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13B1 -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13B1
KR100987113B1 KR1020080129446A KR20080129446A KR100987113B1 KR 100987113 B1 KR100987113 B1 KR 100987113B1 KR 1020080129446 A KR1020080129446 A KR 1020080129446A KR 20080129446 A KR20080129446 A KR 20080129446A KR 100987113 B1 KR100987113 B1 KR 10098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cell
piezoelectric driver
supply devi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0757A (en
Inventor
황준영
이상호
강경태
강희석
신권용
장재혁
정창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13B1/en
Publication of KR2010007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8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liquid-charge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압전 구동기, 일측으로 흡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 연료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챔버, 상기 압전 구동기와 챔버를 고정시키는 몸체, 상기 챔버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대응하게 각각 구비되어 연료의 흡입과 배출을 결정하는 체크밸브모듈 및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구동을 손쉽게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고, 맥동 공급에 따라 연료전지 출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wherein the fuel supply device includes a piezoelectric driver, and an inlet and an outlet are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piezoelectric driver to suck the fuel through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a chamber for discharging, a body for fixing the piezoelectric driver and the chamber, a check valve modu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hamb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piezoelectric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optimize the driving, noise and vibration is not gen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fuel cell outpu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ulsation supply.

연료전지, 액체, 압전 구동기, 챔버, 체크밸브모듈 Fuel cell, liquid, piezo actuator, chamber, check valve module

Description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Fuel supply device of fuel cell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구동의 최적화 용이성과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고, 연료전지 출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which can improve the fuel cell output efficiency without generating easy optimization and noise and vibration.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시스템이다.In general, a fuel cell is a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hydrogen and oxygen.

상기 수소는 순수한 수소를 직접 연료전지 시스템에 공급할 수도 있고, 메탄올, 에탄올, 천연가스 등과 같은 물질을 개질하여 수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산소는 순수한 산소를 직접 연료전지 시스템에 공급할 수도 있고,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공기에 포함된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The hydrogen may supply pure hydrogen directly to the fuel cell system, or may supply hydrogen by reforming materials such as methanol, ethanol, natural gas, and the like. The oxygen may directly supply pure oxygen to the fuel cell system, or may supply oxygen included in normal air using an air pump or the like.

연료전지는 상온 또는 100℃ 이하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및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 150 ∼200℃ 부근에서 작동하는 인산형 연료전지, 600∼700℃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각의 연료전지는 기본적으로 전기를 발생하는 작동원리는 유사 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Fuel cells includ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s operating at room temperature or below 100 ° C, phosphoric acid fuel cells operating near 150 to 200 ° C, and molten carbonate fuel cell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s of 600 to 700 ° C. And solid oxide fuel cell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s of 1000 ° C or higher. Each of these fuel cells has basically the same operation principle of generating electricity, but different fuel types, catalysts, and electrolytes are used.

이 중에서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는 액상의 고농도 메탄올을 물과 혼합하여 이를 유체펌프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전기발생부에 연료로써 공급한다. 따라서 수소를 생성하는 개질기가 필요치 않아 초소형화가 가능하고, 연료의 저장 및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동용 전원공급장치 등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Among them, the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is a direct methanol fuel cell, which mixes liquid high concentration methanol with water and supplies it as a fuel directly to an electric generator using a fluid pump. Therefore, a reformer for generating hydrogen is not required, and thus, miniaturization is possible, and fuel is easily stored and handled.

