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332B1 -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 Google Patents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332B1
KR100986332B1 KR1020070111627A KR20070111627A KR100986332B1 KR 100986332 B1 KR100986332 B1 KR 100986332B1 KR 1020070111627 A KR1020070111627 A KR 1020070111627A KR 20070111627 A KR20070111627 A KR 20070111627A KR 100986332 B1 KR100986332 B1 KR 10098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original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5685A (en
Inventor
노정석
Original Assignee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011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332B1/en
Publication of KR2009004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저작권 보호를 위한 게시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게시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고,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저작권 보호 코드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복사되어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더미 정보가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부가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게시자가 작성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복사 시도가 있는 경우, 복사본에 더미(dummy)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게시자가 의도하지 않는 컨텐츠 복사 및 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자가 누구인지를 복사본의 열람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원본 게시물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가 그를 생성한 게시자의 영역 내에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post for copyright protection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obtain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and 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viewer terminal, wherein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includes all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Alternatively, when a part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a post providing method is provided so that dummy information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when there is an attempt to copy content for the content created by the publisher, by including dummy information in the cop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ent copying and distribution not intended by the publisher. Such dummy information may inform the viewer of the copy of who is the copyright owner of the content and may provide the means to access the original post so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within the domain of the publisher who created it.

저작권, 더미 코드, 블로그 Copyright, dummy code, blog

Description

저작권 보호를 위한 게시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Pos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를 위한 게시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ost for copyright protection.

인터넷은 인간 사회에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언론사들은 홈페이지를 통해 뉴스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기업들은 온라인 상에서 소비자들과 접촉하고 그들의 의견을 수렴한다.The Internet is becoming indispensable to human society. The media delivers the news in real time through the homepage, and companies contact consumers and get their opinions online.

또한, 인터넷은 개인의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미디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블로그(blog)를 통해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공유한다. 이러한 블로그는 단순한 1인 미디어에서 벗어나 여러 명의 사용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팀 블로그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UCC(user created content)의 생산을 돕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개인기기의 대중화 역시 이러한 새로운 미디어의 발전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The Internet also serves as a media for sharing pers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Millions of people share their knowledge through their blogs. These blogs are evolving from simple one-person media to team blogs run by multiple users. The popularization of personal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to help produce user created content (UCC) is also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hese new media.

한편, 이와 같은 인터넷의 발전은 복제와 공유가 쉽다는 디지털 정보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의 용이한 복제와 공유가 긍정적인 면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UCC의 일반화로 컨텐츠 생산자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기술적인 발전은 오히려 저작권 보호를 미흡하게 만들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can be understood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formation that is easy to copy and share. However, the easy copying and sharing of digital information is not only positive. As UCC's generalization raises the awareness of copyrights of contents producers, technological developments may make copyright protection less effective.

예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및 파이어 폭스(fire fox)와 같은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등에 기반한 전자문서를 해석하여 시각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자문서의 복사와 공유를 위한 도구들 역시 제공한다.For example, web browser programs such as internet explorer and fire fox don't just provide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visualize electronic documents based o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It also provides tools for sharing with others.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이 제공하는 이러한 도구의 사용은 저작권자가 의도하는 범위를 넘어서는 복제 및 변경을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웹 사이트에서는, 최소한의 저작권 보호 장치로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에서 정보의 복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키 입력(예로, Ctrl+C)이나 마우스 동작(예로, 오른쪽 클릭)등을 제한하기도 한다.Use of such tools provided by web browser programs or the like may result in duplication and modification beyond the intended scope of the copyright holder. To prevent this, some websites, with minimal copyright protection, restrict keystrokes (eg Ctrl + C) or mouse actions (eg right click) that can be used to duplicate information in a web browser program. Sometimes.

그러나, 전자문서의 소스(source)는 여전히 노출되어 있으므로,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소스보기 기능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저작권 보호 장치 만으로는 보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source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still expose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bove-mentioned copyright protection device cannot be protected only when the source viewing function provided by the web browser or a separate program is used.

본 발명은 게시자가 작성한 컨텐츠 정보에 저작권 보호 코드를 결합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함으로써, 저작권자가 원하지 않는 컨텐츠의 복사 및 배포를 방지하는 게시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post that prevents copying and distribution of content that the copyright holder does not want by generating an original post by combin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with content information prepared by a publisher.

또한, 본 발명은 게시자가 작성한 컨텐츠 정보에 저작권 보호 코드를 결합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함으로써, 저작권자가 원하지 않는 컨텐츠의 복사 및 배포를 방지하는 게시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 providing system that prevents copying and distribution of content that the copyright holder does not want by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by combining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to the content information created by the publish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게시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고,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코드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복사되어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더미 정보가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부가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and 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viewer terminal, wherein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is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When all or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post providing method is provided so that the dummy information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저작권 보호 코드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사 대상 컨텐츠로 하는 복사 요청에 상응하여, 복사 대상 컨텐츠에 더미 정보가 부가되어 리턴(return)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may add dummy information to the copy target content to be returned in response to a copy request in which all or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is the copy target content.

더미 정보는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의 브라우징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정보는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에 원본 게시 물과 관련된 유알엘(URL)을 참조하는 하이퍼링크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정보는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가 반복하여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ummy information may change a browsing attribute of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ummy information may add a hyperlink referring to a URL related to the original publication to the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ummy information may allow the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to be repeatedly provided.

한편, 앞서 언급된 저작권 보호 코드는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의 속성을 지정하는 <span>태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span>태그 내의 정보의 클래스(class)를 지정하고, 클래스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더미 정보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forementioned copyright protection code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an> tag that specifies an attribute of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ttribute of the dummy information can be changed by specifying a class of information in the <span> tag and controlling the attribute of the class.

한편,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더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제공 영역 지원 코드를,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 원본 게시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of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generating an image package including dummy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area support code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As copyright protection code, it may include inserting into an original post.

이렇게 삽입된 이미지 정보 제공 영역 지원 코드는,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사이트의 리퍼러(referrer) 정보에 상응하여 이미지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serted image information providing area support code may provide an image package corresponding to referrer information of a site that requests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이 경우, 더미 정보는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에 결합되는 워터마크, 원본 게시물을 참조하는 하이퍼링크 및 원본 게시물의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In this case, the dummy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termark coupled to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a hyperlink referring to the original post, and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original post.

