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146A - 전송 파워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파워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146A
KR20110130146A KR1020100049641A KR20100049641A KR20110130146A KR 20110130146 A KR20110130146 A KR 20110130146A KR 1020100049641 A KR1020100049641 A KR 1020100049641A KR 20100049641 A KR20100049641 A KR 20100049641A KR 20110130146 A KR20110130146 A KR 20110130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ower
data
transmiss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498B1 (ko
Inventor
최영완
서정태
김광진
손병희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49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최소 전력 및 전송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이 개시된다.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송신기에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와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파워 결정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최소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전송 에러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파워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또는 Ubiquitous Sensor Network)는 다수의 센서를 분산 배치하여 네트워크화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각종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집 및 처리하여 관리자에게 탐지된 자료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통상의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첫째, 자기구조(Self-Organizing) 능력이 있으며, 둘째, 단거리 방송(Broadcast) 커뮤니케이션 및 다중 홉 라우팅(Multi-hop Routing)의 특징을 가지며, 셋째, 센서 노드가 과밀하게 배치(Dense Deployment)되며, 넷째, 센서 노드간에 협동적인 노력을 수행하며, 다섯째, 전파 페이딩 및 센서 노드의 장애에 의해 급변하는 토폴로지를 갖고, 여섯째, 센서 노드의 초소형화된 구조로 인해 사용 에너지, 전송 출력, 메모리 및 컴퓨팅 능력에 제한을 가진다.
종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들은 배터리로 운용되는데 노드의 배터리 수명이 유한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수신 시 소비 파워를 줄이고 작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전송되는 파워의 세기를 제어하여 전송 파워가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송 파워 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명령을 전송하는 폐루프 파워 제어 방식이 있다. 파워 제어 방법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 적절한 파워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 시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TPC 방법은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대략적인 전송 파워를 결정한 후, 일정 정도로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전송 파워 레벨을 1 증가 또는 1 감소시키면서 적절한 전송 파워를 결정하였다. 따라서 기존에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반복 루프(loop) 수가 많아서 결정 방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서 비효율적이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파워를 효과적으로 결정하고, 전송 파워 결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파워 결정 방법은, 송신기에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와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파워(PTX)는
Figure pat00001
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PTX _ old는 이전에 데이터 전송 시의 파워이고, MDSS는 노드에서 패킷의 손실 없이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파워 범위(minimum detectable signal strength, MDSS)이고, RSSI는 수신 신호 세기 지표이다.
여기서, 상기 파워 결정 범위 MDSS는
Figure pat00002
와 같이 REF값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PN은 최소 잡음 전력(noise floor)이고, REF는 수신 노드에서 패킷 에러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SNR(signal to noise ratio)이다.
그리고 상기 최소 잡음 전력 PN은,
Figure pat00003
와 같이 RSS와 SNR값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RSS는 상기 수신기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 대 잡음비 SNR은 수신된 CV값을 통해 산출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파워 결정 방법은, 최초 최대 파워(
Figure pat00004
)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시 기존의 파워(PTX _ old)와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및 상관도를 이용하여 파워(PTX)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파워(PTX) 값을 전송 파워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송신 단계에서 데이터 송신에 실패하는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관관계(correlation)를 이용하여 한 번의 루프를 통해 최소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송 파워 결정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출력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최소 전송 파워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서 저전력으로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서 SNR과 CV 사이의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서 RSSI와 CV 사이의 그래프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송신기(transmitter)와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기(node)로 구성되며, 송신기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가능 영역 내에는 복수의 수신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와 전파 상태, 수신기 또는 송신기의 이동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데, 데이터의 송수신 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전송 파워를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전송 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적절한 크기의 전송 파워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저전력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송 파워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송 파워 결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송신기에서 전송한 소정의 데이터(DATA)에 대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의 수신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및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저전력 및 최적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으며, 특히, 단일 단계만으로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송신기(transmitter)는 계산된 소정의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계산된 최대의 전송 파워(
Figure pat00005
)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기(node N)는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면 TPC 요청 신호 즉, 데이터 수신에 대한 ACK를 전송한다. 여기서, ACK 패킷(packet)에는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 또는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송신기는 ACK을 수신하면 수신된 ACK 패킷에 포함된 RSSI와 CV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을 계산하고 패킷 손실이 없는 수신 파워 범위 (minimum detectable signal strength, MDSS)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송신기는 산출된 MDSS와 수신된 응답 신호의 RSSI를 고려하여 송신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최적 전송 파워(PTX)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최적 전송 파워(PTX)는 패킷 손실이 없는 수신기의 수신 감도와, 기존의 파워(PTX _ old), 수신기에서의 수신 파워 세기 지표값으로 구할 수 있다.
한편, 패킷 에러률(packet error ratio, PER)은 RSSI와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통신 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수신 노드의 최소 수신 파워 MDSS(minimum detectable signal strength)는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신호 대 잡음비는 CV값에 의해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신호 대 잡음비SNR과 상관도 CV에 대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데이터 통신 시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 MDSS는 PRR이 1 내지 1에 가까운 값을 갖는 소정의 범위로 결정된다.
상세하게는, MDSS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수신된 ACK의 CV를 통해 산출된신호 대 잡음비 SNR의 크기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그리고 수학식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패킷 수신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비교적 정확한 파워 결정 범위 MDSS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REF는 패킷 에러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SNR(signal to noise ratio)이고, PN은 노이즈 플로어 또는 최소 잡음 전력(noise floor)이며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구할 수 있으며, 신호 대 잡음비 SNR(signal to noise ratio)는 수신된 CV와 SNR의 관계 그래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 내지 3을 통해 결정된 최적 전송 파워(PTX)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저전력 및 에러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PTX) 결정 방법을 알고리즘으로 도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계산된 최대의 전송 파워(
Figure pat00009
)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서 수신기에서 수신된 ACK 패킷에 포함된 RSSI와 CV를 수신한다.
그리고 송신기는 수신된 RSSI와 CV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전송 파워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술한 전송 파워(PTX)로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는 수신기에 데이터 전송을 재요청하고, 재요청에 의해 수신기에서 전송된 ACK에 포함된 RSSI와 CV를 고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 전송 파워(PTX)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이 성공한 경우에는, 수신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ACK를 전송하고, 송신기는 수신된 ACK에 포함된 RSSI와 CV를 고려하여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에 성공한 전송 파워(PTX)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수신 감도가 변화된 경우에는 전송 파워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는 항상 저전력 및 패킷의 손실 없이 최적의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수신된 ACK의 RSSI와 CV를 이용하여 PER을 최소화하고 전력 소모가 작은 저전력 최적의 전송 파워를 단일 단계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시행착오(trial and error) 방식으로 여러 단계의 폐루프를 거쳐서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기에서 1회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통해 최적 전송파워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송 파워 결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된 ACK의 RSSI와 CV를 고려하여 최적의 전송 파워가 결정되므로 패킷 에러율 PER을 최대화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파워 결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와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PTX)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Figure pat00010

