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039B1 -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039B1
KR100989039B1 KR1020080081704A KR20080081704A KR100989039B1 KR 100989039 B1 KR100989039 B1 KR 100989039B1 KR 1020080081704 A KR1020080081704 A KR 1020080081704A KR 20080081704 A KR20080081704 A KR 20080081704A KR 100989039 B1 KR100989039 B1 KR 10098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aint composition
road
compositio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109A (ko
Inventor
전재기
Original Assignee
전재기
(주) 다해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기, (주) 다해산업개발 filed Critical 전재기
Priority to KR102008008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0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와 안료들을 포함하는 제1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의 2액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를 포함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은, (1)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2)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3) 노면에 이미 표시되었으나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도포단계; (4)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제1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된 도포면이 그 위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도 두 도료조성물들의 색상이 혼화되거나 또는 도료조성물들 자체가 서로 혼화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제1건조단계; 및 (5)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도포면 상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노면 표시를 위한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제2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료조성물, 노면, 도포면, 표식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카

Description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Paint composition for road traffic lane of eliminating and method painting road traffic lane therewith}
본 발명은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후성이 우수한 도로의 노면 표시를 위한 것으로서, 수지와 안료들을 포함하는 제1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의 2액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를 포함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 표지용으로 사용되는 도료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비닐계, 비닐 아크릴계 도료와 하이드로카본계 하드 레진 융착식도료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로 표지용 도료에는 다음과 같은 물성이 요구된다. 첫째,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도로 표면과의 부착성이 우수해야 하며, 밤길이나 어두운 길에서 빛을 반사하게 하여 도로 표지를 선명하게 해주는 유리 비드와의 부착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둘째, 경화 후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 저하와 같은 경시 변화가 없고 또한 여름철, 겨울철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는 열적안정성이 우수해야 하며,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체 등에 의한 내충격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셋째, 도로의 도장 작업 시 이로 인하여 이동체 및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하는 시간이 짧아야 하므로 빠른 시간 내에 경화되는 속건형이어야 한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도로 표지용 도료는 도장 후 완전하게 건조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서 도장 작업 시 도로의 통행제한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 표지용 도료는 염가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비드와의 부착성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현저하게 저하되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야간이나 우기에 차량이 주행할 때 도로 표지의 인식이 곤란하게 되어 차량주행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도료의 경화물은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도로 표면 온도 차이가 극심한 여름철과 겨울철에 열적 안정성이 부족하게 되어 도로 표지용 도료가 깨지거나 균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염가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도료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보수 도장 작업을 빈번하게 수행해야 하므로, 실제로는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도로의 노면 표시를 위한 것으로서, 수지와 안료들을 포함하는 제1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의 2액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를 포함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은, 제1제와 제2제의 2액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가 실리카 5 내지 3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10중량%, 안료 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바인더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제가 과산화물 55 내지 65중량% 및 잔량으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에는 제1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이드로퀴논이 0.1 내지 1중량부의 양으로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의 상기 과산화물은 벤질퍼옥사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은, (1)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2)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3) 노면에 이미 표시되었으나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도포단계; (4)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제1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된 도포면이 그 위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도 두 도료조성물들의 색상이 혼화되거나 또는 도료조성물들 자체가 서로 혼화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제1건조단계; 및 (5)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도포면 상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노면 표시를 위한 표식부를 형성시 키는 제2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포단계에서 상기 제1도포부가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를 포함하여 임의의 평면도형의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상기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제1도포단계, 제1건조단계 및 제2도포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들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서 상기 제1도포부 이외의 노면에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제3도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은, 제1제와 제2제의 2액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가 실리카 5 내지 3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10중량%, 안료 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바인더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2제가 과산화물 55 내지 65중량% 및 잔량으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의 상기 실리카는 기존의 노면에 형성된 기존의 표식부를 구성하 는 표시막과 상기 기존의 표식부 상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신생의 표식부를 구성하는 표시막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자동차의 바퀴나 기타 물리적인 마찰에 대한 내마모성을 포함하여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이 상기 제1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실리카의 함량이 너무 적어져서 막질 간의 결합력 증대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바인더수지로서의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져서 역시 