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940B1 -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940B1
KR101522940B1 KR1020140123481A KR20140123481A KR101522940B1 KR 101522940 B1 KR101522940 B1 KR 101522940B1 KR 1020140123481 A KR1020140123481 A KR 1020140123481A KR 20140123481 A KR20140123481 A KR 20140123481A KR 101522940 B1 KR101522940 B1 KR 10152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document
document file
us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영만
Original Assignee
어니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니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니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9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HTML document by converting content posted on an online page into the HTML document to a user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generate a HTML document for desired content. The generated HTML document is effectively utilized in other service such as blogs or cafes, in which the HTML document can be attached, by the user.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tabase to store one or more source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image, video, audio, and text by classifying the source content based on kinds of the source content and to map the source content on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ost generation unit to provide the source content to an online page in which notice material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ost material template; and a post document providing unit to provide a document file to a user terminal of the user by generating the document file for the notice material when an input for a document file generation request button to generate a document file including at least one source content arranged on the notice material is received from the user.

Description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제작하기에 편리한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to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종래에는 인터넷에 게재된 이미지, 동영상이나 텍스트 등의 콘텐츠를 다른 여러 온라인 공간(예를 들어, 블로그, SNS 사이트, 카페 등)에 업로드하고 전달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유저가 직접 해당 컨텐츠를 복사하거나 링크를 붙여 넣어야만 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upload and deliver contents such as images, video or text displayed on the Internet to other online spaces (for example, blogs, SNS sites, cafes, etc.), an Internet user directly copies or links the contents I had to put it.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이미지나 동영상 등은 복사가 어려운 경우 등도 있으며,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여 파일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로 사용자가 편집을 하여야만 하였다. However, in such a case, there are cases in which copying of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is difficult. In case of storing the contents and storing the contents as a file, the user has to edit the contents separately.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btain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3788호 (공개일 : 2014.01.10)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003788 (Publication date: 2014.01.10)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된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간단하게 HTML 문서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convert contents displayed on an online page into an HTML document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and provide the HTML document to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HTML 문서로부터 콘텐츠를 추출하여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extracting contents from an HTML document uploaded by a user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contents on an online pag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게시물을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물에 관한 사용자의 문서 생성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source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Providing a containing post on an online page; And generating a posting document for the posting and providing the posting document to the user when receiving a document creation request of the user regarding the posting.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소스 콘텐츠를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sourc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one piece of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또한, 상기 게시물을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소스 콘텐츠를 상기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한다.The step of providing the post on the online page also provides the source content stored on the online page in association with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또한, 상기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HTML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 publication document for the post and providing the post document to the user may include generating an HTML document including the source content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t, and providing the generated HTML document to the user.

또한, 상기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 상기 소스 콘텐츠 또는 게시물의 저작권자나 최초 공유자 정보 및 상기 게시물의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HTML 문서에 포함되도록 상기 HTML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 publication document for the post and providing the post to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ource content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t, the copyright holder or initial sharer information of the source content or post, And generating the HTML document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HTML document.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HTML 문서를 다른 포맷의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the HTML documen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of another format.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포함한 게시문서를 수신하거나, 게시문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문서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소스 콘텐츠를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게시문서에 대응하는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물을 상기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conten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extracting a source content from the publication document and receiving each of the extracted source content as a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publication document including a source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Generating a post corresponding to the posted document by storing the posted document in association with the posting document; And displaying the post on the online page.

또한, 상기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복수 개의 소스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 콘텐츠를 선택되지 않은 다른 소스 콘텐츠들과 분리하여 각각 게시문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 publication document for the post and providing the post document to the user includes: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ource contents included in the post through user input; And separating the selected source content from other source content that is not selected and generating each of the selected source content as a publication document.

또한, 상기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게시물에 대한 편집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페이지를 통하여 수정된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 publication document for the post and providing the publication document to the user includes: providing an edit page for the post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publication document for the modified post through the edit page and providing the publication document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할 때, 상술한 콘텐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that includes computer program code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 한편,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할 때, 상술한 콘텐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viding method.

