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377B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377B1
KR100984377B1 KR1020090106647A KR20090106647A KR100984377B1 KR 100984377 B1 KR100984377 B1 KR 100984377B1 KR 1020090106647 A KR1020090106647 A KR 1020090106647A KR 20090106647 A KR20090106647 A KR 20090106647A KR 100984377 B1 KR100984377 B1 KR 10098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radle
socket
frame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운흥
김성규
노동익
Original Assignee
(주)매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듭 filed Critical (주)매듭
Priority to KR102009010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or orientation or public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되는 제2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는 튜브 형태로,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됨으로서, 안전하고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팽창, 수축, 유체, 튜브, 고정부, 프레임부, 거치대

Description

거치대{STAND}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영리, 비영리적 의도로 특정 정보를 일반 공중에게 알리거나, 상거래에 종사하는 자가 자신의 상호, 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광고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고판의 예로, 주로 자신의 상호를 알리기 위해 건물 외벽 등에 부착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부착식 간판이나, 건물, 나무, 가로등 등 지상 고정물 사이에 드리우는 형태로 사용되는 현수막, 지면 등 통상적인 바닥면에 세워 놓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입식 광고판들이 있다.
이들 중 입식 광고판은, 상술한 벽면 부착용 간판이나 현수막 등과는 달리,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위치 점유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입식 광고판은 소정 형태의 거치대에 광고시트를 걸거나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거치대가 단단한 합성수지, 나무, 금속 등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행자가 보행 중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가다 걸려 넘어지거나 모서리에 긁혀 크고 작은 상처를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대처능력이 떨어지 는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다. 또한, 입식 광고판은 어느 정도의 무게와 부피를 가지므로, 이를 운반하기가 수월치 않으며,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안전하고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제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되는 제2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는 튜브 형태로,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텐션막, 그리고 상기 텐션막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체를 출입시키는 제1 주입/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복수개의 프레임편, 그리고 하나의 상기 프레임편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편을 결속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상기 프레임편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편을 닫힌 고리 형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수평판, 그리고 상기 수평판 하면에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이 상기 수평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U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박구, 그리고 상기 압박구보다 더 안쪽의 상기 몸체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구조물을 고정하는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후면 중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1 소켓, 그리고 상기 제1 소켓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2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제2 소켓은 각각, U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박구, 그리고 상기 압박구보다 더 안쪽의 상기 몸체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튜브 형태의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커버 조립체와 결합되고, 그 둘레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커버 조립체를 통해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커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끼워지고,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 그리고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를 축으로 회전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 하단을 끼워 고정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는, U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박구, 그리고 상기 압박구보다 더 안쪽의 상기 몸체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구를 가압하는 탄성마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가지는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서, 보행자 또는 작업자가 이에 부딪히더라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고정부 모두에 광고물이나 전시물을 설치할 수 있어, 광고 및 전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베이스부에 유체를 출입시키는 주입/배출구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이 끝난 거치대의 부피를 극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이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서, 제작비, 인건비, 물류비 등 전반적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일측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광 고나 그 밖의 전시물을 거치시키는 장치로,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100)는 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베이스부(140)는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제1 프레임부(110)는 텐션막(111) 및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프레임부(110)는 풍선, 비치볼, 튜브, 공기 주입식 매트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PVC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거치 대상물을 지지해야 하는 제1 프레임부(110)의 특성상 강도 및 탄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폴리에틸렌 수지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110)는 위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진 시트를 마름질 한 후, 고주파 용접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에 적합한 용접방법을 통해 접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제1 프레임부(110)는 부딪혀도 안전할 뿐만 아니라 내측에 채워지는 유체를 배출하면, 그 부피를 극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운반, 보관이 용이하여 물류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텐션막(111)은 시트 그 자체로, 프레임(112)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텐션막(111)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112)은 내측으로 공기나 가스와 같은 유체가 주입될 시 소재의 특성상 원형으로 되려는 성질이 있는데, 텐션막(111)은 설정된 제1 프레임부(110)의 형상에 맞게 프레임(112)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의 텐션막(111)을 도시하였지만,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텐션막(111)을 제조 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1 프레임부(11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프레임(112)의 일측에는 유체를 출입시키는 제1 주입/배출구(113)가 형성된다. 