막질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상기 바인더수지로서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단량체로서, 바인더수지의 도포 후의 건조 내지는 후경화 시 막의 경화를 촉진하고, 현장에서의 도포 작업 시의 작업성 즉, 상기 제1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특히 상기 제1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역시 경화 내지 도막의 형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후의 교통통제 등에 대한 장시간화 등으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상기 제1제의 색상을 조절하여 제1도료조성물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도료조성물과는 구 별되는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이 되도록 색상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안료의 조절에 의해 제1도료조성물 및 제2도료조성물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3도료조성물의 조성이나 그 이상의 다른 색상들을 갖는 도료조성물들의 조성 역시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안료가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에의 색상의 부여 및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노면 상에 형성되는 도포면의 색상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함량의 감소로 역시 도포막의 형성이 어려워지거나 막질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도료조성물이 도로의 노면 상에 도포되는 경우,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포면을 형성하며, 이는 도로의 노면 상에 형성된 기존의 표식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추어 운전자 등의 육안으로 상기 기존의 표식부를 식별하기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료조성물이 도로의 노면 상에 또는 상기 제1도포면 상에 도포되는 경우, 상기 도로의 노면이나 상기 제1도포면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포면을 형성하며, 이는 상기 제1도포면에 가리워지는 표식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노면 상에 새로운 표식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제에는 제1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이드로퀴논이 0.1 내지 1중량부의 양으로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산화방지제 및 중합금지제로 작용하여 상기 제1제의 보관 및 유통 중의 물성변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이드로퀴논이 0.1중량부 미만으로 추가되는 경우, 상기한 저장안정성의 강화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도포조성물의 노면에의 도포에 의한 도포막의 형성이 늦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교통통제 등의 시간이 연장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제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는 바인더수지로서 기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조성물의 노면에의 도포에 의한 도포막의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제는 과산화물 55 내지 65중량% 및 잔량으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제의 상기 과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벤질퍼옥사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은 도막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제와 혼합되는 경우, 상기 제1제의 상기 바인더수지로서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간의 중합 및/또는 가교결합 등을 형성토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조성물의 노면에의 도포에 의한 도포막의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과산화물이 55중량% 미만이거나 또는 6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막질이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막질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제의 상기 과산화물과 상기 디옥틸프탈레이트의 혼합비는 본 발명자들의 반복되는 실험을 통하여 상기 제1제의 조성에 따른 최적의 도막형성을 위한 촉매시스템으로서 고안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촉매시스템으로서의 제2제는 결국 제2제가 촉매하는 제1제의 조성 및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며, 주로 제1제의 조성에 대한 반복되 는 실험을 통하여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임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제에 대한 상기 제2제의 혼합비는 상기 제1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제 1 내지 5중량부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제가 상기 제1제에 대한 촉매시스템으로 기능하며, 상기 제2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의 조성및 물성에 따라 이를 적절히 촉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제의 상기 제1제에 대한 사용량 역시 상기 제1제의 조성 및 물성에 따라 적의 구성된 제2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주로 촉매의 사용량이 부족하여 충분한 경화 내지 도막의 형성이 불가능하거나 형성되는 도막의 물성이 적절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과량의 촉매의 사용으로 인한 도막의 황변이나 물성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은, (1)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2)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3) 노면에 이미 표시되었으나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도포단계; (4)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제1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된 도포면이 그 위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도 두 도료조성물들의 색상이 혼화되거나 또는 도료조성물들 자체가 서로 혼 화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제1건조단계; 및 (5)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도포면 상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노면 표시를 위한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제2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는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도료조성물은 주로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라 제1제 및 제2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도료조성물에서 안료의 조절에 의해 도료조성물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제1도료조성물의 경우,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안료의 선택 및 배합에 따른 원하는 색상으로의 조절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도료조성물은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노면에 도포하는 경우, 기존의 표식부를 포함하여 노면 상에 도포되어 그 위에 제1도막을 형성함으로써 그 아래의 노면이나 기존의 표식부를 운전자 등의 육안으로부터 볼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아무런 표식부가 없는 노면으로 화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기존의 노면에 형성된 표식부를 없애고 새로운 표식부 즉 차선 등으로 형성코자 하는 경우, 화염에 의한 분해 및 산화를 통하여 제거하였으며, 이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면의 열화 등으로 쉽게 파손되도록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교통통제 등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않았음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표식부를 간단하게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운전자 등의 시각을 환기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료조성물이 도포될 노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은 역시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2)의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는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제2도료조성물은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져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제1도막 상에 제2도료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제2도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제1도막과는 구분되어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는 제2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운전자 등에게 지시할 표식부 등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3)의 제1도포단계는 노면에 이미 표시되었으나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기존의 