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510B1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510B1
KR100984510B1 KR1020080063925A KR20080063925A KR100984510B1 KR 100984510 B1 KR100984510 B1 KR 100984510B1 KR 1020080063925 A KR1020080063925 A KR 1020080063925A KR 20080063925 A KR20080063925 A KR 20080063925A KR 100984510 B1 KR100984510 B1 KR 10098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tim
data
cluster
cluster hea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887A (ko
Inventor
김진상
조원경
라키불 이슬람 무하마드
이길두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5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NCAP(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가 클러스트 내의 모든 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에게 트레이닝 비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각 WTIM이 상기 트레이닝 비트를 수신받아 채널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각 WTIM이 상기 채널 예측결과와 보내고자 하는 센서 데이터를 클러스터 헤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클러스트 내의 각 WTIM이 전송된 데이터를 통합(aggregation)하여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선택 결과를 상기 클러스트 내의 모든 WTIM 측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 측에 데이터 송신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명령에 따라,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이 상기 NCAP 측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Coopera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는 특정 영역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감지 및 수집하여 무선 통신 기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분산된 영역에 걸쳐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노드(monitoring node, NM)가 데이터 기록, 관리 및 특정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데이터 수집노드(data gathering node, DGN)에게 다중 홉(multi-hop)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센서노드는, RF 송수신기, A/D와 D/A 변환기, 기저대역 프로세서, 그 밖의 응용 인터페이스들이 집적되어 하나의 완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센서노드는 소형 배터리로 동작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이 네트워크의 수명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설계 시에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한편, IEEE에서는 IEEE 1451 이라 명명된 스마트 센서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정해왔다. IEEE 1451 표준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이며, 그 중 IEEE 1451.5는 애플리케이션과 센서와의 무선인터페이스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표준이다. IEEE 1451.5 표준에서는 데이터 수집노드를 NCAP(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로, 센서노드 측을 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으로 표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은, NCAP(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가 클러스트 내의 모든 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에게 트레이닝 비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각 WTIM이 상기 트레이닝 비트를 수신받아 채널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각 WTIM이 상기 채널 예측결과와 보내고자 하는 센서 데이터를 클러스터 헤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클러스트 내의 각 WTIM이 전송된 데이터를 통합(aggregation)하여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선택 결과를 상기 클러스트 내의 모든 WTIM 측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 측에 데이터 송신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명령에 따라,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이 상기 NCAP 측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예측에 소모되는 에너지(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1
)는 수학식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2
를 통해 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클러스터 헤드(WTIM1)에서 데이터를 통합하는데 필요한 비트당 에너지 Eda는 수식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3
를 통해 산출되며, 여기서, C0 와 C1 및 C2는 소프트웨어와 CPU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이다.
그리고, 상기 NCAP 및 WTIM는 IEEE 1451.5 표준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은, 다중 센서들이 다중 안테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채널 상태에 따라 여러 개의 활성화된 안테나 가운데 몇 개의 선택된 안테나만을 사용하여 협력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로서, IEEE 1451.5 표준에 따라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데이터 수집 노드인 NCAP(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10)와, NCAP(10)에 무선으로 연결된 몇 개의 변환기 인터페이스 모듈(WTIM, 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20)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센서는 WTIM(20)과 연결되어 센싱 데이터를 채널(h)를 통해 NCAP(10)로 전송한다. 여기서, NCAP(10)는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고, 하나의 WTIM(20)에 하나의 안테나가 사용되어 N개의 WTIM(20)이 N개의 전송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한다. 채널 상태는 먼 거리의 수신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에서 중요한 이슈이다. 만약 클러스터 헤드가 더 좋은 채널 상태를 가진 센서들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그 선택된 센서들만이 전송을 하게 한다면 전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Na개의 액티브 WTIM(20)이 작동되고 있는 MISO 시스템의 수신신호는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4