또 한편,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장치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게시물을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게시물 생성부; 및 상기 게시물에 관한 사용자의 문서 생성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게시문서 제공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post generation unit for providing, on an online page, a post including source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image, moving picture, audio and text; And a posting document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 posting document for the posting and providing the posting document to the user when receiving a document creation request of the user regarding the posting.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소스 콘텐츠를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the sourc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one piece of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게시물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소스 콘텐츠를 상기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한다.Further, the post generator provides the source content stored on the online page in association with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또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HTML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Also, the posted document providing unit generates an HTML document including the source content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t, and provides the generated HTML document to the user.

또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 상기 소스 콘텐츠 또는 게시물의 저작권자나 최초 공유자 정보 및 상기 게시물의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HTML 문서에 포함되도록 상기 HTML 문서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source content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t, at least one of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initial sharer information of the source content or the post, and the URL information of the post, And generates the HTML document.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HTML 문서를 다른 포맷의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HTML documen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of another format.

또한, 상기 게시물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포함한 게시문서를 수신하거나, 게시문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문서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소스 콘텐츠를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게시문서에 대응하는 게시물을 생성하고, 상기 게시물을 상기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posting document including the sourc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or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ting document from the user terminal, the posting generating unit extracts the source content from the posted document, And stores the post in association with the database, thereby generating a post corresponding to the post document and displaying the post on the online page.

또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복수 개의 소스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 콘텐츠를 선택되지 않은 다른 소스 콘텐츠들과 분리하여 각각 게시문서로 생성한다.Also, the posted document providing unit may selec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ource contents included in the post through a user input, separate the selected source content from other source contents that are not selected, and generate a post document as a post document.

또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게시물에 대한 편집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편집 페이지를 통하여 수정된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Also,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sion unit provides an edit page for the post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 post document for the modified post through the edit page, and provides the post document to the user.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로 다른 규격과 방식으로 구성된 콘텐츠들을 규격화된 하나의 게시물로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호환성 있는 하나의 문서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HTML 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HTML 문서는 블로그, 카페 등 HTML 문서가 첨부될 수 있는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esent content composed of different standards and methods as a single standardized post and provide it as a compatible document to a user .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n HTML document for the desired content, and the generated HTML document can be easily utilized by a user in other services to which an HTML document such as a blog or a cafe can be attach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소스 콘텐츠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source content provided by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시스템은 네트워크(N)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콘텐츠 제공장치(200)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n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N).

사용자 단말(100)은 콘텐츠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접속하여 콘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임의의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온라인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임의의 콘텐츠는 온라인 페이지의 게시물에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링크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콘텐츠들이 포함된 게시물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게시물에 대한 HTML 문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HTML 문서를 따로 저장하거나 블로그나 카페 등에 업로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an online pag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nd receives arbitrary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 The online page refers to an Internet page provided so that contents provided from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confirmed through a web browser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arbitrary content may be data included in a post of an online page, for example, an image, a moving image, a text, a link, and the like. When the user selects a post containing such contents, an HTML document for the selected post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the user can save the HTML document or upload it to a blog or a cafe.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콘텐츠들이 포함된 게시물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게시물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포함하는 문서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부가적으로 생성된 문서를 다른 전자 문서 형태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provides a post includ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document including contents included in the post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may convert the additionally generated document into another electronic document form.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as a server.

여기서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network N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 television, a wearable device, or the like, which can be connected to a remote server through the network N or connected to other terminals and servers.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notebook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each of which is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mart Phone, Mobile WiMAX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the television may include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an Internet television (TV), a terrestrial TV, a cable TV, and the like. Further, the wearable devic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f a type that can be directly worn on a human body, such as a watch, a pair of glasses, an accessory, clothes, shoes, and the lik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콘텐츠 제공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10), 게시물 생성부(220), 게시문서 제공부(230) 및 게시문서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database 210, a posting generating unit 220, a posting document providing unit 230, and a posting document providing unit 230.

데이터베이스(210)는 하나의 게시물이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콘텐츠로 구성될 때, 이러한 소스 콘텐츠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소스 콘텐츠들은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게시물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콘텐츠들은 테이터베이스 내에서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게시물이 몇 줄 정도로 기재된 텍스트와 3장의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텍스트와 사진 이미지들은 그 종류가 구별되도록 테이블로 저장되되,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다. The database 210 stores these source content when one pos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source content such as an image, a moving picture, audio, text, and the like. These source content may be uploaded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In addition, at least one source content included in one post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For example, if a post includes text written in a few lines and three photographic images, these text and photographic images are stored in a table so that their types are distinguished, but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single piece of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게시물 생성부(220)는 게시물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게시물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시물은 도 3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게시물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게시물은 이미지, 텍스트 등 게시물에 포함되는 소스 콘텐츠들과 게시물을 생성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post generation unit 220 generates a pos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post may be displayed for the user to be viewed through a browser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 post may be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form of FIG.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posts are shown, each of which includes source content included in a post, such as an image, text, and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created the post.

