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765B1 -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765B1
KR100991765B1 KR1020090041939A KR20090041939A KR100991765B1 KR 100991765 B1 KR100991765 B1 KR 100991765B1 KR 1020090041939 A KR1020090041939 A KR 1020090041939A KR 20090041939 A KR20090041939 A KR 20090041939A KR 100991765 B1 KR100991765 B1 KR 10099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elt
fixing
vehic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국윤수
Original Assignee
국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윤수 filed Critical 국윤수
Priority to KR102009004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7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PURPOSE: An auxiliary link of a safety belt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keep a safety belt on a shoulder of a passenger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safety belt by being attached with the stay rod of a headrest to the top of a vehicle seat. CONSTITUTION: An auxiliary link of a safety belt for a vehicle comprises a body(10), a fitting part(20), and a hooking part(30). The body is placed on a seat of a vehicle. The fitting part allows stay rods of a headrest of a vehicle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in order to fix the body to the seat. The hooking part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be engaged with the safety belt. The fitting part comprises a fitting hole, a guide hole, a fixing member, a guide pin, and a fixing groove. The guide hole is formed close to a cut portion of the fitting hole. The fixing member has insertion holes and a fixing protrusion and is inserted into the rear side of the body. The guide pin fixes the fixing member to the body.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Seat Belt Accessory for Cars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의 하부와 시트 상단 사이에 위치되어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의 높이가 서로 다른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이 자신의 신장 높이에 맞추어 안전벨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의 높이가 항상 헤드레스트의 하부와 시트의 상단 사이에 설정되도록 하여 안전벨트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eadrest of the vehicle and the top of the seat so that the driver or passengers having different heights can be used by walking the vehicle safety belt. In addition to allowing the seat belts to be adjusted to their height, the seat belt height is always set between the bottom of the headrest and the top of the seat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eat belts. It is about seat belt auxiliary ring.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프론트시트에 설치되어 조수석에 승차한 승객의 신체를 시트에 구속시켜 주행 중 충돌 시 또는 급정거 시 승객의 신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대쉬보드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신체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seat belts are installed in the front seats to restrain the passenger's body in the passenger seat on the seat to prevent the passenger's body from tipping forward and crashing into the dashboard during collisions or sudden stops while driving. It is to be done.

이러한 안전벨트는, 통상 3점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3점식이란 안전벨트 의 지지점의 수에 의한 것으로 차실내의 센터필라 상부의 어깨부위와 시트 하단 양측의 부위 3군데를 의미한다.Such a seat belt is normally used in three-point type, and the three-point type is based on the number of support points of the seat belt, and means three parts of the upper shoulder and the lower part of the seat of the center pillar in the vehicle interior.

종래 3점식 안전벨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슴을 경사지게 조이는 가슴벨트와 복부를 두르는 복부벨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안전벨트 장착시에는 가슴벨트를 잡아당겨 리트랙트로부터 인출하여 복부벨트와 함께 플레이트를 버클에 결합시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describing the conventional three-point seat belt in more detail, it can be divided into a chest belt tightening the chest obliquely and an abdominal belt surrounding the abdomen, and when the seat belt is fitted, the chest belt is pulled out and pulled out of the retract plate with the abdominal belt. The buckles are coupled to the buckle so that the occupant can wear a seat belt.

상기 가슴벨트는 그 지지점 즉 센터필라 상부에 설치된 슬립앵커에 지지되며, 슬립앵커는 센터필라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움직임이 자유로워 탑승자의 체형에 따른 가슴벨트의 슬립앵커에서의 인출각도를 자유롭게 하고 있다.The chest belt is supported at the support point, that is, the slip anchor installed on the center pillar, and the slip anchor is free to move in the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center pillar to free the angle of extraction from the slip anchor of the chest belt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ody shape. .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남성 성인의 신장높이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남성 또는 여성이나 청소년 등이 승차시에는 안전벨트의 높이가 착용자보가 높게 위치되어 착용자의 가슴을 두르는 가슴벨트가 목을 경유하는 경우가 있어 충돌하거나 급정거시에 가슴벨트가 목을 조여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seat belt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ar is designed based on the height of a male adul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s positioned high around the wearer's chest when a short male, female, or adolescent is rid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hest belt may pass through the neck, and the chest belt may be injured by tightening the neck during a collision or sudden stop.