프레임(112)은 제1 주입/배출구(113)를 통해 유체를 배출시켜 그 부피를 극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10)의 텐션막(111) 전면에는 예컨대, 광고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광고시트는 볼트, 핀, 클립 및 자석 등 다양한 부착수단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된다. 즉,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는 서로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마찬가지로, 텐션막(121),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양면 타입으로,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 양쪽 모두에 광고물이나 전시물을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광고효과나 시각적 전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의 상단에서 이들을 동시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130)는 수평판(131) 및 소켓부(132)를 포함한다. 수평판(131)은 소켓부(132)의 기울기를 부여하고, 소켓부(132)가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동시에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이들 을 상부로부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평판(131)은 거치대(100)의 최상층으로, 광고물이나 전시물을 거치시키는 거치대(100)의 특성상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그 상면에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구조물을 고정하는 보스(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스(131a)에 결합되는 구조물로는 안내판, 광고 풍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소켓부(132)는 수평판(131)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소켓부(132)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이 수평판(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하나의 소켓부(132)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1 프레임부(110)와 다른 하나의 소켓부(132)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120)가 이루는 경사도는 한 쌍의 소켓부(132)가 수평판(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루는 상대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소켓부(132)는 몸체(132a), 압박구(132b) 및 삽입저지구(132c)를 포함한다.
몸체(132a)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의 단부 형상에 적합하도록 대략 U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너비를 길게 형성하고, 양단의 이격 거리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의 단부 폭보다 좁게 형성해야 한다. 압박구(132b)는 몸체(132a)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압박구(132b)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연질의 고분자 수지로 제조되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를 가압하여 이들이 소켓부(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저지구(132c)는 압박구(132b)보다 몸체(132a)의 더 안쪽에 돌출되어 형 성된다. 이러한 삽입저지구(132c)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의 더 이상의 삽입을 막아 몸체(132a)의 저면과 이들 사이에 작업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막대나 도구를 넣어 제1 프레임부(110) 또는 제2 프레임부(120)를 밖으로 밀면, 이들을 고정부(130)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삽입저지구(132c)는 거치대(100) 해체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삽입저지구(132c)는 제1 프레임부(110) 또는 제2 프레임부(120)가 각각 동일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여,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가 균형을 이루며 바닥이나 베이스부(140)에 세워지도록 한다.
베이스부(140)는 가벼운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넘어지거나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의 하단을 지지한다. 베이스부(140)는 연질의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일측에 제2 주입/배출구(141)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40)도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와 마찬가지로, 그 부피를 극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40)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를 지지해야 하므로, 공기나 가스와 같은 유체가 주입되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이나 모래 등이 주입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 조립체(15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베이스부(140) 또는 제2 프레임부(120)와 베이스부(140)를 동시에 고정하는 장치로, 베이스커버(151) 및 하단 고정부(152)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151)는 베이스부(140)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 되는데, 그 형태는 크기만 다를 뿐, 소켓부(132)와 유사하다. 즉, 베이스커버(151)는 몸체(151b), 압박구(151c) 및 삽입저지구(151d)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소켓부(132)의 몸체(132a), 압박구(132b) 및 삽입저지구(132c)와 형태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베이스커버(151)의 외부면 일측에는 결합구(151a)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구(151a)는 하단 고정부(152)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한편, 하단 고정부(152)는 제1 프레임부(110) 또는 제2 프레임부(120)의 하단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하단 고정부(152)도 베이스커버(151)와 마찬가지로, 소켓부(132)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즉, 하단 고정부(152)도 몸체(152c), 압박구(152d) 및 삽입저지구(152e)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단 고정부(152)의 외부면 일측에는 베이스커버(15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51a)에 결합되어 이를 축으로 회전하는 결합공(152a)이 형성되는데, 이로써, 설치각도에 구애 받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거치대(1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부(110)와 베이스부(140) 또는 제2 프레임부(120)와 베이스부(140)는 베이스커버(151)와 하단 