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823B1 - The foundation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pulling out resistance pile and this were used - Google Patents
The foundation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pulling out resistance pile and this were us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5823B1 KR100985823B1 KR1020090062855A KR20090062855A KR100985823B1 KR 100985823 B1 KR100985823 B1 KR 100985823B1 KR 1020090062855 A KR1020090062855 A KR 1020090062855A KR 20090062855 A KR20090062855 A KR 20090062855A KR 100985823 B1 KR100985823 B1 KR 100985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welded
- pull
- plastic deformation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0914 M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IVHEMVDHMDMOC-UHFFFAOYSA-N iron;manganese;methane;phosphane;silicon Chemical class C.[Si].P.[Mn].[Fe] VIVHEMVDHMDMO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발저항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반의 지중에 강관의 하부에 소성변형체를 부착한 인발저항파일을 설치하여 소성변형체의 압착 팽창으로 인하여 지상으로 인발저항파일의 부상을 방지하는 인발저항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ut resistance file and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pullout resistance file attached plastic deforma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in the ground of the ground due to the compression expansion of the plastic deformation body rise of the pullout resistance pile to the ground It relates to a pull out resistance fil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나 불량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강관말뚝 시공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강관말뚝 시공방법은 강관으로 된 말뚝을 타격 연약지반에 고정시켜 강관 내부가 빈 상태 또는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건물이나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시공함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지지력은 좋으나 지지층이 대심도에 위치할 경우에는 적용하기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강관의 표면이 부식되어 구조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is widely used to reinforce soft ground or poor ground.However, the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fixes the pile made of steel pipe to the impact soft ground so that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is empty or filled with concrete to fill the building or bridge. By constructing to support the load, the weight is light, and the supporting force is good, but when the support layer is located at a large depth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is corroded to shorten the life of the structure.
따라서, 최근에는 도시의 주거지나 소규모의 산업구조물이 연약 토사, 팽창성 토사, 침하성 토사 등에 의해 구조물 지반의 차별적인 침하방지와 기존 구조물 내의 신규 중장비 등을 설치하기 위한 국부적인 지반 보강용 및 침하 억제용으로 마이크로파일(Micro Pile)공법과 부력앵커공법을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urban settlements and small-scale industrial structures have prevented the differential settlement of the ground due to soft soil, expansive soil, sedimentary soil, and local ground reinforcement and settlement suppression to install new heavy equipment in existing structures. The micro pile method and the buoyancy anchor method are used.
상기 마이크로파일 공법은 일반적으로 250㎜ 이하의 직경을 갖는 파일을 해당 지반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천공기로 천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천공홀에 마이크로 파일을 삽입하고, 상기 마이크로 파일 주위에 시멘트밀크, 모르타르 등의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나, 상기 그라우트재가 설계대로 채워지지 않게 되어 그라우트재가 마이크로 파일에 공급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그라우트재의 미공급으로 인한 부분은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지하수에 의한 부력 및 양압 작용시 변형이 큰 단점이 있다.The micropile method generally forms a punching hole with a perforator to smoothly insert a file having a diameter of 250 mm or less into the ground, and then inserts the micropile into the drilling hole and cements around the micropile. Injecting grout material such as milk and mortar, but the grout material is not filled as designed, so that the grout material can not be supplied to the micro pile, and thus the part due to the unsupply of the grout material is structurally weak, Deformation during buoyancy and positive pressure action by groundwater has a big disadvantage.