이와 같은 이미지 패키지는 플래시(flash) 기술 및/또는 실버라이트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Such an image package may be constructed based on flash technology and / or silverlight technology.

한편,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더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영역을 지원하는 코드를,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 원본 게시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 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generating of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inserting,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a code supporting a pop-up area capable of displaying dummy information into the original post.

이 경우, 팝업 영역 지원 코드는,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리퍼러 정보에 상응하여 팝업 영역을 시각화함으로써 저작권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p-up area support code may perform a copyright protection function by visualizing the pop-up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errer information requesting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게시물 제공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is created and record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게시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고,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게시물 생성부 및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게시물 제공부를 포함하고, 저작권 보호 코드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복사되어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더미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a pos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by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and a po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viewer terminal,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original post If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a post providing system is provided which adds dummy information to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시자가 작성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복사 시도가 있는 경우, 복사본에 더미(dummy)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게시자가 의도하지 않는 컨텐츠 복사 및 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자가 누구인지를 복사본의 열람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원본 게시물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가 그를 생성한 게시자의 영역 내에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n attempt to copy content for the content created by the publis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pying and distribution of the content not intended by the publisher by including dummy information in the copy. Such dummy information may inform the viewer of the copy of who is the copyright owner of the content and may provide the means to access the original post so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within the domain of the publisher who created 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보호를 위한 게시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ost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flow chart of a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os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 1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각 단계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ut the subject performing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each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게시물 제공 시스템은 게시물 제공 서버(200),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 게시물 생성부(204),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 삽입부(205),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 삽입부(206), 팝업 영역 지원 코드 삽입부(207), 게시물 제공부(208),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20), 게시자 단말기(230) 및 열람자 단말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nother pos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t providing server 200, a cont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202, a post generating unit 204, and a dummy text support code inserting unit 205. ), An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serter 206, a popup area support code inserter 207, a post provider 208, a post database 220, a publisher terminal 230, and a viewer terminal 240. have.

게시자 단말기(23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0)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가 게시자 단말기(23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Acquiring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S110) is a step in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2 obtains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게시자 단말기(230)는 게시물을 작성하는 사용자(이하, '게시자'라 칭함)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기이다. 게시자 단말기(230)로는 PC, 휴대폰, PDA 등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게시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그 정보를 게시물 제공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기기라도 게시자 단말기(230)가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The publisher terminal 23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writes a po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ublisher"). The publisher terminal 230 may be a device such as a PC, a mobile phone, a PDA,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iew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n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and delivering the information to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may be the publisher terminal 230.

컨텐츠 정보란 게시자가 게시물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material)들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컨텐츠 정보는 게시물을 구성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 정보, 하이퍼링크 정보, 이미지 정보, 음성 정보 및 동영상 정보 등을 포함한다.Content information is a general term for materials used by a publisher to write a post.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text information, hyperlink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post.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게시물이 브라우징 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속성 정보 역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텍스트의 폰트 정보 및 각 컨텐츠 정보들의 배치 정보 등이 컨텐츠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that may be used when the post is browsed in the user terminal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For example, font information of text and arrangement information of each conten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는 게시자 단말기(23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게시자 단말기(23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블로그의 소유자는 블로그를 호스팅하는 게시물 제공 서버(200)의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가 제공하는 위지위그(WYSIWYG) 편집기 등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게시물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2 may provide the publisher terminal 230 with a means for obtain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For example, the owner of a blog may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to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 WYSIWYG editor provid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202 of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hosting the blog. .

한편, 게시물 제공 서버(200)에 의하여 제공되는 편집기능 이외에 게시자 단말기(230)에서 직접 게시물 제공 서버(20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엑스엠엘 알피씨(XML-RPC) 기능을 지원하는 게시물 제공 서버(200)는 게시자 단말기(230)에서 실행되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editing function provided by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to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For example,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supporting the XML-RPC function may receive content information from a separate program executed in the publisher terminal 230.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가 수집한 컨텐츠 정보는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2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2 may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post database 220.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고,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S120)는 게시물 생성부(204)가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가 획득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The step S120 of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is performed by the post generator 204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rer 202. to be.

본 실시예에서 원본 게시물은, 게시자 단말기(230)로부터 전송되어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에 의하여 수집되고, 게시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iginal post is transmitted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2, and generated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post database.

예를 들어, 원본 게시물은 에이치티엠엘(HTML)등의 마크-업 랭귀지(mark-up) 로 작성된 전자 문서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riginal post may exis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such as HTML.

여기서, 원본 게시물은 게시자 단말기(230)로부터 전송되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열람자 단말기(240)로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a code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and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to the viewer terminal 240.

이러한 코드들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 정보들이 열람자 단말기(240) 상에서 게시자의 의도에 따라서 브라우징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se codes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content information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to be browsed on the viewer terminal 240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ublisher.

한편, 원본 게시물은 저작권 보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보호 코드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복사되어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더미 정보가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부가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a copyright protection code.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dummy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when all or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된다는 것은, 열람자 단말기(240)로 전송된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정보를 복사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사 게시물이 다른 단말기로 제공되는 경우만이 아니라, 열람자 단말기(240) 내에서 복사됨으로써 원본 게시물을 브라우징 하고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과 다른 별개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용되는 경우까지 포함할 수 있다. Being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copy post formed by copy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post sent to the viewer terminal 240 is not only provided to the other terminal, but also copied in the reader terminal 240 by the original You can include this as long as it is used by a separate program from the browser program that is browsing the post.

즉,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된다는 것은, 열람자 단말기(240)에 제공된 원본 게시물(여기서, 원본 게시물은 컨텐츠 정보를 포함함)이 복사되어 다른 단말기로 제공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o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riginal post provided to the viewer terminal 240 (where the original post includes content information) is copied and provided to another terminal.

또한,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된다는 것은,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원본 게시물을 브라우징 하는 프로그램과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하여 복사 게시물이 이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ing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a case where a copy post is used by a different program from a program for browsing the original post in the viewer terminal 240.