따라서,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 사용되는 안전벨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레일(1) 위를 슬라이더(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의 중앙에는 버튼이 장착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해제레버의 일측이 회동하면서 타측은 스프링을 압축하며 고정돌기를 안쪽으로 잡아당겨 고정돌기와 레일의 고정홈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슬라이더(2)가 레 일(1)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맞게 안전벨트(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th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s used, an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seat belt which is commonly used, the slider (2) on the rail (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s shown in FIG. It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utton is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slider, by pressing the butt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provided there is rotated while the other side compresses the spring and hold the fixing projection inward By pulling off the combina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of the rail, the slider (2)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ail (1)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3) to the desired height. It is.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전벨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안전벨트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버튼을 눌러 슬라이더와 레일간의 결합을 해제할 경우 슬라이더에는 하부에 지지된 안전벨트 끈에 의한 감김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더가 빠른 속도로 레일 위를 하강하려고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힘을 주어야만 슬라이더를 적절한 고정위치까지 조정할 수 있는 불편이 따랐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벨트의 적절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를 여러 번 상하 방향으로 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is commonly used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eat belt, when the button is released to raise or lower the seat belt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slider and the rail, the slider is applied to the winding force of the seat belt supported on the lower slider Attempts to descend on the rail at high speed, so the user is inconvenient to adjust the slider to an appropriate fixed position only by applying a relatively large force to prevent the slider from descending. In order to adjust,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up and down the slider several times.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10-0123266호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센터 필러에 고정됨과 아울러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패드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슬라이드 가이드에 그 하단부가 삽입 고정됨과 더불어 내측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압박패드와, 이 압박패드의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이동시 접촉대상을 상승시키게 되는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에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으로 내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 대향되게 설치된 로울러와, 이 각각의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공까지 연장되면서 상면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측면에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울러와 대응되어 로울러의 상승에 의해 스포터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된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차폐함과 더불어 상기 압박패드의 외부 이탈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utomobiles, which i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0-0123266, has been devised, which is fixed to the center pillar and slides which are installed to slide outside the pad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Press pad which is fixed to the slider and has a slide guide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lide guide of the base and is supported by the inner spring and slides. A taper portion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a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raises a contact object during movement, and a roller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taper portion and to be supported by the spring at the same tim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rollers And a stopper having an upper surface supported by a spring while being extended to the fixing hole and formed on the side of the stopper, and a lock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roller to raise the spotter by raising the roller, and the In addition to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composed of a cover that can block the external separation of the pressure pad.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안전벨트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구성요소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조립성의 저하는 물론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prior art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properly by moving the slid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s the components are made complicated, the assembly quality is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또한, 안전벨트의 높낮이가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역시 키가 적은 청소년이나 여성들 또는 남성의 경우에 안전벨트가 목부분에 걸쳐짐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s made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in the case of adolescents, women, or men who are also shor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eat belt being hung over the neck cannot be solved.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을 자신의 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안전벨트를 전부 자동차로부터 때어낸 다음, 다시 새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교체비용의 부담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e automobile, all existing seat belts that have already been installed must be removed from the vehicle and then replaced with a new on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용 안전벨트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시트상단과 시트상단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벨트 보조고리에 의해 안전벨트의 높이가 착용자의 어깨부분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가 적은 여성이나 청소년들의 탑승시에 안전벨트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동차 시트 상단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고 기존 안전벨트를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부담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eat belts, the height of the seat belt by a seat belt auxiliary ring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etween the seat upper and the head rest mounted to the upper seat of the car It can always be placed on the wearer's shoulders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eatbelts when riding shorter women or teenagers,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top of existing car sea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belt auxiliary ring for automobiles, which greatly improves the usability and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safety belts, so as not to incur a cost burden.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는, 자동차의 시트 상단면에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면에 헤드레스트의 하부측으로 노출된 양측의 스테이로드가 끼워져 상기 몸체를 시트 상단면에 고정하는 끼움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전벨트의 벨트가 걸어지는 걸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Car seat belt auxiliary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seated on the seat top surface of the vehicle; Fitting parts for fixing the bod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by inserting the stay rods on both side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headres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is made of a hook portion that is fastened to the belt of the seat belt.