또한, 부력앵커공법은 앵커를 사용하는데 상기 앵커는 인장부의 인장력을 마찰저항, 지압저항에 의해 지반에 저항하도록 설치되는 앵커체와 앵커 두부에서 오는 인장력을 앵커체에 전달시키는 인장부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무리 없이 인장부에 전달시키는 앵커 두부로 구성되어, 흙막이벽을 설치한 후 인장재를 가공 조립하고 지반 위에 인장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지반을 복수로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천공홀에 이물질이나 무너진 흙을 청소한 다음 상기 천공홀에 인장재를 삽입하고, 상기 인장재에 1차로 그라우트재를 충전하고, 양생과정을 거친 후 인장을 확인하여 시험하고, 인장을 위해 2차 그라우트재를 충전하는 공법이다.In addition, the buoyancy anchor method uses an anchor,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anchor body and the tension part and the structure which transmits the tensile force from the anchor head and the anchor body which is installed to resist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part to the ground by frictional resistance and acupressure resistance. It consists of an anchor head that transmits the force to the tension portion without difficulty, and after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to form a punching hole by drilling a plurality of ground so as to process and assemble the tensile material and insert the tensile material on the ground, After cleaning the foreign matter or the soil in the hole, insert the tension member into the punching hole, fill the grout material with the tension material first, check the tension after curing and test the secondary grout material for tension. It is a charging method.
상기한 부력앵커공법은 토목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지하수에 의한 부력 및 양압 발생시 변형이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이용한 시공시에는 공사비가 고가이고, 장기간 긴장에 의한 인발구조체에 크리프 변형이 발생되며, 긴장된 강선의 부식 및 스트랜드 감소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보수 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buoyancy anchor method is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sites,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deformation is small when buoyancy and positive pressure is generated by groundwater. However,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in construction and creep deformation occurs in the drawing structure due to long-term tension. In addition, it is easy to cause structural damage due to corrosion of the tensioned steel and reduction of strands, and also difficult to repair.
따라서, 상기한 부력앵커공법을 보완하기 위한 재인장 시스템의 경우에는 공사비가 일반 공사비에 비해 2∼3배로 과다하게 소요되며, 앵커 천공부분의 방수하자 많은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re-tensioning system for supplementing the buoyancy anchor method,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2 to 3 times higher than the general construction cost,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waterproofing of the anchor ho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반의 지중에 강관의 하부에 소성변형체를 부착한 인발저항파일을 설치하여 소성변형체의 압착 팽창으로 인하여 인장, 인발 및 압입에 모두 저항할 수 있어서, 부력저항과 지지력 보강으로 지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구조물을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 인발저항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pull resistance pile attached plastic deforma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in the ground of the ground due to the compression expansion of the plastic deformation, tension, drawing and indent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lout resistance pil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resist all, to maintain stability of the structure 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round by buoyancy resistance and bearing capacity reinforce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은 강관의 외주면에 소성변형체가 용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is weld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pipe.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Ⅰ); 상기 굴착공에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Ⅱ); 상기 케이싱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전하고, 인발저항파일을 삽입하는 단계(Ⅲ);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Ⅳ); 상기 인발저항파일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소성변형체를 압착 팽창시켜 인발저항체를 형성하는 단계(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excavatin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using an excavator (I); Inserting a casing into the excavation hole (II); Filling the casing with cement paste and inserting a pullout resistance pile (III); Drawing the casing (IV);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V) of hitting the upper end of the drawing resistance pile, compression-expanding the plastic deformation to form a drawing resist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은 지반의 지중에 강관의 하부에 소성변형체를 부착한 인발저항파일을 설치하여 소성변형체의 압착 팽창으로 인하여 지중토와 마찰력의 증대로 인한 인발저항력이 크게 증대됨으로써, 부력저항과 지지력 보강으로 지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구조물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ull-resisting pile attached plastic deformation to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ipe in the ground of the soil due to the compression expansion of the plastic deformation body soil soil and frictional force Since the pullout resistance is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buoyancy resistance and the support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round.