    (여기서, PTX _ old는 파워 결정 단계 이전에 데이터 전송 시의 파워이고, MDSS(minimum detectable signal strength)는 수신기에서 패킷의 손실이 없는 최소 수신 파워 결정 범위이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관도 CV에서 산출된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 CV는 수신된 패킷에서 산출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DSS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Figure pat00011

    (여기서, 상기 REF는 패킷 에러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호대잡음비 SNR(signal to noise ratio)이고, PN은 노이즈 플로어 또는 최소 잡음 전력(noise floor)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N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Figure pat00012
  6. 최대 파워(
    Figure pat00013
    )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시 파워(PTX _ old)와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및 상관도를 이용하여 파워(PTX)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파워(PTX)와 최소 전송 파워(
    Figure pat00014
    )를 비교하고 두 값 중 큰 값을 전송 파워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송신 단계에서 데이터 송신에 실패하는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KR1020100049641A 2010-05-27 2010-05-27 전송 파워 결정 방법 KR10117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41A KR101171498B1 (ko) 2010-05-27 2010-05-27 전송 파워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41A KR101171498B1 (ko) 2010-05-27 2010-05-27 전송 파워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46A true KR20110130146A (ko) 2011-12-05
KR101171498B1 KR101171498B1 (ko) 2012-08-06

Family

ID=4549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641A KR101171498B1 (ko) 2010-05-27 2010-05-27 전송 파워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15B1 (ko) * 2013-05-23 2015-01-1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바디 센서 디바이스 및 이의 전송 파워 제어 방법
CN113596970A (zh) * 2021-08-05 2021-11-02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讲终端功率控制方法、系统、对讲终端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1486B (en) * 1996-03-29 2000-03-22 Minnesota Mining & Mfg Method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especially in the assembly of diaphragm valves
KR102162003B1 (ko) 2014-04-14 2020-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15B1 (ko) * 2013-05-23 2015-01-1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바디 센서 디바이스 및 이의 전송 파워 제어 방법
CN113596970A (zh) * 2021-08-05 2021-11-02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讲终端功率控制方法、系统、对讲终端和存储介质
CN113596970B (zh) * 2021-08-05 2023-11-21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讲终端功率控制方法、系统、对讲终端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498B1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es et al. On power contr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System model, middleware component and experimental evaluation
JP614046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US20130029591A1 (en) Method for cooperative data transmission among terminals, and method for lustering cooperative terminals for same
CN105723777B (zh) 使用超低功率节点的无线接口的无线信道分配
Yigit et al. A survey on packet size optimization for terrestrial, underwater, underground, and body area sensor networks
KR10161535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Gao et al. AdapLoRa: Resource adaptation for maximizing network lifetime in LoRa networks
KR101171498B1 (ko) 전송 파워 결정 방법
US96147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ource device in contents sharing system
US2007028610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witching Protocol
Zhang et al. Lower bound of energy-latency tradeoff of opportunistic routing in multihop networks
Howitt et al. Energy efficient power control policies for the low rate WPAN
Nguyen et al. Probing packet retransmission scheme in 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nergy harvesting
Aldahdouh et al. Optimizing the energy consumption level in lorawan networks
Daabaj et al. Reliable routing scheme for indoor sensor networks
Yang et al. A power control algorithm based on non-cooperative gam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Nikodem et 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based on packet reception rate
Predojev et al. Energy-delay tradeoff analysis in embedded M2M networks with channel coding
Dorling et al. Improving aerially deployed sensor networks using cooperative communications
KR20060066905A (ko)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를 위한 마스터 무선 단말 선정 방법
JP5594189B2 (ja) 干渉判定方法、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Kone et al. Energy-network performance trade-off in a slotted IEEE 802.15. 4 network with acknowledged uplink transmissions
Banitalebi et al. Self-optimized collaborative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090093543A (ko) 무선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2564567B1 (ko) 6TiSCH 네트워크 내 6P 프로토콜의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