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655B1 -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655B1
KR100989655B1 KR1020100031816A KR20100031816A KR100989655B1 KR 100989655 B1 KR100989655 B1 KR 100989655B1 KR 1020100031816 A KR1020100031816 A KR 1020100031816A KR 20100031816 A KR20100031816 A KR 20100031816A KR 100989655 B1 KR100989655 B1 KR 10098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weight
parts
groun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억
백광현
주두환
김정임
이진규
김동석
임채용
Original Assignee
황규억
쌍용양회공업(주)
이진규
주두환
김정임
백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억, 쌍용양회공업(주), 이진규, 주두환, 김정임, 백광현 filed Critical 황규억
Priority to KR102010003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의 지반상태에 따라 응결속도를 10∼60분 이내로 조절할 수 있는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이 용탈되지 않아, 지반 및 지하수에 미치는 환경오염이 매우 적으며, 지반토와 응결속도조절 시멘트가 혼합된 슬라임의 배출을 억제하여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여주고, 유속이 빠른 지반에서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의 응결속도를 촉진하여 주입재의 유실 없이, 확실하고 완벽한 지반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는 최상단에 위치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와, 압축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스위벨과; 상기 스위벨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와 압축공기 주입구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중관 로드와; 상기 이중관 로드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이 구비된 모니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은 청구항 1 내지 3의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를 개량하고자 하는 임의의 심도까지 천공하여,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를 회전 없이 무회전으로 상향으로 인발하면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및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지반을 절삭파쇄시킨 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켜 지중에 제형 고결체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The trapezoid hardener formation device and formation method using setting time controlled cement and double pipe monitor for weak ground improvement}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와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회전 없이 무회전으로 인발하면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와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지반을 절삭파쇄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제형의 고강도 고결체를 형성시켜 지반을 개량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시멘트 그라우트 주입공법은 대상지반을 천공 후 천공부위에 주입관을 설치하고, 다수의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공법으로, 누수지층 차수 및 지반보강효과에 효과적이며, 세사, 실트, 사력층을 제외한 전 지반에 걸쳐 적용이 가능하고, 장비가 간편하며, 약액주입공법(LW, SGR)에 비해 지반개량 강도가 큰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멘트 그라우트 주입공법은 응결시간조절이 안 되어 차수 효과가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시멘트 소요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심층분사혼합공법은 주입 로드를 지반 내에서 회전 인발시키면서, 그 선단의 분사노즐로부터 상기 주입 로드의 직각방향으로 지반 개량재를 물과 혼합하여 고압 분사하여, 지반 개량재와 주변 지반토를 교란 혼합하여 원주상 주상형 고결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심층분사혼합공법은 1회의 시공으로 넓은 범위의 지반을 개량할 수 있으며, 고결체 상호의 밀착성이 뛰어난 곳으로부터 토류벽이나 차수벽의 조성에 많이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심층분사혼합공법은 지반토와 시멘트가 혼합되어 지중에 고결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토질에 따라 영향을 받기 쉽고, 연약지반에서 시행할 경우에는 점토입자와 시멘트가 혼합되어 고결체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강도가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심층분사혼합공법은 고결체의 지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 이상의 시멘트 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지반 내에 유속이 있는 경우에는 경화재의 유실을 막기 위해 급결재인 규산소다, SGR 약품, 그외 독성을 지닌 여러 가지 화공약품들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화공약품으로 인하여 지반 및 지하수에 미치는 환경오염이 대단히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현장의 지반상태에 따라 응결속도를 10∼60분 이내로 조절할 수 있는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이 용탈되지 않아, 지반 및 지하수에 미치는 환경오염이 매우 적으며, 지반토와 응결속도조절 시멘트가 혼합된 슬라임의 배출을 억제하여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여주고, 유속이 빠른 지반에서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의 응결속도를 촉진하여 주입재의 유실 없이, 확실하고 완벽한 지반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는 최상단에 위치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와, 압축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스위벨과; 상기 스위벨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와 압축공기 주입구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중관 로드와; 상기 이중관 로드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이 구비된 모니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은 청구항 1 내지 3의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개량하고자 하는 임의의 심도까지 천공하여,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회전 없이 무회전으로 상향으로 인발하면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및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지반을 절삭파쇄시킨 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켜 지중에 제형 고결체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의 주상형 고결체 보다 슬라임폐기물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소량의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와 이중관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사용하므로 지반절삭 범위가 작아 공사기간을 단축하므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기존의 