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pull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의 외주면에 소성변형체(20)가 용접 설치된 구조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ull resistance pil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의 외주면에 소성변형체(20)를 설치한 후, 상기 강관(10)의 상단부를 타격에 의하여 소성변형체(20)를 외측으로 팽창시켜 원형의 인발저항체(S)를 형성함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That is, in the pull resistance pil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여기서, 상기 강관(10)은 배관용, 구조용, 열전도용·유전용·전선관용 등으로 구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외측으로 단면이 확대되는 확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강관(3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n enlarged
이와 같은 상부강관(30)은 소성변형체(20)의 압착에 의한 팽창시 외측으로의 팽창을 돕기 위한 수단이다.The
한편, 상기 소성변형체(20)는 0.2%의 탄소를 함유한 강에 1.0%의 망간을 함유하는 저망간 합금강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특히, 상기 소성변형체(2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의 경도가 양단 경도의 1∼60%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hardness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즉, 상기 강관(10)은 그 재질이 강재임에 비하여 소성변형체(20)는 강재에 비하여 경도가 저망간 합금강을 사용하여, 강관(10)의 타격에 의해서 소성변형체(20)가 쉽게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round reinforcement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a∼3e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3A to 3E are process drawings showing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G)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H)을 형성하는 단계(Ⅰ); 상기 굴착공(H)에 케이싱(C)을 삽입하는 단계(Ⅱ); 상기 케이싱(C)에 시멘트 페이스트(CP)를 충전하고, 인발저항파일(P)을 삽입하는 단계(Ⅲ); 상기 케이싱(C)을 인발하는 단계(Ⅳ); 상기 인발저항파일(P)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소성변형체(20)를 압착 팽창시켜 인발저항체(S)를 형성하는 단계(Ⅴ)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I) to excavate the ground (G)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using an excavator (I); Inserting a casing (C) into the excavation hole (H) (II); Filling cement casing (CP) into the casing (C) and inserting a drawing resistance pile (P) (III); Drawing the casing (C) (IV); The upper end of the drawing resistance pile (P), by 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G)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H)을 형성한 후, 상기 굴착공(H)에 케이싱(C)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C)에 시멘트 페이스트(CP)를 충전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CP)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C) 내에 인발저항파일(P)을 설치하되, 상기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소성변형체(20)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외측으로 단면이 확대되는 확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강관(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성변형체(20)는 0.2%의 탄소를 함유한 강에 1.0%의 망간을 함유하는 저망간 합금강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성변형체(2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의 경도가 양단 경도의 1∼60%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인발저항파일(P)을 케이싱(C) 내에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C)을 인발한 후, 상기 인발저항파일(P)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소성변형체(20)를 압착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팽창시켜 인발저항체(S)를 형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excavator to excavate the ground (G)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to form an excavation hole (H), the casing (H) in the excavation hole (H) Insert C) and fill the casing (C) with cement paste (CP), and with the cement paste (CP) filled, install a pullout resistance pile (P) in the casing (C), but The drawing resistance pile P has a
[실시예 1]Example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소성변형체(20)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외측으로 단면이 확대되는 확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강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성변형체(20)는 0.2%의 탄소를 함유한 강에 1.0%의 망간을 함유하는 저망간 합금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성변형체(2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의 경도가 양단 경도의 1∼60%로 형성되며, 상기 소성변형체(20)의 외측에 보호재(40)가 용접 부착된 구조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rawing resistance pil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즉,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과 소성변형체(20), 상부강관(30) 및 보호재(4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That is, the pull resistance pil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한 강관(10)과 소성변형체(20) 및 상부강관(30)은 본 발명의 기본과 동일하고, 단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성변형체(20)의 하단부 외측에 보호재(40)를 태그 용접한 것이다.Here, the
