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453B1 -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453B1
KR100987453B1 KR1020070033822A KR20070033822A KR100987453B1 KR 100987453 B1 KR100987453 B1 KR 100987453B1 KR 1020070033822 A KR1020070033822 A KR 1020070033822A KR 20070033822 A KR20070033822 A KR 20070033822A KR 100987453 B1 KR100987453 B1 KR 100987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or
power generation
generation system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690A (ko
Inventor
조은준
하심복
장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4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8Controlling the sharing of the in-phase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시스템이 출력 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발전효율 감소를 방지하고, 운전 시 항상 높은 효율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발전시스템이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여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출력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을 수행함으로써, 전력생산의 경제성이 증가하며,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발전, 정격출력, 저부하

Description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the controlling method of electricity generat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한 대의 발전기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한 대의 발전기가 구비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다수의 발전기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다수의 발전기가 구비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압축기 6 : 사방밸브
7 : 실내 열교환기 8 : 팽창밸브
9 : 실외 열교환기 10 : 엔진
12 : 발전기 20 : 열 회수장치
22 : 배기가스 열교환기 23 : 제1 열공급라인
24 : 냉각수 열교환기 25 : 제2 열공급라인
30 : 열수요처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시스템이 출력 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발전효율 감소를 방지하고, 운전 시, 항상 높은 효율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시스템은 엔진, 연료전지, 터빈 등과 같은 구동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특히, 발전시스템 가운데, 열병합 발전시스템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Cogeneration system)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하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열병합 발전시스템은 가스 엔진 또는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을 하면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열 또는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함으로써, 종합열효율을 70~80%까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열병합 발전시스템은 최근에 건축물의 전력, 열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회수된 폐열을 냉난방, 급탕 등에 많이 활용하고 있는 고효율의 에너지 이용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의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전시스템은 온수를 공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부하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면, 초과분량만 발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계약전력이라 함은 전력공급자와 수요자간에 사용 한도를 계약으로 정해 놓은 전력의 상한치를 말하며, 이를 넘어서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 누진요금이 적용된다. 따라서, 부하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발전시스템에서 초과분 만큼의 전력이 생산되어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에서 부하값과 계약전력을 비교하여 부하값이 작은 경우에는 발전시스템이 전력을 생산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어부에서 부하값과 계약전력을 비교하여 부하값이 큰 경우에는 발전시스템에서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 즉, 초과분량만큼의 전력이 생산되어 공급된다.
그런데, 초과분량이 작아 발전시스템이 정격운전보다 작은 상태로 발전을 수행할 경우, 작은 발전량을 위하여 엔진이 구동되므로,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전체 발전시스템이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게 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운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전시스템이 출력 가능한 최대의 출력을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어방법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시스템이 출력 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발전효율 감소를 방지하고, 운전 시 항상 높은 효율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대의 발전기를 운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과 일정 상수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값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보다 큰 경우, 부하와 정격출력 중 작은 값으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며,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발전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두 대 이상의 발전기를 운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을 일정 상수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값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정지예정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보다 큰 경우, 부하에서 정지예정 발전기 외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 또는, 정격출력 중 작은 값으로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며,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 가 정지되면, 가장 최근에 가동된 발전기를 새로운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한다.
여기서,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과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 정격출력의 합을 비교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이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 정격출력의 합보다 큰 경우, 가동되지 않은 발전기 한 대를 새로 가동하고, 상기 새로 가동된 발전기를 새로운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하며, 기존의 정지예정 발전기는 정격출력으로 발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한 대의 발전기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한 대의 발전기가 구비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한 대의 발전기를 운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과 일정 상수값을 비교하는 단계(S100) 및, 상기 값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발전기(12)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단계(S110, S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은 한 대의 발전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전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2)와, 상기 발전기(12)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열이 발생되는 엔진(10)등의 구동원(이하, '엔진'이라 칭함)과, 상기 엔진(10)에서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장치(20)와, 상기 폐열 회수장치(20)의 폐열이 이용되는 축열조 등의 열 수요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구동원인 엔진(10)은 가스엔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외에 가스터빈, 증기터빈이나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의 복합방식 등 다양한 구동원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에너지원으로는 화력, 수력, 지열, 태양열, 기타 연료전지 등 여하한 종류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전기(12)에서 생산된 전력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각종 조명기구나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4) 등의 전기기기로 공급된다.
상기 발전기(12)와 엔진(10)은 상기 열수요처(30)와 별도로 이루어진 엔진룸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4)는 압축기(5)와 사방밸브(6)와 실내 열교환기(7)와 팽창밸브(8)와 실외 열교환기(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4)는 냉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5)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6)와 실외 열교환기(9)와 팽창밸브(8)와 실내 열교환기(7)와 사방밸브(6)를 차례로 경유하여 상기 압축기(5)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 환기(9)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7)가 증발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된다.