채널 행렬 H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각각의 H행렬의 구성요소가 분산이 1이고 평균이 0인 대칭형 복소수 가우시안 랜덤변수라고 가정한다. 또한, 각 프레임의 전송시에 페이딩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총 에너지 소비를 예측하기 위해서 회로전력과 전송전력이 모두 고려하였으며, 수신된 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해서 손실모델(loss model)을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할 무 선 센서 네트워크의 변조방식은 uncoded MQAM인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
전체 전력 소비는 전송전력 Pout의 함수인 전력 증폭기의 전력소비 PPA와 회로의 전력 소비 PC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5
여기서, 증폭기의 전력은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7
이고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8
는 드레인 효율이고
Figure 112008047850938-pat00009
는 피크대 평균비이다. MQAM에서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0
이고 최적의 성상도 크기를 위한 심벌당 비트 수는 b = log2M 로 정의한다. 채널이 AWGN 잡음을 갖는 k멱수의 패스 손실을 가질 경우,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1
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2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3
: 주어진 BER값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비트당 평균에너지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4
: 전송 비트율
d : 전송 거리
Gt : 전송기의 안테나 이득
Gr : 수신기의 안테나 이득
λ: 캐리어 파장
Ml : 하드웨어의 프로세서 변화와 그외의 배경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링크 마진
Nf : 수신기의 잡음 지수, Nf = Nr/N0 로 정의된다.( Nr 은 수신기 입력단에서 전체 유효한 잡음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
N0 : 상온에서의 온도 잡음 PSD
여기서, 회로전력은 다음의 [수학식 4]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5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6
: 전송기의 회로전력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7
: 수신기의 회로전력
Pmix : 믹서의 전력소비 값
Psyn : 주파수 합성기의 전력소비 값
Pfilt : 전송기의 액티브 필터의 전력소비 값
Pfilr : 수신기의 액티브 필터의 전력소비 값
PLNA : LNA의 전력소비 값
PIFA : 중간대역 증폭기의 전력소비 값
PDAC : D/A 변환기의 전력소비 값
PADC : A/D 변환기의 전력소비 값
여기서, 비트당 총 에너지 소비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18
여기서 Rb는 실제 비트율이고
Figure 112010033331716-pat00019
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닝 심벌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0
는 채널을 예측하기 위해서 각각의 블록에 삽입된다. 블록 크기는 심벌F와 같고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1
이다. 여기서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2
는 심벌률이고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3
는 페이딩 간섭시간이다. 페이딩 간섭시간은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4
이다. 여기서 최대 도플러 쉬프트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5
Figure 112010033331716-pat00026
이며, v는 속도이고, λ는 캐리어의 파장이다. 전체 에너지 소비는 Ebt에 곱과 전송되는 비트 수 Li를 곱하여 계산된다.
상술한 수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활성화된 안테나 가운데 채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된 안테나만을 사용함으로써 다중 센서들이 다중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여, 몇 개의 태스크가 각 WTIM(20)에서 상호협력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즉, 페이딩 채널에서 MIMO(MISO 와 SIMO 그리고 MIMO를 포함) 기법을 사용하면 에너지가 절약되는 것처럼,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개의 WTIM(20)들이 MISO(Multi-Input Single-Output)기반 협력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에너지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 수집 노드인 NCAP(10)와, 센서의 데이터 신호를 NCAP(10)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4개의 WTIM으로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가정하고, WTIM1이 클러스터 헤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클러스터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헤드(WTIM1)는 협력통신의 코디네이터 역할을 할 수 있다.
먼저, NCAP(10)는 모든 WTIM(WTIM1, WTIM2, WTIM3, WTIM4)에게 트레이닝 비트를 계속해서 보낸다(S10).
각 WTIM(WTIM1, WTIM2, WTIM3, WTIM4)은 트레이닝 비트를 수신받아 채널을 예측한다(S20).
각 WTIM(WTIM2, WTIM3, WTIM4)은 채널 예측결과와 보내고자 하는 센서 데이터를 클러스터 헤드(WTIM1)에 보낸다(S30).
클러스터 헤드(WTIM1)는 각 WTIM(WTIM2, WTIM3, WTIM4)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합(aggregation)하고 채널상태가 양호가 몇 개의 우수한 WTIM을 선택한 후(S40), 그 결과를 각 WTIM(WTIM2, WTIM3, WTIM4) 측에 송신한다(S50).