이와 같은 보호재(40)는 인발저항파일(P)의 상단부를 타격시 발생되는 소성변형체(20)의 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소성변형체(20)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한 것이다.Such a
즉, 소성변형체(20)의 하단부 외측을 보호재(40)가 차단하고 있음으로써, 소성변형체(20)의 전체가 외부로 압착 팽창되는 것이 아닌 소성변형체(20)의 종방향의 가운데 중앙부만을 횡방향으로 퍼지도록 하여 원하는 인발저항체(S)를 형성하기 위함이다.That is, since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round reinforcement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6a∼6e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6a to 6e are process charts showing the grou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은 지반(G)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H)을 형성한 후, 상기 굴착공(H)에 케이싱(C)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C)에 시멘트 페이스트(CP)를 충전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CP)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C) 내에 인발저항파일(P)을 설치하되, 상기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소성변형체(20)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외측으로 단면이 확대되는 확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강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성변형체(20)는 0.2%의 탄소를 함유한 강에 1.0%의 망간을 함유하는 저망간 합금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성변형체(2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의 경도가 양단 경도의 1∼60%로 형성되며, 상기 소성변형체(20)의 외측에 보호재(40)가 용접 부착되어 구성되고, 이와 같이 구성된 인발저항파일(P)을 케이싱(C) 내에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C)을 인발한 후, 상기 인발저항파일(P)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소성변형체(20)를 압착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팽창시켜 지중에 인발저항체(S)를 형성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avates the ground (G)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to form an excavation hole (H), in the excavation hole (H) Insert a casing (C), fill the casing (C) with a cement paste (CP), and in the state where the cement paste (CP) is filled, install a pull-out resistance pile (P) in the casing (C), In the drawing resistance pile P, the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은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소성변형체(20)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외측으로 단면이 확대되는 확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강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성변형체(20)는 0.2%의 탄소를 함유한 강에 1.0%의 망간을 함유하는 저망간 합금강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성변형체(2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의 경도가 양단 경도의 1∼60%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강관(30)의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연결강관(50)이 용접 부착되며, 상기 연결강관(5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보강강재(60)가 용접 부착되며, 상기 보강강재(60)의 외측과 연결강관(50)의 단부 외측에는 상단이 일정부분 확대되는 확대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7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74)로 이루어진 하부강관(7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강관(70)의 외주면에는 하부강관보호재(80)가 용접 부착되며, 상기 상부강관(30)과 하부강관(70)의 내주면에는 전단연결재(90)가 용접 부착된 구조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은 강관(10), 소성변형체(20), 상부강관(30), 연결강관(50), 보강강재(60), 하부강관(70), 하부강관보호재(80) 및 전단연결재(9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That is, the draw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여기서, 상기한 강관(10)과 소성변형체(20) 및 상부강관(30)은 본 발명의 기본과 동일하고,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는 연결강관(50), 보강강재(60), 하부강관(70), 하부강관보호재(80) 및 전단연결재(90)가 태그 용접된 것이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연결강관(50)은 강관(10)의 내주면 부근인 상부강관(30)의 확대부(32)의 내측에 용접으로 부착된 구조이다.Here, the
이와 같은 연결강관(50)은 상부강관(30)의 삽입부(34) 내에 설치된 소성변형체(20)를 인발저항파일(P)의 선단부 타격으로 인하여 횡방향 압착 팽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즉, 상기 연결강관(50)이 내측에서 소성변형체(20)가 강관(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상기 연결강관(50)의 하단부 내측에는 보강강재(60)가 용접 부착되어, 상기 연결강관(5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하부강관(70)은 보강강재(60)의 외측과 연결강관(50)의 단부 외측에는 상단이 일정부분 확대되는 확대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7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74)로 이루어진 부재이다.And the
여기서, 상기 하부강관(70)의 삽입부(74)에는 소성변형체(20)가 태그용접으로 설치되며, 이와 같은 하부강관(70)은 소성변형체(20)의 압착에 의한 팽창시 외측으로의 팽창을 돕기 위한 수단이다. Here, the