한편, 게시물 생성부(220)는 사용자가 소스 콘텐츠가 포함된 HTML 문서나 HTML 문서의 위치정보를 콘텐츠 제공장치(200)로 제공할 경우, HTML 문서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여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나 텍스트 같은 소스 콘텐츠들은 테이블 상에서 구별되는 위치에 저장되도록 지정되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하여 브라우저를 통하여 제공된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목, 내용에 관한 텍스트와 관련 이미지를 첨부하고 업로드할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HTML 문서로 상기 텍스트와 관련 이미지를 전송하며, 게시물 생성부(220)는 상에서는 각각의 텍스트, 이미지가 구별되어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도록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템플릿 형태로, 텍스트, 이미지 등을 게시물로 제공한다. 게시물 생성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게시물 제공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게시물을 선정한 후, 선정된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소스 콘텐츠들을 독출한다. 그리고 독출된 소스 콘텐츠들을 미리 설정된 게시물 템플릿에 따라 배열되도록 하여 게시물을 구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TML document or the HTML document including the sourc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e post generation unit 220 extracts the source content from the HTML document and associates the source content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10. At this time, the source contents such as image, moving image, audio or text are designated to be stored in a position distinguished on the table, and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attaches text and related images to a title and a related content on an online page provided through a browser to create a post,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text and the related image as an HTML document The post generation unit 220 stores texts and images separated and associated with one piece of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ext, images, and the like in a predetermined template form as a post. When a post provid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post generating unit 220 selects a pos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in response to the post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ost, The contents are read out. The read source contents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st template to form a post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0.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게시문서 생성요청을 수신할 경우, 게시물을 가공하여 게시문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할 수 있도록 게시문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게시물의 일 영역에 형성된 게시문서 생성 버튼을 사용자가 클릭할 경우,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게시문서 생성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문서는 게시물을 문서화한 파일로서, HTML 파일일 수 있다. 또한,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게시문서가 소스 콘텐츠인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및 오디오 뿐만 아니라, 소스 콘텐츠와 연결된 링크, 소스 콘텐츠 또는 게시물을 제작한 저작권자, 소스 콘텐츠 또는 게시물이 공유 콘텐츠일 경우 최초 공유자의 정보 및 게시물 또는 소스 콘텐츠의 URL 정보를 포함하도록 게시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HTML 에디터나 툴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게시문서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소스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까지 포함하도록 게시문서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시문서를 저장 또는 블로깅하거나 다른 온라인 게시 영역에 업로드하기 편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receives a publication docum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publication document preparation unit 230 processes the publication to generate a publication document, and provides the publication document so that the publication document can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a button for creating a publication document in one area of the publication,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er 230 may receive a publication document creation request. Here, the publication document is a file that documents the post, and may be an HTML file. In addition,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may not only be an image, a text, a moving image, and an audio, which are source contents, but also a link, a source content or a copyright holder who created a post,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publication document so as to include th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sharer and the URL information of the post or source content. In this manner, a user can easily create a publication document without using an HTML editor or a tool. By creating a publication document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content, a user can store or blog the publication document, It can be easily uploaded to the publication area.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게시문서를 다른 전자문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게시문서를 EPUB, PDF, HWP, DOC, JPG, JPEG, TIFF, GIF 등과 같은 형식의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HTML 문서는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기 최적화되어 있는 전자문서인 반면, EPUB나 PDF는 전자책을 구독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는 전자문서일 수 있다. 즉, 각 문서의 형태마다 그 목적과 특징점들이 다르므로,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게시문서를 다른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may convert the publication document into another electronic document format. For example,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can convert a publication documen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n the form of EPUB, PDF, HWP, DOC, JPG, JPEG, TIFF, GIF, While HTML documents are electronic documents that are optimized to run on the browser, EPUB or PDF can be electronic documents that are optimized for subscribing to eBooks. That is, since the purpose and the minutiae are different for each document type,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can convert the publication document into another electronic document at the request of the user.