즉, 블로그 사이트의 방문자가 원본 게시물인 포스트를 열람하고 있는 브라우저 창으로부터 다른 프로그램 창(별개의 브라우저 창 또는 에디터 프로그램 등)으로 원본 게시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사하는 것 역시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가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copying some or all of the original post from the browser window where the blog site's visitor is viewing the original post to another program window (such as a separate browser window or editor program) also includes the cont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pos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더미 정보란 컨텐츠 정보가 복사되어 원본 게시물과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원본 게시물이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와 다르게, 컨텐츠 정보에 부가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들을 총칭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the dummy information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dummy information is understood as a generic term for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and delivered to the user, unlike when the original post is normally provided by the viewer terminal 240. Can be.

더미 정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본 게시물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와 다르게 부가적으로 전달되는 텍스트 정보, 음향 정보, 이미지 정보만이 아니라 컨텐츠 정보가 전달되는 속성의 변화에 관한 정보 역시 더미 정보가 될 수 있다. The dummy information may have various forms.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original post is normally provided, not only text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dditionally delivered, but also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an attribute to which cont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may be dummy information.

한편, 더미 정보라는 명칭이 그 정보가 반드시 무의미한 것이어야 함을 시사하지는 않는다. 더미 정보는 원본 게시물을 참조하는 하이퍼링크 정보, 원본 게시물의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텍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더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ame dummy information does not imply that the information must be meaningless. The dummy information may include hyperlink information referring to the original post, information about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post, and the like. Meanwhile, some or all of the text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may be included in the dummy information.

이와 같은 더미 정보는 원본 게시물에 저작권 보호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작권 보호 코드의 부가 과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Such dumm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inclu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in the original post. The addition process of such copyright protection code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게시물 생성부(204)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한다. 원본 게시물은 게시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정보에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post generator 204 generates an original post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The original post may be generated by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ublisher.

저작권 보호 코드는 게시물 생성부(204)의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 삽입부(205),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 삽입부(206) 및 팝업 영역 지원 코드 삽입부(207)에 의하여 원본 게시물에 포함될 수 있다.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may b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by the dummy text support code inserter 205,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serter 206, and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nserter 207 of the post generator 204.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 삽입부(205)는 게시물 생성부(204)가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를 삽입한다.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는 열람자 단말기(240) 상의 브라우저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dummy text support code insertion unit 205 inserts the dummy text support code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while the post generation unit 204 generates the original post. The dummy text support cod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may be executed in a browser program on the viewer terminal 240.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가 원본 게시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복사되는 경우,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는 더미 텍스트 정보가 컨텐츠 정보와 함께 복사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is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to another area, the dummy text support code allows the dummy text information to be copied along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원본 게시물 내에서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 창 내부에서 시각화 되지 않았던 더미 텍스트 정보가 원본 게시물 영역 외에서 활성화 되어 컨텐츠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text is normally provided in the original post, the dummy text information that is not visualized in the browser window may be activated outside the original post area and provided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즉, 더미 텍스트 정보는 원본 게시물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열람자 단말기(240)의 브라우저 창 내부에서 시각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원본 게시물 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컨텐츠 정보가 원본 게시물과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열람자 단말기(240)의 브라우저 창에서 활성화되어 컨텐츠 정보와 함께 열람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at is, the dummy text information may not be visualized inside the browser window of the viewer terminal 240 when the original post is normally provided. However, when the original post is not normally provided (for example, when content information exists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original post may be activated in a browser window of the viewer terminal 240 and provided to the viewer together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브라우징된 원본 게시물에 대하여, 브라우징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복사 대상으로 하는 복사 요청이 열람자 단말기(240)상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열람자는 브라우저 프로그램 창에 표현된 컨텐츠를 선택(브라우저 창의 일부 영역을 드랙(drag)하는 등에 의하여)하고 복사 요청 신호를 발생(복사 명령 내지 그에 상응하는 키입력인 Ctrl+C 등의 방법으로)시킬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post browsed by the viewer terminal 240, a copy request for copying all or a part of the browsed conten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a program on the viewer terminal 240. The viewer selects the content represented in the browser program window (by dragging a part of the browser window, etc.) and generates a copy request signal (by copy command or a corresponding key input such as Ctrl + C). Can be.

이 경우,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저작권 보호 코드로서)는, 복사 요청의 응답으로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더미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dummy text support code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the dummy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gether in response to the copy reques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한편,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는 <span>태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span> 태그는 그 내부의 텍스트 정보 등이 브라우징 되는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span> 태그 및 그 태그 내의 정보가 원본 게시물의 영역을 벗어나 별개로 복사되는 경우 복사된 정보가 표현될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ummy text support code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an> tag. The <span> tag can specify the attribute to which text information inside is browsed. This allows you to specify an attribute that will display the copied information when the <span> tag and the information within the tag are copied separately beyond the area of the original post.

한편, <span> 태그는 검색 엔진의 인덱싱 과정에서 쉽게 배제될 수 있으므로, 더미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원본 게시물이라고 하더라도 그렇지 않은(즉, 더미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의) 원본 게시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인덱 싱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pan> tag, on the other hand, can be easily excluded from the search engine's indexing process, so that even if the original post contains dummy text information,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riginal post that does not (i.e. does not contain dummy text information).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indexed.

여기서,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는 <span>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와 원본 게시물과 별도로 존재하는 컨텐츠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태그로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 the dummy text support code is not limited to the <span>,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s a tag for distinguishing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existing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is.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더미 텍스트 정보 제공 기능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dummy text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of the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더미 텍스트 정보 제공 기능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ummy text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of a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게시자 단말기(230)는 게시물 제공서버(20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다. 게시물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고,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를 삽입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한다. The publisher terminal 230 transmits content information to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generates the original post by inserting dummy text support cod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생성된 원본 게시물은 열람자 단말기(2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열람자 단말기(240)로 전송된다.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원본 게시물을 그 작성자인 저작권자가 의도한 바와 같이 브라우징 될 수 있다. The generated original post is transmitted to the viewer terminal 240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viewer terminal 240. In the viewer terminal 240, the original post may be browsed as intended by the copyright holder who is the creator.