이러한 연료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솔린이나 여타의 탄화수소(LNG, LPG, CH 3 OH...)계열의 연료가 채워져 있는 연료탱크(1)와, 상기 연료탱크(1)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연료로부터 수소를 만들어 내는 개질기(reformer)(2)와, 상기 개질기(2)에 연결되어 상기 개질기(2)로부터 생성된 수소의 산화반응 및 별도로 공급되는 산소의 환원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전기와 열이 함께 발생되는 스택(stack ; 3)과, 상기 스택(3)에 연결되어 그 스택(3)에서 얻어진 직류전기를 상용전기인 교류전기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기(4) 등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Such a fuel cell is connected to a fuel tank 1 filled with gasoline or other hydrocarbon (LNG, LPG, CH 3 OH ...) fuel as shown in FIG. 1, and connected to the fuel tank 1. A reformer 2 for producing hydrogen from the supplied fuel, and an oxidation reaction of hydrogen generated from the reformer 2 connected to the reformer 2 and a reduction reaction of oxygen supplied separately occur simultaneously. And a stack (3) generated together with heat, and a power converter (4) connected to the stack (3) and converting direct current (DC) obtained from the stack (3) into alternating current (AC) electricity,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인 2a는 반응로, 2b는 버너, 3a는 전해질막, 3b는 연료극, 3c는 공기극, 6은 급수펌프, 7은 가습기이다.In the figure, 2a is a reactor, 2b is a burner, 3a is an electrolyte membrane, 3b is a fuel electrode, 3c is a cathode, 6 is a feed water pump, and 7 is a humidifier.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개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A schematic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the fuel cell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연료탱크(1)로부터 가솔린이나 탄화수소계열의 연료가 상기 개질기(2)의 반응로(2a)로 유입되고 나면, 그 반응로(2a)에 채워진 연료에 수증기 및 산소가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개질기(2)의 버너(2b)가 동작하여 개질 반응이 진행되고, 이 개질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수소가 상기 스택(3)의 연료극(3b)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다른 한 쪽의 공기극(3c)으로는 산소(O2)가 공급되어 상기 연료극(3b)에서는 산화반응이 또 공기극(3c)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가 상기 연료극(3b)에서 공기극(3c)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와 열이 발생되고, 이 전기는 상기 전력변환기(4)를 거치면서 교류전기로 전환되어 각종 전기제품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After the gasoline or hydrocarbon-based fuel flows from the fuel tank 1 into the reactor 2a of the reformer 2 by a controller (not shown), steam and oxygen are added to the fuel filled in the reactor 2a. And the burner 2b of the reformer 2 is operated so that the reforming reaction proceeds, and hydrogen generated through the reforming reaction is supplied to the fuel electrode 3b of the stack 3 and the other side Oxygen (O 2 ) is supplied to the cathode 3c, and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at the anode 3b, and a reduction reaction occurs at the cathode 3c, and electrons generated in this process are transferred to the cathode 3b. Electricity and heat are generated while moving to 3c), which is converted into alternating current electricity through the power converter 4 and used to drive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또한, 상기 연료전지에 있어서는 상기 스택(3)의 전해질막(3a)이 건조해지면 수소이온(H+)의 전도도가 떨어지게 되거나 전해질막이 수축되면서 막과 전극 사이의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스택(3)으로의 수소 공급시 항상 물을 함께 공급하도록 한다.In the fuel cell, when the electrolyte membrane 3a of the stack 3 is dried, the conductivity of hydrogen ions (H +) decreases or the electrolyte membrane shrinks,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electrode. Always supply water with hydrogen to).

하지만 이러한 종래에 기술에서 연료를 공급하는 유체 펌프는 소음 및 진동이 유발되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However, in this prior art, the fluid pump for supplying fuel may adversely affect the use environment because noise and vibration are caused.

또한, 유체펌프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을 공급해주거나 연료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소모하여 연료전지 운전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power is required to operate the fluid pump, the efficiency of fuel cell operation is reduced by supplying a separate power or consuming power produced by the fuel cel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없애고, 전 운전범위에서 구동을 손쉽게 최적화할 수 있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that can eliminat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ion, and can easily optimize the drive over the entire operating range.