표식부를 제거하고, 새로운 표식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4)의 제1건조단계는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제1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된 도포면이 그 위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도 두 도료조성물들의 색상이 혼화되거나 또는 도료조성물들 자체가 서로 혼화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건조단계는 자연방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가열, 열풍건조, 송풍건조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도료조성물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5)의 제2도포단계는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도포면 상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노면 표시를 위한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제2도막은 상기 제1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제1도막과는 다른 색상을 가져 운전자 등에 제공하고자 하는 차선이나 기타 제한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표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도포단계에서 상기 제1도포부가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를 포함하여 임의의 평면도형의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평면도형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또는 그 위에 형성되는 표식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표식부의 표식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일관된 정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상기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제1도포단계, 제1건조단계 및 제2도포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들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서 상기 제1도포부 이외의 노면에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제3도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도포단계 역시 운전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표식부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에 의해 표식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기존의 노면(11) 상에 기존에 형성된 기표식부(12)들이 형성되어 있다 는 것을 가정하고, 이러한 기표식부(12)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제거 및 새로운 표식을 원하는 기존표식부(12)들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도막으로 이루어지는 제1도포면(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도포면(21)은 기표식부(12) 상에 도포되므로 그에 의하여 상기 기표식부(12)가 제거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도포면(21)은 상기 노면(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상기 제1도포면(21)은 운전자 등의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없거나 손상된 기표식부(12)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포면(21) 상에는 제1신표식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신표식부(22)는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1도료조성물과는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1신표식부(22)는 기존의 표식부(12)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교통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노면(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이나, 상기 제1도료조성물과는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 또는 상기 제1도료조성물 및 제2도료조성물들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3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노면(11)의 일부를 도포하여 제2도포면(23)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더 이상의 도료조성물의 도포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기표식부(24)(남대문)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노면(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이나, 상기 제1도료조성물과는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 또는 상기 제1도료조성물 및 제2도료조성물들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3도료조성물을 사용하여 노면(11)의 일부를 도포하여 제3도포면(25)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기 제3도포면(25)과는 다른 색상을 갖는 도료조성물로의 도포를 수행하여 신표식부(26)를 더 형성하여 운전자 등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당연히, 직접 노면(11)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도료조성물이나 제3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식별번호 27과 같은 신표식부(27)를 형성하여 운전자 등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실리카 2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중량%, 안료로서 이산화티탄 4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69.5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0.5중량%를 혼합하여 제1제를 준비하고, 벤질퍼옥사이드 60중량%와 디옥틸프탈레이트 40중량%를 혼합하여 제2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제1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대조구로서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상용화된 도로 표지용 방식인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융착식 차선 도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융착식 도료(1액형 융착식 도료) 를 사용하였으며, 그 성분의 함량은 하이드로카본계 열가소성수지 30중량%, 이산화티탄 20중량%, 체질안료 45중량%, 첨가제 1중량% 및 가소제와 윤활제의 혼합물 4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열가소성수지는 85℃의 융점을 갖는 것이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료조성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의 경화물에 대한 특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건조성

부착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
유리비드
내후성 ×
경도
내충격성
유리전이온도
(열적변화)
상기 표 1에서 각 도료의 특성을 표시하는 평가항목은 다음을 의미한다.
건조성 평가에서 ◎는 5분 이내에 건조, ○는 10분 이내에 건조, △는 15분 이내에 건조 그리고 × 는 30분 이내에 건조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리전이온도에서 ◎는 150℃ 이상, ○는 100 내지 150℃, △는 50 내지 100℃ 그리고 × 는 50℃ 이하를 의미한다.
그리고 나머지 항목들에 있어서는 ◎는 매우 양호, ○는 양호, △는 보통 그리고 × 는 불량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각 특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건조성은 상온 건조성을 비교한 것으로서 각 도료를 용융시킨 후, 스프레이 도장을 하고 상온 건조성을 육안으로 확인한 것이다.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성은 소지의 상부에 도료조성물을 도장한 후, 소지 절단 박리 시험을 수행하여 얻고, 유리비드에 대한 부착성은 유리비드 표면에 도료조성물을 부착시켜 무게를 측정한 후, 타이어가 부착된 자동 롤러에 1시간 동안 충격을 가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무게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내후성은 자외선 황변도에 있어서 내후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색차 변화를 비교한 것이며, 경도는 바콜(Barcole)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내충격성은 임팩트 테스트기(Inpact tester)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이 대조구로서 사용된 종래의 상용화된 일액형의 도료조성물에 비해 대부분의 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료조성물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내마모성과 부착강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의 시험성적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마모성은 KS M 6080:2007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결과치로 51㎎을 수득하였으며, 내마모성의 기준이 200이하임에 비하여 볼 때, 현저하게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강도는 ASTM D4541:2002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결과치로 1.22MPa를 수득하였으며, 부착강도의 기준이 1.176 이상임에 비하여 볼 때, 우수한 부착강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시험성적서(시행기관 ; 한국 화학시험연구원)이다.