클러스터 헤드(WTIM1)는 선택된 우수한 채널상태를 가진 WTIM(WTIM3, WTIM4)만이 NCAP(10)으로 데이터를 보내도록 명령을 보낸다(S60).
이에, 선택된 WTIM(WTIM3, WTIM4)들이 NCAP(10) 측에 데이터를 송신한다(S70).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체 에너지는 다음의 [수학식 6]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27
여기서 클러스터 헤드(WTIM1)가 선택된 WTIM내에 포함되면 x = Nb-1 이고 그 외에는 x = Nb 이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28
는 채널예측에 소모되는 에너지이며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29
여기서 채널예측은 한 프레임 동안 한번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될 데이터 크기에 필요한 채널예측 횟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데이터 크기 Li는 프레임 크기 F로 나눠진다. ECh는 전송될 데이터 비트당 채널예측에 필요한 에너지이며 28μJ/bit/signals 을 사용한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30
는 채널 예측결과를 클러스터 헤드(WTIM1)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Eda는 클러스터 헤드(WTIM1)에서 데이터를 통합하는데 필요한 비트당 에너지값이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31
상기 [수학식 8]은 알고리즘의 복잡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L은 전송 비트의 수이고 C0 와 C1 및 C2는 협력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와 CPU 파라미터 등 협력통신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본 설명에서는 빔포밍(beam forming)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5 nJ/bit/signals 값을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Figure 112010033331716-pat00032
는 나머지 WTIM(WTIM2, WTIM3, WTIM4)으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비트당 전송에너지 값이다.
Figure 112010033331716-pat00044
는 i=1부터 i=Na까지 각 WTIM마다 데이터가 통합된 후 남은 데이터의 비율이며 다른 WTIM과의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선택된 WTIM들이 모든 데이터를 수집한 후에 Nb(선택된 노드들의 수)개의 노드는 전송 시퀀스를 인코딩한다.
Figure 112010033331716-pat00033
는 long-haul MISO 전송을 위하여 필요한 비트당 에너지값을 의미한다.
SISO 통신방식에서는 채널예측에 대한 오버헤드가 없으며 클러스터 헤드(WTIM1)는 모든 통합된 데이터를 협력통신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상대 원격 노드로 전송한다. 따라서 SISO방식의 전체 에너지 소비는 다음의 [수학식 9]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47850938-pat00034
여기서
Figure 112008047850938-pat00035
는 SISO long haul 전송에 필요한 에너지를 의미하고 최적화된 성상도 크기를 갖는 Nb=1 인 MISO 전송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하여 계산될 수 있다. 최적화된 성상도 크기는 다양한 거리상에서 여러 가지 성상도 크기를 이용하여 통신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값을 시뮬레이션하여 가장 최소화되는 에너지값을 갖는 성 상도의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거리별 액티브 WTIM(Na)의 개수와 선택된 WTIM(Nb)의 개수에 따른 최적의 성상도 값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3은 Na=4일 경우 거리별 최적 성상도 크기이고, 도 4는 Na=8일 경우 거리별 최적 성상도 크기이다.