또한, 연료를 맥동 공급하여 연료전지 출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also aims to improve fuel cell output by pulsating fu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압전 구동기, 일측으로 흡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 연료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챔버, 상기 압전 구동기와 챔버를 고정시키는 몸체, 상기 챔버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대응하게 각각 구비되어 연료의 흡입과 배출을 결정하는 체크밸브모듈 및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and includes a piezoelectric driver and an inlet and an outlet at one side thereof, and receives and discharges fuel through the inlet and the outlet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piezoelectric driver. And a check valve modu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hamber, the check valve module for determining the intake and discharge of fue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iezoelectric driver.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탄성막이 구비되어 상기 압전 구동기가 상기 탄성막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mber may include 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nd an elastic membrane for closing one side of the space portion may be provided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to the elastic membrane.

또한, 상기 압전 구동기는, 선형 압전 구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driver may be a linear piezoelectric driver.

또한, 상기 챔버와 몸체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and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또한, 상기 압전 구동기는, 펄스 개수를 조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driver may be driven by adjusting the number of pulses.

또한, 상기 압전 구동기는, 가동률을 조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driver may be driven by adjusting the operation rate.

또한, 상기 압전 구동기는, 10Hz 이하의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driver may be driven at a frequency of 10 Hz or less.

또한, 상기 압전 구동기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dr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body.

또한, 상기 체크밸브모듈은, 상/하면으로 구비되는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사이에 구비되는 실리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eck valv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ilicon plate provided between the glass plate provided in the upper / lower surface and the glass pl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압전 구동기의 구동효율은 구동펄스 개수로 조정하여 최적화하고, 연료공급장치의 공급유량은 가동률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독립된 제어 인자를 활용함으로써, 전 운전 범위에서 구동을 손쉽게 최적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optimizes 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by adjusting the number of driving pulses, and utilizes an independent control factor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uel supply device is adjusted to the operation rate, thereby driving the entire driving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optimized.

또한, 압전 구동기의 구동주파수와 피스톤의 왕복주파수를 분리함으로써, 가청영역 밖의 압전 구동주파수로 운전하여 체크밸브모듈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piezoelectric driver and the reciprocating frequency of the pist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heck valve module by operating at a piezoelectric driving frequency outside the audible region.

또한, 연료를 저주파로 맥동 공급하므로, 연료전지 연료극에서 연료의 2차 유동을 활성화하여 공급 특성을 개선시킴으로써 연료전지 출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uel is pulsated at a low frequency, the fuel cell output performance is improved by activating secondary flow of the fuel at the fuel cell anode to improve supply characteristic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모듈를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의 챔버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와 체크밸브모듈을 통해 연료 이송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heck val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mber operation process of a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fuel transfer process through the chamber and the check val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소모 전력에서 스트로크에 대한 공급유량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구동펄스 수에서 가동률에 대한 공급유량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el cell using 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the supply flow rate for the stroke at the sam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the supply flow rate to the operation rate at the same number of drive pulses.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10)는, 로드가 선형 구동하는 압전 구동기(100)와, 일측으로 흡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구(210)와 배출구(220)를 통해 연료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챔버(200)와, 상기 압전 구동기와 챔버를 고정시키는 몸체(300)와, 상기 챔버의 흡입 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체크밸브모듈(check valve;400) 및 상기 압전 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el supply device 10 of the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driver 100 in which a rod is linearly driven, and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re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piezoelectric driver. A chamber 200 for sucking and discharging fuel through the 220, a body 300 for fixing the piezoelectric driver and the chamber, and a check valve module 400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hambe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piezoelectric driver.

압전 구동기(100)는 압전소자(PZT)를 이용하여 전압 인가에 따라 로드에 구동력이 생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선형 압전 구동기를 이용하여 연료공급을 위한 동작력을 제공한다.The piezoelectric driver 100 is a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loa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voltage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PZ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ng force for fuel supply using a linear piezoelectric driver.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압전 구동기(100)는 피에조 소자(110)와 여기에 연결되는 진동로드(120)와 상기 진동로드(120)의 진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슬리브(130) 및 피스톤(140)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element 110, a vibration rod 120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10, and a sleeve 130 and a piston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rod 120. 140.

따라서 상기 피에조 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이는 반복적인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상기 진동로드(120)가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40)과 연결된 슬리브의 관성과 진동로드의 마찰력에 의해 진동로드를 따라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is causes repetitive deformation and the vibration rod 120 vibrates. At this time, the piston is moved along the vibration ro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vibration rod and the inertia of the sleeve connected to the piston 140.