추가 실시예로서,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하나의 게시물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게시문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시물에 이미지와 텍스트 등의 여러 개의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와 텍스트 각각을 분리하여 HTML 문서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스 콘텐츠에 포함된 대상들 중 어느 하나만 블로깅 하기를 원할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이, 선택적으로 HTML 문서 생성을 제공하는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further embodiment,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may selectively generate a plurality of source contents included in one post as a publication document. For example, if the pos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s such as an image and text,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can separate an image and text into an HTML docum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user may want to blog only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source content, thus an embodiment that selectively provides HTML document generation may provide useful functionality to the user.

다른 추가 실시예로서,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사용자가 소스 콘텐츠를 편집하여 게시문서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시문서 생성을 위한 버튼을 클릭한 후,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 하여금 소스 콘텐츠 수정여부를 질의하는 창을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를 수락한 경우, 소스 콘텐츠 수정 페이지 또는 수정 창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수정 페이지를 통해 소스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나 텍스트나 동영상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수정이 반영된 상태의 HTML문서를 생성한다.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소스 콘텐츠가 또 다른 사용자에게는 완전히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은 소스 콘텐츠 편집기능을 제공할 경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게시문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further embodiment, the publishing document provisioner 230 may allow a user to edit the source content to generate a publication document. For example, after the user clicks a button for generating a publication document,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sioning unit 230 causes the user terminal 100 to provide a window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o modify the source content,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the source content modification page or modification window. The user can modify or delete at least one of the image, text, and video links included in the source content through the modification page, and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generates an HTML document in which the modification is reflected. Since the source content uploaded by another user may not be entirely satisfactory to another user, providing such source content editing func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optimized posting document.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서,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게시문서 생성 후, 게시문서를 첨부할 영역의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곧바로 게시문서를 첨부할 수 있는 해당 영역의 콘텐츠 게재영역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소스 콘텐츠에 대한 HTML 문서 생성 후, HTML 문서를 첨부할 주소 입력을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블로그의 게시판 영역의 주소를 기입하여 콘텐츠 제공장치(200)로 전송할 경우, 게시문서 제공부(230)는 곧바로 상기 블로그의 게시판 글 쓰기 페이지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도록 리다이렉션 명령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물론, 블로그 운영자의 정책에 따라 로그인 후 글 쓰기 페이지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ea to which the publication document is to be attached from the user after the publication document is created,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immediately creates a content publication area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For example,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may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to input an address to which an HTML document is attached after generating an HTML document for the source content. When the user writes the address of the bulletin board area of his / her blog and transmits it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230 directly transmits the redirection command to the user terminal 100 to access the bulletin board posting page of the blog To the user terminal 100. (Of course,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blog operator, it may be implemented to be able to move to the writing page after logging in.)

이하, 도 4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5,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includes steps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is processed in a time-series manner. Therefore,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may be applied to the contents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FIG.

먼저,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소스 콘텐츠들을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S100). 소스 콘텐츠는 사용자나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210) 상에 업로드한 콘텐츠로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나 텍스트 등은 각각이 구별되도록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다. Firs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associates source content composed of at least one of image, moving picture, audio, and text with one piece of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210 (S100). The source content may be a content uploaded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on the database 210, and may be stored in a table such that an image, a moving image, audio, or tex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이어서,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소스 콘텐츠가 하나의 게시물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게시물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110).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게시물은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온라인 페이지 내에서 복수의 게시물이 보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gures the sourc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210 to be included in one post, and provides the post to the user terminal 100 (S110). A pos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browser or an application and can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posts are displayed in one online page.

그리고 사용자가 온라인 페이지에 게재된 복수의 게시물 중 어느 하나의 게시물에 대하여 게시문서 생성을 요청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사용자가 요청한 게시물에 대한 게시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120). 게시문서는 바람직하게 게시물에 대한 HTML 문서가 될 수 있다. When the user requests creation of a publication document 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posts displayed on the online pag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generates a publication document for the requested publication and transmits the publication document to the user terminal 100 (S120). The publication document can preferably be an HTML document for the publication.

