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002B1 -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 Google Patents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002B1
KR100988002B1 KR1020080074127A KR20080074127A KR100988002B1 KR 100988002 B1 KR100988002 B1 KR 100988002B1 KR 1020080074127 A KR1020080074127 A KR 1020080074127A KR 20080074127 A KR20080074127 A KR 20080074127A KR 100988002 B1 KR100988002 B1 KR 10098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container body
contain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623A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102008007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0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2); 상기 용기본체(2)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전방이 축 회전 개방되는 커버(4); 및 상기 용기본체(2)의 저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바퀴(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배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용기본체(2)의 배면에서 저면을 거쳐 전면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 전단부와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10)를 잡아당겨 커버(4)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커버(4)의 자중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커버(4)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20); 및 상기 발판(20)의 저면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2)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축회전대(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거운 커버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처리가 신속하고 수월하게 되도록 하며, 또한, 쓰레기차 등의 장비를 통해 커버를 개방시킬 경우에도 와이어에 의한 방해 요인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장비 적용에 따른 호환성도 뛰어나게 되는 동시에 수거용기의 배면 미관에도 손상을 끼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축회전대, 와이어, 연결부재, 발판

Description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Wastes collection bin for automatic loading cars}
본 발명은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을 이용하여 용기본체의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투입시 무거운 커버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처리가 신속하고 수월하게 되도록 하며, 또한, 유연한 성질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커버를 잡아당길시 후방으로 벌어졌다가 커버 밀폐시에는 와이어가 용기본체의 배면에 밀접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차 등의 장비를 통해 차량에 적치 작업 공정에 따라 용기가 뒤집어지면서 커버가 개방될 경우에도 와이어에 의한 방해 요인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장비 적용에 따른 호환성도 뛰어나게 되는 동시에 수거용기의 배면 미관에도 손상을 끼치지 않게 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라 함은 대표적으로 공공장소에 보관된 일반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를 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1100L, 660L 및 120L 등의 구조를 갖는 수거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아파트 등이나 동내 지역 등에서 여러 가구가 공동으로 쓰레기를 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용기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는 대부분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단부로 커버가 덮어씌워지고, 이 커버의 선단부를 축 회전 개폐시켜 사용자가 용기본체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는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만큼 초대형 대용량 구조가 대부분이어서 가정주부들이 한손에 쓰레기봉투를 든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용기본체의 커버를 개폐시키기란 여간 어렵지 않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더욱더 커버를 개폐시키는 게 힘들게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커버 개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페달을 이용하여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페달을 이용한 개폐방식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철심대 등을 용기본체의 후방에 배치시킨 후 이 철심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면서 커버를 개폐시킬 수는 있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조립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용기배면의 미관도 해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쓰레기차 등의 장비를 통해 커버를 개방시킬 경우에 딱딱한 구조의 철심대가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장비를 통한 커버 개폐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발판을 이용하여 용기본체의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커버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처리가 신속하고 수월하게 되도록 하며, 또한, 유연한 성질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커버를 잡아당길시 후방으로 벌어졌다가 커버 밀폐시에는 와이어가 용기본체의 배면에 밀접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차 등의 장비 를 통해 커버를 개방시킬 경우에도 와이어에 의한 방해 요인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장비 적용에 따른 호환성도 뛰어나게 되는 동시에 수거용기의 배면 미관에도 손상을 끼치지 않게 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전방이 축 회전 개방되는 커버; 및 상기 용기본체의 저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배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용기본체의 배면에서 저면을 거쳐 전면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 전단부와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를 잡아당겨 커버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커버의 자중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커버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저면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축회전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저면에 상기 축회전대의 후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 지지하는 축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대의 저면에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지지하여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에 와이어의 선단부가 일정높이 상승한 후 다시 하방의 발판으로 연장되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발판 사이에 그 상단부가 와이어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발판과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선단부에 걸림추가 더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상단부로 와이어가 관통하여 그 저면 테두리에 걸림추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공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배면 하단에 와이어를 덮어씌워 이 와이어가 용기본체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로 관통 승강될 수 있도록 상,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는 발판을 이용하여 용기본체의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커버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처리가 신속하고 수월하게 되도록 하며, 또한, 유연한 성질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커버를 잡아당길시 후방으로 벌어졌다가 커버 밀폐시에는 와이어가 용기본체의 배면에 밀접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차 등의 장비를 통해 커버를 개방시킬 경우에도 와이어에 의한 방해 요인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장비 적용에 따른 호환성도 뛰어나게 되는 동시에 수거용기의 배면 미관에도 손상을 끼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2)와, 이 용기본체(2)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전방이 축 회전 개방되는 커버(4) 및 상기 용기본체(2)의 저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바퀴(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4)의 배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용기본체(2)의 배면에서 저면을 거쳐 전면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0)와, 이 와이어(10) 전단부와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10)를 잡아당겨 커버(4)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커버(4)의 자중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커버(4)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20) 및 이 발판(20)의 저면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2)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축회전대(30)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0)는 강도는 강하면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성질을 두루 갖춘 철재 와이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발판(20)은 사용자가 수월하고 간편하게 발로 가압할 수 있도록 측방으로 넓게 연장된 판재가 적용된다.
