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86B1 -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86B1
KR100987186B1 KR1020080098376A KR20080098376A KR100987186B1 KR 100987186 B1 KR100987186 B1 KR 100987186B1 KR 1020080098376 A KR1020080098376 A KR 1020080098376A KR 20080098376 A KR20080098376 A KR 20080098376A KR 100987186 B1 KR100987186 B1 KR 10098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orthodontic
force
teeth
sli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141A (ko
Inventor
김희진
박종태
허경석
정재호
이재기
조장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9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6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using magnetic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장치는 교정을 위한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진 제 1,2교정부재들과, 상기 제 1,2교정부재에 설치되어 제1,2교정부재에 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치아의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력제공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치아의 확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치아, 교정, 확장, 자력, 교정력

Description

치아 교정장치{Dentition 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정을 위한 치아에 외력을 가하여 대응되는 치아들의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 또는 성형목적이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인한 치열의 교정은 교정을 위한 치아에 누름력, 당김력, 비틈력, 내측에서 외측으로 미는 확장력(이하 이 명세서에서 교정력으로 약칭함)등을 가하여 개개의 치아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치열 또는 치아의 교정을 위한 장치는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4-0110368호에는 치열교정용 확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치열 교정용 확장장치는 웜과 웜휠을 이용하여 치아를 외측으로 밀어 내측으로 기우러진 치아를 교정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확장장치는 웜과 웜휠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치아에 외력을 가하게 되므로 가하여지는 외력을 완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6-099554호에는 치아 교정구와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교정구는 탄발력을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일방향으로 탄발되도록 삽입되는 내실을 가진 실린더, 상기 내실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내실을 차단하고 삽입된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이동되는 프레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치아 교정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그 교정력이 한정되므로 교정정도에 따라 교정력을 가변시킬 수 없으며, 교정력을 완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열 교정 배열기들이 미국특허 5,186,623; 5,059,118; 5,055,039; 5,035,613; 4,856,991; 4,798,534; 및 4,75513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5,011,405호에는 치아를 디지털적으로 영상화하고 치과 기구용 최적의 브라켓 배열을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치아 윤곽의 디지털 컴퓨터 조작이 미국특허 5,607,305호 및 5,587,912호에 개시되어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턱의 디지털 영상화하여 교정하는 기술적 구성이 미국특허5,342,202호 및 5,340,3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교정을 위한 치아에 가하여지는 교정력을 탄력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으며, 교정력의 가변이 용이한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력을 이용하여 교정력을 제공함으로써 치아에 무리한 외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장치는 교정을 위한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진 제 1,2교정부재들과;
상기 제 1,2교정부재에 설치되어 제1,2교정부재에 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치아의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력제공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정력 제공수단은 양측에 연결부를 가이드 하는 제 1, 2가이드 홈이 마련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가이드 홈과 연통되는 가이드부를 가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가이드 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슬라이더와, 상기 제 2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슬라이더와, 상기 제 1,2슬라이더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2슬라이더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제 1,2자석을 구비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 1,2슬라이더를 서브 프레임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를 구비한다.
대안으로 상기 교정력 제공수단은 제1,2교정부재의 연결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 1,2지지부재와, 상기 제 1,2지지부재들에 설치되는 제 1,2이송부재들과, 상기 제1,2이송부재의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 1,2지지부재들이 벌어지도록 제 1,2이송부재와 제 1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 1링크들과, 상기 제 1,2이송부재와 제 2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 2링크들과, 상기 제 1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제 1자석과, 상기 제 2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제 2자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치아 교정장치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설치된 치아들 사이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교정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교정력의 조정이 용이하고, 교정을 위한 치아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자력을 이용하여 교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장치(10)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100)의 치아들에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1,2교정부재(11)(12)들과, 상기 제 1,2교정부재(11)(12)에 설치되어 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한 치아의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력제공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2교정부재(11)(12)는 각각 상기 교정을 위한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11a)(12a)와, 