반면에, 난방 운전시에는 상기 압축기(5)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6), 실내 열교환기(7), 실외 열교환기(9) 측에 설치된 팽창밸브(미도시), 실외 열교환기(9), 사방밸브(6)를 차례로 경유하여 상기 압축기(5)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9)가 증발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7)가 응축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폐열 회수장치(20)는 상기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22)와, 상기 엔진(10)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회수하는 냉각수 열교환기(24)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22)는 제1 열공급라인(23)에 의해 상기 열수요처(30)와 연결되며, 상기 엔진(10)의 배기가스로부터 회수된 폐열은 상기 제1 열공급라인(23)을 통해 상기 열수요처(30)로 전달된다.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24)는 제2 열공급라인(25)에 의해 상기 열수요처(30)와 연결되며, 상기 엔진(10)을 냉각시킨 냉각수로부터 회수된 폐열은 상기 제2 열공급라인(24)를 통해 상기 열수요처(30)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과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미도시)는, 현재 상태에서의 부하와 미리 정해진 계약전력을 비교한다. 즉,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과 일정 상수값(b)을 비교한다(S100).
여기서, 일정 상수값(b)은 부하를 측정하는 측정기(미도시)의 오차를 고려한 상수값(b)으로 계약전력보다 높게 운전했을 경우, 발생되는 부가전력요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입된 값이다. 즉, 일종의 여유값으로서, 일반적으로는 0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값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발전기(12)의 발전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이 일정 상수값(b)보다 크다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가 걸려 있다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발전시스템을 가동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출력을 부하와 정격출력, 즉, 정격발전출력 중 작은 값이 되도록 제어한다(S110).
여기서, 정격출력이라 함은 정격운전 중 발전출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발전시스템이 정격운전 시 가장 발전효율이 높으면서도, 계속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만일, 부하가 정격출력보다 작다면, 상기 발전시스템은 부하만큼 출력하도록 제어되는데, 이 경우, 상용전력은 사용되지 않고, 발전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전력만이 사용된다.
또한, 부하가 정격출력보다 크면, 상기 발전시스템은 정격출력으로 운전되는데, 이 경우, 정격출력을 초과하는 나머지 부분은 상용전력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제어방법은, 특히, 상용전력의 전기료가 비쌀수록, 가스값이 쌀수 록, 그리고, 발전시스템의 정격발전효율이 높을수록 더욱 유리해진다.
한편,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b)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계약전력을 넘어서 추가적으로 요청되는 전기 수요가 없다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12)를 정지하여 발전을 중지한다(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발전시스템이 상기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정격출력 내지 필요한 부하만큼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전시스템이 저부하 운전을 할 필요가 없고, 출력 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발전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두 대 이상의 발전기를 운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다수의 발전기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다수의 발전기가 구비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두 대 이상의 발전기(12a, 12b,..., 12n)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을 일정 상수값(b)과 비교하는 단계(S230) 및, 상기 값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정지예정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 대 이상의 발전기(12)가 구비된 발전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n 개만큼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물론, 엔진(10a, 10b,..., 10n)과 발전기(12a, 12b,..., 12n : 이하 12로 통칭)만이 다수 개 구비되고, 열 회수장치(20a, 20b,..., 20n), 열 수요처(30a, 30b,... 30n) 등은 하나씩 구비되어 공통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도 필요한 공조공간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발전기(12)가 구비된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먼저, 상기 제어부가 부하에서 계약전력을 뺀 값과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12) 정격출력의 합을 비교한다(S200).
만일,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가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12) 정격출력의 합보다 크다면, 추가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한 상태이므로, 계약전력을 넘어서는 전력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아직 가동되지 않은 발전기(12) 한 대를 가동시킨다(S210).
이 경우, 새로 가동된 발전기는 새로운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존의 정지예정 발전기가 정격출력으로 발전하도록 제어한다(S220).
여기서,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는 다수의 발전기 중 특정 발전기(12)가 일정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에 선정되는 것으로, 발전시스템의 제어과정에서 계속해서 변화하는 값이다.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된 발전기(12)는 발전기(12)를 정지하도록 요청이 있는 경우, 우선적으로 정지 대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는 정격출력으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존 정지예정 발전기는 정지예정 발전기에서 벗어나면서 정격출력으로 발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장 최근에 가동된 발전기(12)가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거나,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가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 정격출력의 합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음 판단단계로 넘어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을 일정 상수값(b)과 비교한다(S230). 상기 상수값(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하를 측정하는 측정기(미도시)의 오차를 고려한 상수값(b)으로 계약전력보다 높게 운전했을 경우, 발생되는 부가전력요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입된 값이며, 일반적으로는 0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b)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부하에서 정지예정 발전기 외 다른 발전기(12)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 또는, 정격출력 중 작은 값으로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한다(S240).