시뮬레이션 시에는 알라모티(Alamouti) 방식을 사용하여, 두 개의 전송 안테나를 가진 알라모티 코드는 첫 심벌 기간 동안에는 두 개의 다른 심벌 "s1 and s2" 를 사용하고 다음 심벌 기간 동안에는 "
Figure 112008047850938-pat00036
"를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접속 표준인 IEEE 1451.5를 고려하여, 채널상태가 우수한 품질을 갖는 센서노드를 선택하여 MISO 협력통신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값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값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NCAP(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
20 : 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

Claims (4)

  1. NCAP(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가 클러스트 내의 모든 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에게 트레이닝 비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각 WTIM이 상기 트레이닝 비트를 수신받아 채널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각 WTIM이 상기 채널 예측결과와 보내고자 하는 센서 데이터를 클러스터 헤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클러스트 내의 각 WTIM이 전송된 데이터를 통합(aggregation)하여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선택 결과를 상기 클러스트 내의 모든 WTIM 측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가 상기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 측에 데이터 송신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명령에 따라, 채널상태가 우수한 소정 개수의 WTIM이 상기 NCAP 측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예측에 소모되는 에너지(
    Figure 112010033331716-pat00037
    )는 수학식
    Figure 112010033331716-pat00038
    를 통해 산출되며, 여기서, Li는 데이터 크기, F는 프레임 크기, Ech는 전송될 데이터 비트당 채널예측에 필요한 에너지,
    Figure 112010033331716-pat00045
    는 채널 예측결과를 클러스터 헤드(WTIM1)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헤드(WTIM1)에서 데이터를 통합하는데 필요한 비트당 에너지 Eda는 수식
    Figure 112010033331716-pat00039
    를 통해 산출되며, 여기서, C0 와 C1 및 C2는 협력통신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CAP 및 WTIM는 IEEE 1451.5 표준에 따라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KR1020080063925A 2008-07-02 2008-07-02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KR10098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25A KR100984510B1 (ko) 2008-07-02 2008-07-02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25A KR100984510B1 (ko) 2008-07-02 2008-07-02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87A KR20100003887A (ko) 2010-01-12
KR100984510B1 true KR100984510B1 (ko) 2010-10-01

Family

ID=4181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925A KR100984510B1 (ko) 2008-07-02 2008-07-02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337B1 (ko) * 2012-09-24 2015-04-07 한국과학기술원 계층적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905A (ko) * 2004-12-14 2006-06-19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를 위한 마스터 무선 단말 선정 방법
US20060262721A1 (en) 2005-04-26 2006-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eiving data in a sensor network
KR100653271B1 (ko) 2005-06-30 2006-12-05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알에프 출력 신호 제어 방법
KR100694295B1 (ko) 2005-11-04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싱 정보 관리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905A (ko) * 2004-12-14 2006-06-19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를 위한 마스터 무선 단말 선정 방법
US20060262721A1 (en) 2005-04-26 2006-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eiving data in a sensor network
KR100653271B1 (ko) 2005-06-30 2006-12-05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알에프 출력 신호 제어 방법
KR100694295B1 (ko) 2005-11-04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싱 정보 관리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87A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i et al. Energy-efficiency of MIMO and cooperative MIMO techniques in sensor networks
Wang et al. A realistic power consumption mode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devices
CN101569113B (zh) 利用发射分集的wcdma功率节省
US8838162B2 (en) Power control method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09513061A5 (ko)
Pei et al. How many RF chains are optimal for large-scale MIMO systems when circuit power is considered?
Gai et al. Energy efficiency of cooperative MIMO with data aggreg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Zhang et al. Optimal transmission range for minimum energy consump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1777970A (zh) 利用均值和协方差信息的自适应多天线接收传输方法
Sommer et al. Low-power wide-area networks for industrial sensing applications
Zhao et al. Distributed opportunistic transmiss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2958109A (zh) 一种无线传感器网络的节点能量自适应管理策略
Kuo et al.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strategies for MIMO underwater acoustic networking
KR101231912B1 (ko) 빔 포밍 벡터의 반복적 갱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신기
Jie et al. Energy efficiency of virtual MIMO transmission schemes for cluster-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984510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통신 방법
Simóo et al.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f underwater acoustic networks using fountain codes
Islam et al. Energy efficient cooperative MIMO in wireless sensor network
CN116388828A (zh) 一种基于无线能量传输的双智能反射面辅助中继协作通信系统及工作方法
He et al. Energy-efficient cooperative MIMO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Grira et al. Energy efficiency of Cooperative MIMO in wireless sensor networks over Rayleigh fading Channel
KR20110130146A (ko) 전송 파워 결정 방법
Islam et al. Energy efficient cooperative technique for IEEE 1451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Ghosh et al. TSS: an energy efficient communication scheme for low power wireless networks
KR20100000286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