee
백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호 filed Critical 백명호
Priority to KR102008005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099B1/ko
Priority to JP2011501725A priority patent/JP2011516021A/ja
Priority to CN200980111938.8A priority patent/CN101981788B/zh
Priority to PCT/KR2009/001585 priority patent/WO2009120046A2/ko
Publication of KR2009012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로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트의 결합이 용이한 진동모터의 로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로터는 중심에 고정축이 관통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원판형의 로터요크;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로터요크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및 상기 로터요크의 저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진동모터. 로터. 웨이트. 리벳. 코킹. 보조웨이트.

Description

진동모터의 로터{Rotor of Vibrator motor}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로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트의 결합이 용이한 진동모터의 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보급된 것 중에 하나가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크기가 갈수록 작아져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음성 및 데이타(Data)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유선통신기기의 영역을 상당부분 대체하면서 새로운 통신장비로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 유선전화기와는 달리 공공장소에서도 통 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벨(Bell)소리 등과 같은 소리신호 외에 사용자만 알 수 있도록 하는 진동모드와 같은 별도의 착신신호가 필요하다.
근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진동모드의 사용 빈도 증가에 따른 고수명화, 고신뢰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에도 진동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진동모터들이 다양하게 연구, 개시되었다. 일예로, 무브러시 DC(BLDC) 진동모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브러시 진동모터는 케이스(4), 브라켓(1), 스테이터, 로터, 고정축(7) 그리고, 코깅토크 발생부(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는 캡 형태로서 상기 브라켓(1)과 고정축(7)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은 비자성체로 그 중앙에 상기 고정축(7)이 삽입된다.
상기 스테이터는 브라켓(1)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는 회로기판(3)의 상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소정의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5)과, 홀소자와 구동IC(6)의 기능을 하는 칩 형태의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후술하는 마그네트(12)의 극성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마그네트(12)의 극성에 따라 상기 코일(5)의 전류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터는 로터요크(11)에 소정의 극수를 가진 마그네트(12)와 웨이트(13)가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와의 상호 자기작용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4)내에 마련된다.
상기 마그네트(12)는 코일(5)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인력 및 척력 등의 힘을 발생시키고 이 힘에 의해 소정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축(7)은 상기 브라켓(1)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케이스(10)의 축홈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와셔(8,9)에 의해 미끄럼지지 된다.
상기 코깅토크 발생부(2)는 상기 브라켓(1)의 상면에 소정의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되며, 연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이트는 로터의 편심질량을 제공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통상 비중이 높은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지며, 접착제 또는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그러나 접착재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접착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레이저 용접은 설비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텅스텐 재질 자체가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트의 결합이 용이한 진동모터의 로터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로터는 중심에 고정축이 관통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원판형의 로터요크;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로터요크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및 상기 로터요크의 저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로터요크의 돌출부가 상기 웨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벳결합 또는 코킹(caulking)결합으로 상기 로터요크에 웨이트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웨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웨이트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보조웨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웨이트는 동 또는 철 재질이고, 상기 보조웨이트는 텅스텐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트를 용이하게 로터요크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동 또는 철 재질의 웨이트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과 로 터요크에 결합이 용이하다.
더욱이, 텅스텐재질 등 비중이 큰 보조웨이트를 구비하여 진동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로터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0)는 로터요크(110)와, 축결합부(150)와, 메탈베어링(140)과, 상기 로터요크(1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130)와, 마그네트(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요크(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중심에 고정축(미도시)이 관통하는 축결합부(150)가 일체형성된다.
특히, 상기 로터요크(1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버링(burring)가공에 의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130)에는 상기 돌출부(111)가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1)를 상기 관통홀(131)에 관통한 상태에서 리벳결합하여 매우 용이하게 웨이트(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탈베어링(140)은 상기 축결합부(150)에 견고하게 압입된 상태에서 고정축에 끼워져 로터(100)가 회전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150)의 상단에는 내측(내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메탈베어링(140)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 퍼(15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로터요크(110)에는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트(130)에는 상기 돌출부(112)가 결합되는 관통홀(13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12)를 상기 관통홀(132)에 삽입한 후, 코킹정으로 두드려 코킹(caulking)결합함으로써,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웨이트(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트(130)는 원통형인 보조웨이트(134)를 장착할 수 있는 삽입공(13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130)는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한 동 또는 철 재질로 형성하고, 보조웨이트(134)는 비중이 높은 텅스텐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이트(130)를 구성함으로써, 로터요크(110)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보조웨이트(134)를 이용하여 진동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로터요크(110)에 결합되는 웨이트(130)가 동 또는 철 재질이므로 레이저 용접이 아닌 단순 전기저항용접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보조웨이트(136)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삽입공(135)도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동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동모터의 로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각각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터 110: 로터요크
111: 돌출부 112: 돌출부
130: 웨이트 131: 관통홀
132: 관통홀 133, 135: 삽입공
134, 136: 보조 웨이트 140: 메탈베어링
150: 축결합부 151: 스토퍼

Claims (6)

  1. 중심에 고정축이 관통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원판형의 로터요크;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로터요크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및
    상기 로터요크의 저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요크의 돌출부가 상기 웨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리벳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로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요크의 돌출부가 상기 웨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킹(caulking)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웨이트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보조웨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로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에는 상기 보조웨이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로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동 또는 철재질이고, 상기 보조웨이트는 텅스텐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로터.
KR1020080050528A 2008-03-28 2008-05-30 진동모터의 로터 KR10099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528A KR100992099B1 (ko) 2008-05-30 2008-05-30 진동모터의 로터
JP2011501725A JP2011516021A (ja) 2008-03-28 2009-03-27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CN200980111938.8A CN101981788B (zh) 2008-03-28 2009-03-27 直流无刷振动电机
PCT/KR2009/001585 WO2009120046A2 (ko) 2008-03-28 2009-03-27 무브러시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528A KR100992099B1 (ko) 2008-05-30 2008-05-30 진동모터의 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63A KR20090124363A (ko) 2009-12-03
KR100992099B1 true KR100992099B1 (ko) 2010-11-05

Family

ID=4168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528A KR100992099B1 (ko) 2008-03-28 2008-05-30 진동모터의 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70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오리엔텍 로터를 사용하는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794Y1 (ko) 2004-08-25 2004-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05213B1 (ko) 2004-02-27 2006-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비엘디씨 진동모터의 로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213B1 (ko) 2004-02-27 2006-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비엘디씨 진동모터의 로터구조
KR200368794Y1 (ko) 2004-08-25 2004-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70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오리엔텍 로터를 사용하는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63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945B1 (ko)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KR100431061B1 (ko) 진동모터
KR101707112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JP3125496U (ja) Bldc振動モーター
US6573627B2 (en) DC brushless voice-coil vibration motor
JP2007181392A (ja) 振動モータ
US10862368B2 (en) Brushless direct current vibration motor having cogging plates for optimized vibrations
US7615901B2 (en) Slim type vibration motor
KR20110007159A (ko) 진동 모터
KR100992099B1 (ko) 진동모터의 로터
JP4822214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KR100992100B1 (ko) 진동모터의 로터
KR101807550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KR100691798B1 (ko)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KR101416971B1 (ko) 편심요크가 브라켓에 장착된 고정자 및 bldc 진동모터
KR101011444B1 (ko) 진동모터의 브라켓
KR100731322B1 (ko) 편심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이용한 편평형 브러시리스진동모터
US10608499B2 (en) Bearing retainer for vibration motor
KR101768988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JP4022437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90086654A (ko) 코어리스형의 단상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
KR20036722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2003088807A (ja)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4565133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振動モータ
KR100403974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