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705B1 -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 Google Patents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705B1
KR100989705B1 KR1020080012763A KR20080012763A KR100989705B1 KR 100989705 B1 KR100989705 B1 KR 100989705B1 KR 1020080012763 A KR1020080012763 A KR 1020080012763A KR 20080012763 A KR20080012763 A KR 20080012763A KR 100989705 B1 KR100989705 B1 KR 10098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channel
hol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7369A (en
Inventor
송웅호
Original Assignee
송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웅호 filed Critical 송웅호
Priority to KR102008001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7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8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실내 환경변화를 위해 또는 채광위치 등에 따라 간편하게 화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type potted device for easily changing the position of a pot for changing indoor environment or according to a mining position.

이 화분장치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10)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며, 각각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는 수로(21)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0)와;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수로(21)와 연결되는 배수관(6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100)과; 일단이 화분(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두 고정대중 상부의 고정대(20)의 수로(21)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화분(100)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30)와;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한다.This planter is fixed frame 10 and; A plurality of holders 20 fixed to the fixed frame 1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channel 21 for supplying water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surface thereof; At least one flower pot 100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20 and having a drain pipe 60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21 on the bottom thereof;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lower pot 100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to be coupled betwee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adjacent up and down support,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channel 21 of the fixing stand 20 of the upper two of the fixing stand Guide 30 for guiding the flower pot 100;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annel 21 of the uppermost holder 20.

이 화분장치는 가이드가 두 고정대 사이에 경사지게 지지됨으로써 화분을 지지시키므로, 화분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여 화분의 위치이동을 간편하게 한다. 또한, 상하로 마련되는 고정대의 각 수로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복수의 각 화분에 물을 공급시킬 수 있게 한다.This pot device supports the pot by the guide is inclined between the two fixtures,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separation of the pot is easy to move the po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er pot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each channel of the fixing stand provided up and down.

화분, 벽걸이, 수로, 고정대, 가이드 Flower pots, wall hangings, waterways, fixtures, guides

Description

벽걸이형 화분장치{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본 발명은 벽걸이형 화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환경변화를 위해 또는 채광위치 등에 따라 간편하게 화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lowerpo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mounted flowerpot device for easi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lowerpot for changing indoor environment or according to a mining position.

식물을 양육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기술라면 식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관수방법을 우선으로 꼽을 것이다.An important technique for creating an environment to nurture plants is to give priority to watering the plants.

종래의 관수방법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뿌리개나 스프링쿨러, 분무기 등을 이용하는 살수방법에서부터 식물에 근접한 거리까지 물을 유도하여 점적관수, 저면관수, 매트관수, 심지관수 등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하는 다양한 관수법이 있다.Conventional watering method uses watering cans such as sprinkler, sprinkler, sprayer, etc., which are commonly seen in the surroundings, to induce water to a distance close to the plant to induce water to roots such as drip irrigation, bottom irrigation, mat irrigation, and wick irrigation. There are a variety of irrigation methods to supply.

이러한 관수방법은 실외 및 실내의 조경 설계에서는 필수적으로 우선 고려되어야하고 더욱더 자연급수가 어려운 실내 환경에서는 인공적인 기구를 이용한 관수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This watering method is an essential consideration in outdoor and indoor landscape design, and in an indoor environment where natural water supply is difficult, a variety of watering methods using artificial instruments have been applied.

시공된 조경시설은 계속 유지되기보다는 일정기간 후 재시공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실내 조경의 경우 특히 그렇다.Constructed landscaping facilities are often rebuil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rather than being maintained, especially for indoor landscaping.

실내에서의 식물 생육환경은 자연 환경과는 달리 위치에 따라 채광이나 습도, 바람 등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위치의 이동이 필요하기도 하며 미관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식물배치의 이동이 빈번히 발생되기 때문이다.Unlike the natural environment, indoor plant growth environments vary greatly in location, such as mining, humidity, and wind, so it is necessary to move the location at an appropriate time. Because it occurs.