이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게시문서를 다른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전자책 콘텐츠로 활용하기에 편리한 PDF나 EPUB 등과 같은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Subsequently,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may convert the publication document into another electronic document (S130). For example, it can be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such as a PDF or an EPUB, which is convenient for use as e-book contents.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HTML 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HTML 문서는 블로그, 카페 등 HTML 문서가 첨부될 수 있는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n HTML document for the desired content, and the generated HTML document can be easily utilized by the user in other services to which an HTML document such as a blog or a cafe can be attache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HTML 문서를 수신한다(S2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구성된 소스 콘텐츠를 첨부하여 콘텐츠 제공장치(200)로 전송할 때, 소스 콘텐츠가 포함된 HTML 문서가 전송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receives an HTML document including at least one sourc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100 (S200). For example, when a user attaches a source content composed of text or an image to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a browser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 HTML document including the source content can be transmitted have.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이러한 HTML 문서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고, 이미지나 텍스트와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S210).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extracts the source content from the HTML document and stores each component such as an image or text in the database 210 in association with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210).

이어서, 콘텐츠 제공장치(200)는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소스 콘텐츠들을 하나의 게시물로 작성하여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한다(S220). Subsequentl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creates the source content stored in association with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single post and displays it on the online page (S220).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스 콘텐츠를 HTML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HTML 문서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the source content into HTML and provide it to the user, extract the source content from the HTML document, and store the extracted source content in the database 210.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Also,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A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that are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n assembly language, or a machine language . The computer program may also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f a type (e.g., memory, hard disk, magnetic / optical medium or solid-state driv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refor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comput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being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memory and a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low-speed bus and the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variety of buses and can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mounted in any 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Where the processor may process instruction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such as to display graphical information to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an external input,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 speed interface And commands stored in memory or storage devices. As another example, multiple processors and / or multiple busses may be used with multiple memory and memory types as appropriate. The processor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hipset comprised of chips comprising multiple independent analog and / 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The 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the computing device. In one example, the memory may comprise 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In anothe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mprised of non-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The memory may also be another type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for example,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And the storage device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The storage device may be a computer readable medium or a configuration including such a mediu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devices in a SAN (Storage Area Network) or other configurations, and may be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Or a tape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imila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device arra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사용자 단말
200 : 콘텐츠 제공장치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게시물 생성부
230 : 게시문서 제공부
100: user terminal
200: Content providing device
210: Database
220:
230: Publishing Document Offering

Claims (20)