따라서 상기 피스톤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이와 접하는 후술할 탄성막을 전/후로 변형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iston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the elastic membrane to be contacted later will be deformed forward / backwar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전 구동기(100)로 동일한 전력을 소모하여 최대의 공급 유량을 실현하기 압전 구동기의 전진 및 후진 펄스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조절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oke of the piston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forward and backward pulses of the piezoelectric driver to realize the maximum supply flow rate by consuming the same power with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또한, 소모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압전 구동기(100)의 가동률을 조절함으로써, 연료전지의 출력에 따라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연료량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이때 가동률은 전체 구동주기에서 실제로 압전 구동기에 펄스를 공급하여 구동 하는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며, 전체구동주기는 구동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과 실제 구동한 시간의 합을 말한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t is a method of supplying the minimum amount of fuel requir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fuel cell. In this case, the operation rate refers to the ratio of the time of driving the pulses to the piezoelectric actuator in the entire driving cycle, and the total driving cycle refers to the sum of the waiting time and the actual driving time without driving.

다르게는 10Hz 이하의 낮은 왕복 주파수와 큰 왕복 스트로크로 운전하여 구동효율을 최대화시킨다.Alternatively, operating at low reciprocating frequencies of less than 10 Hz and large reciprocating strokes maximizes drive efficiency.

한편, 상기 압전 구동기(100)는 추가적으로 고정부재(15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에 압전 구동기의 진동로드와 피스톤이 전진/후퇴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150, the vibration rod and the piston of the piezoelectric driver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to move forward / backward.

챔버(200)는 액체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에서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장소로부터 액체연료를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해 흡입과 배출 과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일측으로 흡입구(210)와 배출구(220)가 형성되고 이와 연통하도록 내측으로 공간부(230)가 형성된다.The chamber 200 is a suction and discharge process for receiving and delivering a liquid fuel from the reservoir to supply fuel to a direct cell fuel cell (DMFC) in a reservoir where liquid fuel is stored. As a result, the suction port 210 and the discharge port 220 are formed, and the space portion 230 is formed inward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210 and the discharge port 220.

또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공간부의 반대측으로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개방된 면으로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막(240)이 상기 공간부(230)를 폐쇄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let and outlet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tate, the open surfac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rane 24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close the space 230.

이때, 상기 탄성막이 상기 압전 구동기(100)의 피스톤(140)과 고정되어 있어 압전 구동기의 동작에 따라 전후로 탄성되면서 상기 공간부의 체적을 변화시킨다. 즉, 공간부에 흡입되는 연료량을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rane is fixed to the piston 140 of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so as to elastically mov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driver to change the volume of the space part. That is, the amount of fuel sucked into the space part is controlled.

따라서 압전 구동기의 로드가 후진하면 상기 탄성막이 뒤로 늘어나면서 공간부의 체적을 증가시켜 흡입구를 통해 연료가 공간부로 흡입되며, 압전 구동기의 로 드가 전진하면 탄성막이 공간부 내측으로 늘어나면서 체적을 감소시켜 배출구를 통해 연료가 배출된다.Therefore, when the rod of the piezoelectric driver reverses, the elastic membrane is stretched backwards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pace portion, and fuel is sucked into the space portion through the suction port. Fuel is discharged through.

후술하겠지만,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한 연료 흡입/배출을 위해 체크밸브모듈이 구비되어 흡입과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a check valve module is provided for intake and discharge of fuel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and suction and discharge are selectively performed.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막은 라텍스(LATEX)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힘으로도 쉽게 늘어나는 재질이나 구조(주름 형식)이되, 내구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의 탄성소재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astic membrane may be a latex (LATEX) material, and the material or structure (wrinkle type) easily stretched even with a small force, it is irrelevant to use a variety of durable elastic material.