즉, 정격출력이 부하에서 정지예정 발전기 외 다른 발전기(12)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보다 작으면, 정지예정 발전기는 정격출력으로 발전하도록 제어되고, 부하에서 정지예정 발전기 외 다른 발전기(12)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더 작으면, 그 값으로 발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부하에서 계약전력과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12)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상기 상수값보다 작은 경우, 초과되는 전력수요가 없다는 것 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를 정지하며, 가장 최근에 가동된 발전기(12)가 새로운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된다(S250).
이와 같이, 다수의 발전기(12)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함으로써, 정지예정 발전기 이외의 다른 발전기(12)들은 정격출력으로 발전을 수행하게 되며, 새로운 발전기(12) 가동요구가 있거나, 기존에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기(12)가 정지되는 상황에서도, 최대한 많은 발전기(12)가 정격출력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발전시스템 전체적으로 볼 때, 발전기가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유지되므로, 발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전시스템이 저부하 운전을 수행하여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발전시스템이 출력가능한 최대의 출력으로 발전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생산의 경제성이 증가하고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한 대의 발전기를 운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와 부하전력 측정기의 오차상수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의 결과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가 상기 부하전력 측정기의 오차상수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단계는
    부하와 정격출력 중 작은 값으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가 상기 부하전력 측정기의 오차상수 보다 같거나 작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발전기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와 상기 제어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5. 삭제
  6. 두 대 이상의 발전기를 운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와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을 부하전력 측정기의 오차상수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값들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정지예정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와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상기 부하전력 측정기의 오차상수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단계는
    부하전력에서 정지예정 발전기 외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 또는 정격출력 중 작은 값으로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의 발전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에서 정지예정 발전기 외의 다른 발전기들의 발전출력의 합을 뺀 값이 상기 부하전력 측정기의 오차상수 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가 정지되면, 정지된 상기 정지예정 발전기를 제외한 가동중인 발전기 중 가장 최근에 가동된 발전기를 새로운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와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 정격출력의 합의 크기를 비교하는 추가적인 비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비교단계의 결과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부하전력의 크기가 운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 정격출력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단계는
    가동되지 않은 발전기 한 대를 추가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으로 가동된 발전기를 새로운 정지예정 발전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기존의 정지예정 발전기는 정격출력으로 발전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33822A 2007-04-05 2007-04-05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987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22A KR100987453B1 (ko) 2007-04-05 2007-04-05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22A KR100987453B1 (ko) 2007-04-05 2007-04-05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90A KR20080090690A (ko) 2008-10-09
KR100987453B1 true KR100987453B1 (ko) 2010-10-13

Family

ID=4015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822A KR100987453B1 (ko) 2007-04-05 2007-04-05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4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290A (ja) * 1995-04-28 1996-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連系インバータ装置
KR19980082297A (ko) * 1997-05-02 1998-12-05 이해규 서로 다른 전원공급원들을 연계운전하는 전력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255374Y1 (ko) * 2001-08-08 2001-12-13 김은기 계약전력 자동제어시스템
KR20060065881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제어가 가능한 발전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290A (ja) * 1995-04-28 1996-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連系インバータ装置
KR19980082297A (ko) * 1997-05-02 1998-12-05 이해규 서로 다른 전원공급원들을 연계운전하는 전력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255374Y1 (ko) * 2001-08-08 2001-12-13 김은기 계약전력 자동제어시스템
KR20060065881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제어가 가능한 발전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90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5512B (zh) 空调-发电系统和空调-发电系统的控制方法
Fong et al. Investigation on zero grid-electricity design strategies of solid oxide fuel cell trigener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in hot and humid climate
JP5016894B2 (ja) 空調・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U2013273381B2 (en) Method of regulating a plant comprising cogenerating installations and thermodynamic systems intended for air conditioning and/or heating
Li et al. A feasible system integrating combined heating and power system with ground-source heat pump
CN108418251A (zh) 一种园区级综合能源供能系统
CN103775211A (zh) 一种主动调控型燃气轮机分布式冷热电联供系统
JP2011217590A (ja) 空調システム
US20080036211A1 (en) Cogeneration system
KR101960572B1 (ko) 삼중발전 시스템
Luo et al. Control optimization of combined cooling and power system with prime mover of solid oxide fuel cell-gas turbine for building application
KR20190080177A (ko) 가스에너지 기반 전기차 충전소 및 전기차 충전소의 운영 방법
CN109944650B (zh) 一种含超临界压缩空气储能的冷热电联产系统及方法
KR100462834B1 (ko) 코제네레이션 지에치피(ghp)를 이용한전기·냉난방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100987453B1 (ko) 발전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90080176A (ko) 삼중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cng 충전소 및 cng 충전소의 운영 방법
JP7391788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6733964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0814104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624735B1 (ko) 열병합 발전시스템
JP2014043954A (ja) 冷温水供給システムにおける熱源機運転制御方法
CN208445292U (zh) 一种园区级综合能源供能装置
KR101819177B1 (ko) 전기구동식 히트펌프전용 전원공급장치
JP2011012848A (ja)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を用いた系統連系システム
JP4371868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24

Effective date: 2010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