종래에 설치되는 기구를 이용한 관수방법에서는 한번 설치된 조경 배치를 바꾸기란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심지어는 부수고 다시 설치하는 형태가 다반사이다.In the conventional watering method using a mechanism that is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ayout arrangement once installed is a lot of difficulties, even broken and re-installed form is a common reflection.

원인은 급수원에서 식물의 뿌리에 근접한 거리까지 물을 유도하는 급수관과 토양을 적시고 흐르는 수분을 내보내는 배수관의 변형과 해체가 힘들다는 점에 있다.The cause is that it is difficult to deform and dismantle the water supply pipe leading to the water from the water source to the root of the plant and the drain pipe that wets the soil and discharges the flowing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내 환경변화를 위해 또는 채광위치 등에 따라 간편하게 화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type potted device that can easily move the position of the po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door environment or according to the mining posi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화분장치는 고정프레임과;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lant apparatus is fixed frame;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며, 각각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는 수로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와;A plurality of fixing rods fixed to the fixing frame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water channel for supplying water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surface thereof;

상기 고정대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과;At least one flower pot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and having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at a bottom thereof;

일단이 상기 화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상기 두 고정대중 상부의 고정대의 수로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상기 화분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와;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lower pot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to be coupled between the gap between the two up and down adjacent fixtures to guide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waterway of the upper of the two holders to the flower pots. With a guide;

상기 최상부 고정대의 수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annel of the uppermost stator.

본 발명 화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고정대의 후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좁아지도록 상부와 후면이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후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고정대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과 밀착되어 상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홈으로 가이드하는 방수필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nt po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hannel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holder so that the width of the upper and rear openings to be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tached to the rear of the holder to close the rear of the groove and the fix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aterproof film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to guide the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groove.

또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최하부의 고정대 저부에 상기 수로로부터 낙 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을 구비하고,In addition, the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for stor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channel in the bottom of the fixed base,

상기 저수통의 물을 공급관을 통하여 최상부 고정대의 수로에 물을 공급시키는 공급펌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way of the uppermost stationar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reservoir.

또한, 상기 화분은 상기 가이드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일단이 상기 수조의 물에 침지되고 타단이 배양토에 묻히는 공급포와, 일단이 상기 수조를 관통하여 수조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상기 배수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t is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guide, a supply cloth one end is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end is buried in the culture soil, and one end penetrates the water tank from the bottom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또한, 본 발명 화분장치는 상기 고정대의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의 폭 거리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In addition, the pot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fitting grooves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stance of the guide at the lower end of the holder,

상기 가이드 양단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측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de wall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또한, 본 발명 화분장치는 상기 측벽이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le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formed in the guide to prevent the side wall from slipping from the fitting groov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화분장치는 고정프레임과;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lant apparatus is fixed frame;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대와;A plurality of fixing bars fixed to the fixing frame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각 고정대의 후면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의 복수의 수로체와;A plurality of waterway bodies provided at the rear of each of the fixing units and having a wide top and a narrow funnel shape;

상기 고정대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상기 수로체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과;At least one flower pot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and having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waterway body at a bottom thereof;

일단이 상기 화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상기 두 고정대중 상부 고정대의 수로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상기 화분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와;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ot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to be coupled betwee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adjacent up and down the stator, and guides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waterway body of the upper stator of the two stir to the pot With a guide;

상기 최상부 고정대의 수로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way body of the uppermost stator.

본 발명 화분장치는 가이드가 두 고정대 사이에 경사지게 지지됨으로써 화분을 지지시키므로, 화분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여 화분의 위치이동을 간편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device supports the flower pot by supporting the guide inclined between the two holders, there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lower pot, thereby simplifying the movement of the flower pot.

또한, 상하로 마련되는 고정대의 각 수로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복수의 각 화분에 물을 공급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er pot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each channel of the fixing stand provided up and down.