상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에 관통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절개측에 근접되는 상기 몸체의 후측 내면에 통공된 가이드공과; 상기 몸체의 후측 내면측으로 인입되도록 양측과 전방측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양면에 각각 통공되며 후방 내면에 고정돌기가 돌설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공의 상면측으로 끼워져 상기 몸체의 가이드공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몸체에 힌지 고정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후면에 톱니형으로 형성된 고정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The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 insertion hole is cut through one side so as to exten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 guide hole through the rear side inner surface of the body proximate to the incision side of the fitting hole; A fixing member in which both sides and the front side are opened to be inserted into the rear inner surface side of the body, the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ixing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rear inner surface; A guide pin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member and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hole of the body to hinge-fix the fixing member to the body; It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awtooth shape on the rear of the body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안전벨트의 벨트가 걸어지는 걸이부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몸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면측으로 인입되고 하면에 힌지홈이 통공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면과 하면이 인입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고정후크가 형성된 힌지핀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 내측에 상기 가이드의 힌지홈과 대응되도록 통공되어 상기 힌지핀이 끼움 고정되는 힌지고정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 to which the belt of the seat belt is hooke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body side guided to one side surface side of the body and the hinge groove through the lower surface; A hinge pin having a fixed hook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are inserted; The inner side of the body is formed through a hinge fixing groove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hinge groove of the guide is fixed.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는,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앉는 자동차 시트의 상단면에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의해 보조고리가 장착되기 때문에, 안전벨트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안전벨트가 항상 자동차 시트의 상단면과 동일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어깨부분에 안전벨트가 위치고정될 수 있다.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at of the car on which the occupant or the driver sits by the stay rod of the headrest, so that the seat belt is always at the top of the seat,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seat belt. Since it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urface, the seat belt can be fixed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earer.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imple configuration does not burden the purchase cost of the consumer.

또한,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교체하지 않고 설치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의 비용절감을 유도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seat belt installed without replacing the seat belt installed in the car as it leads to cost reduction of consumers.

또한, 안전벨트의 위치가 항상 착용자의 어깨부분에 위치되어 착용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목을 안전벨트가 감쌈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해결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is always worn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the problem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eat belt wrapped around the wearer's neck is solved.

또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기존의 시트 상단면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fixed by the headrest mounted on the existing seat top surfac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usability is greatly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or wor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invention of his or her ow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에 안전벨트가 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9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at belt on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ure 5, Figure 7 and Figure 8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ure 11, Figures 11a to 11c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other embodimen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는,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시트의 상단면과 동일한 위치로 위치되도록 안전벨트를 걸어주는 것으로, 자동차의 시트(S) 상단면에 안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자동차의 헤드레스트(H) 하부측으로 노출된 양측의 스테이로드(H1)가 끼워져 상기 몸 체(10)를 시트(S) 상단면에 고정하는 끼움부(2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전벨트의 벨트(B)가 걸어지는 걸이부(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vehicle is to hang the seat belt so that the seat belt of the car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op surface of the seat, the body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at (S) of the vehicle (10). And a stay rod (H1) on both side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headrest (H) of the vehic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to fit the body (10) to the seat (S) upper surface (fitting part ( 20 and a hook portion 3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10 to which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hooked.

상기 끼움부(20)는, 시트(S)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의 하부 양측에 노출된 2개의 스테이로드(H1)가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면 양측에 상기 스테이로드(H1)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wo stay rods H1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headrest H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 are fitted. It may be formed as a hole through the hole corresponding to the stay rod (H1).