즉, 상기 소성변형체(20)의 상부는 상부강관(30)에 고정되고, 하부는 하부강관(70)의 삽입부(74)에 고정된 상태인 바, 즉 소성변형체(20)의 양단이 상, 하부강관(30, 7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소성변형체(20)의 배면은 연결강관(50)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태의 구조로써, 인발저항파일(P)의 상단부를 타격하면, 강관(10)의 압축에 의해서 상부강관(30)과 하부강관(70)과의 사이에 용접된 소성변형체(20)가 압착되면서 중앙부의 팽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하부강관(70)의 외주면에는 하부강관보호재(80)가 용접 부착되며, 이러한 하부강관보호재(80)에 의해서 상기 상부강관(30)과 하부강관(70) 간의 소성변형체(20)의 팽창시 하부강관(7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lower steel pipe
한편, 상기 상부강관(30)과 하부강관(70)의 내주면에는 전단연결재(90)가 용 접 부착되며, 이와 같은 전단연결재(90)는 전단저항파일(P)과 시멘트 페이스트(CP) 간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round reinforcement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9a∼9e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9A to 9E are process charts showing the grou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은 지반(G)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H)을 형성한 후, 상기 굴착공(H)에 케이싱(C)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C)에 시멘트 페이스트(CP)를 충전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C) 내에 인발저항파일(P)을 설치하되, 상기 인발저항파일(P)은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소성변형체(20)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강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외측으로 단면이 확대되는 확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강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성변형체(20)는 0.2%의 탄소를 함유한 강에 1.0%의 망간을 함유하는 저망간 합금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성변형체(2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의 경도가 양단 경도의 1∼60%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강관(30)의 확대부(32)의 내측에는 연결강관(50)이 용접 부착되며, 상기 연결강관(5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보강강재(60)가 용접 부착되며, 상기 보강강재(60)의 외측과 연결강관(50)의 단부 외측에는 상단이 일정부분 확대되는 확대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72)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삽입부(74)로 이루어진 하부강관(7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강관(70)의 외주면에는 하부강관보호재(80)가 용접 부착되며, 상기 상부강관(30)과 하부강관(70)의 내주면에는 전단연결재(90)가 용접 부착되어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인발저항파일(P)을 케이싱(C)에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C)을 인발한 후, 상기 인발저항파일(P)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소성변형체(20)를 압착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팽창시켜 인발저항체(S)를 형성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avates the ground (G)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to form an excavation hole (H), in the excavation hole (H) Inserting a casing (C), filling the cement paste (CP) in the casing (C), and install a pull-out resistance pile (P) in the casing (C) in the state where the cement paste is filled, the drawing resistance The pile P is formed by welding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도 3a∼3e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도시한 공정도,3a to 3e is a process chart showing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FIG. 4;
도 6a∼6e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도시한 공정도,6a to 6e is a process chart showing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out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ullout resista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FIG. 7;
도 9a∼9e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저항파일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을 도시한 공정도.9a to 9e is a process chart showing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ull resistan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강관 20: 소성변형체10: steel pipe 20: plastic deformation
30: 상부강관 32: 확대부30: upper steel pipe 32: enlarged portion
34: 삽입부 40: 보호재34: insertion part 40: protective material
50: 연결강관 60: 보강강재50: connecting steel pipe 60: reinforcing steel
70: 하부강관 72: 확대부70: lower steel pipe 72: enlarged portion
74: 삽입부 80: 하부강관보호재74: inserting portion 80: lower steel pipe protective material
90: 전단연결재 C: 케이싱90: shear connector C: casing
CP: 시멘트 페이스트 G: 지반CP: Cement Paste G: Soil
H: 굴착공 P: 인발저항파일H: Excavator P: Pull resistance pile
S: 인발저항구조체S: drawing resistance structure
Claims (2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2855A KR100985823B1 (en) | 2009-07-10 | 2009-07-10 | The foundation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pulling out resistance pile and this were us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2855A KR100985823B1 (en) | 2009-07-10 | 2009-07-10 | The foundation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pulling out resistance pile and this were us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5823B1 true KR100985823B1 (en) | 2010-10-08 |
Family