이 고정부(11a)(12a)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11b)(12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교정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교정을 위한 치아들에 설치되는 고정부들과 연결된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여 복수개의 고정부에 동시에 교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교정력 제공수단(20)은 양측에 연결부(11a)(12a)를 각각 가이드 하는 제 1, 2가이드 홈(21)(22)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23)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23)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가이드 홈(21)(22)와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24)를 가진 서브 프레임(25)을 구비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25)은 가이드 프레임(23)에 의해 지지되는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상기 서브 프레임(25)이 반드시 가이드 프레임(23)에 의해 지지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제 서브프레임(2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가이드 프레임(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25)의 가이드부(24)에는 제1,2슬라이더(26)(2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 1,2슬라이더(26)(27)는 제 1,2교정부재(11)(12)의 연결부(11a)(12a)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1,2슬라이더(26)(27)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반발력 또는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1,2자석(28)(29)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자석(28)(29)은 상호 같은 극이 대향되도록 하여 제1,2슬라이더(26)(27)에 반발력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정력은 상술한 실시예에 이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2슬라이더의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25)과 제 1,2슬라이더(26)(27)에는 서브 프레임(25)에 대해 제 1,2슬라이더(26)(27)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30)를 더 구비한다. 이 위치고정부(30)는 서브프레임(25)에 가이드부(24)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슬롯(31)이 형성되고, 이 슬롯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슬라이더(26)(27)의 외주면에는 선택된 상기 걸림홈(32)의 하나에 결합되는 제 1,2걸림핸들(33)(34)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치아 교정장치는 제 1,2교정부재(11)(12)의 각 고정부(11a)(12a)를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200)에 삽입하고 각 연결부(11a)(12a) 상호 대향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2슬라이더(26)(27)의 제 1,2걸림핸들(33)(34)를 걸림홈(32)(3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슬라이더(26)(27)에 형성된 지지홈(26a)(27a)과 제 1,2가이드홈(21)(22)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11a)(12a)를 제1,2슬라이더(26)(27)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의 제1,2걸림핸들(33)(34)을 걸림홈(32)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1,2슬라이더(26)가 가이드부(24)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제1,2자석(28)(29)에 의해 반발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 1,2교정부재(11)(12)를 외측으로 밀어 치아에 교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를 교정하는 것은 제1,2자력(28)(29) 사이에 작용하는 반발력에 의해 작용하게 되므로 교정을 위한 치아에 무리하게 힘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_ 본 발명의 교정력 제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교정력 제공수단(40)은 제1,2교정부재(11)(12)의 연결부(11a)(12a)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 1,2지지부재(41)(42)와, 상기 제 1,2지지부재(41)(42)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 1,2이송부재(43)(44)들과, 상기 제1,2이송부재(43)(44)가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 1,2지지부재(41)(42)들이 벌어지도록 제 1,2이송부재(43)(44)와 제 1지지부재(41)를 각각 힌지연결하는 제 1링크(45)들과, 상기 제 1,2이송부재와 제 2지지부재(42)를 각각 힌지 연결하는 제 2링크(46)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이송부재(43)(44)에는 이들을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송시키기 위해 제 1,2자석(51)(5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이송부재(43)에는 상기 제1자석(51)이 지지되는 제 1고정링(53)이 설치된다. 상기 제 1자석(51)은 제1고정링(53)에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자석은 상기 제 1고정링(53)에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이 고정수단은 제1자석의 외주면과 제1고정링(53)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 1,2자석(51)(5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 1고정링(53)을 관통하여 제1자석을 지지하는 세트스크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자석(52)은 제 2이송부재(44)에 형성된 제 2고정링(54)에 고정 설치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치아 교정장치(40)는 제 1,2교정부재(11)(12)의 고정부(11a)(12a)를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200)에 삽입하고 각 연결부(11b)(12b) 상호 대향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이송부재(43)의 제1고정링(53)으로부터 제 1자석(51)을 분리한 후 상기 제 1,2지지부재(41)(42)에 제1,2교정부재(11)(12)의 연결부(11b)(12b)를 각각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고정링(53)에 제 1자석(51)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면,상기 제 1,2자석(51)(52)의 사이에 상호 견인력이 작용하여 제1,2이송부재를 상호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지지부재(41)(42)는 상호 멀어 지게 되며, 나아가서는 제 1,2교정부재(11)(12)에 교정을 위한 외력을 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교정을 위한 치아를 상호 외측으로 밀어 치아들의 간격을 확장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상호 대향되는 치아를 밀거나 당겨 치아들의 사이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치아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가 하악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치아 교정장치가 하악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치아 교정장치가 하악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Claims (4)