주상형 고결체 형성방법 보다 그라우트재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절약하였으므로 환경친화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 고강도의 고결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지반개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포틀랜드시멘트 및 조강시멘트와 본 발명에 따른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의 응결시간 및 물-시멘트비 100% 조건에서 겔타임을 측정한 결과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이중관 로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분사노즐 간격 및 각도 범위와 이에 따른 제형 고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는 분말도 2,500∼6,500㎠/g의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속경성시멘트와 응결조절제로 구성되는 급결첨가제를 1∼100 중량부 첨가하여, 분체 믹서에서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는 물-시멘트비 30∼200%가 되도록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급결첨가제는 속경성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응결조절제 0.01∼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속경성시멘트는 분말도 2,500∼6,500㎠/g의 아윈클링커와 알루미나클링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속경성 클링커 미분말 0.1∼80 중량부, 분말도 2,500∼6,500㎠/g의 이수석고, 반수석고 및 무수석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황산칼슘화합물 1∼50 중량부, 소석회 1∼50 중량부, 그라우트의 수축저감을 위해 분말도 2,500∼6,500㎠/g의 아윈 클링커 미분말과 생석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팽창제 1∼30 중량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응결조절제는 분말의 유기산 및 유기산의 알칼리염, 알칼리토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1∼80 중량부와 알칼리탄산염 및 중탄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1∼80 중량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슬래그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점토, 실트 및 모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의 물질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제조 또는 현장 믹서에서 50∼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도 1은 포틀랜드시멘트 및 조강 포틀랜드시멘트와 본 발명에 따른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에 대하여 시멘트 응결시간과 물-시멘트비 100% 조건에서의 겔타임을 측정한 결과이다. 여기서, 겔타임은 물과 시멘트를 혼합한 그라우트가 유동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포틀랜드시멘트는 초결이 3시간 이상, 종결이 5시간 이상이며, 물-시멘트비 100%의 그라우트는 6시간 이상이 경과하여도 겔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유동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속경성시멘트를 첨가하는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응결시간이 짧아지게 되며, 겔타임을 1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겔화 이후의 초기강도는 속경성시멘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게 되므로, 속경성시멘트의 첨가량과 응결조절제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겔타임과 겔화 이후 초기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응결조절제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점성이 감소하므로, 저 물-시멘트비의 그라우트 주입이 가능하여 고강도의 고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이중관 로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는 최상단에 위치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와 압축공기 주입구(120)가 형성된 스위벨(100)과; 상기 스위벨(100)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와 압축공기 주입구(120)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중관 로드(200)와; 상기 이중관 로드(20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310)이 구비된 모니터(3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는 스위벨(100)과 이중관 로드(200) 및 모니터(3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스위벨(100)은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와 압축공기 주입구(1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중관 로드(200)는 응결속도조절 시멘트관(210)과 압축공기관(220)의 이중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벨(100)의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와 압축공기 주입구(120)가 각각 연통됨과 동시에 스위벨(100)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300)는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310)이 설치되고, 상기 이중관 로드(20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310)은 모니터(300)의 일방향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분사각을 갖도록 1∼20°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310)의 분사각은 2∼15°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기술적 특징은 모니터(300)의 일방향에 일정한 분사각을 갖는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310)이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의 분사노즐 간격 및 각도범위와 이에 따른 지반 개량 제형 고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은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를 개량하고자 하는 임의의 심도까지 천공하여, 상향으로 인발하면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및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지반을 절삭파쇄시킨 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켜 지중에 제형 고결체(H)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은 일방향 제형의 고결체(H)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로 개량대상 연약지반을 소정의 직경으로 천공하되,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는 이중관 로드(200)의 선단부에는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 분사노즐(310)이 부착된 모니터(300)가 장착되고, 상기 이중관 로드(200)의 상부에는 스위벨(100)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벨(100)과 이중관 로드(200) 및 모니터(300)가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로 지반 천공시에는 먼저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에 청수 또는 염수를 압축공기 주입구(120)에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회전으로 지중으로 하향 굴착한다.