또한, 배면 수로로 흐르는 물이 낙하 시 발생되는 수포 입자와 음이온은 실내의 습도 유지나 쾌적한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준다.In addition, the blister particles and negative ions generated 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rear channel falls to help maintain humidity in the room or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본 발명 실시예의 벽걸이형 화분장치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건축물의 벽면 정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10)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며, 각각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는 수로(21)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0)와; 상기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상기 수로(21)와 연결되는 배수관(6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100)과; 일단이 상기 화분(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두 고정대중 상부의 고정대(20)의 수로(21)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상기 화분(100)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30)와; 상기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showing the wall-type potted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ixed frame 10 is installed standing on the front wall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holders 20 fixed to the fixed frame 1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channel 21 for supplying water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surface thereof; At least one flower pot (100)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stand (20) and having a drain pipe (60)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21) on a bottom surface thereof;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lower pot 10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between the gap between two up and down adjacent fixing bars, and falls through the channel 21 of the upper fixing stand 20 among the two fixing stands. A guide 30 for guiding the water to the flower pot 100;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annel 21 of the uppermost holder 20.

상기 수로(21)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로(21)는 상기 고정대(20)의 후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좁아지도록 상부와 후면이 개방된 홈(21a)을 형성하고, 상기 홈(21a)의 후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고정대(2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면과 밀착되어 상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홈(21a)으로 가이드하는 방수필름(90)으로 구성된다.6 and 7, the channel 21 forms a groove 21a having an upper side and a rear side open so that the width of the channel 21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waterproof film 9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20 to close the rear surface of the groove 21a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 to guide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groove 21a. It is composed of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최하부의 고정대(20) 저부에 상기 수로(21)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80)을 구비하고, 상기 저수통(80)의 물을 공급관(41)을 통하여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시키는 공급펌프(40)를 구비한다.The water supply means has a reservoir 80 for stor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passage 21 in the bottom of the fixed base 20, the water supply of the reservoir 80 through the supply pipe 41 It is provided with a supply pump 40 which supplies water to the channel 21 of the uppermost stand 2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분(100)은 상기 가이드(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0)와, 일단이 상기 수조(50)의 물에 침지되고 타단이 배양토(미도시)에 묻히는 공급포(70)와, 일단이 상기 수조(50)를 관통하여 수조(50)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수로(21)와 연결되는 상기 배수관(60)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Referring to Figure 3, the pot 100 is a water tank 50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guide 30, one end is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50 and the other end is in the culture soil (not shown) Buried supply cloth 70 and one end penetrates the water tank 50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5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drain pipe 60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21. .

이와 같은 화분(10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틈새를 형성하면서 형성된 화분몸체(110)의 틈새를 통하여 식물들이 식생하게 되며, 가이드(30)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이 수조(50)에 저장되고 공급포(70)를 통하여 배양토에 물이 공급되게 된다.1 to 3, such a pot 100 is a plant vegetation through the gap of the potted body 110 formed while forming a ga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guide 30 tank It is stored in 50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through the supply cloth (70).

또한, 수조(50)에 공급된 물이 일정수위를 넘는 경우 배수관(60)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부로 배수되고, 배수된 물은 하부 고정대(20)의 수로(21)를 통하여 아래의 또 다른 화분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50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is drained downwar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60, and the drained water is further pollen below through the water channel 21 of the lower holder 20. It will supply water.

한편, 상기 고정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30)의 폭 거리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30)의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홈(22)에 끼워지는 측벽(30a)(30b)이 형성된다.Meanwhile, fitting grooves 2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stand 20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stances of the guides 30, and sidewalls of the guides 30 are fitted to the fitting grooves 22. 30a and 30b are formed.

또한, 상기 가이드(30)에는 상기 측벽(30a)(30b)이 상기 끼움홈(22)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걸림턱(30c)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3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30c) to prevent the side walls (30a, 30b) from slipping from the fitting groove (22).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분장치는 먼저, 고정프레임(10)을 바닥면에 고정설치하고, 고정프레임(10)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고정대(20)을 고정설치한다.Planter device of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fixed frame 1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fixed to the fixed frame 10 at a fixed interval to the fixed stand 20 is installed.