상기 축회전대(30)는 한 쌍의 막대 형상으로, 각 선단부가 발판(20)의 저면 에 결합되어 일정높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상방으로 직각 절곡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2)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축지지대(32)와 힌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대(32)는 용기본체(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회전대(30)의 후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지지대(32)의 저면에는 와이어(10)가 관통되도록 지지하여 와이어(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터널 형상의 처짐방지부(32a)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의 전면에는 와이어(10)의 선단부가 일정높이 상승한 후 다시 하방의 발판(20)으로 연장되도록 와이어(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브래킷 형상의 높이조절부재(4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재(40)를 통해 와이어(10)가 관통 경유될 수 있도록 이 높이조절부재(40)에 와이어경유공(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40)와 발판(20) 사이에는 그 상단부가 와이어(10)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발판(20)과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10)의 선단부에 걸림추(12)가 더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연결부재(50)의 상단부로 와이어(10)가 관통하여 그 저면 테두리에 걸림추(12)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공(51)이 더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의 배면 하단에 와이어(10)를 덮어씌워 이 와이어(10)가 용기본체(2)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로 관통 승강될 수 있도록 상,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61,62)가 더 구비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70은 와이어(10)를 덮어씌우는 튜브를 나타낸 것이고, 80은 와이어(10)의 후단부를 커버(4)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80)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0)의 후단부와 고정부재(80) 간의 연결 작업은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10)의 후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하여 고정부재(80)의 고리(81)와 나란히 배치시킨 후 별도의 체결구(볼트/너트) 등을 통해 서로 연결시키도록 하였으나 이 밖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와이어(10)를 고정부재(80)에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는 사용자가 발판(20)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축지지대(32)를 기준으로 축회전대(30) 선단부가 하방으로 축회전되고, 계속해서 발판(20)과 일체형으로 하강하는 연결부재(50)가 와이어(10)의 선단 걸림추(12)를 잡아당기게 되며 이와 동시에 와이어(10) 후단부가 커버(4)를 잡아당겨 결과적으로 커버(4)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4)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면 이와 함께 와이어(10)도 후방으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개방된 용기본체(2)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나 서 다시 발판(20)으로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커버(4)의 자중에 의해 커버(4)가 닫히게 되는 동시에 와이어(10)의 후단부도 잡아당겨지게 되어서 최종적으로 와이어(10)의 선단부를 잡아당겨 발판(20)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의 커버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용기본체 4 : 커버
6 : 바퀴 10 : 와이어
12 : 걸림추 20 : 발판
30 : 축회전대 32 : 축지지대
32a : 처짐방지부 40 : 높이조절부재
41 : 와이어경유공 50 : 연결부재
61, 62 : 지지부재 70 : 튜브
80 : 고정부재 81 : 고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내부가 비어 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2);
    상기 용기본체(2)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전방이 축 회전 개방되는 커버(4); 및
    상기 용기본체(2)의 저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바퀴(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배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용기본체(2)의 배면에서 저면을 거쳐 전면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 전단부와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10)를 잡아당겨 커버(4)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커버(4)의 자중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커버(4)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의 저면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2)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축회전대(30);
    상기 용기본체(2)의 저면에 상기 축회전대(30)의 후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 지지하는 축지지대(32); 및
    상기 축지지대(32)의 저면에 와이어(10)가 관통되도록 지지하여 와이어(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32a);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4. 내부가 비어 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2);
    상기 용기본체(2)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전방이 축 회전 개방되는 커버(4); 및
    상기 용기본체(2)의 저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바퀴(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배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용기본체(2)의 배면에서 저면을 거쳐 전면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 전단부와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10)를 잡아당겨 커버(4)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커버(4)의 자중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커버(4)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의 저면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2)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축회전대(30); 및
    상기 용기본체(2)의 전면에 와이어(10)의 선단부가 일정높이 상승한 후 다시 하방의 발판(20)으로 연장되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40)와 발판(20) 사이에 그 상단부가 와이어(10)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발판(20)과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의 선단부에 걸림추(12)가 더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연결부재(50)의 상단부로 와이어(10)가 관통하여 그 저면 테두리에 걸림추(12)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공(5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 기.