또한, 상기 안전벨트의 벨트(B)가 걸어지는 걸이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걸이부(30)의 내측으로 안전벨트의 벨트(B)가 인입되어 가이드 된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 30 to which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hooked may b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2, and the inside of the hook portion 30.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drawn in and gu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H) 하부측으로 노출된 양측의 스테이로드(H1)를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통공된 끼움부(20)에 각각 끼운 다음, 상기 스테이로드(H1)를 시트(S)의 상단면에 장착함으로써 시트(S)와 헤드레스트(H)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항상 시트(S)의 상단면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tay rod (H1) of the both side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headrest (H) of the vehicle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0) After each of the fitting portion 20 is fitted, the stay rod H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 so that the seat rod S1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S and the headrest H. It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op surface of S).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몸체(10)의 걸이부(30)에 안전벨트의 벨트(B)를 인입하여 걸어주면 되는 것으로, 탑승자가 상기 벨트(B)를 체결하기 위해 당길 경우 벨트(B)의 상단점이 상기 걸이부(30)로부터 시작되어 벨트(B)가 탑승자의 어깨측에 위치될 수 있어 안전벨트가 목에 걸리거나 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inserted into the hook portion 30 of the body 10 installed in this way, and when the occupant pulls to fasten the belt B, the upper end point of the belt B is Starting from the hook portion 30, the belt (B) can be located on the shoulder side of the occupant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eat belt is caught on the neck.

따라서, 키가 비교적 적은 여성이나 또는 보조석에 앉는 청소년 또는 키가 평균보다 적은 남성들도 안전하게 안전벨트를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벨트에 의한 추돌사고시의 방어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 woman with a relatively short height or a young man sitting in the seat or a man with a shorter height can fasten a seatbelt, thereby obtaining a protective effec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y the seatbelt. Safety accident by belt can be prevente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20)는,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관통되고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끼움공(21)과, 상기 끼움공(21)의 절개측에 근접되는 상기 몸체(10)의 후측 내면에 통공된 가이드공(22)과, 상기 몸체(10)의 후측 내면측으로 인입되도록 양측과 전방측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2)과 대응되는 삽입공(23)이 양면에 각각 통공되며 후방 내면에 고정돌기(24)가 돌설된 고정부재(25)와, 상기 고정부재(25)의 삽입공(23)의 상면측으로 끼워져 상기 몸체(10)의 가이드공(22)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재(25)를 몸체(10)에 힌지 고정하는 가이드핀(26)과, 상기 고정부재(25)의 고정돌기(24)가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톱니형으로 형성된 고정홈(27)으로 구성된다.5 to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tting portion 2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is penetrate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body A fitting hole 21 in which one side is cut out so as to extend outwardly of the 10, a guide hole 22 through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djacent to the cutting side of the fitting hole 21, and the Both sides and the front side is formed to be open to the rear side inner surface side of the body 10, the insertion hole 23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22 through each of the two holes and the fixing projections 24 protruding in the rear inner surface The member 25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hole 23 of the fixing member 25 and penetrates through the guide hole 22 of the body 10 to fix the fixing member 25 to the body 10. To the guide pin 26 and the fixing projections 24 of the fixing member 25 is fixed to the rear of the body 10 is serrated It consists of a fixing groove 27 formed.

따라서, 상기 몸체(10)를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장착할 때, 헤드레스트를 시트의 상단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쉽게 몸체(10)를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mounting the body 10 to the stay rod of the headrest,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body 10 without removing the headres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at.

즉, 상기 고정부재(25)를 몸체(10)의 후측 내면에 통공된 가이드공(22)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고정부재(25)에 의해 차단된 상기 끼움공(21)을 개방시킨 다음, 끼움공(21)의 절개부분을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측으로 밀어 넣은 후, 상기 고정부재(25)를 다시 원래의 위치인 상기 가이드공(22)의 타측방향으로 다시 밀어 고정부재(25)를 고정하면 된다.That is, the fixing member 25 is push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guide hole 22 through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to open the fitting hole 21 blocked by the fixing member 25. After pushing the cutout portion of the fitting hole 21 to the stay rod side of the headrest, the fixing member 25 is pushed again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hole 22, which is the original position, to push the fixing member 25. You can fix it.