콘텐츠 제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를 각 소스 콘텐츠의 종류를 기준으로 구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 저장하며, 상기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게시물 템플릿에 따라 배열시킨 게시물을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물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문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문서파일 생성요청 버튼에 대한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대한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소스 콘텐츠와 선택되지 않은 다른 소스 콘텐츠들을 분리하여 각각 문서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추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문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다른 온라인 페이지 상으로 전송될 수 있는 파일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A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ne or more source cont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image, moving picture, audio, and text a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type of each source content, and are stored in a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one piece of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 post on the online page in which the source content is arranged according to a preset post template; And
When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for a document file creation request button for creating a document file including at least one source content arranged in the post, a document file for the post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step; / RTI >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document file and providing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terminal comprises: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source content included in the post through user input;
Separating the selected source content and other unselected source content into a document file; And
Sending, by further user input,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terminal in a file format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nother on-line page;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에 대한 HTML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document file and providing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d generates an HTML file for the post and provides the HTML file to the us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 상기 소스 콘텐츠 또는 게시물의 저작권자나 최초 공유자 정보 및 상기 게시물의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HTML 파일에 포함되도록 상기 HTML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document file and providing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terminal comprises:
Generating the HTML file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source content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t, the copyright holder or the initial sharer information of the source content or the post, and the URL information of the post are included in the HTML file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HTML 파일을 다른 포맷의 전자문서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cludes:
And converting the HTML file into an electronic document file in another form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포함한 문서파일을 수신하거나, 상기 문서파일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소스 콘텐츠를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문서파일에 대응하는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물을 상기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cludes:
When receiving a document file including source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ocument file, extracting the source content from the document file and storing the extracted sourc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Generating a post corresponding to the document file; And
Placing the post on the online pa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게시물에 대한 편집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페이지를 통하여 수정된 게시물에 대한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document file and providing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terminal comprises:
Providing an edit page for the post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document file for the modified post through the edit page and providing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computer program code for carrying out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7 and 9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7, and 9.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를 각 소스 콘텐츠의 종류를 기준으로 구별하여 저장하되 하나의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게시물 템플릿에 따라 배열시킨 게시물을 온라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게시물 생성부; 및
상기 게시물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문서파일 을 생성하기 위한 문서파일 생성요청 버튼에 대한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대한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게시문서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소스 콘텐츠와 선택되지 않은 다른 소스 콘텐츠들을 분리하여 각각 문서파일로 생성하며, 추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문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다른 온라인 페이지 상으로 전송될 수 있는 파일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A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source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 moving image, audio, and text based on the type of each source content, and storing the one or more sourc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on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ost generation unit for providing a post on the online page in which the one or more source contents are arranged according to a preset post template; And
When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for a document file creation request button for creating a document file including at least one source content arranged in the post, a document file for the post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Publishing document provisioning; / RTI >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source contents included in the post through user input, separating the selected source content and other unselected source contents into respective document files, and, by further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file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nother online p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상기 게시물에 대한 HTML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And generates an HTML file for the post and provides the HTML file to the us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물 식별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츠, 상기 소스 콘텐츠 또는 게시물의 저작권자나 최초 공유자 정보 및 상기 게시물의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HTML 파일에 포함되도록 상기 HTML 파일을 생성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Generating the HTML file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source content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t, the copyright holder or the initial sharer information of the source content or the post, and the URL information of the post are included in the HTML file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HTML 파일을 다른 포맷의 전자문서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HTML file into an electronic document file in another forma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포함한 문서파일을 수신하거나, 상기 문서파일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소스 콘텐츠를 게시물 식별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문서파일에 대응하는 게시물을 생성하고, 상기 게시물을 상기 온라인 페이지 상에 게재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st-
A method of extracting source content from a document file and storing the extracted sourc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p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document file including source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ocument file Thereby generating a post corresponding to the document file, and displaying the post on the online page.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문서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게시물에 대한 편집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편집 페이지를 통하여 수정된 게시물에 대한 문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ublication document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dit page for the post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document file for the modified post through the edit page and providing the document file to the user.
KR1020140123481A 2014-09-17 2014-09-17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KR101522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81A KR101522940B1 (en) 2014-09-17 2014-09-17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81A KR101522940B1 (en) 2014-09-17 2014-09-17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940B1 true KR101522940B1 (en) 2015-05-28

Family

ID=5339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81A KR101522940B1 (en) 2014-09-17 2014-09-17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9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160A (en) * 2015-08-03 2017-02-13 신철호 Method for Posting Selected Are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51A (en) * 2005-06-17 2006-12-21 인크루트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KR20090045685A (en) * 2007-11-02 2009-05-08 (주)태터 앤 컴퍼니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KR20090060840A (en)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Related contents provid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51A (en) * 2005-06-17 2006-12-21 인크루트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KR20090045685A (en) * 2007-11-02 2009-05-08 (주)태터 앤 컴퍼니 Article serving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KR20090060840A (en)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Related contents provid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160A (en) * 2015-08-03 2017-02-13 신철호 Method for Posting Selected Area
KR102389958B1 (en) * 2015-08-03 2022-06-27 신철호 Method for Posting Selected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58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 electronic signature via a word processing application
US10776501B2 (en) Automatic augmentation of content through augmentation services
US10255253B2 (en) Augmenting and presenting captured data
US20140344707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US9722963B2 (en) Social media message delivery based on user location
KR201700262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text in image
US20140375648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aid program
US10339175B2 (en) Aggregating photos captured at an event
CN105450677A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244974B1 (en) Server for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and methods thereof
JP62975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522940B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US9536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argeted messages based on usage of a document accessed within an internet browser
WO2014002614A1 (en) Related content retrieval device and related content retrieval method
CN113220381A (en) Click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US201501134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content
US20140344295A1 (en) Message based web content retrieval systems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thereto
US8683313B2 (en) System for processing mixed-format files
US9875066B2 (en) Single action print application creation
KR1022138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delivery,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US10970933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one or more attributes in a graphical object
TW201535295A (en) Personalized news editing system and method
US12001506B2 (e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website rendering
KR101522310B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nterest tag
KR102236102B1 (en) System for servicing recommended goods, method of servicing recommended goods and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