최하부 고정대(20)의 저부에는 저수통(80) 및 공급펌프(40)를 설치하고, 공급펌프(40)와 연결되는 공급관(41)을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와 연결되도록 설치한다.The reservoir 80 and the supply pump 40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holder 20, and the supply pipe 41 connected to the supply pump 40 is connected to the channel 21 of the upper holder 20. do.

이어서 실내환경에 따라 화분(100)을 소망하는 위치의 고정대(20)에 걸어 지지시킨다.Subsequently, the flower pot 100 is supported on the holder 20 at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indoor environ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30)를 상/하 고정대(20) 사이의 틈새에 넣어서 가이드(30)가 경사지도록 하여 화분(100)을 지지시킨다. 이때 가이드(30)의 측벽(30a)(30b)을 고정대(20)의 끼움홈(22)에 결합시키며, 가이드(30)의 걸림턱(30c)을 통하여 고정대(20)에 지지되게 되므로 하중에 의해서 가이드(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guide 30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xing units 20 so that the guide 30 is inclined to support the pot 100. At this time, the side walls 30a and 30b of the guide 30 are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s 22 of the holder 20, and are supported by the holder 20 through the locking jaw 30c of the guide 30. This prevents the guide 30 from slipping.

이 경우 화분(100)의 후면은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고 화분(100)의 상부는 샤프트(31)에 고정된 가이드(30)를 통하여 매달려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rear of the planter 100 is supported on the front of the holder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lanter 100 is suspended through the guide 30 fixed to the shaft 31.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화분(100)의 배수관(60)은 하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drain pipe 60 of the flower pot 100 is to be connected to the channel 21 of the lower holder (20).

이와 같이 복수의 화분(100)들을 소망하는 위치의 고정대(20)에 걸어 설치한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pots 100 are installed on the fixing stand 20 of the desired position.

상기와 같은 화분장치는 상/하 두 고정대(20) 사이에 넣어져서 화분(100)을 지지시키는 가이드(30)를 구비함으로써, 화분(100)의 설치 및 해체를 간편하게 한다.The potted plan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wo holder 20 to provide a guide 30 for supporting the potted plant 100, there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potted plant 100.

또한, 공급관(41)을 통하여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화분(100)에 물을 공급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by supplying water to the channel 21 of the uppermost holder 20 through the supply pipe 41,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the plurality of pots (100).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화분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len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다른 실시예의 화분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서 수로(21)의 구성부분만 다를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llen device differs only in the components of the channel 21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즉, 다른 실시예의 화분장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대(20)와, 상기 각 고정대(20)의 후면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의 복수의 수로체(미도시)와, 상기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상기 수로체와 연결되는 배수관(6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100)과, 일단이 상기 화분(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 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상기 두 고정대중 상부 고정대(20)의 수로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상기 화분(100)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30)와, 상기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That is, the pollen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fixed frame 10,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20 fixed to the fixed frame 1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and the rear of each of the fixing bracket 20 is provided At least one flower pot 100 having a plurality of waterway bodies (not shown) having a wide upper and narrower funnel shape, and a drain pipe 60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base 20 and connected to the waterway body at the bottom thereof. And,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lower pot 100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to be coupled betwee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adjacent up and down the support, and fall through the waterway body of the upper fixture 20 of the two holders Guide 30 for guiding the water to the pot 100,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way body of the top holder 20 has a structure.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 수로(21)는 고정대(20)의 후면에 홈(21a)을 형성하여 형성하였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대(20)에 홈(21a)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깔대기 형상의 수로체를 별도로 마련하여서, 각 수로체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가이드(30)를 통하여 화분(1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hannel 21 is formed by forming the groove 21a at the rear of the holder 20, but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21a is not formed in the holder 20, and the number of the funnel shape is separate. By separately providing the furnace, water falling from each of the waterways is to be supplied to the pot 100 through the guide 30.