이와 같이 브라우징 된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복사하는 경우, 저작권 보호 코드인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에 의하여, 더미 텍스트 정보가 함께 복사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복사된 컨텐츠 정보가 원본 게시물과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더미 텍스트 정보가 활성화 되어 시각화되는 과정은 앞서 상술하였다. 따라서 저작권 보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When copying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rowsed original posts as described above, the dummy text information is copied together by the dummy text support code, which i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thereby protecting the copyright. In this case, whe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exists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process of activating and visualizing dummy text information in the viewer terminal 24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copyright protection is omitted.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에 의한 저작권 보호 기능의 구현은 도 4 내지 도 8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Implementation of the copyright protection function by the dummy text support code may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FIGS. 4 to 8.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게시물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원본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ginal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n original post of FIG. 4 is browsed.

도 4를 참조하면, 원본 게시물은 컨텐츠 정보로서 두 개의 문장을 포함한다. 제1 문장은 '아래의 텍스트를 복사해서 다른 블로그에 붙여넣기 해보세요'이며, 제2 문장은 'CopyAngel은 저작권자의 권리를 소중히 생각 합니다.'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original post includes two sentences as content information. The first sentence is 'copy the text below and paste it into another blog' and the second sentence is 'CopyAngel values the rights of the copyright holder'.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정보는 게시물 제공서버(200)의 컨텐츠 정보 획득부(202)에 의하여 획득되어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onten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obtain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2 of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and stored in the post database 220.

게시물 제공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정보에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may generate an original post by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to the conten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원본 게시물은 헤드부분에서 'test', 'test_remote'및 'test_local'클래스를 정의한다. 원본 게시물의 헤드 부분은 또한 traverseDom(document.body)함수를 정의한다. 제2 문장에서 '저작권자의'부분 및 '생각'부분은 <span> 태그에 의하여 'test'클래스에 속하는 것으로 지정되었다. The original post defines the classes 'test', 'test_remote' and 'test_local' at the head. The head of the original post also defines the traverseDom (document.body) function. In the second sentence, the 'copyright' part and the 'think' part are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test' class by the <span> tag.

앞서 언급된 <span> 태그와 관련된 부분 및 traverseDom(document.body) 함수와 관련된 부분은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로서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다. 이 저작 권 보호 코드는 컨텐츠 정보인 제1 문장 및 제2 문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원본 게시물을 열람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복사되어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더미 정보가 함께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rt related to the <span> tag mentioned above and the part related to the traverseDom (document.body) function ar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as dummy text support code. This copyright protection code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dummy information when some or all of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which are content information, are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by a user viewing the original post. Do this.

도 5를 참조하면, 제2 문장이 브라우징된 영역(510)에서 컨텐츠 정보는 특이한 시각화 속성이 부여되지 않은 플레인 텍스트(plain text)로서 시각화 된다. 이와 같이 원본 게시물이 정상적으로 브라우징 되는 경우 더미 정보는 시각화 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가 원본 게시물과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에, 더미 텍스트 정보가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시각화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in the region 510 where the second sentence is browsed, content information is visualized as plain text to which no unusual visualization property is assigned. As such, when the original post is normally browsed, the dummy information may not be visualized. 6 to 8, a case where the dummy text information is visualized in the viewer terminal 240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exists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5의 화면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선택하여 위지위그 편집기로 복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위지위그 편집기를 에이치티엠엘(HTML) 편집 모드로 설정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 result of selecting text information from the screen of FIG. 5 and copying the text information to the WiG Wig Editor, and FIG. 7 illustrates setting the WiG Wig Editor of FIG. 6 to an HTML edit mode. The figure illustrates a screen.

사용자는 제2 문장이 브라우징된 영역(510)을 마우스로 드랙(drag)하는 방법 등으로 제 2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위지위그 편집기에서 제2 문장이 브라우징된 영역(520)을 관찰하면 '저작권자의' 부분과 '생각'부분이 플레인 텍스트와는 다른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The user may select the second sentence by dragging the area 510 in which the second sentence is browsed with a mouse. Observing the area 520 where the second sentence is browsed in the Wiziwig editor, the 'copyright' part and the 'think' part are expressed as having different attributes from the plain text.

이는 에이치티엠엘(HTML) 모드에서 제2 문장이 표현된 영역(530)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저작권자의'부분과 '생각'부분은 하이퍼링크를 포함한다. 이 하이퍼링크는 'http://egoing.net'를 참조한다. 참조되는 주소는 원본 게시물이 위치하는 주소이거나 게시물의 저작권자인 게시자의 홈페이지 주소일 수 있다. This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region 530 in which the second sentence is expressed in the HTML mode. The 'copyright' part and the 'think' part contain hyperlinks. This hyperlink is available at http://egoing.net. The address referenced may be the address where the original post is located or the homepage address of the publisher who is the copyright holder of the post.

이 경우, 하이퍼링크가 참조하는 주소 및 하이퍼링크가 표현되는 속성에 관한 정보가 더미 텍스트 정보로서 부가되었다. 즉, 더미 텍스트 정보라는 것은 반드시 형태가 텍스트 인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텍스트의 표현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address referred to by the hyperlink and the attribute on which the hyperlink is expressed is added as dummy text information. That is, the dummy text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ext, but is a concept including information that can change the presentation attribute of the text.

이와 같이 열람자가 원본 게시물의 컨텐츠 정보인 제2 문장을 복사하려고 하는 경우에, 단순히 제2 문장 자체 정보 대신에, 도 7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더미 정보가 부가된 대체 정보가 복사될 수 있다. When the viewer tries to copy the second sentence which is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original post in this way, instead of simply the second sentence itself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 alternative information with dummy information added may be copied.

이러한 기능은 도4 에서 예시된, traverseDom(document.body) 함수가 <span> 태그에 의하여 'test'클래스에 속하는 것으로 마크된 부분을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is functionality can be provided by translating the portion of the traverseDom (document.body) function, illustrated in FIG. 4, marked as belonging to the 'test' class by the <span> tag.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저작권자의' 부분과 '생각'부분은 두 번 반복된다. 그러나, <span>태그에 의하여 시각화되는 좌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도 6에서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부분만이 시각화되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copyright' part and the 'think' part are repeated twice. However, only the portion including the hyperlink is visualized in FIG. 6 as a method of adjusting the coordinates visualized by the <span> tag.

도 8은 도 5의 화면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선택하여 텍스트 편집기로 복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 result of selecting text information from the screen of FIG. 5 and copying it to a text editor.