Claims (6)

  1. 제1제와 제2제의 2액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가 실리카 5 내지 3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10중량%, 안료 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바인더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제가 과산화물 55 내지 65중량% 및 잔량으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에 제1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이드로퀴논이 0.1 내지 1중량부의 양으로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의 상기 과산화물은 벤질퍼옥사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4. (1) 노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제1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2) 상기 제1도료조성물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제2도료조성물을 준비하는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3) 노면에 이미 표시되었으나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상기 제1도료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도포단계;
    (4) 상기 제1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제1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된 도포면이 그 위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도 두 도료조성물들의 색상이 혼화되거나 또는 도료조성물들 자체가 서로 혼화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제1건조단계; 및
    (5)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도포면 상에 상기 제2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노면 표시를 위한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제2도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포단계에서 상기 제1도포부가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도로표식의 전부를 포함하여 임의의 평면도형의 형상으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료조성물준비단계, 상기 제2도료조성물준비단계, 제1도포단계, 제1건조단계 및 제2도포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들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서 상기 제1도포부 이외의 노면에 표식부를 형성시키는 제3도포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1020080081704A 2008-08-21 2008-08-21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10098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04A KR100989039B1 (ko) 2008-08-21 2008-08-21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04A KR100989039B1 (ko) 2008-08-21 2008-08-21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09A KR20100023109A (ko) 2010-03-04
KR100989039B1 true KR100989039B1 (ko) 2010-10-20

Family

ID=4217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704A KR100989039B1 (ko) 2008-08-21 2008-08-21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76B1 (ko) * 2016-06-21 2017-01-03 정봉성 도로 미끄럼 방지제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골재살포형 미끄럼 방지제의 시공방법
KR102146688B1 (ko) 2019-08-27 2020-08-21 한국토지주택공사 스마트 차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423B1 (ko) * 2010-09-14 2011-02-15 중동건설(주) 상온경화형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1153864B1 (ko) * 2011-07-12 2012-06-18 대동안전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상온경화형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200488034Y1 (ko) * 2013-11-25 2018-12-05 박우웅 도로의 주행 차선(점선)의 역주행 방지용 노면표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871A (ko) * 2004-02-07 2005-08-1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2액 반응형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KR100682369B1 (ko) 2005-12-30 2007-02-15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열경화성 2액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20080028107A (ko) * 2006-09-26 2008-03-31 한국내쇼날주식회사 고광택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광택 코팅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871A (ko) * 2004-02-07 2005-08-1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2액 반응형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KR100682369B1 (ko) 2005-12-30 2007-02-15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열경화성 2액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20080028107A (ko) * 2006-09-26 2008-03-31 한국내쇼날주식회사 고광택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광택 코팅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76B1 (ko) * 2016-06-21 2017-01-03 정봉성 도로 미끄럼 방지제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골재살포형 미끄럼 방지제의 시공방법
KR102146688B1 (ko) 2019-08-27 2020-08-21 한국토지주택공사 스마트 차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09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039B1 (ko) 도로 차선 제거, 표시를 위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CA2781855C (en)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and method utilizing large aggregate for improved long term skid resistance and reduced tire tracking
KR101335196B1 (ko) 도로 표지용 이액형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A2960163C (en) High content polyamide hot-applied thermoplastic composition
US9951486B2 (en) Durable debris and alkaline resistant preformed thermoplastic runway pavement marking compositions
US20160230018A1 (en) Composition, marking and kit of parts for forming a marking, such as a road marking
KR100906436B1 (ko) 스프레이형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한도료표지용 도료
KR101472358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도료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13074B1 (ko) 유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2091216B1 (ko)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1042349A1 (en) A reflective road marking and a method of producing and applying a reflective road marking composition
CA2988899C (en) Durable debris and alkaline resistant preformed thermoplastic runway pavement marking compositions
KR20120043351A (ko) 도로표지용 우천형 축광 반사 비드의 제조방법
KR101923028B1 (ko) 용융형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96358B1 (ko) 우천시 시인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돌출차선 도료 조성물
CN109054471B (zh) 涂料组合物、其制备方法及施工方法
KR101636866B1 (ko) 고무계열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용융형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773B1 (ko) 차선 도색 성능 향상을 위한 속경화 수용성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노면 시공방법
FI107617B (fi) Tiemerkintämateriaali
JP2019157112A (ja) 溶融型道路用塗料
KR20210144068A (ko) Uv led 경화성 코팅 조성물, 도로용 차선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5772353A (zh) 反光涂料组合物、其制备方法及形成反光标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