이러한 본 발명은 벽면형 화분을 벽면으로부터 탈착과 동시에 급수와 배수의 해체와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조경배치의 변형과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배면 수로(21)로 정해진 시간에 흐르는 물이 낙하 시 발생되는 수포 입자와 음이온은 실내의 습도 유지나 쾌적한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onvenience that the dismantling and connection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at the same time as detaching the wall-type planter from the wall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landscape layout and flows in the back channel 21 The blister particles and negative ions generated when the water falls can help maintain indoor humidity or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 화분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t device,

도 2는 본 발명 화분 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t device,

도 3은 화분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도 4는 본 발명 화분장치의 요부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t device,

도 5는 본 발명 화분장치의 배면 개략 사시도,5 is a schematic back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t device,

도 6은 고정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holder;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Claims (7)

고정프레임(10)과;A fixed frame 10;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며, 각각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는 수로(21)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0)와;A plurality of holders 20 fixed to the fixed frame 1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water channel 21 for supplying water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rear surface thereof; 상기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상기 수로(21)와 연결되는 배수관(6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100)과;At least one flower pot (100)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stand (20) and having a drain pipe (60)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21) on a bottom surface thereof; 일단이 상기 화분(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상기 두 고정대중 상부의 고정대(20)의 수로(21)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상기 화분(100)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30)와;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lower pot 100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ly supported by the gap between two uprights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rough the channel 21 of the upright 20 of the two uprights. A guide 30 for guiding the falling water to the flower pot 100; 상기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channel 21 of the uppermost holder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21)는 상기 고정대(20)의 후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좁아지도록 상부와 후면이 개방된 홈(21a)을 형성하고, 상기 홈(21a)의 후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고정대(2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면과 밀착되어 상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홈(21a)으로 가이드하는 방수필름(9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hannel 21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holder 20 to form a groove (21a) of the top and the rear open so that the width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rear of the groove (21a) It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fixing stand 20 so as to close and close to the front of the fixing frame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proof film 90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from the top to the groove (21a) Wall plan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최하부의 고정대(20) 저부에 상기 수로(21)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80)을 구비하고,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80 for stor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way 21 in the bottom of the fixed base 20, 상기 저수통(80)의 물을 공급관(41)을 통하여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시키는 공급펌프(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Wall-type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pump 4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way 21 of the top holder 20 through the supply pipe 41 to the water of the reservoir 8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00)은 상기 가이드(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0)와, 일단이 상기 수조(50)의 물에 침지되고 타단이 배양토에 묻히는 공급포(70)와, 일단이 상기 수조(50)를 관통하여 수조(50)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수로(21)와 연결되는 상기 배수관(6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pot 100 is a water tank 50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guide 30, one end is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50 and the other end is buried in the culture soil ( 70) and the wall-type potted plant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e water tank 50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21.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의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30)의 폭 거리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끼움홈(22)이 형성되고,The fitting groove 22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tting grooves 2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der 20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s of the guides 30. 상기 가이드(30)의 양단부에 상기 끼움홈(22)에 끼워지는 측벽(30a)(3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Wall-type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s (30a, 30b)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22 at both ends of the guide (3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0a)(30b)이 상기 끼움홈(22)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걸림턱(30c)이 상기 가이드(3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The wall-type potted plan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locking jaw (30c) is formed in the guide (30c) to prevent the side walls (30a, 30b) from slipping from the fitting groove (22). 고정프레임(10)과;A fixed frame 10;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대(20)와;A plurality of fixing stands 20 fixed to the fixing frame 1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상기 각 고정대(20)의 후면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의 복수의 수로체와;A plurality of aqueduct bodies provided on a rear portion of each fixing base 20 and having a wide top and a narrow funnel shape; 상기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상기 수로체와 연결되는 배수관(6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100)과;At least one flower pot (100)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20) and having a drain pipe (60) connected to the waterway body on a bottom surface thereof; 일단이 상기 화분(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상기 두 고정대중 상부 고정대(20)의 수로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상기 화분(100)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30)와;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lower pot 100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to be coupled betwee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adjacent up and down support, and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waterway body of the upper stand 20 of the two holders A guide (30) for guiding the flower pot (100); 상기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Wall-type pott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way body of the top holder 20.
KR1020080012763A 2008-02-12 2008-02-12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KR100989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763A KR100989705B1 (en) 2008-02-12 2008-02-12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763A KR100989705B1 (en) 2008-02-12 2008-02-12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369A KR20090087369A (en) 2009-08-17
KR100989705B1 true KR100989705B1 (en) 2010-10-26