몸체(300)는 상기 압전 구동기와 챔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한다.Body 300 is for supporting the piezoelectric actuator and the chamber, it is manufactured in a suitable size and shape using a metal or synthetic resin.

여기서 상기 몸체(300)는 상기 챔버(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형성하여 몸체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구동기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300)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50)를 통해 상기 몸체(300)가 결합된다.Here, the body 3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hamber 20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 with the body.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driver is fixed to the body 300 through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the body 300 is coupled through the fixing member 150.

체크밸브모듈(400)은 상기 챔버(200)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연통되게 2개의 체크밸브가 한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것으로, 연료의 흡입/배출에 따라 개폐를 결정한다. 상기 체크밸브모듈(400)은 상기 챔버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대응하도록 흡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이와 결합된다.The check valve module 400 is coupled to a pair of two check valve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hamber 200, and determines the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intake / discharge of the fuel. The check valve module 400 is coupled to the suction / discharge por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hamber.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모듈은 MEMS 공정을 통해 자체 제작된 것으로, 상,하 유리판 내부에 대략 10㎛ 두께를 가지는 실리콘 멤브레인을 설치하여 유로를 수동적으로 단속하도록 제작된 것이다.The check val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 MEMS process, and is manufactured to manually control the flow path by installing a silicon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μm in the upper and lower glass plates.

또한, 체크밸브모듈의 내부에는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은 분할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각각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흡입/배출구가 구비되고, 중앙의 실리콘 멤브레인이 유동을 단속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heck valve module is divided into an internal space in which suction and discharge are formed, and each has a suction / exhaust port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and the silicon membrane in the center interrupts the flow.

상기 챔버(200)와 연결된 체브밸브모듈은 연료의 유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압전 구동기의 로드 후퇴에 따라 탄성막이 늘어나 공간부의 체적을 증가시키면 한쪽 밸브가 개방되면서 챔버의 흡입구를 통해 연료가 흡입된다. 이때 다른 한쪽의 밸브는 폐쇄된다.The valve valve module connected to the chamber 200 determines the flow direction of the fuel. When the elastic membrane increases as the rod retracts the piezoelectric actuator, and the volume of the space increases, one valve opens and the fuel is sucked through the inlet of the chamber. . At this time, the other valve is closed.

상기 압전 구동기(100)의 로드가 연료 주입을 위해 전진하면 탄성막을 가압하게 되고 개방되어 있던 한쪽 밸브는 닫혀지며, 공간부에 흡입된 연료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닫혀 있던 다른 한쪽 밸브는 개방되면서 연료가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rod of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is advanced for fuel injection, the elastic membrane is pressed and one open valve is closed, and the fuel sucked into the spac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t this time, the other valve that was closed is opened to supply fuel.

제어부(500)는 상기 압전 구동기(1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앞서 압전 작동기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펄스 수 조정, 가동률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압전 구동기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piezoelectric driver 100, and controls the piezoelectric driver to achieve the optimum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pulses and the operation rate as mention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상기 압전 작동기(100)의 구동 효율은 고주파인 구동주파수 최적화하며, 연료공급장치의 수력효율은 구동펄스의 개수에 의해 스트로크를 최적화하며, 연료의 공급유량은 가동률로 제어한다.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00 is optimized to drive frequency of high frequency, the hydraulic efficiency of the fuel supply device optimizes the stroke by the number of driving pulses, and the fuel supply flow rate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rate.

즉,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상기 압전 구동기의 사양에 따라 적정 전압,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수십 kHz 이상의 초음파 주파수를 인가하여 상기 압전구동기를 제어하되, 한 방향으로 다수의 구동 펄스를 인가하여, 수 Hz 정도의 낮은 주파수로 압전 구동기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corresponds to a power supply unit and must supply an appropriate voltage and cur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iezoelectric driver.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controlled by applying an ultrasonic frequency of several tens of kHz or more, and a plurality of driving pulses are appli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performed at a low frequency of several Hz.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커다란 장점 중 하나는 PZT 구동 주파수와 피스톤 구동 주파수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 PZT 구동 주파수는 PZT 변위 효율에 최적화된 값으로 제어하고, 피스톤 구동 주파수는 밸브 효율과 피스톤 속도에 최적화된 값으로 제어한다.One of the great advantages of the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at the PZT drive frequency and the piston drive frequenc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ZT drive frequency is controlled to a value optimized for PZT displacement efficiency, and the piston drive frequency is controlled to a value optimized for valve efficiency and piston speed.