텍스트 편집기의 경우 하이퍼링크를 표현하지 않는다. 이 경우, 하이퍼링크에 의한 더미정보 부가는 해제될 수 있다. 다만, 텍스트 편집기는 <span>태그에 의 한 시각화 위치 좌표를 조절을 반영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자의'부분과 '생각'부분이 중복되어 나타난다. Text editors do not represent hyperlinks. In this case, the dummy information addition by the hyperlink may be released. However, the text editor cannot adjust the visualization position coordinates by the <span> tag, so the 'copyright' part and the 'think' part overlap.

이와 같이, <span>태그 등을 사용하여, 가상의 영역에 브라우징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시각화되지 않는 더미 텍스트 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원본 게시물의 열람자가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원래 형태의 컨텐츠 정보가 손쉽게 복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such, by using the <span> tag or the like, dummy text information that is not visualized to the user may be added by browsing to the virtual area. By using this, even when the reader of the original post uses a text editor,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original for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copied.

한편, 더미 텍스트 정보는 제2 문장에 포함된 텍스트를 반복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traverseDom(document.body) 함수를 변경함으로써 원본 게시물이 존재하는 주소 정보 및 원본 게시물의 저작권자에 관한 정보가 더미 텍스트 정보로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mmy text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repeating the text included in the second sentence. By changing the traverseDom (document.body) function of FIG. 4, the address information where the original post exists and information about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post may be included as dummy text information.

이와 같이 원본 게시물의 헤드 부분 및 바디 부분에 포함된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에 의하여 열람자가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만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복사하는 행위를 방지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ummy text support code included in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post prevents the viewer from easily copying only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thereby protecting copyright.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에 있어서 더미 텍스트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So far, the dummy text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 the post providing roo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게시물 생성부(204)는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 삽입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 삽입부(206)는 원본 게시물을 구성하는 컨텐츠 정보에 이미지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이미지가 원본 게시물과 별도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그 전달 형태 및 전달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이미지 패키지를 지원하는 코드를 원본 게시물에 포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 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post generator 204 may include an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serter 206.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serting unit 206 may change the delivery form and the delivery attribute when the image is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original post and the image is delivered to the user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It includes the code that supports the image package in the original pos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이미지 패키지 제공 기능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예시된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복사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사 게시물은 이미지 표시 영역(620) 및 추가 정보 표시 영역(630)을 포함하는 형태로 브라우징 될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package providing function of a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n original post is brow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py post is browsed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illustrated in FIG. 10. to be. Referring to FIG. 11, the copy post may be browsed to include an image display area 620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area 630.

도 9에 도시된 동작들 중에서 도 3에서 설명된 동작들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operations shown in FIG. 9 with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3 will be omitted for clarity.

컨텐츠 정보에 이미지가 포함되는 경우, 원본 게시물은 그 이미지 정보를 저작권자인 게시자의 의도대로 열람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미지 영역 코드를 포함한다. 이 코드는 원본 게시물에서 이미지 정보가 제공될 영역의 크기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f an image is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the original post includes an image area code for deliver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viewer as intended by the publisher, the copyright holder. This cod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area in the original post where the image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텐츠 정보인 이미지 정보는 더미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이미지 패키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게시자의 저작권을 보호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nformation, which is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mage package additionally including dummy information, thereby protecting the publisher's copyright.

이와 같이 더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패키지의 제공은,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는, 열람자 단말기(240)의 브라우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리퍼러(referrer)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리퍼러 정보는 경우에 따라서 열람자 단말기(240)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를 통한 저작권 보호 기능의 동작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As such, the provision of the image package including the dummy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may be executed in a browser of the viewer terminal 240, and may provide an image package corresponding to referrer information. The referr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the viewer terminal 240 in some cases. The operation of the copyright protection function via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리퍼러 정보는 웹 상의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로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aa.com'의 주소를 가지는 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서핑하는 경우, 그 웹 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 링크 등을 통하여 'bbb.com'사이트의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bbb.com'의 웹 서버 로그에 그 방문자의 이전 서핑 위치에 관한 (즉, 'aaa.com'사이트에 관한) 정보가 남겨질 수 있다.Referrer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a path for accessing content on the web. For example, if a user surfs a webpage of a site having the address of 'aaa.com' using a web browsing program, the webpage of the 'bbb.com' site through a hyperlink included in the webpage. In the process of moving to 'bbb.com', the web server log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visitor's previous surfing location (ie, about 'aaa.com' site).

이러한 리퍼러 정보를 이용하면,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정보에 접근하는 경로가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리퍼러 정보에 기반하여 원본 게시물에 포함되어 정상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컨텐츠 정보가 원본 게시물에 속하지 않은 형태로 별개로 제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Using such referrer information, a path for acces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ferr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and normally provided separately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람자 단말기(240)를 통해 획득될 수 도 있다. 이는 리퍼러 정보의 획득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시물 제공 서버(200)에 의하여 열람자 단말기(240)로 제공되는 원본 게시물은 리퍼러 정보 확인을 위한 실행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it may be obtained through the viewer terminal 240. This may be prepared for the case where there is an obstacle in obtaining the referrer information. To this end, the original post provided by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to the viewer terminal 240 may include execution code for checking the referrer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패키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패키지는 플래시(flash) 기술을 기반으로 한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버라이트(silverlight) 및 액티브 엑스(ActiveX), 자바 애플릿(Java Applet)과 같은 기술에 기반한 패키지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information into an image package. The image package may be configured as a package based on flash technology, or may be packaged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silverlight, ActiveX, and Java Applet.

한편, 원본 게시물에는 컨텐츠 정보로서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구성하는 코드가 포함된다. 이 코드에는 이미지 패키지를 호출하는 이미지 패키지 지원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post includes code constituting an area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s content information. This code can include image package support code that calls the image package.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는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리퍼러 정보에 상응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이미지 패키지를 제공함으로써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may serve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by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image packages corresponding to referrer information requesting image information.

일 예로,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원본 게시물이 정상적으로 브라우징 되는 경우, 해당 포스트에 포함된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는 이미지 자체에 상응하는 이미지 패키지를 호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riginal post is normally browsed in the viewer terminal 240,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cluded in the post may call an image pack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tself.

또한,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가,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되어, 별개의 복사 게시물에 포함되어 수행되는 경우, 더미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이미지 패키지가 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s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and included in a separate copy post, the image package additionally including dummy information may be called.