ID=4313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2855A KR100985823B1 (en) | 2009-07-10 | 2009-07-10 | The foundation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pulling out resistance pile and this were us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582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3209B1 (en) | 2015-04-28 | 2015-08-07 | 박을재 | Boring and grouting constructuring method and post with Geo tube |
KR20170140144A (en) * | 2017-12-11 | 2017-12-20 | 이강수 | Pile with reinforced t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US9863113B2 (en) | 2011-12-28 | 2018-01-09 | Posco | Steel pipe socket and method of connecting steel pipe pile and steel pipe column using the same |
KR101876414B1 (en) * | 2016-05-13 | 2018-07-10 | 이강수 | Pile with reinforced t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4718A (en) * | 1981-06-09 | 1982-12-15 | Fuji Kako Kk | Manufacture of inner cylinder unit for use in chimney |
JPS5941518A (en) * | 1982-09-02 | 1984-03-07 | Maeda Seikan Kk | Concrete pile |
JPH0579043A (en) * | 1991-09-17 | 1993-03-30 | Taisei Corp | Leg joining method for steel-pipe column |
KR100325713B1 (en) * | 1997-12-24 | 2002-06-28 | 이구택 | Method for manufacturing alloy steel wire rod and bar |
-
2009
- 2009-07-10 KR KR1020090062855A patent/KR1009858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4718A (en) * | 1981-06-09 | 1982-12-15 | Fuji Kako Kk | Manufacture of inner cylinder unit for use in chimney |
JPS5941518A (en) * | 1982-09-02 | 1984-03-07 | Maeda Seikan Kk | Concrete pile |
JPH0579043A (en) * | 1991-09-17 | 1993-03-30 | Taisei Corp | Leg joining method for steel-pipe column |
KR100325713B1 (en) * | 1997-12-24 | 2002-06-28 | 이구택 | Method for manufacturing alloy steel wire rod and ba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63113B2 (en) | 2011-12-28 | 2018-01-09 | Posco | Steel pipe socket and method of connecting steel pipe pile and steel pipe column using the same |
KR101543209B1 (en) | 2015-04-28 | 2015-08-07 | 박을재 | Boring and grouting constructuring method and post with Geo tube |
WO2016175445A1 (en) * | 2015-04-28 | 2016-11-03 | 주식회사 서호아이씨피 건설 | Cast-in-place concrete post using geotube and damage prevention device theref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101876414B1 (en) * | 2016-05-13 | 2018-07-10 | 이강수 | Pile with reinforced t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70140144A (en) * | 2017-12-11 | 2017-12-20 | 이강수 | Pile with reinforced t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38366B1 (en) * | 2017-12-11 | 2020-07-28 | 이강수 | Pile with reinforced t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35200B2 (en) | Spiral steel pipe pile | |
KR100654964B1 (en) | Reinforcing Member of Pile with an Extended Head | |
KR100985823B1 (en) | The foundation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pulling out resistance pile and this were used | |
KR100966148B1 (en) | Ground adhering soil nailing structur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JP4235661B2 (en) | Ground anchor and ground anchor method | |
KR101510297B1 (en) | A removable prestressing steel pipe soil nailing structure | |
CN106836217A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expansion end formula soil bolt or soil nailing | |
KR101236765B1 (en) | Method for placing adhesive filling into the expanded drill hole to increase bearing capacity of piles and tention members and apparatus therefor | |
KR100680113B1 (en) | The anchor | |
KR20110032980A (en) | Reinforced bearing power pile members of foundation pile | |
CN111676982A (en) | Cement-soil enclosure wall-precast pile cantilever type combined support | |
KR100908085B1 (en) | Ground adhering soil nailing structur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12482B1 (en) | A double type wing anchor | |
KR20070014547A (en) | Support reinforcement-machine fot tip of still pile pipe | |
KR102218604B1 (en) |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pile and inclined ground anchor | |
KR100984040B1 (en) |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double reinforcing execution | |
CN201874008U (en) | Discontinuous concrete grouting pile and wall structure | |
JP4705468B2 (en) | Drainage pipe with deterrent function | |
WO2016208990A1 (en) | Anchor having fixing device at side of pressure plate to depress land slop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CN111441368A (en) | Deep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951872B1 (en) | The ground reinforcement apparatus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 |
RU76029U1 (en) | COMPOUND PILET JOINT | |
KR101182802B1 (en) | a Complex Micro Pile | |
KR100869369B1 (en) | The ground reinforcement apparatus and method grouting type using bundle steel pipe | |
KR100742775B1 (en) | The anchor having conical jacke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