  1. 교정을 위한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진 제 1,2교정부재들과, 상기 제 1,2교정부재에 설치되어 제1,2교정부재에 자력또는 탄성력에 의해 치아의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력제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교정력 제공수단은 양측에 연결부를 가이드 하는 제 1, 2가이드홈이 마련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가이드 홈과 연통되는 가이드부를 가진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슬라이더와, 상기 제 2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슬라이더와, 상기 제 1,2슬라이더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2슬라이더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제 1,2자석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 1,2슬라이더를 서브 프레임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4. 교정을 위한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진 제 1,2교정부재들과, 상기 제 1,2교정부재에 설치되어 제1,2교정부재에 자력또는 탄성력에 의해 치아의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력제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교정력 제공수단은 제1,2교정부재의 연결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 1,2지지부재와, 상기 제 1,2지지부재들이 설치되는 제 1,2이송부재들과, 상기 제1,2이송부재의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 1,2지지부재들이 벌어지도록 제 1,2이송부재와 제 1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 1링크들과, 상기 제 1,2이송부재와 제 2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 2링크들과, 상기 제 1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제 1자석과, 상기 제 2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제 2자석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KR1020080098376A 2008-10-07 2008-10-07 치아 교정장치 KR10098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376A KR100987186B1 (ko) 2008-10-07 2008-10-07 치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376A KR100987186B1 (ko) 2008-10-07 2008-10-07 치아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141A KR20100039141A (ko) 2010-04-15
KR100987186B1 true KR100987186B1 (ko) 2010-10-11

Family

ID=4221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376A KR100987186B1 (ko) 2008-10-07 2008-10-07 치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70B1 (ko) 2010-12-02 2012-04-09 (주) 케이제이 메디텍 치열 교정장치
KR20210020548A (ko) * 2019-08-16 202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1518A1 (en) * 2005-07-07 2007-01-11 Rath U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ccessing and configuring individual chips of a semi-conductor waf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1518A1 (en) * 2005-07-07 2007-01-11 Rath U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ccessing and configuring individual chips of a semi-conductor waf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70B1 (ko) 2010-12-02 2012-04-09 (주) 케이제이 메디텍 치열 교정장치
KR20210020548A (ko) * 2019-08-16 202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장치
WO2021034018A1 (ko) * 2019-08-16 2021-02-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장치
KR102251677B1 (ko) 2019-08-16 2021-05-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141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2100A (en) Orthodontic appliance
US10052175B1 (en) Magnetic orthodontic assembly
WO2005048868A3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mounting an arch wire on said bracket
US20180325626A1 (en) Clear aligner orthodontic system with prefabricated tooth attachment
US7226287B2 (en) Kits comprising a plurality of bite ramps having different angles for orthodontic treatment
US82926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prosthetic posterior teeth in denture production
KR101658318B1 (ko) 가변 단면구조를 갖는 치아교정 호선
BR0213251A (pt) conector de contração de aparelho ortodÈntico
JP2013520249A (ja) 前方開口部を備えたブラケット、及びブラケット連結構造体を備えた歯列矯正ブラケット装置
CN106063732A (zh) 用于重新定位牙齿的系统及其制作方法
KR101667753B1 (ko) 치아 교정장치
CN106725923B (zh) 带辅助推磨牙向后装置的隐形牙齿矫正器
WO2011145863A2 (ko)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KR102133331B1 (ko)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KR100987186B1 (ko) 치아 교정장치
CA2774962A1 (en) An adjustable bite plane appliance
KR20130137880A (ko)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TWI819893B (zh) 滑行型自鎖式齒列矯正器組合件
DE602004004154D1 (de) Orthodontische klammer
ITRM20100567A1 (it) Bracket per ortodonzia con clip di arresto.
EP2205178A1 (en) Connection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of straightening irregular teeth
KR101072875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내장되는 자석을 이용한 부정교합 교정장치
WO2014129752A1 (ko) 치열교정용 훅버튼
KR20110106087A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20190057639A (ko) 치아교정용 악궁 확장장치 및 교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