한편, 이미지 패키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의 브라우저에 설치되는 별도의 플러그-인(plug-in)이나 액티브-엑스(Active-X) 프로그램이 요구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n image package, a separate plug-in or active-X program installed in a browser on the user terminal side may be required in some cases.

도 10을 참조하면, 원본 게시물이 정상적으로 브라우징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이미지 정보는 별도의 더미 정보가 부가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result of the original post being normally browsed is illustrated. In FIG. 10, image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dummy information is not added.

도 11을 참조하면, 더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패키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 미지 표시 영역(620)에는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와 그에 오버래핑(overlapping)된 워터마크가 도시되어 있다. 워터마크는 원본 게시물과 관련된 도메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n image package including dummy information is shown. The image display area 620 shows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and a watermark overlapping it. The watermark may include dom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post.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추가 정보 표시 영역(630)을 두어 원본 게시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본 게시물의 저작권자가 작성한 다른 게시물에 관한 링크 등의 정보가 추가 정보 표시 영역(630)에 더미 정보로서 포함되었다. 원본 게시물을 참조하는 하이퍼링크가 이미지 패키지에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1,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area 630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pos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such as a link about another post made by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post is included as dummy information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area 630. Of course, hyperlinks that refer to the original post can be inserted into the image package.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워터마크, 하이퍼링크 등을 더미 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원본 게시물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 정보에 대한 게시자의 저작권을 간접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더미 정보를 통해 복사 게시물에서 원본 게시물로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watermark, hyperlink, etc. as mentioned above as dumm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publisher on the image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of the original post. In addition, an access means for accessing the original post from the copy pos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ummy information.

한편, 원본 게시물에서 이미지 정보 제공 영역 지원 코드의 삽입 여부와 삽입 위치는 게시자 단말기(23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에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및 이미지 정보의 배치 위치에 종속적일 수 있다.Meanwhile, whether or not to insert the image information providing area support code in the original post may be dependent on whether the imag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ublisher terminal 230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게시물 생성부(204)는 팝업 영역 지원 코드 삽입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 영역 지원 코드 삽입부(207)는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정보에 팝업 영역 지원 코드를 부가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post generator 204 may include a popup area support code inserter 207.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nsertion unit 207 may add the pop-up area support code to the conten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original post.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영역 제공 기능의 동작을 예시한 도 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동작들 중에서 도 3에서 설명된 동작들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p-up area provi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ope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mong the operations illustrated in FIG. 12 will be omitted.

팝업 영역 지원 코드에 의하여, 더미 정보로서 원본 게시물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원본 게시물과 관련된 정보에는 저작권자의 명칭, 저작권자의 다른 게시물을 참조하는 링크 및 원본 게시물을 참조하는 링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By the pop-up area support code, an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post as dumm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riginal post may include the name of the copyright holder, a link to the other post of the copyright holder, and a link to the original post.

한편, 팝업 영역 지원코드는 그 코드가 위치하여 수행되는 영역의 리퍼러 정보에 상응하여 팝업 영역을 활성화함으로써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p-up area support code can perform a function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by activating the pop-up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errer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code is located.

일 예로, 원본 게시물이 블로그의 포스트인 경우, 포스트에 포함된 팝업 영역 지원 코드는 그 포스트가 해당 블로그에서 정상적으로 브라우징 될 경우에 팝업 영역을 시각화하지 않는다. For example, if the original post is a blog post,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ncluded in the post does not visualize the pop-up area when the post is normally browsed on the blog.

한편, 팝업 영역 지원 코드가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되는 경우에 있어서, 별개의 복사 게시물에 포함되어 실행되는 팝업 영역 지원 코드는 팝업 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팝업 영역은 복사 게시물에서 원본 게시물로 접근할 수 있는 수단 등의 더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s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ncluded in the separate copy post and executed may activate the pop-up area. The activated popup area may provide the user with dummy information such as a means for accessing the original post from the copy post.

이러한 팝업 영역의 활성화(시각화) 여부는 리퍼러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리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팝업 영역 지원 코드가 원본 게시물에 포함되어 수행되는 것인지, 복사 게시물에 포함되어 수행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팝업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ther to activate (visualize) the pop-up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ferrer inform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s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or the copy post using the referrer information, and accordingly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pop-up area.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복사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n original post is brow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copy post is browsed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of FIG. 13.

도 14를 참조하면, 원본 게시물이 정상적으로 제공될 경우를 나타내는 도 13과는 달리, 팝업 영역(710)이 브라우저에 의하여 시각화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pop-up area 710 is visualized by the browser, unlike FIG. 13, in which the original post is normally provided.

한편, 팝업 영역 지원 코드는 컨텐츠 정보의 종류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더미 정보 팝업 영역이 시각화 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복수 개의 더미 정보 팝업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pup area support code may be inserted independently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tent information. Although one dummy information popup area is visualiz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dummy information popup areas may be provided in some cases.

또한, 원본 게시물에서 팝업 영역 지원 코드가 물리적으로 삽입되는 위치 역시 게시자 또는 게시물 제공 서버(200)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where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s physically inserted in the original post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ublisher or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operator.

도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게시물 생성부(204)의 기능은 서로 각각 독립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원본 게시물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the post generating unit 204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4 may be provided in independent forms, respectively, but may be applied together in one original post.

도 15는 도 10의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복사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앞서 언급된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 삽입부(205),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 삽입부(206) 및 팝업 영역 지원 코드 삽입부(207)가 모두 적용된 결과를 예시한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copy post includ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of FIG. 10 is browsed. FIG. 15 illustrates a result of applying the above-mentioned dummy text support code inserter 205,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serter 206, and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nserter 207.

도 15을 참조하면 더미 텍스트 정보 표시(810), 팝업 영역(820), 이미지 패키지 표시 영역(830)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5, a dummy text information display 810, a popup area 820, and an image package display area 830 are illustrated.

더미 텍스트 정보 표시(810)는 더미 텍스트 지원 코드 삽입부(205)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동작은 앞서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다만, 도 6과 달리 더미 텍스트 정보 표시(810)는 밑줄을 포함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었으며, 컨텐츠 정보인 텍스트의 표현 속성 중 색깔을 변화시키는 형태로 더미 정보가 제공되었다. The dummy text information display 810 may be provided by the dummy text support code inserter 205. Detailed operations thereof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8. However, unlike FIG. 6, the dummy text information display 810 is provided in a form not including an underscore, and dummy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form of changing a color among expression properties of text that is content information.