  7. 내부가 비어 있고 상방이 개방된 용기본체(2);
    상기 용기본체(2)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전방이 축 회전 개방되는 커버(4); 및
    상기 용기본체(2)의 저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바퀴(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배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그 전단부가 용기본체(2)의 배면에서 저면을 거쳐 전면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0);
    상기 와이어(10) 전단부와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10)를 잡아당겨 커버(4)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커버(4)의 자중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커버(4)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의 저면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용기본체(2)의 저면에 힌지 연결되는 축회전대(30); 및
    상기 용기본체(2)의 배면 하단에 와이어(10)를 덮어씌워 이 와이어(10)가 용기본체(2)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로 관통 승강될 수 있도록 상,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61,62);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KR1020080074127A 2008-07-29 2008-07-29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KR10098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27A KR100988002B1 (ko) 2008-07-29 2008-07-29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27A KR100988002B1 (ko) 2008-07-29 2008-07-29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23A KR20100012623A (ko) 2010-02-08
KR100988002B1 true KR100988002B1 (ko) 2010-10-18

Family

ID=4208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127A KR100988002B1 (ko) 2008-07-29 2008-07-29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9877B (zh) * 2019-11-11 2021-12-17 舒适 一种用于数控机床的废料收集倾倒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02U (ja) * 1982-10-28 1994-04-05 コムパニー プラスティック オムニオム 集収運搬車の蓋開放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02U (ja) * 1982-10-28 1994-04-05 コムパニー プラスティック オムニオム 集収運搬車の蓋開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23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557B2 (en) Animal resistant trash container lid and trash container system
US7070064B1 (en) Hands-free trash barrel lid opener
US20070289967A1 (en) Bin Compactor
US20090250463A1 (en) Adjustable trash bin lid controller
US8584582B2 (en) Lid construction for compressing content of a container
AU2007100057A4 (en) A waste bin
US8944742B2 (en) Means for moving trash receptacles
US3064931A (en) Refuse container rack with lid lifting and retaining means
KR20170004921A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US20030183633A1 (en) Container lid lifting device
KR100988002B1 (ko) 자동상차용 쓰레기 수거용기
US11884484B2 (en) Bin aid
KR100769081B1 (ko) 쓰레기통 뚜껑 개폐장치
US20170217677A1 (en) System for securing a refuse container
US20030146230A1 (en) Refuse container lid
US8720862B2 (en) Trash can lifting device with lever
CN109051447A (zh) 一种垃圾桶
AU724340B3 (en) Rubbish bin apparatus
US10858182B2 (en) Automatic locking trashcan system and method
KR101710260B1 (ko) 착탈식 음식물 쓰레기통 개폐장치
AU2019302569B2 (en) Bin aid
AU2016102416A4 (en) Limiting device for containers with hinged lids
KR200335112Y1 (ko) 주방용 쓰레기통
CN2603050Y (zh) 新型环保自卸垃圾箱
AU741739B2 (en) Bin lid op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