도 7을 보면, 일반적으로 피스톤의 행정길이가 길어지면 (탄성막의 변형의 커짐) 피스톤의 속도가 감소됨으로 이는 유량이 감소된다. 반대로 피스톤의 행정길이가 짧아지면 체크밸브모듈의 정류 효율이 감소한다. 이 역시 유량의 감소된다.Referring to Fig. 7, in general, the longer the stroke length of the piston (the larger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rane), the lower the speed of the piston, which reduces the flow rate. On the contrary, shortening the stroke length of the piston reduces the rectification efficiency of the check valve module. This also reduces the flow rate.

이 두 가지의 상반된 특성으로 인해서 특정 행정길이에 최대의 유량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는 펄스의 갯수만으로 행정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른 인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손쉽게 최적의 유량이 되는 행정길이로 운전할 수 있다.Due to these two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maximum flow rates occur at specific stroke lengths. Therefore, the fuel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troke length only by the number of pulses, so that it can be easily operated at the stroke length which is the optimum flow rate without affecting other factors.

한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마이크로 펌프)에 있어서 최대 성능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이 넓은 운전 범위에서의 성능 유지 특성이다. 연료전지 출력이 작을때도 최대 성능으로 펌프를 운전한다면 결국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발생시켜 시스템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performance is also important in the fuel supply device (micro pump) of the fuel cell, but more important than that is the performance maintenance characteristic in a wide operating range. If the pump is operated at maximum performance even when the fuel cell output is small, it will eventually generate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system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을 제어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서 구동비를 조절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구동비는 전체 시간 중 펌프가 구동하는 시간의 비로서 구동비가 100%인 경우는 펌프가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경우이고, 구동비가 50%인 경우는 피스톤이 한 주기의 운동을 마친 후 한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동작을 하 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렇게 구동비만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면 이미 최적화된 구동 주파수, 구동 변위, 피스톤 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운전할 수 있으므로 운전 조건 내에서 최고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djusting the driving ratio is selected as the easiest method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The driving ratio is the ratio of the time that the pump drives during the whole time. When the driving ratio is 100%, the pump is driven continuously. When the driving ratio is 50%, it corresponds to one cycle after the piston has finished one cycle of movement. This is the case when there is no operation for a while. If the flow rate can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ratio alone, it means that the driv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affecting the already optimized driving frequency, driving displacement, piston speed, etc., thus maintaining the highest efficiency within the operating conditions.

도 8은 구동비 변화에 따른 유량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동비가 증가할수록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구동비는 에너지 소비율에 비례하므로, 결국 에너지 소비에 대하여 유량이 선형적으로 변하는 매우 유용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8 shows the flow rat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 in driving ratio.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ratio increases almost linearly. Since the driving ratio is proportional to the energy consumption rate, it shows a very useful characteristic that the flow rate changes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energy consumption.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운전범위를 용이하게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고, 연료전지 출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optimize the operating range, has no noise,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fuel cell output performance.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fuel cell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모듈을 나타낸 상세도,Figure 3b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heck val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의 챔버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mber operation process of a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와 체크밸브모듈을 통해 연료 이송과정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fuel transfer process through a chamber and a check val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6 i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el cell using 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소모 전력에서 스트로크에 대한 공급유량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the supply flow rate for the stroke at the sam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구동펄스 수에서 가동률에 대한 공급유량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supply flow rate for the operation rate at the same number of drive puls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압전 구동기 200 : 챔버100: piezoelectric driver 200: chamber