이미지 패키지 표시 영역(830)은 이미지 패키지 지원 코드 삽입부(206)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동작은 앞서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The image package display area 830 may be provided by the image package support code inserting unit 206, and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1.

팝업 영역(820)는 팝업 영역 지원 코드 삽입부(207)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동작은 앞서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The pop-up area 820 may be provided by the pop-up area support code inserter 207, and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저작권 보호 코드는 리퍼러의 정보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열람자 단말기로부터 리퍼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그램(일 예로, 플래시 파일)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referrer.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program (eg, a flash file) for obtaining referrer information from the viewer terminal.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S130)는 게시물 제공부(208)가 열람자 단말기(240)로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Referring back to FIG. 2, in operation S130, an original post is provid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viewer terminal, and the post providing unit 208 provides the original post to the viewer terminal 240.

열람자 단말기(240)는 게시물 제공 서버(200)로 접속하여 원본 게시물을 열람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열람자 단말기(240)와 게시자 단말기(230)는 그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구분되는 명칭에 불과하므로, 열람자 단말기(240)로서 게시자 단말기(230)와 동일한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The viewer terminal 24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accesses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to view the original post. Since the viewer terminal 240 and the publisher terminal 230 are only names distinguished according to who the user is, the same device as the publisher terminal 230 may be used as the viewer terminal 24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본 게시물은 에이치티엠엘(HTML)등으로 작성된 전 자 문서이며,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게시물 제공 서버(200)와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20)는 인터넷 상에서 원본 게시물을 제공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original post is an electronic document written in HTML, etc., and is stored in the post database 220.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post database 220 provide original posts on the Internet.

사용자가 열람자 단말기(240)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주소 창에 해당 원본 게시물과 관련된 유알엘(URL)을 입력하거나, 해당 원본 게시물을 참조하는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 열람자 단말기(240)는 게시물 제공 서버(200)로 원본 게시물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When the user enters a URL related to the original post in the address bar of the browser program running on the viewer terminal 240 or clicks a link referring to the original post, the viewer terminal 240 may provide a post providing server. The original pos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200.

이에 대한 응답으로, 게시물 제공 서버(200)는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원본 게시물 정보를 열람자 단말기(240)로 전송함으로써 원본 게시물을 제공한다. 제공된 원본 게시물 정보의 시각화는 열람자 단말기(240)의 브라우징 프로그램이 담당하게 된다. In response,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the original post by transmitting the original post information stored in the post database 220 to the viewer terminal 240. The visualization of the provided original post information is in charge of the browsing program of the viewer terminal 240.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코드는 브라우징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may be processed by the browsing program. Since the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 요소(element)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게시자 단말기(230), 게시물 제공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240) 및 게시물 데이터 베이스(220)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Meanwhile, each element illustrated in FIG. 2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sher terminal 230, the post providing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post database 220 may be performed through a network.

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ADSL, VDSL, Wi-Fi, WIBRO 및 HSDPA 등의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하여 LAN 및 WA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VPN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기술 이외에도 각 요소들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어떤 형태의 네트워크 기술이라도 채용 가능하다. The network use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LAN and WAN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DSL, VDSL, Wi-Fi, WIBRO, and HSDPA, and technologies such as VPN may be used to enhance security.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technologies, any type of network technology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elements may be employed.

한편, 게시물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게시물 제공 방법을 구현한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st providing method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a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post providing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do not necessarily have a hardware configuration, and som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of a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pos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더미 텍스트 정보 제공 기능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ummy text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of a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게시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ginal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원본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n original post of FIG. 4 is browsed.

도 6는 도 5의 화면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선택하여 위지위그 편집기로 복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 result of selecting text information from the screen of FIG. 5 and copying the text information to the Wiziwig editor.

도 7은 도 6의 위지위그 편집기를 에이치티엠엘(HTML) 편집 모드로 설정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the Wiegig editor of FIG. 6 is set to an HTML edit mode.

도 8은 도 5의 화면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선택하여 텍스트 편집기로 복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 result of selecting text information from the screen of FIG. 5 and copying it to a text edito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 제공 방법의 이미지 패키지 제공 기능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package providing function of a pos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n original post is brow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복사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py post includ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of FIG. 10 is brows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영역 제공 기능의 동작을 예시한 도 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p-up area provi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n original post is brow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복사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copy post includ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of FIG. 13 is browsed.

도 15는 도 10의 원본 게시물로부터 복사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복사 게시물이 브라우징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copy post includ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pied from the original post of FIG. 10 is brows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게시물 제공 서버 202: 컨텐츠 정보 획득부200: post providing server 202: cont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4: 게시물 생성부 205: 더미 텍스트 정보 삽입부204: Post generation unit 205: Dummy text information insertion unit

206: 이미지 패키지 삽입부 206: image package insertion unit

207: 팝업 영역 삽입부207: pop-up area insertion unit

208: 게시물 제공부 220: 게시물 데이터베이스208: Post provider 220: Post database

230: 게시자 단말기 240: 열람자 단말기230: publisher terminal 240: reader terminal

620: 이미지 표시 영역 630: 추가 정보 표시 영역620: image display area 630: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area

710: 팝업 영역710: pop-up area

810: 더미 텍스트 정보 표시810: Display dummy text information

820: 팝업 영역820: popup area

830: 이미지 패키지 표시 영역830: Image package display area

Claims (17)