이어서,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로 지중의 계획심도까지의 천공이 완료되면,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모니터(300)에 부착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 분사노즐(310)을 시공라인과 일치시킨 후,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회전 없이 무회전으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켜 지반을 절삭파쇄시킴과 동시에 제형의 고결체(H)를 형성시키되, 2∼3초마다 1스텝(5∼7cm)씩 자동으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를 상승시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킨 후,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가 경화되어 제형 형상의 고결체(H)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로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천공한 후,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의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 분사노즐(310)을 시공라인과 일치시킨 후, 2∼3초마다 1스텝(5∼7cm)씩 자동으로 상향으로 인발하면서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 분사노즐(310)을 통해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켜 지중에 제형의 고결체(H)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은 기존의 주상형 고결체 보다 슬라임폐기물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소량의 응결속도조절 시멘트와 이중관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를 사용하므로 지반절삭 범위가 작아 공사기간을 단축하므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주상형 고결체 형성공법 보다 그라우트 재료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절약하였으므로 환경친화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 고강도의 개량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지반개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스위벨 110: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
120: 압축공기 주입구 200: 이중관 로드
210: 응결속도조절 시멘트관 220: 압축공기관
300: 모니터
310: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
A: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
H: 제형 고결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최상단에 위치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와 압축공기 주입구(120)가 형성된 스위벨(100)과; 상기 스위벨(100)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주입구(110)와 압축공기 주입구(120)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중관 로드(200)와; 상기 이중관 로드(20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겸용 압축공기분사노즐(310)이 구비된 모니터(300)로 구성된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를 개량하고자 하는 임의의 심도까지 천공하여, 상기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장치(A)를 회전 없이 무회전으로 상향으로 인발하면서,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및 압축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지반을 절삭파쇄시킨 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분사시켜 지중에 제형 고결체를 형성하고,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는 분말도 2,500∼6,500㎠/g의 포틀랜드시멘트용 클링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속경성시멘트와 응결조절제로 구성되는 급결첨가제를 1∼100 중량부 첨가하고, 분체 믹서에서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결첨가제는 속경성시멘트와 응결조절제로 구성되고, 상기 속경성시멘트는 분말도 2,500∼6,500㎠/g의 아윈클링커와 알루미나클링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속경성 클링커 미분말 0.1∼80 중량부, 분말도 2,500∼6,500㎠/g의 이수석고, 반수석고 및 무수석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황산칼슘화합물 1∼50 중량부, 소석회 1∼50 중량부, 그라우트의 수축저감을 위해 분말도 2,500∼6,500㎠/g의 아윈 클링커 미분말과 생석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팽창제 1∼30 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응결조절제는 분말의 유기산 및 유기산의 알칼리염, 알칼리토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1∼80 중량부와 알칼리탄산염 및 중탄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1∼80 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속경성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응결조절제 0.01∼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슬래그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점토, 실트 및 모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의 물질을 응결속도조절 시멘트 제조 또는 현장 믹서에서 50∼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KR1020100031816A 2010-04-07 2010-04-07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KR100989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16A KR100989655B1 (ko) 2010-04-07 2010-04-07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16A KR100989655B1 (ko) 2010-04-07 2010-04-07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655B1 true KR100989655B1 (ko) 2010-10-26

Family

ID=4313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816A KR100989655B1 (ko) 2010-04-07 2010-04-07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6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461A (ja) * 2001-12-27 2003-07-09 Chem Grouting Co Ltd 地中壁構築工法
KR100469525B1 (ko) * 2003-12-23 2005-02-02 주식회사 우지스 모르타르 고압분사를 통한 치환식 주상형 고결체 형성장치및 형성방법
KR100806912B1 (ko) * 2007-08-17 2008-02-22 원용문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461A (ja) * 2001-12-27 2003-07-09 Chem Grouting Co Ltd 地中壁構築工法
KR100469525B1 (ko) * 2003-12-23 2005-02-02 주식회사 우지스 모르타르 고압분사를 통한 치환식 주상형 고결체 형성장치및 형성방법
KR100806912B1 (ko) * 2007-08-17 2008-02-22 원용문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533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 경량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EP1093445B1 (en) Method and grouting composition for filling cracks in stone and concrete constructions
CN106368214A (zh) 一种护筒式水泥土搅拌桩的成桩操作方法
KR100699430B1 (ko) 고압분사 그라우트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KR100989654B1 (ko)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삼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KR10088428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경화제와 이의 초고압수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 공법
CN106284295A (zh) 多通道钻喷一体化喷射注浆施工方法
CN114956744B (zh) 一种纳米改性高致密喷射混凝土及利用其的富水隧道的施工方法
CN103771809B (zh) 一种混凝土表层微缺陷修补材料
CN116427396A (zh) 一种搅拌桩施工方法及其复合桩施工方法
JP5121683B2 (ja) 地盤改良工法
KR100940802B1 (ko) 연약지반 개량용 경화제와 이의 심층혼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층혼합처리공법
KR102457167B1 (ko) 친환경 지반주입 보강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40811B1 (ko) 지반고결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KR100942714B1 (ko) 고압분사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CN111719561A (zh) 一种脉冲式注浆机、一种双液注浆施工方法
JP2005120349A (ja) 土砂構造物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斜面、ライニング面、トンネル覆工面の表面保護工法及び法面保護工法
KR10098965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응결속도조절 시멘트를 이용한 이중관 무회전 인발 제형 고결체 형성방법
KR100798019B1 (ko) 지반보강 및 차수용 복합 그라우팅공법
CN109518676B (zh) 一种微气爆注浆处理大孔隙、松散地基土的方法
KR20060027443A (ko) 지반굴착 및 그라우트재 주입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지반그라우팅 공법
CN116396051A (zh) 一种抗渗早强型喷射混凝土及其在超挖渗水工况下的应用
KR101069366B1 (ko) 그라우트 공법
CN100374657C (zh) 利用螺纹搅拌轴降低周围地基变形的施工方法
KR102464905B1 (ko) 실리카졸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