210 : 흡입구 220 : 배출구210: inlet 220: outlet

230 : 공간부 240 : 탄성막230: space portion 240: elastic membrane

300 : 몸체 400 : 체크밸브모듈300: body 400: check valve module

500 : 제어부 10 : 연료공급장치500 control unit 10 fuel supply device

Claims (9)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In the fuel supply device of a fuel cell, 압전 구동기;Piezoelectric drivers; 일측으로 흡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 연료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챔버;A chamber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t one side thereof, and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piezoelectric driver to suck and discharge fuel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 압전 구동기와 챔버를 고정시키는 몸체;A body fixing the piezoelectric driver and the chamber; 상기 챔버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대응하게 각각 구비되어 연료의 흡입과 배출을 결정하는 체크밸브모듈; 및Check valve module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hamber to determine the intake and discharge of the fuel; And 상기 압전 구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iezoelectric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mber,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탄성막이 구비되어 상기 압전 구동기가 상기 탄성막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nd 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and an elastic membrane for closing one side of the space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piezoelectric driver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elastic membra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구동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ezoelectric driver, 선형 압전 구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piezoelectric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mber and the body,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구동기는,The piezoelectric driver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펄스 개수를 조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cell fuel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by adjusting the number of pulses.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구동기는,The piezoelectric driver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가동률을 조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by adjusting the operation rate.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구동기는,The piezoelectric driver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10Hz 이하의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which is driven at a frequency of 10 Hz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구동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ezoelectric driver,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eck valve module, 상/하면으로 구비되는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사이에 구비되는 실리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연료공급장치.A fuel supply device for a fuel cell, comprising a glass plate provided on top and bottom surfaces and a silicon membrane provided between the glass plates.
KR1020080129446A 2008-12-18 2008-12-18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KR100987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46A KR100987113B1 (en) 2008-12-18 2008-12-18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46A KR100987113B1 (en) 2008-12-18 2008-12-18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57A KR20100070757A (en) 2010-06-28
KR100987113B1 true KR100987113B1 (en) 2010-10-11

Family

ID=4236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46A KR100987113B1 (en) 2008-12-18 2008-12-18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80A (en) *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uel cell system
JP2006269363A (en) 2005-03-25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Fuel cell
KR20070064584A (en) * 2004-07-08 2007-06-21 다이렉트 메탄올 퓨얼 셀 코포레이션 Fuel cell cartridge and fuel delivery system
JP2007207472A (en) 2006-01-31 2007-08-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Fuel cel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584A (en) * 2004-07-08 2007-06-21 다이렉트 메탄올 퓨얼 셀 코포레이션 Fuel cell cartridge and fuel delivery system
KR20060102580A (en) *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uel cell system
JP2006269363A (en) 2005-03-25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Fuel cell
JP2007207472A (en) 2006-01-31 2007-08-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Fuel cel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57A (en)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8707B2 (en) Electrochemically actuated pump
JP4627997B2 (en) Fuel cell system
US7655056B2 (en)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JP5850067B2 (en)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ystem
US20070034523A1 (en) Fuel-cell actuated mechanical device
Seo et al. Development of active breathing micro PEM fuel cell
CN101783613B (en)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system and electronics apparatus
JP2014532824A (en) Hydrogen generator with diaphragm pump
KR100987113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fuel cell
US20060141322A1 (en) Fuel cell system
JP2007220429A (en) Fuel cell system
JP2006147525A (en) Fuel cell system
KR101065387B1 (en) Fuel cel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0021232A1 (en) Fuel cel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JP5204353B1 (en) Fuel cell system
JP2004285883A (en) Pump device
EP1648046A1 (en) Fuel cell system
JP4950424B2 (en) Fuel cell system
JP2007294348A (en) Fuel cell device
CN109973364B (en) Liquid pump for micro-cooling system
CN109882380B (en) Double-vibrator self-excited pump
CN109882381A (en) A kind of self-excitation pump of double oscillator drivings
KR100985106B1 (en) Fuel cell
KR20070107994A (en) Fuel cell system
JP4826064B2 (en) Fuel ce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