상기 고정부재(25)는, 상기 몸체(10)의 가이드공(22)에 가이드핀(26)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0)의 일측방향으로 밀리거나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밀려 밀린 위치가 복원됨이 가능하고, 또한 고정부재(25)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때 상기 고정부재(25)의 내면에 돌설된 고정돌기(24)가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톱니형으로 형성된 고정홈(27)에 인입 고정되어 상기 몸체(10)를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5 is pushed in one direction of the body 10 or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body 10 because it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22 of the body 10 by a guide pin 26. The pushed-in position can be restored, and when the fixing member 25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24 protru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5 is sawtooth at the rear of the body 10. The body 10 is firmly fixed to the stay rod of the headrest by being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7 formed in a shape.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5)를 가이드공(22)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끼움공(2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어 더욱 쉬운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된 몸체(10)를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로부터 분리함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Therefore, the fitting member 21 can be opened or closed by pushing the fixing member 25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long the guide hole 22, so that an easier coupling is possible and the body 10 is coupled to the head. It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stay rod of the rest, and usability is greatly improved.

또한, 상기 고정부재(25)의 내면은 일정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면(28)이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28)이 형성됨으로써 자동차마다 다른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의 두께에 관계없이 상기 몸체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5 may be further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8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inclined surface 28 is form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stay rod of the headrest different for each vehicle The body can be fastened firmly.

도 9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전벨트의 벨트(B)가 걸어지는 걸이부(30)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몸체(10)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측으로 인입되고 하면에 힌지홈(31)이 통공된 가이드(32)와, 상기 가이드(32)의 하면에 통공된 힌지홈(31)에 인입되고 하단에 고정후크(33)가 형성된 힌지핀(34)과,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내측에 상기 가이드(32)의 힌지홈(31)과 대응되도록 통공되어 상기 힌지핀(34)의 하단이 끼움 고정되는 힌지고정홈(35)으로 구성된다.9 to 11c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portion 30 on which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hooked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Bent toward the side of the body 10 is introduced into one side side of the body 10 and the hinge groove 31 is penetrated into the guide 32 and the hinge groove 31 is penetra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32 A hinge pin 34 having a fixing hook 33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inge groove 31 of the guide 32 inside one side of the body 10, and thus have a lower end of the hinge pin 34. The fitting is composed of a hinge fixing groove (35).

따라서, 안전벨트를 상기 걸이부(30)에 걸을 때 상기 걸이부(30)의 가이 드(32)가 상기 힌지핀(34)에 의해 몸체(10)의 외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될 수 있어 안전벨트를 거는 동작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seat belt is fastened to the hook part 30, the guide 32 of the hook part 30 may be hing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10 by the hinge pin 34, so that the seat belt may be hinged. Hanging operation is made easier.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being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above embodiments are combined with an embodiment which is simply combined with the known art. In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that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안전벨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seat belt.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에 안전벨트가 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is seated on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5.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7 and 8 are each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9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11A to 11C are diagrams each showing a state of use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몸체 20 : 끼움부10: body 20: fitting

21 : 끼움공 22 : 가이드공21: fitting hole 22: guide ball

23 : 삽입공 24 : 고정돌기23: insertion hole 24: fixing protrusion

25 : 고정부재 26 : 가이드핀25: fixing member 26: guide pin

27 : 고정홈 30 : 걸이부27: fixing groove 30: hook portion

31 : 힌지홈 32 : 가이드31: hinge groove 32: guide

33 : 고정후크 34 : 힌지핀33: fixed hook 34: hinge pin

35 : 힌지고정홈35: hinge fixing groove

Claims (3)