고정부(15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베이스커버 조립체(150)를 통해 동시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공(152a)에는 탄성마개(152b)가 구비되어 결합구(151a)를 탄성에 의해 계속적으로 가압하여 결합구(151a)와 결합공(152a)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베이스부(140)가 고정부(130) 및 베이스커버 조립체(150)를 통해, 결합하여 하나의 거치대(100)를 쉽게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들(130, 150)을 통 해, 쉽게 해체되어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베이스부(140)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질의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 부피를 극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제1 프레임부(210), 제2 프레임부(2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200)는 베이스부(14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부(210)는 프레임편(211) 및 결속구(2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편(211)은 바 타입의 튜브로 형성된다. 이때, 결속구(212)는 프레임편(211)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프레임편(211)을 닫힌 고리 형태로 결속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텐션막(111)은 프레임(112)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텐션막(111)의 역할을 결속구(212)가 대신 하므로, 제1 프레임부(210)는 사각테 형태로 중심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부착되는 광고시트나 전시물은 프레임편(211)에 볼트, 핀, 클립 및 자석 등 다양한 부착수단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부(220)는 제1 프레임부(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부(220)도 제1 프레임부(21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편(221)과 결속구(22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구(212)를 통해, 제1 프레임부(210) 및 제2 프레임부(220)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각각의 프레임편(211, 221)도 제1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 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300)는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300)는 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프레임부 및 고정부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320)는 제1 프레임부(110)의 후면 일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2 프레임부(3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크기만 다를 뿐 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부(320)는 프레임(321) 및 텐션막(3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부(320)는 광고시트나 전시물을 거치시키기 위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제2 프레임부(120, 220)와는 달리,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부(110)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허리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보다 제1 프레임부(110)의 거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330)는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320)를 동시에 고정하고, 위와 같은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320)의 설치구조에 부합되도록 제1 소켓(331) 및 제2 소켓(3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소켓(331) 및 제2 소켓(332)은 제1 프레임부(110)의 측단부와 제2 프레임부(320)의 상단부를 결속시켜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320)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부들끼리 선접촉된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소켓(331) 및 제2 소켓(332)은 장착의 편의를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소켓(331) 및 제2 소켓(332)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132)의 내부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소켓(331) 및 제2 소켓(332)은 각각 몸체(331a, 332a), 압박구(331b, 332b) 및 삽입저지구(331c, 332c)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소켓부(132)의 그것들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300)는, 제1 프레임부(110)가 제2 프레임부(320)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본 발명 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부(110)와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형태의 제2 프레임부(320)를 설명하였지만, 제조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제1 프레임(110)의 너비방향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편의 형태로도 제2 프레임부(32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400)는 제1 프레임부(210), 제2 프레임부(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400)는 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단순 조합한 것이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 내지 400)는 제1 프레임부(110, 210)와 제2 프레임부(120, 220, 320)를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부(130, 330)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나타낸 다양한 거치대(100 내지 400)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조합을 통해서도 다양한 거치대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400 : 거치대 110, 210 : 제1 프레임부
111 : 텐션막 112, 122 : 프레임
113, 123 : 제1 주입/배출구 120, 220, 320 : 제2 프레임부
130, 330 : 고정부 131 : 수평판
132 : 소켓부 140 : 베이스부
141 : 제2 주입/배출구 150 : 베이스커버 조립체
151 : 베이스커버 151a : 결합구
152 : 하단 고정부 152a : 결합공
152b : 탄성마개

Claims (16)

  1. 튜브 형태로,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되며, 튜브 형태로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고정하는 베이스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커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 및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가 끼워져 있는 하단 고정부
    를 포함하는 거치대.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텐션막, 그리고
    상기 텐션막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체를 출입시키는 제1 주입/배출구를 가지는 거치대.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복수개의 프레임편, 그리고
    하나의 상기 프레임편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편을 결속시키는 결속구
    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상기 프레임편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편을 닫힌 고리 형태로 연결시키는 거치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비되는 거치대.