게시물 제공 방법으로서,How to provide posts, 게시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Obtain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n original post by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viewer terminal,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상기 열람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열람자 단말기로 하여금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causes the reader terminal to be executed when executed by the reader terminal. 상기 원본 게시물이 상기 컨텐츠 정보의 게시자가 의도한 제 1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더미 정보를 시각화하지 않게 하고,   If the original post is provided in a first manner intended by the publisher of the content information, do not visualize the dummy information, 상기 제 1 방식으로 제공된 상기 원본 게시물이 복사되어 상기 컨텐츠 정보의 상기 게시자가 의도하지 않은 제 2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더미 정보를 시각화하게 하는   Visualizing the dummy information when the original post provided in the first manner is copied and provided in a second manner not intended by the publisher of the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How to give a pos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상기 열람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열람자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복사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더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를 리턴하게 하는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when executed by the viewer terminal, causes the viewer terminal to return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dummy information in response to receiving a copy request for all or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pos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미 정보는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의 브라우징 속성을 변경하는 The dummy information changes a browsing attribute of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give a pos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미 정보는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에 상기 원본 게시물과 관련된 유알엘(URL)을 참조하는 하이퍼링크를 부가하는 The dummy information includes a hyperlink referring to a URL related to the original post to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How to give a pos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미 정보는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가 반복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The dummy information allows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to be repeatedly provided. 게시물 제공 방법.How to give a post.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의 속성을 지정하는 <span>태그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is implemented using a <span> tag that specifies an attribute of text included in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give a pos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span>태그는 상기 <span>태그 내의 정보의 클래스(class)를 지정하고, 상기 클래스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더미 정보의 속성을 변경하는 The <span> tag designates a class of information in the <span> tag, and changes an attribute of the dummy information by controlling an attribute of the class.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give a post. 게시물 제공 방법으로서,How to provide posts, 게시물 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Obtaining image information from a post terminal;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더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n image package including dummy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제공 영역 지원 코드를,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 원본 게시물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 제공 영역 지원 코드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리퍼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이미지 패키지를 제공함- 와,Inserting a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area support code for providing the image information,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into an original post-The image information providing area support code corresponds to the referrer information requesting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with,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viewer terminal, 상기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복사되어 상기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더미 정보가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부가될 수 있게 하는When all or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allows dummy information to be added to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give a pos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더미 정보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결합되는 워터마크, 상기 원본 게시물을 참조하는 하이퍼링크 및 상기 원본 게시물의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The dumm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termark coupled to the image information, a hyperlink referring to the original post, and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original post. 게시물 제공 방법.How to give a pos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미지 패키지는 플래시(flash)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The image package is constructed based on flash technology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give a pos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미지 패키지는 실버라이트(silverlight)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The image package is based on silverlight technology 게시물 제공 방법. How to give a post. 게시물 제공 방법으로서,How to provide posts, 게시물 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Obtaining image information from a post terminal; 더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팝업 영역을 지원하는 코드를 저작권 보호 코드로서 삽입하여 저작권 보호 코드를 갖는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팝업 영역 지원 코드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는 리퍼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팝업 영역을 시각화함- 와,Inserting a code supporting a popup area capable of displaying dummy information as a copyright protection code to generate an original post hav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wherein the popup area support code corresponds to a referrer information requesting the image information; Visualize the pop-up area;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viewer terminal, 상기 원본 게시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복사되어 상기 원본 게시물과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더미 정보가 상기 복사된 컨텐츠 정보에 부가될 수 있게 하는When all or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iginal post is copi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post, 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allows dummy information to be added to the copied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방법.How to give a pos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on a computer. 제 6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6 on a computer. 제 7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7 on a computer.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8 on a computer. 게시물 제공 시스템으로서,As a post delivery system, 게시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정보 획득부와,A cont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publisher terminal;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권 보호 코드를 부가하여 원본 게시물을 생성하는 게시물 생성부와,A pos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original post by adding a copyright protection cod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열람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본 게시물을 제공하는 게시물 제공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po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original pos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reader terminal,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상기 열람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열람자 단말기로 하여금The copyright protection code causes the reader terminal to be executed when executed by the reader terminal. 상기 원본 게시물이 상기 컨텐츠 정보의 게시자가 의도한 제 1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더미 정보를 시각화하지 않게 하고,   If the original post is provided in a first manner intended by the publisher of the content information, do not visualize the dummy information, 상기 제 1 방식으로 제공된 상기 원본 게시물이 복사되어 상기 컨텐츠 정보의 상기 게시자가 의도하지 않은 제 2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더미 정보를 시각화하게 하는   Visualizing the dummy information when the original post provided in the first manner is copied and provided in a second manner not intended by the publisher of the content information. 게시물 제공 시스템.Post delivery system.
KR1020070111627A 2007-11-02 2007-11-02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KR100986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27A KR100986332B1 (en) 2007-11-02 2007-11-02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27A KR100986332B1 (en) 2007-11-02 2007-11-02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685A KR20090045685A (en) 2009-05-08
KR100986332B1 true KR100986332B1 (en) 2010-10-08

Family

ID=4085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627A KR100986332B1 (en) 2007-11-02 2007-11-02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3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40B1 (en) * 2014-09-17 2015-05-28 어니컴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WO2022231378A1 (en) * 2021-04-29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Content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which use dummy med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055A (en) * 1998-10-02 2000-04-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and device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recording medium where copyright protecting program is record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055A (en) * 1998-10-02 2000-04-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and device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recording medium where copyright protecting program is record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685A (en)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7042B2 (en) Content rende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8129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digital content
KR101477763B1 (en) Message catalogs for remote modules
US2010031325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using a virtual layer within a web browsing environment
JP5233220B2 (en) Page additional information sharing management method
KR20110009675A (en) Method and system to selectively secure the display of advertisements on web browsers
CN104035753A (en) Double-WebView customized p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CN107807937B (en) Website SE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TWI434192B (en) Directly through the gateway device automatically in the web browser to insert the toolbar tool method
US2012019832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to Write on Web Pages
KR20110127584A (en) A system for collecting other web&#39;s contents by wysiwyg method and method for the same
CN102193789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alizing configurable skip link
KR100986332B1 (en)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US8849692B1 (en) Online advertising program enrollment program
KR101111956B1 (en) System for providing substance about monitoring of compu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6285714A (en) Web content browsing/editing system, web content browsing/editing method and web content browsing/editing program
US10218673B2 (en) Web cont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11177614A (en) Source tracking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content to third party of webpage
Kim et al. WebDAV-based hypertext annotation and trail system
KR101062215B1 (en) How to hyperlink various types of sub web pages to web pages created in web service systems and hyper text markup languages
JP5088269B2 (en) Scre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16991694B (en) Webpage operation acquisition method
Marjuni et al. Implementation of Text Copy Prevention on Content Management System based Website
KR20090012943A (en) Method and system of serving post replicating content
JP2011065618A (en) Method of protecting website copyright and html source inform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implement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