자동차의 시트(S) 상단면에 안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자동차의 헤드레스트(H) 하부측으로 노출된 양측의 스테이로드(H1)가 끼워져 상기 몸체(10)를 시트(S) 상단면에 고정하는 끼움부(2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전벨트의 벨트(B)가 걸어지는 걸이부(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에 있어서, A body 10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S of the vehicle; Fitting parts 20 fixing the body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 by inserting both stay rods H1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headrest H of the vehic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In the seat belt auxiliary ring for an automobile, which includes a hook portion 3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10 and on which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walked,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20)는, The fitting portion 2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관통되고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끼움공(21)과;A fitting hole 21 having one side cut through to penetrat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상기 끼움공(21)의 절개측에 근접되는 상기 몸체(10)의 후측 내면에 통공된 가이드공(22)과;A guide hole 22 formed in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djacent to the cutout side of the fitting hole 21; 상기 몸체(10)의 후측 내면측으로 인입되도록 양측과 전방측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2)과 대응되는 삽입공(23)이 양면에 각각 통공되며 후방 내면에 고정돌기(24)가 돌설된 고정부재(25)와;Both sides and the front side are opened to be introduced into the rear side inner surface side of the body 10, the insertion hole 23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22 is through each of the two holes and the fixing projections 24 are protruded on the rear inner surface A fixing member 25; 상기 고정부재(25)의 삽입공(23)의 상면측으로 끼워져 상기 몸체(10)의 가이드공(22)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재(25)를 몸체(10)에 힌지 고정하는 가이드핀(26)과;Guide pins 26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insertion hole 23 of the fixing member 25 to penetrate through the guide hole 22 of the body 10 to hinge-fix the fixing member 25 to the body 10. and; 상기 고정부재(25)의 고정돌기(24)가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톱니형으로 형성된 고정홈(27)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Safety belt auxiliary rin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27) formed in the serrated shape on the rear of the body (10)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24) of the fixing member (25) is fix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의 벨트(B)가 걸어지는 걸이부(30)는, The hook portion 30 of claim 1, wherein the belt B of the seat belt is hooked, 상면과 하면이 상기 몸체(10)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측으로 인입되고 하면에 힌지홈(31)이 통공된 가이드(32)와;A guide 32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bent toward the body 10 to be drawn toward one side of the body 10 and having a hinge groove 31 through the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가이드(32)의 하면에 통공된 힌지홈(31)에 인입되고 하단에 고정후크(33)가 형성된 힌지핀(34)과;A hinge pin 34 inserted into a hinge groove 31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32 and having a fixed hook 33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내측에 상기 가이드(32)의 힌지홈(31)과 대응되도록 통공되어 상기 힌지핀(34)의 하단이 끼움 고정되는 힌지고정홈(3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고리.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is formed through a hinge fixing groove 35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to correspond to the hinge groove 31 of the guide 3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hinge pin 34 is fitted. Car seat belt auxiliary ring.
KR1020090041939A 2009-05-14 2009-05-14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KR1009917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39A KR100991765B1 (en) 2009-05-14 2009-05-14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39A KR100991765B1 (en) 2009-05-14 2009-05-14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765B1 true KR100991765B1 (en) 2010-11-03

Family

ID=4340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39A KR100991765B1 (en) 2009-05-14 2009-05-14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76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7842U (en) 1986-02-06 1987-08-1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7842U (en) 1986-02-06 198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438B1 (en) Portable apparatus for fixing safety seat belt for vehicles
US8991919B2 (en)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US4175787A (en) Double shoulder lap safety belt
EP2719576A1 (en) Vehicle with an adjustable seat belt system and a seat belt system
JP2002500127A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with seat belt
KR100991765B1 (en) Auxiliary link of safe belt for automobile
CA2806574A1 (en) An attachment device for a seatbelt restraint system to be used by pregnant women and other passengers
WO2005118330A2 (en) A seat belt arrangement
KR101438201B1 (en) Integrated type seat belt with seat and equipment method of it
US6899353B2 (en) Vehicle seat belt device
KR200272541Y1 (en) Apparatus for position regulation of safety belts for car
KR100618087B1 (en) Apparatus for seat belt
CN211567885U (en) Child belt for preventing neck tightening of safety belt
KR100366594B1 (en) Seat belt for child
KR102668214B1 (en) Portable seat belts
KR100590955B1 (en) Automatic seat belt structure for automobile
AU2013202977B2 (en) Child safety seat with improved recline base and adjustable headrest
CN207725266U (en) Child safety seat and its preposition watch box device
KR20120103920A (en) Belt buckle and seat belt therewith
KR101679357B1 (en) Auxiliary equipment of automobile safe belt
KR20220126046A (en) Seatbelt Hanger for Front Passenger Seat for Sleeping
JPH0349966Y2 (en)
KR100313194B1 (en) a seatbelt stopper of a car
KR960010532Y1 (en) Height adjustable loop for a safety belt in a car
KR100529176B1 (en) Seat bel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