  5.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수평판, 그리고
    상기 수평판 하면에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이 상기 수평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소켓부
    를 포함하는 거치대.
  6. 제5항에서, 상기 소켓부는,
    U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박구를 포함하는 거치대.
  7. 제5항에서,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구조물을 고정하는 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후면 중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대.
  9. 제8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제1 소켓, 그리고
    상기 제1 소켓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2 소켓을 포함하는 거치대.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제2 소켓은 각각,
    U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박구를 포함하는 거치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커버는,
    U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박구를 포함하는 거치대.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106647A 2009-11-05 2009-11-05 거치대 KR10098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647A KR100984377B1 (ko) 2009-11-05 2009-11-05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647A KR100984377B1 (ko) 2009-11-05 2009-11-05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377B1 true KR100984377B1 (ko) 2010-09-30

Family

ID=4301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647A KR100984377B1 (ko) 2009-11-05 2009-11-05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23Y1 (ko) * 2021-04-27 2022-09-22 (주)성원화학 지중 매설 케이블용 위치 표시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882U (ko) * 1998-12-19 1999-03-25 손기승 휴대용 피켓
KR20050077386A (ko) * 2004-01-27 2005-08-02 김민식 조립식 액자
KR200427495Y1 (ko) * 2006-05-18 2006-09-27 노정익 공기 주입식 삼각 광고판 거치대
KR200430096Y1 (ko) * 2006-06-01 2006-11-10 노정익 입식 광고판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882U (ko) * 1998-12-19 1999-03-25 손기승 휴대용 피켓
KR20050077386A (ko) * 2004-01-27 2005-08-02 김민식 조립식 액자
KR200427495Y1 (ko) * 2006-05-18 2006-09-27 노정익 공기 주입식 삼각 광고판 거치대
KR200430096Y1 (ko) * 2006-06-01 2006-11-10 노정익 입식 광고판용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23Y1 (ko) * 2021-04-27 2022-09-22 (주)성원화학 지중 매설 케이블용 위치 표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7914B2 (en) Retractable banner stands with cooperating banners
US6393748B1 (en) Sign support system
US10000924B2 (en) Establishing barriers with modular wall structures
CA2705525C (en) Advertising display devices and constituent structures
US9069239B2 (en) Collapsible display means
WO2016205965A1 (es) Sistema exhibidor configurable y desarmable que comprende una repisa de plastico con bandejas a distintos niveles; y metodo de montaje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KR100984377B1 (ko) 거치대
WO2016060484A1 (ko) 배너 광고대
US20120168597A1 (en) Portable Stand For General Purpose Use
KR101841697B1 (ko) 광고용 배너 지지대겸용 조립식 이동 가로등
US11561072B1 (en) Portable wind resistant target and sign stand
US8448362B2 (en) Curved display arrangement
KR200426728Y1 (ko) 공기 주입식 보드를 구비한 광고판 거치대
CN205388897U (zh) 一种可系列展出的新型易拉宝
KR200427495Y1 (ko) 공기 주입식 삼각 광고판 거치대
KR200423945Y1 (ko) 광고판용 스탠드
KR200430096Y1 (ko) 입식 광고판용 프레임
KR20170023253A (ko) 광고용 게시물 거치장치
KR102519300B1 (ko) 단순 결합구조를 갖는 광고판 거치대
AU2012218239B2 (en) Improvements to signage structures
KR200435267Y1 (ko) 선거물 게시대
KR200304794Y1 (ko) 공기를 이용한 입체 구조물
KR20240033797A (ko) 배너 거치용 배너 거치대
KR20110034166A (ko) 접이식 입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