Family

ID=4120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763A KR100989705B1 (en) 2008-02-12 2008-02-12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170A (en) 2015-06-16 2016-12-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co-friendly air cleaning system using air purification plant and mineral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076B1 (en) * 2010-12-01 2013-03-27 대한민국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KR101460412B1 (en) * 2012-11-23 2014-11-12 (주)새텍 Automatic water circulation water wall plants port
WO2014123259A1 (en) * 2013-02-07 2014-08-14 주식회사 그리움 Planter for landscaping walls
KR101643649B1 (en) * 2014-03-13 2016-07-29 주식회사 세파란 Wall planter for recording
CN104838913B (en) * 2015-04-17 2018-03-20 浙江农林大学 Radix tetrastigme pillar cultivation device and its cultivation and assemble method
CN105493931A (en) * 2015-12-11 2016-04-20 卢志文 Water seepage preventing system of plant wall
KR102183493B1 (en) 2020-05-06 2020-11-26 김득수 Water saving pots
KR20230042931A (en) 2021-09-23 2023-03-30 김양곤 Apparatus for removing inse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22A (en) * 2001-01-20 2001-04-06 김명순 A multistage flower tower and a method for water-supplying thereof
KR20050091799A (en) * 2004-03-10 2005-09-15 박상희 Flower pot
KR200410854Y1 (en) 2005-10-17 2006-03-10 권홍순 A draining apparatus of flowerpot display stand
KR100647211B1 (en)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lowerpot using for wall fountain, and modeling process of natyral soundproof system is applied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22A (en) * 2001-01-20 2001-04-06 김명순 A multistage flower tower and a method for water-supplying thereof
KR20050091799A (en) * 2004-03-10 2005-09-15 박상희 Flower pot
KR200410854Y1 (en) 2005-10-17 2006-03-10 권홍순 A draining apparatus of flowerpot display stand
KR100647211B1 (en)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lowerpot using for wall fountain, and modeling process of natyral soundproof system is applied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170A (en) 2015-06-16 2016-12-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co-friendly air cleaning system using air purification plant and mineral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369A (en)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705B1 (en) flowerpot for wall decorations
US20090223126A1 (en) Vertical plant supporting system
EP3148316B1 (en) Vertical planter for growing plants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EP1803346A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KR102286980B1 (en) stand type watering device and it using water culture apparatus
KR101466179B1 (en) Hydroponics apparatus with aquarium
KR20150087510A (en)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KR101425187B1 (en) Green wall system
US20130025196A1 (en) System for displaying plants
KR200475823Y1 (en) Landscaping flower pot
CN205052300U (en) Landscape plant wall system that modularization can be dismantled fast
JP2018174744A (en) Raising/display device for foliage plant
JP2006129846A (en) Tray for receiving plantation block in wall-greening installation
KR100808251B1 (en) Artificial structure for wall
KR102203079B1 (en)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CN214102440U (en) Greening decorative frame for road
JP4604148B2 (en) Watering equipment for wall greening equipment
JP2006129845A (en) Wall-greening installation
KR20130058129A (en) Hangable flowerpot for green-wall
JP5149857B2 (en) Rainwater-bas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20080004745A (en) Cultivation device for potted plants of hanger type
KR101460412B1 (en) Automatic water circulation water wall plants port
JP3170248U (en) Plan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